쑤언록 전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쑤언록 전투는 1975년 4월 9일부터 4월 21일까지 베트남 전쟁의 마지막 대규모 전투로, 남베트남의 쑤언록에서 북베트남군과 남베트남군 사이에 벌어졌다. 남베트남의 정치적 혼란 속에서 쑤언록은 남베트남 저항의 중심지가 될 예정이었으나, 북베트남군의 공세에 4월 21일 함락되었다. 이 전투에서 북베트남군은 승리하여 남베트남 영토의 3분의 2를 장악했고, 남베트남의 군사력에 큰 타격을 입혔다. 쑤언록 함락 이후, 쩐반티우 대통령은 사임하고 쩐반흥이 대통령이 되었으며, 남베트남은 북베트남과의 협상을 통해 평화를 모색하게 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쑤언록 전투 - [전쟁]에 관한 문서 | |
|---|---|
| 기본 정보 | |
![]() | |
| 명칭 | 쑤언록 전투 |
| 다른 이름 | trận Xuân Lộc (베트남어) 陣春祿 (한자) 스안로크의 전투 (일본어) Battle of Xuan Loc (영어) |
| 전투 정보 | |
| 일부 | 베트남 전쟁 |
| 날짜 | 1975년 4월 9일 - 4월 21일 () |
| 장소 | 쑤언록 현, 동나이 성, 남베트남 |
| 결과 | 북베트남의 전략적 승리 |
| 교전 세력 | |
| 교전국 1 | 북베트남 |
| 교전국 2 | 남베트남 |
| 지휘관 | |
| 북베트남 | 호앙 깜 |
| 남베트남 | 응우옌 반 토안 레 민 다오 |
| 병력 규모 | |
| 북베트남 총 병력 | 40,000명 |
| 쑤언록 | 최소 20,000명 |
| 남베트남 총 병력 | 약 25,000–30,000명 |
| 쑤언록 | 최소 12,000명 |
| 사상자 규모 | |
| 북베트남 (미국 추정) | 5,000명 사망 및 부상 |
| 북베트남 (4 군단 주장) | 460명 사망, 1,428명 부상 |
| 남베트남 (북베트남 주장) | 2,036명 사망 및 부상, 2,731명 포로 |
2. 배경
1975년 상반기, 베트남 공화국(남베트남)은 심각한 정치적 혼란에 휩싸였으며, 이는 전장에서의 군사적 상황을 반영하는 것이었다. 쩐반티우 대통령에 대한 암살 시도가 잇따랐고, 국회는 응우옌 바 껀을 새로운 지도자로 하는 정부 구성을 권고했다. 쩐 티엔 키엠 총리가 사임하고, 티우 대통령은 군 지휘관들을 체포하며 상황을 수습하려 했다.
프레데릭 웨이랜드 미 육군 참모총장과의 회담에서 티우 대통령은 남베트남 방어 전략을 설명하며 남은 영토를 사수하겠다고 다짐했다. 그는 쑤언록을 저항의 중심지로 삼고자 했으나, 미국은 파리 평화협정 당시 남베트남을 팔아넘겼다고 비난하며 회담은 결렬되었다.[3]
반면, 북베트남 정부는 1974년 12월 이후 군대가 거둔 승리에 고무되었다. 1975년 4월 8일까지 베트남 인민군은 남베트남의 제1군단과 제2군단, 그리고 프억롱성 전체를 점령했다. 남베트남군이 전국적으로 와해되는 동안, 북베트남은 두 개의 군단을 쑤언록에 있는 남베트남의 마지막 거점으로 이동시켰다.[5] 몇 달 전 프억롱을 점령한 베트남 인민군 제4군단은 타이닌, 빈롱, 롱카인을 점령한 후 북동쪽에서 쑤언록으로 접근했다. 베트남 인민군 제3군단은 중부 고원에서 남베트남군을 물리친 후 북서쪽에서 쑤언록으로 이동했다.[5] 쑤언록은 남베트남을 종단하는 1번 국도와 중부 고원을 거쳐 달랏으로 이어지는 20번 국도의 교차점에 위치해 있으며, 비엔호아/롱빈의 거대한 군사 기지로 가는 동쪽 접근로를 통제했다.[8]
