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네팔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네팔어는 네팔에서 유래되었으며, 데바나가리 문자로 표기되는 인도아리아어군의 언어이다. 1933년 공식 명칭으로 채택되기 전에는 '카스 쿠라' 또는 '고르카어' 등으로 불렸다. 네팔어는 네팔의 공식 언어이자 인도 시킴 주와 서벵골 주 다르질링 지역의 공용어이며, 인도, 부탄, 호주 등지에서도 사용된다. 현대 네팔어는 10~14세기 카샤 왕국 시대에 아파브란샤 방언에서 발전했으며, SOV 어순을 가진 고도로 종합적인 언어이다. 19세기 네팔 문학이 발전하였고, 여러 방언이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북인도아리아어군 - 도그리어
    도그리어는 인도 잠무 카슈미르 지역에서 사용되는 언어로, 데바나가리 문자로 표기되며, 2003년 인도 헌법에 의해 국가 언어로 지정되었다.
  • 북인도아리아어군 - 서파하리어
    서파하리어는 인도 북부 지역에서 사용되는 언어들의 집합으로, 다양한 방언을 포함하며, 힌디어의 방언으로 간주되기도 하고, 히마찰 프라데시의 공식 언어로 인정받기 위한 움직임이 있다.
  • 부탄의 언어 - 시킴어
    시킴어는 티베트 문자를 사용하는 히말라야 언어이며, 존카어와 어휘적 관련이 높으며, 자음, 모음, 높낮이 두 가지의 조성을 특징으로 한다.
  • 부탄의 언어 - 타망어
    타망어는 네팔에서 널리 사용되는 시노티베트어족 언어이며, 여러 방언과 세부 방언으로 나뉘고 주어-목적어-동사 어순을 따르며 성조 언어에 속하고 데바나가리 문자로 표기된다.
  • 인도 - 시킴어
    시킴어는 티베트 문자를 사용하는 히말라야 언어이며, 존카어와 어휘적 관련이 높으며, 자음, 모음, 높낮이 두 가지의 조성을 특징으로 한다.
  • 인도 - 림부어
    림부어는 네팔과 인도 시킴 주에서 사용되는 언어로, 림부 문자를 사용하며, 교착어적 특징을 보이고 다양한 방언과 함께 교육을 통해 사용이 장려된다.
네팔어
지도 정보
남아시아에서 네팔어 사용자의 분포를 보여주는 지도. 짙은 빨간색은 네팔어 사용자가 다수 또는 다수인 지역, 밝은 빨간색은 네팔어 사용자가 인구의 20% 이상인 지역입니다.
남아시아에서 네팔어 사용자의 분포 지도
기본 정보
언어 이름네팔어
로마자 표기Nepali
IPA 표기/nɪˈpɔːli/
자국어 표기नेपाली
사용 국가네팔
부탄
인도
사용 지역히말라야
민족카스족
모어 화자 수1897만 명 (2011–2021년)
제2 언어 화자 수1350만 명 (2021년)
총 화자 수3197만 명 (2021년)
언어 계통
어족인도유럽어족
어파인도이란어파
어군인도아리아어군
하위 어군북부 인도아리아어군
세부 어군동부 파하리어
조상 언어원시 인도유럽어
원시 인도이란어
원시 인도아리아어
베다 산스크리트어
고전 산스크리트어
프라크리트어
아파브람샤어
카사 프라크리트어
문자 체계
문자데바나가리 문자
데바나가리 점자
공용어
지정 국가네팔
인도
지정 지역시킴 주
서벵골 주 (추가 공용어)
기관
공인 기관네팔 아카데미
언어 코드
ISO 639-1ne
ISO 639-2nep
ISO 639-3nep
Glottolognepa1254
소수 언어
사용 국가부탄
수화
수화네팔 수화
언어 변종
거시 언어Nepali (macrolanguage)
개별 언어Nepali (individual language)

2. 어원

'네팔어'라는 명칭은 1933년에 공식적으로 채택되기 전까지 '카스 쿠라', '고르카어' 등으로 불렸다. '카스 쿠라'는 마하바라타에 등장하는 고대 카스족의 언어를 의미하며, 서기 10세기부터 14세기까지 네팔 서부를 지배했던 카사 왕국에서 사용되었다.[55] '고르카어'는 고르카 왕조의 프리트비 나라얀 샤가 네팔의 통일(1769년) 이후 구르카족의 언어라는 의미로 사용되었다.[9][10] 구릉 지대에 사는 사람들은 '파르바테 쿠라'라고도 불렀는데, 이는 '산의 말'을 의미한다.[11][12]

1913년(빅람 삼밧 1970년)에 '고르카어' 발전을 위해 설립된 정부 기관인 '고르카어 출판위원회'는 1933년(빅람 삼밧 1990년)에 '네팔어 출판위원회'로 이름을 바꾸면서 '네팔어'가 공식 명칭이 되었다.[5] 그 이전에도 네팔의 국민적 영웅 자야 프리트비 바하두르 싱이 '네팔어'라는 명칭 사용을 옹호했다.[7] 1951년에는 국가 가사 중 '고르칼리'라는 용어가 '네팔어'로 변경되었다.[6]

1858년경 인도 아대륙의 언어 지도. 네팔어는 "Nepalee"로 표기됨.

