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아루나찰 제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루나찰 제어는 아루나찰프라데시주에서 사용되는 다양한 언어들을 포괄하는 분류이다. 이 지역의 언어들은 크게 루소어군, 코봐어군, 시앙어군, 미주어군, 디가로어군으로 나뉜다. 각 어군에는 여러 방언군과 개별 언어들이 포함되어 있으며, 루소어, 미지어, 푸로이크어, 부군어, 셰르둑펜어, 사르탕어, 추그어, 리슈어, 코로어, 밀랑어, 미주어, 메요르어, 이두어, 타라온어 등이 이에 속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중국티베트어족 - 중국어파
    중국어파는 중국어 및 그 방언들을 묶어 부르는 말로, 중국티베트어족의 주요 어군이며, 현대 언어학에서는 의사소통이 어려울 정도로 차이가 큰 여러 방언들을 별개의 어군으로 분류한다.
  • 중국티베트어족 - 발티어
    발티어는 파키스탄 길기트발티스탄과 인도 카르길 및 라다크 지역에서 사용되는 시노티베트어족 언어로, 네 가지 상호 이해 가능한 방언으로 나뉘며 페르시아-아랍 문자를 주로 사용하고 풍부한 음운 체계를 가지나, 우르두어와 영어의 영향 및 정치적·종교적 요인으로 인해 언어 유지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 제안된 어족 - 오스트로어족
    오스트로어족은 오스트로아시아어족과 오스트로네시아어족을 하나의 어족으로 묶으려는 가설이었으나, 현재는 어휘적 증거 부족으로 지지를 받지 못한다.
  • 제안된 어족 - 인도태평양어족
  • 인도의 언어 - 시킴어
    시킴어는 티베트 문자를 사용하는 히말라야 언어이며, 존카어와 어휘적 관련이 높으며, 자음, 모음, 높낮이 두 가지의 조성을 특징으로 한다.
  • 인도의 언어 - 네팔어
    네팔어는 데바나가리 문자로 표기되며, 산스크리트어와 프라크리트어의 영향을 받았으며, 10세기에서 14세기 사이에 나타나, 20세기 이후 표준화 과정을 거쳐 현대 네팔어로 자리 잡았으며, 인도 내 네팔어 사용자들의 권익 신장에 기여했다.
아루나찰 제어
개요
아루나찰프라데시 주 깃발
아루나찰프라데시 주 깃발
아루나찰프라데시 주의 문장
아루나찰프라데시 주의 문장
별칭새벽의 산이 있는 땅
주도이타나가르
가장 큰 도시이타나가르
정부아루나찰프라데시 주 정부
행정 수반아루나찰프라데시 주지사
수석 장관페마 칸두
의회단원제 (60석)
인도 의회 의석라자야 사바: 1석
로크 사바: 2석
고등 법원구와하티 고등 법원 (이타나가르 지부)
지리
총 면적83,743 제곱킬로미터 (32,333 제곱마일)
순위14위
인구 통계
총 인구 (2011년)1,383,727명
순위28위
인구 밀도17명/제곱킬로미터 (44명/제곱마일)
언어아루나찰 제어
영어
추가 언어아보르어
미신어
니시어
몽파어
타긴어
나어
힌디어
벵골어
네팔어
아삼어
총 구 수26개
경제
총 GDP (2014-15년)16,676 크로레 (24억 달러)
1인당 GDP (2014-15년)107,918 루피 (1,600 달러)
기타
약칭AR
ISO 3166-2IN-AR

2. 언어

아루나찰프라데시주에서 사용되는 주요 언어는 다음과 같이 분류할 수 있다.[1]


  • '''루소어군'''
  • * 루소어
  • * 미지어
  • '''코봐어군'''
  • * 푸로이크어
  • * 부군어
  • * 서부 코봐어군: 셰르둑펜어, 사르탕어, 추그어, 리슈어
  • '''시앙어군'''
  • * 코로어
  • * 밀랑어
  • '''미주어군'''
  • * 미주어
  • * 메요르어
  • '''디가로어군'''
  • * 이두어
  • * 타라온어

2. 1. 루소어군 (Hrusish)

루소어와 미지어가 이 어군에 속한다.[1]

2. 1. 1. 루소어 (Hruso)

루소어군의 주요 언어이다.[1]

루소어[1]

2. 1. 2. 미지어 (Miji)

루소어군에 속하며, 방언군을 이루고 있다.[1]

Miji|미지영어

2. 2. 코봐어군 (Kho-Bwa)

푸로이크어와 부군어, 그리고 셰르둑펜어, 사르탕어, 추그어, 리슈어가 속한 서부 코봐어군으로 나뉜다.

2. 2. 1. 푸로이크어 (Puroik)

푸로이크어는 방언군을 이루고 있다.

2. 2. 2. 부군어 (Bugun)

코봐어군에 속하는 언어 중 하나이다.

2. 2. 3. 서부 코봐어군

셰르둑펜어(Sherdukpen), 사르탕어(Sartang), 추그어(Chug), 리슈어(Lish)는 서부 코봐어군에 속한다.

2. 3. 시앙어군 (Siangic)

코로어와 밀랑어가 시앙어군에 속한다.[1]

2. 3. 1. 코로어 (Koro)

인도 아루나찰프라데시주에서 사용되는 언어이다.[1] 시앙어군에 속한다.[1] Koro영어

2. 3. 2. 밀랑어 (Milang)

시앙어군의 언어 중 하나이다.[1]

2. 4. 미주어군 (Miju)

미주어(Miju)와 메요르어(Meyor)가 이 어군에 속한다.

2. 4. 1. 미주어 (Miju)

미주어(Miju)는 크만어라고도 불린다.

2. 4. 2. 메요르어 (Meyor)

미주어군의 메요르어(Meyor)는 루소어군에 속하는 언어로, 미주어(Miju) (크만어)와 함께 미주어군을 이룬다. 자크링어라고도 불린다.[1]

2. 5. 디가로어군 (Digaro)

이두어와 타라온어가 디가로어군에 속한다.[1]

2. 5. 1. 이두어 (Idu)

이두어는 디가로어군에 속하는 언어이다.[1]

어군언어
디가로어군이두어, 타라온어

[1]

2. 5. 2. 타라온어 (Taraon)

타라온어는 디가로 미슈미어라고도 한다.[1]

참조

[1] 간행물 "(De)classifying Arunachal languages: Reconsidering the evidence" http://www.rogerblen[...] 2011
[2] 논문 On the classification of the Hruso (Aka) language 201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