2. 1. 남베트남의 정치적 혼란
1975년 상반기, 베트남 공화국(남베트남)은 심각한 정치적 혼란에 휩싸였다. 이는 전장에서의 군사적 상황을 그대로 반영하는 것이었다. 쩐반티우 대통령을 노린 암살 시도가 최소 두 차례나 발생했다.[3] 1월 23일, 남베트남 육군 장교가 권총으로 티우 대통령을 암살하려 했으나 실패하고 군법 재판에 회부되었다.[3][20] 4월 4일에는 베트남 공화국 공군(RVNAF) 조종사 응우옌 타인 중이 F-5 타이거 전투기를 몰고 독립궁을 폭격했다. 후에 이 조종사는 1969년부터 베트콩에 잠입한 요원이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3] 이러한 암살 시도 실패 이후, 티우 대통령은 자신의 군 지휘관들을 의심하게 되었다.[3]4월 2일, 베트남 공화국 국회 상원은 응우옌 바 껀을 새로운 지도자로 하는 정부 구성을 권고했다. 그 결과, 쩐 티엔 키엠 총리가 사임했다. 티우 대통령은 상원의 권고에 따라 즉시 쩐 티엔 키엠 총리의 사임을 승인하고 응우옌 바 껀을 새로운 총리로 임명했다.[6][21] 4월 4일, 사이공 텔레비전에서 정부 개편을 발표하면서 티우 대통령은 군 사령관 3명의 체포를 명령했다. 체포된 장성들과 체포 사유는 다음과 같다:[7][22]
| 이름 | 직책 | 체포 사유 |
|---|---|---|
| 팜 반 푸 | 소장 | 반 메 투엇 전투 패배 |
| 팜 꾸옥 투언 | 장군 | 냐짱 방어 실패 |
| 즈 꾸옥 동 | 중장 | 프억롱 전투 패배 |
제1군단 사령관 응오 꽝 쯔엉 장군은 치료 중이었기 때문에 체포를 면했다.[7][22]
4월 3일, 프레데릭 웨이랜드 미국 육군 참모총장과의 회담에서 티우 대통령은 남베트남 방어 전략을 설명하며 남은 영토를 사수하겠다고 다짐했다. 티우 대통령의 전략에서 쑤언록은 양쪽에 타이닌과 판랑을 포함하여 남베트남 저항의 중심지가 될 것이었다.[7] 회담 도중 티우 대통령은 리처드 닉슨 전 미국 대통령의 편지를 제시하며, 북베트남이 파리 평화협정 조건을 위반할 경우 군사적 보복을 약속했음을 강조했다. 그러나 티우 대통령은 미국 정부가 파리 평화협정에 서명하는 순간 자신의 나라를 팔아넘겼다고 비난하며 회담을 마무리했다.[3]
2. 2. 미국의 군사 원조 중단과 영향
1973년 파리 평화협정 체결 이후, 미국은 남베트남에 대한 군사 원조를 점차 줄여나갔다. 1975년 초, 북베트남군의 공세가 강화되면서 남베트남군은 패퇴를 거듭했고, 응우옌 반 티우 대통령은 미국의 군사적 지원을 요청했다.[3]4월 3일, 프레데릭 웨이랜드 미 육군 대장과의 회담에서 티우 대통령은 남베트남 방어 전략을 설명하며 쑤언록을 중심으로 남은 영토를 사수하겠다고 다짐했다. 그는 리처드 닉슨 전 미국 대통령이 북베트남의 협정 위반 시 군사적 보복을 약속한 편지를 제시하며 미국의 지원을 호소했다.[7] 그러나 티우 대통령은 미국이 파리 평화협정에 서명하는 순간 남베트남을 팔아넘겼다고 비난하며 회담은 결렬되었다.[3]
미국의 원조 중단은 남베트남군의 전투력 약화로 이어졌고, 이는 쑤언록 전투에서의 패배에 큰 영향을 미쳤다. 티우 대통령은 미국의 지원 없이는 북베트남군을 막을 수 없다고 판단하고 결국 사임했다.