3. 역사

인도아리아어군의 간략한 개요


현대 네팔어의 초기 형태는 10세기에서 14세기 사이, 카샤 왕국 시대에 오늘날 네팔 서부의 중세 인도아리아어 ''아파브란샤'' 방언에서 발전했다.[13] 이 언어는 산스크리트어, 프라크리트어 및 아파브란샤에서 진화했다.[13] 카샤 왕국이 쇠퇴한 후, 이 언어는 카르날리-베리 지역의 바이세 라자야(22개의 작은 왕국)와 간다키 지역의 차우비세 라자야(24개의 작은 왕국)로 나뉘었다.[13] 약 500년 전 카샤족의 한 갈래가 카르날리-베리-세티 지역에서 카르날리와 간다키 분지의 더 낮은 계곡으로 동쪽으로 대규모 이주하면서 현재 널리 쓰이는 네팔어 변종이 시작된 것으로 여겨진다.[14][13]

세나 왕조 시대에 네팔어는 아와디어, 보즈푸리어, 브라즈 바샤, 마이틸리어를 포함한 인도 언어의 영향을 받았다.[13] 네팔어 사용자와 세나 왕조는 긴밀한 관계를 맺었고, 그 결과 이 언어는 그 지역의 ''공용어''가 되었다.[13] 이로 인해 문법이 단순화되고 어휘가 확장되었으며 음운론이 완화되었고, 네팔어는 이전 언어에 존재했던 복잡한 굴절 체계의 많은 부분을 잃었다.[13]

네팔어의 제도화는 고르카 왕국샤 왕조로부터 시작된 것으로 여겨진다.[15] 18세기 네팔 통일 이후, 네팔 왕국의 궁정에서 사용되면서 국어가 되었다.[15] 중세 네팔어로 쓰여진 초기 작품 중 하나는 고르카의 국왕 람 샤 재위 기간에 쓰여진, 저자가 알려지지 않은 책인 『람 샤 코 지바니』(람 샤의 전기)이다.[15] 프리트비 나라얀 샤가 생애 말년인 1774~75년경에 쓴 『디비요파데시』는 당시의 구네팔어 방언을 담고 있으며, 네팔 문학 최초의 수필 작품으로 여겨진다.[16]

바누박타 아차리아의 『바누박타 라마야나』 사본. 네팔의 "문화적, 정서적, 언어적 통합"으로 이어졌다.


이 기간 동안 네팔어는 '랄 모하르'(왕실 칙령) - 외교 문서, 세금, 행정 기록 등 네팔 왕국과 관련된 문서 - 에서 표준화된 산문을 발전시켰다.[15] '랄 모하르'의 언어는 문법에서 약간의 차이와 근대 이전의 철자가 있지만 거의 현대 네팔어와 유사하다.[17] '카리'(Kari, करि)를 '가리'(Gari, गरि)로 바꾸고 '후누'(Hunu, हुनु)와 '차'(cha, छ)를 합쳐 '훈차'(huncha, हुन्छ)를 만드는 등의 몇 가지 변화가 있었다.[17] 이 시기에 쓰여진 가장 주목할 만한 작품은 바누박타 아차리아의 『바누박타 라마야나』로, 최초로 산스크리트어의 서사시 라마야나를 네팔어로 번역한 작품이다.[18] 아차리아의 작품은 네팔을 통일한 프리트비 나라얀 샤와 비교하여 네팔의 "문화적, 정서적, 언어적 통합"으로 이어졌다고 일부 학자들은 말한다.[19][20]

20세기 초, 라나 왕조는 네팔어를 교육 언어로 만들기 위해 노력했다. 특히 데브 쉼셰르 융 바하두르 라나와 찬드라 쉼셰르 융 바하두르 라나는 각각 ''고르카파트라''와 ''고르카 바샤 프라카시니 사미티''를 설립했다.[21][5] 당시 네팔어는 힌디어벵골어에 비해 문학이 부족했고, 인도바라나시다르질링에서 통일된 네팔어 정체성을 만들기 위한 운동이 시작되었다. 이 운동은 1951년 네팔 혁명 이후와 판차야트 시대에 네팔에도 영향을 미쳤다.[21]

1957년에는 네팔어 문학, 문화, 예술, 과학의 발전과 증진을 목표로 왕립 네팔 아카데미가 설립되었다.[22] 판차야트 시대에 네팔은 "한 왕, 한 옷, 한 언어, 한 국가" 이념을 채택하여 네팔어를 네팔 민족주의의 기반으로 삼았고, 이 시기는 네팔어의 황금기로 여겨진다.[23][24]

