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팔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네팔어는 네팔에서 유래되었으며, 데바나가리 문자로 표기되는 인도아리아어군의 언어이다. 1933년 공식 명칭으로 채택되기 전에는 '카스 쿠라' 또는 '고르카어' 등으로 불렸다. 네팔어는 네팔의 공식 언어이자 인도 시킴 주와 서벵골 주 다르질링 지역의 공용어이며, 인도, 부탄, 호주 등지에서도 사용된다. 현대 네팔어는 10~14세기 카샤 왕국 시대에 아파브란샤 방언에서 발전했으며, SOV 어순을 가진 고도로 종합적인 언어이다. 19세기 네팔 문학이 발전하였고, 여러 방언이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북인도아리아어군 - 도그리어
도그리어는 인도 잠무 카슈미르 지역에서 사용되는 언어로, 데바나가리 문자로 표기되며, 2003년 인도 헌법에 의해 국가 언어로 지정되었다. - 북인도아리아어군 - 서파하리어
서파하리어는 인도 북부 지역에서 사용되는 언어들의 집합으로, 다양한 방언을 포함하며, 힌디어의 방언으로 간주되기도 하고, 히마찰 프라데시의 공식 언어로 인정받기 위한 움직임이 있다. - 부탄의 언어 - 시킴어
시킴어는 티베트 문자를 사용하는 히말라야 언어이며, 존카어와 어휘적 관련이 높으며, 자음, 모음, 높낮이 두 가지의 조성을 특징으로 한다. - 부탄의 언어 - 타망어
타망어는 네팔에서 널리 사용되는 시노티베트어족 언어이며, 여러 방언과 세부 방언으로 나뉘고 주어-목적어-동사 어순을 따르며 성조 언어에 속하고 데바나가리 문자로 표기된다. - 인도 - 시킴어
시킴어는 티베트 문자를 사용하는 히말라야 언어이며, 존카어와 어휘적 관련이 높으며, 자음, 모음, 높낮이 두 가지의 조성을 특징으로 한다. - 인도 - 림부어
림부어는 네팔과 인도 시킴 주에서 사용되는 언어로, 림부 문자를 사용하며, 교착어적 특징을 보이고 다양한 방언과 함께 교육을 통해 사용이 장려된다.
네팔어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언어 이름 | 네팔어 |
로마자 표기 | Nepali |
IPA 표기 | /nɪˈpɔːli/ |
자국어 표기 | नेपाली |
사용 국가 | 네팔 부탄 인도 |
사용 지역 | 히말라야 |
민족 | 카스족 |
모어 화자 수 | 1897만 명 (2011–2021년) |
제2 언어 화자 수 | 1350만 명 (2021년) |
총 화자 수 | 3197만 명 (2021년) |
언어 계통 | |
어족 | 인도유럽어족 |
어파 | 인도이란어파 |
어군 | 인도아리아어군 |
하위 어군 | 북부 인도아리아어군 |
세부 어군 | 동부 파하리어 |
조상 언어 | 원시 인도유럽어 원시 인도이란어 원시 인도아리아어 베다 산스크리트어 고전 산스크리트어 프라크리트어 아파브람샤어 카사 프라크리트어 |
문자 체계 | |
문자 | 데바나가리 문자 데바나가리 점자 |
공용어 | |
지정 국가 | 네팔 인도 |
지정 지역 | 시킴 주 서벵골 주 (추가 공용어) |
기관 | |
공인 기관 | 네팔 아카데미 |
언어 코드 | |
ISO 639-1 | ne |
ISO 639-2 | nep |
ISO 639-3 | nep |
Glottolog | nepa1254 |