3. 전투 서열
Battle of Xuan Loc영어 당시 남베트남군과 북베트남군의 전투 서열은 다음과 같다.
| 남베트남군 (ARVN) | 북베트남군 (PAVN) |
|---|---|
3. 1. 남베트남군 (ARVN)
1975년 4월 8일, 쑤언록 전투에서 남베트남군(ARVN)의 주력 부대는 제18사단이었다.[3][28] 제18사단은 제43, 제48, 제52 보병 연대 등 3개 보병 연대로 구성되었다. 쑤언록 방어를 위해 5개 기갑여단, 제340, 제342, 제343, 제367대대 등 4개 지역군 대대, 제181, 제182 포병대대 등 2개 포병대대, 그리고 2개 민병대가 지원했다.[3][28]전투가 진행되면서 증원군이 도착했다. 4월 12일, 제1공수여단, 제315, 제318, 제322 기갑여단 등 3개 기갑여단, 제5사단 예하 제8기동부대, 제33 레인저 대대가 쑤언록에 증원되었다.[3][28]
공중 지원은 비엔호아 공군기지의 제5사단과 탄손누트 공군기지의 제3사단이 담당했다.[3][28]
쑤언록의 남베트남군 지휘관은 레 민 다오 준장이었다.[3]
3. 2. 북베트남군 (PAVN)
북베트남 중앙군사위원회는 쑤언록 공격을 제4군단에 맡겼다. 제4군단은 제6사단, 제7보병사단, 제341사단의 3개 사단을 투입했다.[2] 이들은 제71방공연대, 제24공병연대와 제25공병연대(2개의 공병연대), 제26통신연대, 2개의 기갑대대, 2개의 포병대대, 그리고 2개의 롱카인성 보병대대의 지원을 받았다.[2]1975년 4월 3일, 제4군단 사령부는 두 가지 공격 방안을 제시했다. 첫 번째는 주변 지역의 모든 남베트남군 초소를 점령하여 쑤언록을 고립시키는 것이었다. 만약 가능하다면, 제4군단은 쑤언록을 전면 공격하여 점령할 계획이었다. 두 번째는 쑤언록의 남베트남군이 저항할 힘이 없을 경우, 기갑부대와 포병부대의 지원을 받는 보병부대를 이용하여 쑤언록을 직접 공격하는 것이었다.[5]
4. 전투 경과
1975년 3월, 북베트남군(인민군)은 남베트남에 대한 대대적인 공세를 시작했다. 중부 고원에서 반메투엇이 공격받는 동안, 인민군 제4군단은 타이닌 성과 빈즈엉 성 지역을 공격했다. 이 지역은 병력과 자원 부족으로 방어가 취약했지만, 패주한 남베트남군(ARVN) 부대들이 집결하여 재편을 시도하고 있었다. 인민군은 이를 막기 위해 이 지역을 점령하기로 결정했다.[3]
인민군 제4군단은 다우티엥-컨탄 지역을 첫 목표로 삼았다. 3월 11일, 인민군 제9보병사단이 다우티엥을 공격하여 주요 거점을 점령했다. 남베트남군은 반격을 시도했으나 실패하고 후퇴했다.[9] 3월 24일, 인민군은 컨탄을 공격했으나 격퇴되었다. 3월 31일, 증원군을 받은 인민군은 다시 공격을 개시하여 4월 2일 컨탄을 점령했다.[2] 이 과정에서 인민군은 많은 남베트남군 병력을 사살 또는 포로로 잡고, 상당량의 군 장비를 노획했다.[2]
빈롱 성을 확보한 인민군은 다음 목표를 쑤언록으로 정했다.[2] 4일간의 준비 후, 4월 9일 새벽 인민군 제4군단은 쑤언록 시가지에 포격을 개시하며 총공격을 시작했다. 초기에는 남베트남군의 저항으로 진격이 더뎠지만, 인민군은 주요 시설을 점령하며 압박을 가했다. 남베트남군은 반격과 증원군 투입, 공중 지원 등을 통해 끈질기게 저항했다.