다르질링 차우라스타에 있는 반누박타 아차리아 동상


인도 서벵골주에서는 1961년 서벵골주 정부가 다르질링 지구와 칼림퐁, 쿠르세옹의 공식 언어로 네팔어를 인정했다.[25] 네팔어 운동은 1980년대경 인도에서 인도 헌법 제8부속서에 네팔어를 포함시키기 위해 일어났다.[26] 1977년에는 사히탸 아카데미(인도 문학 진흥 기관)가 네팔어를 공식적으로 인정했다.[27] 시킴이 인도에 합병된 후, 1977년 시킴 공식 언어법은 네팔어를 주 공식 언어 중 하나로 만들었다.[28] 1992년 8월 20일, 로크 사바는 네팔어를 제8부속서에 추가하는 결의안을 통과시켰다.[29]

3. 1. 기원과 발전



현대 네팔어의 초기 형태는 10세기에서 14세기 사이, 카샤 왕국 시대에 오늘날 네팔 서부의 중세 인도아리아어 ''아파브란샤'' 방언에서 발전했다.[13] 이 언어는 산스크리트어, 프라크리트어 및 아파브란샤에서 진화했다.[13] 카샤 왕국이 쇠퇴한 후, 이 언어는 카르날리-베리 지역의 바이세 라자야(22개의 작은 왕국)와 간다키 지역의 차우비세 라자야(24개의 작은 왕국)로 나뉘었다.[13] 현재 널리 쓰이는 네팔어 변종은 약 500년 전 카샤족의 한 갈래가 카르날리-베리-세티 지역에서 카르날리와 간다키 분지의 더 낮은 계곡으로 동쪽으로 대규모 이주하면서 시작된 것으로 여겨진다.[14][13]

세나 왕조 시대에 그들은 네팔의 테라이와 중앙 산악 지대의 광대한 지역을 지배했는데, 네팔어는 아와디어, 보즈푸리어, 브라즈 바샤, 마이틸리어를 포함한 인도 언어의 영향을 받았다.[13] 네팔어 사용자와 세나 왕조는 긴밀한 관계를 맺었고, 그 결과 이 언어는 그 지역의 ''공용어''가 되었다.[13] 이로 인해 문법이 단순화되고 어휘가 확장되었으며 음운론이 완화되었고, 네팔어는 이전 언어에 존재했던 복잡한 굴절 체계의 많은 부분을 잃었다.[13]

3. 2. 중세 네팔어

네팔어의 제도화는 고르카 왕국샤 왕조로부터 시작된 것으로 여겨진다.[15] 18세기 네팔 통일 이후, 네팔 왕국의 궁정에서 사용되면서 국어가 되었다.[15] 중세 네팔어로 쓰여진 초기 작품 중 하나는 고르카의 국왕 람 샤 재위 기간에 쓰여진, 저자가 알려지지 않은 책인 『람 샤 코 지바니』(람 샤의 전기)이다.[15] 프리트비 나라얀 샤가 생애 말년인 1774~75년경에 쓴 『디비요파데시』는 당시의 구네팔어 방언을 담고 있으며, 네팔 문학 최초의 수필 작품으로 여겨진다.[16]

이 기간 동안 네팔어는 '랄 모하르'(왕실 칙령) - 외교 문서, 세금, 행정 기록 등 네팔 왕국과 관련된 문서 - 에서 표준화된 산문을 발전시켰다.[15] '랄 모하르'의 언어는 문법에서 약간의 차이와 근대 이전의 철자가 있지만 거의 현대 네팔어와 유사하다.[17] '카리'(Kari, करि)를 '가리'(Gari, गरि)로 바꾸고 '후누'(Hunu, हुनु)와 '차'(cha, छ)를 합쳐 '훈차'(huncha, हुन्छ)를 만드는 등의 몇 가지 변화가 있었다.[17] 이 시기에 쓰여진 가장 주목할 만한 작품은 바누박타 아차리아의 『바누박타 라마야나』로, 최초로 산스크리트어의 서사시 라마야나를 네팔어로 번역한 작품이다.[18] 아차리아의 작품은 네팔을 통일한 프리트비 나라얀 샤와 비교하여 네팔의 "문화적, 정서적, 언어적 통합"으로 이어졌다고 일부 학자들은 말한다.[19][20]

3. 3. 현대 네팔어

20세기 초, 라나 왕조는 네팔어를 교육 언어로 만들기 위해 노력했다. 특히 데브 쉼셰르 융 바하두르 라나와 찬드라 쉼셰르 융 바하두르 라나는 각각 ''고르카파트라''와 ''고르카 바샤 프라카시니 사미티''를 설립했다.[21][5] 당시 네팔어는 힌디어벵골어에 비해 문학이 부족했고, 인도바라나시다르질링에서 통일된 네팔어 정체성을 만들기 위한 운동이 시작되었다. 이 운동은 1951년 네팔 혁명 이후와 판차야트 시대에 네팔에도 영향을 미쳤다.[21]

1957년에는 네팔어 문학, 문화, 예술, 과학의 발전과 증진을 목표로 왕립 네팔 아카데미가 설립되었다.[22] 판차야트 시대에 네팔은 "한 왕, 한 옷, 한 언어, 한 국가" 이념을 채택하여 네팔어를 네팔 민족주의의 기반으로 삼았고, 이 시기는 네팔어의 황금기로 여겨진다.[23][24]

인도 서벵골주에서는 1961년 서벵골주 정부가 다르질링 지구와 칼림퐁, 쿠르세옹의 공식 언어로 네팔어를 인정했다.[25] 네팔어 운동은 1980년대경 인도에서 인도 헌법 제8부속서에 네팔어를 포함시키기 위해 일어났다.[26] 1977년에는 사히탸 아카데미(인도 문학 진흥 기관)가 네팔어를 공식적으로 인정했다.[27] 시킴이 인도에 합병된 후, 1977년 시킴 공식 언어법은 네팔어를 주 공식 언어 중 하나로 만들었다.[28] 1992년 8월 20일, 로크 사바는 네팔어를 제8부속서에 추가하는 결의안을 통과시켰다.[29]

4. 공식 지위

데바나가리 문자로 쓰인 네팔어는 네팔의 공용어이다.[30][31] 1992년 8월 31일, 인도의 공용어 목록에 추가되었다.[32] 네팔어는 시킴 주와 서벵골 주의 고르칼랜드의 공식 언어이다.

인구의 약 4분의 1이 사용하지만,[33] 네팔어는 부탄에서 공식 지위를 가지고 있지 않다.[34]

5. 지리적 분포

네팔어는 네팔인도의 일부 지역, 부탄 등지에서 사용되는 언어이다.

2011년 네팔 인구 조사에 따르면, 네팔 인구의 44.6%가 네팔어를 모어로 사용하고, 32.8%가 제2언어로 사용한다.[35][36] 네팔에서는 총 20,250,952명(약 77.20%)이 네팔어를 모어 및 제2언어로 사용한다.[37]

인도에서는 2011년 인구 조사 기준으로 총 2,926,168명의 네팔어 사용자가 있었다.[39] 네팔어는 인도 헌법의 제8부속서에 규정된 22개의 지정 언어 중 하나이다.

인도 내 네팔어 사용자 수 (주별, 2011년 인구조사)[38]
서벵골주36%
아삼주20%
시킴주12%
그 외 동북 인도 지역8%
우타르 프라데시우타라칸드주12%
기타 주12%



부탄에서는 르호참파 인구가 네팔어를 모어로 사용하며, 전체 인구의 약 35%로 추산된다.[42] 여기에는 부탄 난민도 포함되며, 비공식 추산으로는 30~40%에 달하며 남부 지역에서는 다수를 차지한다.[43]

이 외에도 호주 태즈메이니아 주에서 세 번째로 많이 사용되는 언어이며(인구의 1.3%),[44] 노던 준주에서는 다섯 번째로 많이 사용되는 언어이다(인구의 1.3%).[45]

국제적 지리적 분포
국가화자 수참고
-- 미얀마300,000~500,000[46]
-- 오스트레일리아133,068[47]2021년 인구 조사
-- 홍콩25,472[48]2016년 인구 조사
-- 캐나다13,375[49]2016년 인구 조사
-- 핀란드7,234[50]2023년 통계


5. 1. 네팔

2011년 네팔 인구 조사에 따르면, 네팔 인구의 44.6%가 네팔어를 모어로 사용하고, 32.8%가 제2언어로 사용한다.[35][36] 네팔어는 총 20,250,952명(약 77.20%)이 모어 및 제2언어로 사용한다.[37]

인도 아대륙에서 네팔어를 모어로 사용하는 지역 분포

5. 2. 인도

2011년 인도 인구 조사에 따르면, 인도 내 네팔어 사용자는 총 2,926,168명이었다.[39] 네팔어는 인도에서 헌법의 제8부속서에 규정된 22개의 지정 언어 중 하나이다.

인도 내 네팔어 사용자 수 (주별, 2011년 인구조사)[38]
서벵골주36%
아삼주20%
시킴주12%
그 외 동북 인도 지역8%
우타르 프라데시 및 우타라칸드주12%
기타 주12%



인도 내 네팔어 사용자 수 (주별)[40][41]
네팔어 사용자 수 (2011년 인구조사)
서벵골주1,155,375
아삼주596,210
시킴주382,200
우타라칸드주106,399
아루나찰프라데시주95,317
히마찰프라데시주89,508
마하라슈트라주75,683
마니푸르주63,756
메갈라야주54,716
나갈랜드주43,481
델리37,468
구자라트주25,142
자무와카슈미르22,138
펀자브주22,061
하리아나주19,914
카르나타카주19,274
우타르프라데시주18,743
자르칸드주16,956
안드라프라데시주11,551
미조람주8,994
마디아프라데시주8,724
오디샤주8,654
라자스탄주7,636
타밀나두주7,575
찬디가르6,546
비하르주5,727
케랄라주3,665
차티스가르주3,431
트리푸라주2,787
고아주2,600
다만과디우1,401
다드라와나가르하벨리1,152
안다만니코바르제도949
푸두체리431
락샤드위프4



주별 인도 네팔어 사용 인구[84][85]
네팔어 사용 인구 (2011년)증가율 (2011년)
서벵골1,155,37512.97%
아삼596,2105.56%
시킴382,20012.87%
우타라칸드106,39916.86%
아룬차르프라데시95,31700.42%
히마찰프라데시89,50827.37%
마하라슈트라75,68319.22%
마니푸르63,75638.61%
메갈라야54,7164.91%
나갈랜드43,48127.06%
미조람8,9940.51%