4월 13일, 베트남민족해방전선 사령관 짠 반 차 장군은 인민군 제4군단에 새로운 작전 방침을 제안했다. 이는 쑤언록 방어선의 약점인 다우지아이를 공격하고 주요 도로를 차단하는 것이었다.
4월 15일, 인민군은 쑤언록 포격을 중단하고 비엔호아를 포격하여 남베트남 공군의 작전을 방해했다. 이후 인민군은 쑤언록 서부에서 남베트남군을 격파하고, 다우지아이를 탈환하려는 시도도 저지했다. 쑤언록의 남베트남군은 큰 피해를 입고 완전히 고립되었다.
4월 19일, 남베트남군 참모본부는 쑤언록의 부대들에게 철수 명령을 내렸다. 4월 20일, 남베트남군과 주민들은 군용 차량을 이용해 탈출을 시작했고, 4월 21일 마지막 부대가 철수하면서 쑤언록은 인민군에게 함락되었다.[41][42]
4. 1. 북베트남군의 초기 공세 (3월 17일 ~ 4월 8일)
1975년 3월, 북베트남군 제3군단이 중부 고원의 반메투엇을 공격하는 동안, 북베트남군 제4군단은 남베트남 남서부 지역인 타이닌 성과 빈즈엉 성에 있는 남베트남군 시설을 공격했다. 지난 3년간과 달리 타이닌과 빈즈엉 주변의 남베트남 방어는 인력과 자원 부족으로 인해 상당히 약화되었다.[3]북베트남군 제4군단 사령부는 남베트남군 북서 지역 방어선 중 가장 약한 지점이었던 다우티엥-컨탄을 첫 번째 목표로 선정했다. 3월 11일, 북베트남군 제9사단(제9보병사단)은 다우티엥 공격을 시작했다. 격렬한 전투 끝에 북베트남군은 다우티엥 군사 지역을 완전히 장악했다.[9]
3월 24일, 북베트남군 제9보병사단의 2개 연대는 빈프억 성의 2개 주 보병 대대와 협력하여 컨탄을 전면 공격했지만, 남베트남군 방어선에서 계속 격퇴되었다. 3월 31일, 북베트남군 제4군단은 증원군을 투입하여 컨탄에 대한 공격을 재개했고, 4월 2일 컨탄을 점령했다.[2]
4. 2. 쑤언록 전투 (4월 9일 ~ 4월 21일)
북베트남군은 1975년 4월 9일 오전 5시 40분, 쑤언록 시가지에 4,000발의 포탄을 퍼부으며 공격을 개시했다.[33] 북베트남군 제341보병사단은 1시간 이상의 격전 끝에 남베트남군의 통신 시설과 경찰서를 점령했으나,[33] 북쪽의 북베트남군 부대는 남베트남군 제52기동전단의 반격으로 진격이 멈췄다. 동쪽에서는 북베트남군 제7보병사단이 전차 지원을 받지 못해 초기에 큰 피해를 입었다. 오전 8시, 제4군단 사령부는 제7보병사단을 지원하기 위해 8대의 전차를 파견했지만, 모두 남베트남군에 의해 파괴되었다.정오까지 북베트남군 제209, 270보병연대는 남베트남군 제18사단 사령부와 도지사 관저를 방어하던 남베트남군 제43, 48보병연대를 격파하고 이 시설들을 점령했다. 남쪽에서는 북베트남군 제6보병사단이 홍기아(Hồng Nghia)-메봉콩(Mê Bong Cống)을 지나는 1번 국도상의 남베트남군 방어 진지를 점령했다.[34] 4월 9일, 남베트남군 제18사단은 북베트남군의 양 측면에 대한 반격을 실시하여 북쪽과 북서쪽에서의 공세를 지연시키려 했다.[35]
4월 10일부터 11일까지, 북베트남군 제7보병사단은 남베트남군 제18사단, 제52기동전단, 제5기갑기병중대를 격파하려 했으나, 측면 공격 등으로 인해 실패했다.[36] 북서쪽에서도 북베트남군 제341보병사단 소속 제226, 270보병연대가 남베트남군 제43보병연대, 제322기갑여단의 측면 공격을 받아 진격이 크게 지연되었다. 이틀 동안 남베트남 제5공군사단은 제18사단을 지원하기 위해 200회 이상의 공중 지원을 실시했다. 4월 11일 심야, 레 민 다오는 남베트남군 제18사단 사령부를 탄퐁(Tân Phước)으로 이동시켜 전력을 재결집했다.