5. 3. 부탄

부탄에서는 네팔어를 모어로 사용하는 르호참파 인구가 전체 인구의 약 35%로 추산된다.[42] 여기에는 부탄 난민을 포함하며, 비공식적으로 추산되는 부탄계 난민 인구는 30~40%에 달하며 남부 지역(약 24만 명)에서는 다수를 차지한다.[43]

5. 4. 기타 국가

네팔어는 호주 태즈메이니아 주에서 세 번째로 많이 사용되는 언어이며, 인구의 1.3%가 사용한다.[44] 또한 호주 노던 준주에서는 다섯 번째로 많이 사용되는 언어이며, 인구의 1.3%가 사용한다.[45] 뉴사우스웨일스주 록데일과 코가라에서는 영어를 제외하고 가장 많이 사용되는 언어이다. 그랜빌, 캠프시, 애쉬필드에서는 영어 다음으로 두 번째로 많이 사용되는 언어이다. 앨러와와 허스트빌은 뉴사우스웨일스 주에서 네팔어 사용 인구가 세 번째로 많은 지역이다. 호주에는 정기적으로 네팔어 신문과 잡지가 발행된다.

국제적 지리적 분포
국가화자 수참고
-- 미얀마300,000~500,000[46]
-- 오스트레일리아133,068[47]2021년 인구 조사
-- 홍콩25,472[48]2016년 인구 조사
-- 캐나다13,375[49]2016년 인구 조사
-- 핀란드7,234[50]2023년 통계


6. 음운론

네팔어는 모음과 자음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자세한 내용은 하위 섹션에서 확인할 수 있다.

6. 1. 모음

네팔어는 6개의 구개 모음과 5개의 비음 모음을 구분한다. /o/는 음운론적 비음 대응체가 없지만, 종종 [õ]와 자유 변이를 일으킨다.[1]

이중모음은 /ui̯/, /iu̯/, /ei̯/, /eu̯/, /oi̯/, /ou̯/, /ʌi̯/, /ʌu̯/, /ai̯/, /au̯/의 10개가 있다.[1]

네팔어의 모음
전설중설후설
i|이sa ĩ|이~sau|우sa ũ|우~sa
중고e|에sa ẽ|에~sao|오sa
중저ʌ|어sa ʌ̃|어~sa
a|아sa ã|아~sa


6. 2. 자음

파찰음무성음무기음प|빠neत|따neच|짜neट|따neक|까ne유기음फ|파neथ|타neछ|차neठ|타neख|카ne유성음무기음ब|바neद|다neज|자neड|다neग|가ne유기음भ|바neध|다neझ|자neढ|다neघ|가ne마찰음श/ष/स|샤/사/서neह|하ne설측음र|러ne유사음(व|와ne)ल|라ne(य|야ne)



[j]와 [w]는 각각 [i]와 [u]의 비음절 동소변이체이다. /ɦ/와 [j], [w]를 제외한 모든 자음은 모음 사이에 장음 상대어를 갖는다. /ɳ/과 /ʃ/는 बाण|바ণne ("화살") 및 नरेश|나레쉬ne ("왕")과 같은 외래어에서도 존재하지만, 이러한 소리는 때때로 네팔어 고유 음소로 대체된다.[51]

일반적으로 권설 기호 ⟨ʈ, ʈʰ, ɖ, ɖʱ, ɽ, ɳ, ɽ̃⟩로 옮겨 적은 소리는 순수한 권설음이 아니라, 정점 후치경음 [t̠, t̠ʰ, d̠, d̠ʱ, ɾ̠, n̠, ɾ̠̃]이다. 일부 화자는 /u/와 /a/ 다음에 순수 권설음을 사용할 수 있지만, 다른 화자는 모든 위치에서 정점 조음을 사용한다.[51]

7. 문법

네팔어는 비교적 자유로운 어순을 지닌 언어이지만, 주어-목적어-동사(SOV) 어순이 주로 사용된다. 경어는 낮은, 중간, 높은 세 가지 주요 수준이 있다. 낮은 경어는 존경심을 표할 필요가 없는 경우에 사용되고, 중간 경어는 동등한 지위 또는 중립성을 나타내는 데 사용되며, 높은 경어는 존경심을 나타낸다. 왕족 구성원을 지칭하거나 왕족 구성원들 사이에서 사용되었던 별도의 최고 수준의 경어도 있다.[1] 모든 현대 인도-아리아어와 마찬가지로, 네팔어 문법은 많은 변화를 거쳐 과거 언어에 존재하던 복잡한 굴절 체계의 대부분을 상실했다. 대신, 주변 기술에 크게 의존한다.[2]

명사구는 「( 지시대명사 )+( 수사-조수사 )+( 형용사구 )+명사+(복수접미사)」라는 구조를 취한다 (괄호 안은 필수적인 요소가 아님).[3]

문법 관계와 의미 역할은 조사에 의해 표시된다. 타동사의 완료형·과거형에서는, 행위자가 능격 접미사 -le을 취한다 (분열 능격).[4]

동사는 인칭, 성 (문법), 수 (문법), 시제, 상, 존경의 정도 등에 따라 어형 변화를 한다.[5]

8. 문자 체계

네팔어는 일반적으로 데바나가리 문자로 쓰입니다. 티베트인이 주로 거주하는 일부 지역에서는 티베트 문자도 사용되었으며, 일반적인 티베트어 표현과 발음이 사용되었습니다.[52][53]

아래에서는 IAST 체계와 IPA를 사용하여 라틴 문자로 네팔어를 표기합니다. 주요 특징은 다음과 같습니다. 첨자 점은 후설 자음을 나타내고, 막대는 어원적으로 대조되는 장모음을 나타내며, 'h'는 유기된 파열음을 나타냅니다. 틸데는 비음 모음을 나타냅니다.

자음
문자IPA
/kʌ/
/kʰʌ/, /xʌ/
/ɡʌ/
/ɡʱʌ/, /ɣʌ/
/ŋʌ/
/t͡sʌ/
/t͡sʰʌ/
/d͡zʌ/
--/झ/d͡zʱʌ/
/nʌ/
/ʈʌ/
/ʈʰʌ/
/ɖʌ/
/ɖʱʌ/
/nʌ/, /ɳʌ/
/tʌ/
/tʰʌ/
/dʌ/
/dʱʌ/
/nʌ/
/pʌ/
/pʰʌ/, /ɸʌ/
/bʌ/
/bʱʌ/, /βʌ/
/mʌ/
/jʌ/
/rʌ/
/lʌ/
/wʌ/
/sʌ/
/sʌ/, /kʰʌ/
/sʌ/
/ɦʌ/



합자
문자IPA구성
क्ष/t͡sʰjʌ/, /ksʌ/क + ष
त्र/trʌ/त + र
ज्ञ/ɡjʌ/ज + ञ



'ब'와 결합된 구분 기호
모음자음
अंअःअँ
◌ा◌ि◌ी◌ु◌ू◌े◌ै◌ो◌ौ◌ृ◌ं◌ँ
बाबिबीबुबूबेबैबोबौबृबंबःबँ


9. 문학

네팔 문학의 시조(始祖) 반누박타 아차리야


네팔은 19세기 100년이라는 짧은 기간 안에 주목할 만한 문학을 발전시켰다. 이러한 문학적 발전은 아디야트마 라마야나, 순다라난다 바라(1833), 익명의 민담 모음인 비르시카, 그리고 반누박타 아차리야(1868년 사망)가 번역한 고대 인도 서사시 라마야나의 영향이 컸다. 렉나트 파우디얄, 락슈미 프라사드 데브코타, 발크리슈나 사마 세 명의 작가들은 네팔어를 세계 다른 언어들과 어깨를 나란히 할 수 있는 수준으로 끌어올렸다. 특히 인도의 다르질링과 바라나시 등 네팔 이외 지역의 해외 작가들의 기여 또한 주목할 만하다. 최근 20년 동안 네팔어 사용자들이 전 세계로 빠르게 이주하면서 세계 곳곳에서 네팔어 문학 서적들이 출판되고 있다. 디아스포라 문학은 새로운 사고방식을 발전시키고 네팔어 문학의 새로운 분야를 창출했다.

10. 방언

네팔어에는 아차미어, 바이타델리어, 바잔가이어, 바주랄리어, 베리어, 다델두리어, 다일레키어, 다르줄랄리어, 간다켈리어, 훔리어, 푸르벨리어, 소라디어 등의 방언이 있다.[36] 이 방언들은 표준 네팔어와 구분된다. 바이타델리어, 바잔가이어, 바주랄리어(바주라), 훔리어, 아차미어는 서로 간의 이해도가 낮다.[36] 카르날리 주에서 사용되는 네팔어 방언은 표준 네팔어와 상호 이해가 되지 않으며, 이 지역에서는 ''크하스 바샤''라는 옛 이름으로 알려져 있다.[8]