4월 12일, 남베트남군 참모본부는 쑤언록 방어를 위해 예비 전력을 투입했다. 남베트남군 제1공수여단이 바오딘(Bảo Định)의 고무 농장에 방어 진지를 구축하고, 2개 해병여단이 비엔호아(Biên Hòa)에서 이어지는 동쪽 도로를 방어했다. 탄퐁과 다우지아이(Đâu Giây)에는 남베트남군 제33레인저대대, 제8, 제5보병사단, 제8보병대대, 제315, 제318, 제322기갑여단 등이 증원되었다. 비엔호아와 탄손낫(Tân Sơn Nhất)의 남베트남 공군 전투기들은 하루에 80~120회의 전투 출격을 통해 쑤언록 방어군을 지원했다.[37] 같은 날 오후 2시, 쑤언록 근처 수언빈(Xuân Bình) 마을에 남베트남 공군 C-130이 CBU-55 데이지 커터 폭탄 2발을 투하하여 민간인과 북베트남군 병사를 합쳐 200여 명이 사망했다.[38]
4월 13일, 베트남민족해방전선 사령관 짠 반 차 장군은 북베트남군 제4군단 사령부를 방문하여 공격 전략 변경을 제안했다. 제6보병사단과 제341보병사단 일부로 다우지아이를 공격하고, 2번 국도와 1번 국도를 따라 차단 지점을 설치하는 것이었다. 같은 날, 북베트남군 제2군단은 제95보병연대에 제4군단의 지휘하에 들어갈 것을 명령했다. 한편, 남베트남군은 쑤언록 공격을 격퇴하고 전황을 역전시켰다고 선언했다. 응우옌 반 티우 대통령은 “베트남 공화국군이 조국을 지키기 위해 전투 능력을 회복했다”는 성명을 발표했다.[39]
4월 15일, 북베트남군은 쑤언록 포격을 중단하고 비엔호아를 포격했다. 이로 인해 남베트남 제3공군사단은 모든 작전을 중단해야 했다. 쑤언록 수비대에 대한 항공 지원은 트라녹의 남베트남 제4공군사단으로 이관되었다.[40] 같은 날, 북베트남군 제6보병사단과 제95B보병연대는 쑤언록 서부에서 남베트남군 제52작전단과 제13기갑중대를 격파했다. 4월 16일부터 17일까지 북베트남군 제6보병사단과 제95B보병연대는 다우지아이를 탈환하려던 남베트남군 제8작전단, 제3기갑여단을 격파했다. 쑤언록의 남베트남군 제43, 제48보병연대, 제1공수여단도 큰 피해를 입었다.