참조

[1] 웹사이트 Nepali Definition of Nepali by Oxford Dictionary on Lexico.com also meaning of Nepali https://www.lexico.c[...]
[2] 웹사이트 52nd Report of the Commissioner for Linguistic Minorities in India http://nclm.nic.in/s[...] Ministry of Minority Affairs
[3] 웹사이트 Nepali language Britannica https://www.britanni[...]
[4] 웹사이트 Nepali literature https://www.britanni[...]
[5] 웹사이트 साझा प्रकाशन एक झलक https://sajha.org.np[...]
[6] 뉴스 The kings song http://www.himalmag.[...] 2003-06-01
[7] 웹사이트 'गोर्खा पत्रिकाहरू'को पदचाप https://gorkhapatrao[...]
[8] 뉴스 5 features of Nepali, Nepal's lingua franca, that you are unaware of https://english.onli[...] Online Khabar 2020-10-03
[9] 웹사이트 एकल राष्ट्र–राज्यको धङधङी https://ekantipur.co[...] Kantipur Publication Limited
[10] 논문 सेनकालीन पाल्पाको संस्कृति : एक ऐतिहासिक विवेचना https://www.nepjol.i[...] Tribhuvan Multiple Campus
[11] 서적 Songs of Nepal: An Anthology of Nevar Folksongs and Hymns Motilal Banarsidas 1992-01-01
[12] 논문 Khaptad Region in Mythology http://himalaya.soca[...]
[13] 웹사이트 The Role of the Nepali Language in Establishing The National Unity and Identity of Nepal https://himalaya.soc[...] The Royal Nepal Academy
[14] 웹사이트 Nepal Ka Khas Jaati https://www.spotligh[...] 2015-02-14
[15] 웹사이트 शाह राजाहरूको छत्रछायामा नेपाली साहित्यको विकास https://himalaya.soc[...] Ancient Nepal
[16] 웹사이트 Divyopadesh can lead to national prosperity https://theannapurna[...]
[17] 논문 भारतमा नेपाली भाषा र साहित्यको उत्थानमा पारसमणी प्रधानले गरेका योगदानको बिश्लेषणात्मक मुल्यांकन University of North Bengal
[18] 뉴스 Nepali poet Bhanubhakta Acharya's 209th birth anniversary, a peek into the 'Adikavi's' life https://www.aninews.[...]
[19] 서적 Nepal Culture Shift!: Reinventing Culture in the Himalayan Kingdom https://books.google[...] Adroit Publishers 2002-01-01
[20] 서적 Making and Breaking of Borders: Ethnological Interpretations, Presentations, Representations https://books.google[...] Finnish Literature Society 2003-01-01
[21] 서적 Simultaneous Identities: Language, Education, and Nationalism in Nepal: Language, Education, and Nationalism in Nepal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20-12-03
[22] 서적 A History of Nepal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5-02-17
[23] 웹사이트 In Nepal, Calls Grow for the Restoration of a Hindu State https://thediplomat.[...]
[24] 서적 Language Contact in Nepal: A Study on Language Use and Attitudes https://books.google[...] Springer Nature 2021-03-27
[25] 서적 Parasmani Pradhan https://books.google[...] Sahitya Akademi 1997-01-01
[26] 서적 Ethnomedicine and Tribal Healing Practices in India: Challenges and Possibilities of Recognition and Integration https://books.google[...] Springer Nature 2023-02-19
[27] 서적 Gorkhaland Movement: A Study in Ethnic Separatism https://books.google[...] APH Publishing 2000-01-01
[28] 웹사이트 The Sikkim Official Languages Act, 1977 https://sikkim.gov.i[...]
[29] 웹사이트 Struggle for Recognition of Nepali Language: A Brief Outline http://www.sikkimexp[...]
[30] 학술지 Language Planning and Language Ideology: The Majority and Minority Dichotomy in Nepal https://www.nepjol.i[...] 2013-12-02
[31] 웹사이트 The Constitution of Nepal https://lawcommissio[...] 2015-09-20
[32] 웹사이트 Nepali becomes one of the official languages of India https://nepalilangua[...]
[33] 뉴스 Where in US, elsewhere Bhutanese refugees from Nepal resettled to https://thehimalayan[...] 2017-02-06
[34] 서적 Far East and Australasia 2003 – Regional surveys of the world https://books.google[...] Psychology Press
[35] 웹사이트 Major highlights http://cbs.gov.np/wp[...] Central Bureau of Statistics
[36] 웹사이트 Nepali (npi) http://www.ethnologu[...] 2016-10-06
[37] 웹사이트 Language map of Nepal: Interactive (EN) https://translatorsw[...] 2023-04-04
[38] 웹사이트 Darjeeling, India's Nepali language hub https://nepalindata.[...] Nepal In Data 2023-03-16
[39] 웹사이트 Language – India, States And Union Territories (Table C-16) https://censusindia.[...] 2020-08-27
[40] 웹사이트 Growth of Scheduled Languages-1971, 1981, 1991 and 2001 https://web.archive.[...] Ministry of Home Affairs, Government of India 2015-02-22
[41] 웹사이트 Distribution of the 22 Scheduled Languages – India/ States/ Union Territories-2011 Census https://www.censusin[...] 2022-03-12
[42] 웹사이트 Background Note: Bhutan https://2009-2017.st[...] U.S. Department of State 2010-10-02
[43] 서적 Nepal and Bhutan: Country Studies https://archive.org/[...] Federal Research Division, United States Library of Congress 2010-10-02
[44] 웹사이트 Snapshot of Tasmania https://www.abs.gov.[...] 2022-07-21