다우지아이와 모든 주요 도로가 북베트남군 수중에 넘어가면서, 쑤언록의 남베트남군 제18사단은 완전히 고립되었다. 4월 19일, 남베트남군 참모본부는 레 민 다오 장군에게 제18사단을 포함한 각 부대의 탈출과 다른 거점에서의 항전을 명령했다. 제18사단은 비엔호아 수비 임무를 부여받았다.[41] 4월 20일, 폭우 속에서 약 200대의 군용 차량을 이용한 남베트남군 장병과 쑤언록 주민들의 탈출이 시작되었다. 4월 21일, 마지막 수비대였던 남베트남군 제1공수여단이 탈출하면서 쑤언록 시가지 중앙은 완전히 버려졌다. 같은 날 새벽 4시까지 수이 카(Suối Cá) 마을에서 제3 및 제1공수여단이 북베트남군에 의해 궤멸되었다. 이로써 쑤언록은 북베트남군에 함락되었고, 사이공으로 가는 길은 완전히 열렸다.[41][42]
5. 결과
쑤언록 전투에서 북베트남군(베트남 인민군)이 승리하면서 남베트남 영토의 3분의 2를 장악하게 되었다.[6] 이는 남베트남의 군사력에 큰 타격을 주었고, 예비군 대부분을 잃게 만들었다.[6] 1975년 4월 21일, 쩐반티우 대통령은 쑤언록 함락 소식에 사임했다. 쩐반흥이 대통령직을 이어받았지만, 남베트남의 붕괴는 막을 수 없었다.
1975년 초, 북베트남군은 거의 방어가 없던 베트남 공화국 북부로 진격했다. 중부 고원에서는 남베트남군 제2군단 전술구역이 무너졌고, 남은 부대는 메콩 삼각주로 후퇴했다. 후에와 다낭 등에 있던 남베트남군 부대는 저항 없이 무력화되었다.[15]
1975년, 전황이 나빠지면서 베트남 공화국의 정치 상황은 혼란에 빠졌다. 응우옌반티에우 대통령에 대한 암살 시도가 최소 두 차례 있었으나 모두 실패했다.
- 1월 23일, 남베트남 육군 장교가 권총으로 티우 대통령을 저격하려 했으나 실패하고 군법회의에 회부되었다.[20]
- 4월 4일, 베트남 공화국 공군 조종사 응우옌 타인 중 중위가 F-5 전투기로 독립궁을 폭격했다. 그는 1969년부터 잠복해 있던 베트콩 비밀 당원으로 밝혀졌다. 이 사건들로 티우 대통령은 군 장교들을 불신하게 되었다.
4월 3일, 프레데릭 웨이랜드 미 육군 대장과 만난 티우 대통령은 베트남 공화국의 최종 방어 전략을 설명하며, 남은 영토를 공산주의자들에게 넘기지 않겠다고 다짐했다. 그는 타이닌과 판티엣 근처 쑤언록을 총력전의 중심지로 언급했다.
5. 1. 군사적 측면
쑤언록 전투는 남베트남군의 끈질긴 저항에도 불구하고, 북베트남군(베트남 인민군)의 화력과 병력 우위로 인해 결국 패배로 끝났다. 이 전투에서 북베트남군은 사실상 남베트남 영토의 3분의 2를 장악하게 되었다.[6] 쑤언록 함락은 남베트남의 군사력에 심각한 타격을 입혔고, 남베트남은 예비군의 거의 모든 부대를 상실했다.[6]1975년 4월 18일, 남베트남군 3군단장 투안(Toàn)은 쑤언록의 남베트남군이 패배했으며, 전투에서의 손실로 인해 남베트남군은 불과 며칠 더 버틸 수 있을 뿐이라고 보고했다.[6] 북베트남의 공식 보고서에 따르면, 약 2,036명의 남베트남군이 사망하거나 부상당했고 2,731명이 포로로 잡혔다.[5]
북베트남 측의 총 사상자 수는 알려지지 않았지만, 제4군단만 해도 전사 460명, 부상 1,428명이라고 주장했다.[5] 레 쑤언 다오(Lê Xuân Đào)는 이 전투로 베트남 인민군이 5만 명 이상 사망하고 전차 370대가 파괴되었다고 주장했지만, 미국의 추산에 따르면 베트남 인민군 사상자는 그 수치의 약 10%인 5,000명(사망 또는 부상)이며, 파괴된 전차는 37대였다.[4]
결과적으로 쑤언록 전투에서 남베트남군은 막대한 인적, 물적 피해를 보았다. 이는 남베트남군의 사기를 저하시키고, 붕괴를 가속화하는 요인이 되었다.