[45] 웹사이트 Snapshot Northern Territory, Housing and Population Census 2021 https://www.abs.gov.[...] 2022-07-21
[46] 웹사이트 Emerging dynamics among Southeast Asia's Nepali diaspora https://www.newmanda[...] 2023-03-21
[47] 웹사이트 SBS Australian Census Explorer https://www.sbs.com.[...] 2023-03-21
[48] 웹사이트 Thamatic Report: Ethnic Minorities https://www.bycensus[...] Census and Statistics Department of Hong Kong 2018-09-29
[49] 웹사이트 Census Profile, 2016 Census - Canada [Country] and Canada [Country] https://www12.statca[...] 2023-03-21
[50] 웹사이트 Language according to age and sex by region, 1990-2023 https://pxdata.stat.[...] 2024-06-28
[51] 논문 Nepali https://www.cambridg[...] 2009-12
[52] 서적 Ten documents from Mustang in the Nepali language (1667-1975 A.D.) VGH Wissenschaftsverlag 2001
[53] 웹사이트 Nepali History http://lisindia.ciil[...] 2024-08-01
[54] 웹사이트 Universal Declaration of Human Rights in Nepali language https://www.ohchr.or[...] 2021-02-03
[55] 뉴스 5 features of Nepali, Nepal's lingua franca, that you are unaware of https://english.onli[...] Online Khabar 2020-10-03
[56] 웹사이트 एकल राष्ट्र–राज्यको धङधङी https://ekantipur.co[...] Kantipur Publication Limited 2021-10-30
[57] 논문 सेनकालीन पाल्पाको संस्कृति : एक ऐतिहासिक विवेचना https://www.nepjol.i[...] Tribhuvan Multiple Campus 2021-11-09
[58] 논문 月例卓話 ネパールの環境 https://cir.nii.ac.j[...]
[59] 서적 Songs of Nepal: An Anthology of Nevar Folksongs and Hymns Motilal Banarsidas
[60] 논문 Khaptad Region in Mythology http://himalaya.soca[...] 2021-11-09
[61] 웹사이트 साझा प्रकाशन एक झलक https://sajha.org.np[...] 2021-10-30
[62] 웹사이트 'गोर्खा पत्रिकाहरू'को पदचाप https://gorkhapatrao[...] 2021-11-09
[63] 뉴스 The kings song https://web.archive.[...] 2012-06-15
[64] 웹사이트 The Role of the Nepali Language in Establishing The National Unity and Identity of Nepal https://himalaya.soc[...] The Royal Nepal Academy 2023-02-01
[65] 웹사이트 Nepal Ka Khas Jaati https://www.spotligh[...] 2023-02-21
[66] 웹사이트 शाह राजाहरूको छत्रछायामा नेपाली साहित्यको विकास https://himalaya.soc[...] Ancient Nepal 2023-11-14
[67] 웹사이트 Divyopadesh can lead to national prosperity https://theannapurna[...] 2023-02-28
[68] 논문 भारतमा नेपाली भाषा र साहित्यको उत्थानमा पारसमणी प्रधानले गरेका योगदानको बिश्लेषणात्मक मुल्यांकन University of North Bengal
[69] 뉴스 Nepali poet Bhanubhakta Acharya's 209th birth anniversary, a peek into the 'Adikavi's' life https://www.aninews.[...] 2023-02-28
[70] 서적 Nepal Culture Shift!: Reinventing Culture in the Himalayan Kingdom https://books.google[...] Adroit Publishers 2002
[71] 서적 Making and Breaking of Borders: Ethnological Interpretations, Presentations, Representations https://books.google[...] Finnish Literature Society 2003
[72] 서적 Simultaneous Identities: Language, Education, and Nationalism in Nepal: Language, Education, and Nationalism in Nepal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20-12-03
[73] 서적 A History of Nepal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5-02-17
[74] 웹사이트 In Nepal, Calls Grow for the Restoration of a Hindu State https://thediplomat.[...] 2023-03-01
[75] 서적 Language Contact in Nepal: A Study on Language Use and Attitudes https://books.google[...] Springer Nature 2021-03-27
[76] 서적 Parasmani Pradhan https://books.google[...] Sahitya Akademi 1997
[77] 서적 Ethnomedicine and Tribal Healing Practices in India: Challenges and Possibilities of Recognition and Integration https://books.google[...] Springer Nature 2023-02-19
[78] 서적 Gorkhaland Movement: A Study in Ethnic Separatism https://books.google[...] APH Publishing 2000
[79] 웹사이트 The Sikkim Official Languages Act, 1977 https://sikkim.gov.i[...] 2023-11-14
[80] 웹사이트 Struggle for Recognition of Nepali Language: A Brief Outline http://www.sikkimexp[...] 2022-10-19
[81] 웹사이트 Major highlights https://web.archive.[...] Central Bureau of Statistics 2013-09-12
[82] 웹사이트 Nepali (npi) https://web.archive.[...] 2016-10-06
[83] 웹사이트 Language – India, States And Union Territories (Table C-16) https://censusindia.[...] 2020-08-27
[84] 웹사이트 Growth of Scheduled Languages-1971, 1981, 1991 and 2001 https://web.archive.[...] Ministry of Home Affairs, Government of India 2015-02-22
[85] 웹사이트 Distribution of the 22 Scheduled Languages – India/ States/ Union Territories-2011 Census https://censusindia.[...] 2022-03-12
[86] 웹사이트 Background Note: Bhutan https://2009-2017.st[...] U.S. Department of State 2010-02-02
[87] 서적 Nepal and Bhutan: Country Studies https://archive.org/[...] Federal Research Division, United States Library of Congress 2010-10-0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