5. 2. 정치적 측면
쑤언록 함락은 남베트남의 정치적 붕괴를 가속화했다. 1975년 4월 21일, 쩐반티우 대통령은 쑤언록 함락 소식을 듣고 사임을 발표했다.[7] 이는 남베트남 정부의 무능함을 보여주는 상징적인 사건이었다.남베트남 국회는 쑤언록 함락의 책임을 쩐반티우 대통령에게 물었다. 국회는 쩐반티우의 전쟁 정책이 북베트남의 공세를 막지 못했다고 비판했다.[7] 국회 내에서는 전쟁 지속 여부를 두고 논쟁이 벌어졌다. 주전파는 미국의 지원을 기대하며 끝까지 싸워야 한다고 주장했고,[7] 반전파는 협상을 통해 전쟁을 끝내야 한다고 주장했다.[7] 이러한 논쟁은 남베트남 내부의 분열을 심화시켰다.
쩐반티우의 사임 이후, 쩐반흥이 대통령직을 승계했다.[3] 국회는 쩐반흥에게 북베트남과의 평화 협상을 지시했지만,[3] 이미 상황은 너무 늦었다는 평가가 많았다.[3]
6. 쑤언록 전투에 대한 한국의 시각과 영향
쑤언록 전투는 베트남 전쟁에서 중요한 전투 중 하나였지만, 제공된 자료에는 한국의 시각과 영향에 대한 직접적인 정보가 나타나 있지 않다.
참조
[1]
웹사이트
Welcome to the Paris of the Orient
https://web.archive.[...]
2010-09-25
[2]
서적
History of the 4th Army Corp-Cuu Long Corps
People's Army Publishing House
[3]
서적
A Tragic Chapter
People's Army Publishing House
[4]
서적
The Final Collapse
https://history.army[...]
U.S. Army center of Military History
[5]
서적
History of the War of Resistance against America (8th edn)
National Politics Publishing House
[6]
서적
A Disastrous Retreat
Ho Chi Minh City Publishing
[7]
서적
55 Days: The Fall of South Vietnam
Prentice-Hall, Inc.
[8]
서적
Black April The Fall of South Vietnam 1973–75
Encounter Books
[9]
서적
Battles on the Doorstep of Saigon
People's Army Publishing House
[10]
서적
Vietnam from ceasefire to capitulation
https://history.army[...]
US Army Center of Military History
[11]
서적
The Journey of Ten Thousand Days
People's Army Publishing House
[12]
서적
History of the 7th Infantry Division
People's Army Publishing House
[13]
서적
The Narratives of Saigon Generals
People's Police Publishing
[14]
웹사이트
Welcome to the Paris of the Orient
https://web.archive.[...]
2010-09-25
[15]
서적
[16]
서적
[17]
서적
[18]
서적
[19]
서적
[20]
서적
[21]
서적
[22]
서적
[23]
서적
[24]
서적
[25]
서적
[26]
서적
[27]
서적
[28]
서적
[29]
서적
[30]
서적
[31]
서적
[32]
서적
[33]
서적
[34]
서적
[35]
서적
[36]
서적
Ho Son Dai
[37]
서적
Ho Son Dai
[38]
서적
Pham Ngoc Thach & Ho Khang
[39]
서적
Ho Son Dai
[40]
서적
Le Anh Dai Kiet
[41]
서적
Pham Ngoc Thach & Ho Khang
[42]
서적
Le Anh Dai Kiet
[43]
서적
Frank Snepp
[44]
서적
Pham Ngoc Thach & Ho Khang
[45]
서적
Cao Van Vien
[46]
서적
Duong Hao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