소수 언어 | |
사용 국가 | 부탄 |
수화 | |
수화 | 네팔 수화 |
언어 변종 | |
거시 언어 | Nepali (macrolanguage) |
개별 언어 | Nepali (individual language) |
2. 어원
'네팔어'라는 명칭은 1933년에 공식적으로 채택되기 전까지 '카스 쿠라', '고르카어' 등으로 불렸다. '카스 쿠라'는 마하바라타에 등장하는 고대 카스족의 언어를 의미하며, 서기 10세기부터 14세기까지 네팔 서부를 지배했던 카사 왕국에서 사용되었다.[55] '고르카어'는 고르카 왕조의 프리트비 나라얀 샤가 네팔의 통일(1769년) 이후 구르카족의 언어라는 의미로 사용되었다.[9][10] 구릉 지대에 사는 사람들은 '파르바테 쿠라'라고도 불렀는데, 이는 '산의 말'을 의미한다.[11][12]
1913년(빅람 삼밧 1970년)에 '고르카어' 발전을 위해 설립된 정부 기관인 '고르카어 출판위원회'는 1933년(빅람 삼밧 1990년)에 '네팔어 출판위원회'로 이름을 바꾸면서 '네팔어'가 공식 명칭이 되었다.[5] 그 이전에도 네팔의 국민적 영웅 자야 프리트비 바하두르 싱이 '네팔어'라는 명칭 사용을 옹호했다.[7] 1951년에는 국가 가사 중 '고르칼리'라는 용어가 '네팔어'로 변경되었다.[6]
3. 역사
현대 네팔어의 초기 형태는 10세기에서 14세기 사이, 카샤 왕국 시대에 오늘날 네팔 서부의 중세 인도아리아어 ''아파브란샤'' 방언에서 발전했다.[13] 이 언어는 산스크리트어, 프라크리트어 및 아파브란샤에서 진화했다.[13] 카샤 왕국이 쇠퇴한 후, 이 언어는 카르날리-베리 지역의 바이세 라자야(22개의 작은 왕국)와 간다키 지역의 차우비세 라자야(24개의 작은 왕국)로 나뉘었다.[13] 약 500년 전 카샤족의 한 갈래가 카르날리-베리-세티 지역에서 카르날리와 간다키 분지의 더 낮은 계곡으로 동쪽으로 대규모 이주하면서 현재 널리 쓰이는 네팔어 변종이 시작된 것으로 여겨진다.[14][13]
세나 왕조 시대에 네팔어는 아와디어, 보즈푸리어, 브라즈 바샤, 마이틸리어를 포함한 인도 언어의 영향을 받았다.[13] 네팔어 사용자와 세나 왕조는 긴밀한 관계를 맺었고, 그 결과 이 언어는 그 지역의 ''공용어''가 되었다.[13] 이로 인해 문법이 단순화되고 어휘가 확장되었으며 음운론이 완화되었고, 네팔어는 이전 언어에 존재했던 복잡한 굴절 체계의 많은 부분을 잃었다.[13]
네팔어의 제도화는 고르카 왕국의 샤 왕조로부터 시작된 것으로 여겨진다.[15] 18세기 네팔 통일 이후, 네팔 왕국의 궁정에서 사용되면서 국어가 되었다.[15] 중세 네팔어로 쓰여진 초기 작품 중 하나는 고르카의 국왕 람 샤 재위 기간에 쓰여진, 저자가 알려지지 않은 책인 『람 샤 코 지바니』(람 샤의 전기)이다.[15] 프리트비 나라얀 샤가 생애 말년인 1774~75년경에 쓴 『디비요파데시』는 당시의 구네팔어 방언을 담고 있으며, 네팔 문학 최초의 수필 작품으로 여겨진다.[16]
이 기간 동안 네팔어는 '랄 모하르'(왕실 칙령) - 외교 문서, 세금, 행정 기록 등 네팔 왕국과 관련된 문서 - 에서 표준화된 산문을 발전시켰다.[15] '랄 모하르'의 언어는 문법에서 약간의 차이와 근대 이전의 철자가 있지만 거의 현대 네팔어와 유사하다.[17] '카리'(Kari, करि)를 '가리'(Gari, गरि)로 바꾸고 '후누'(Hunu, हुनु)와 '차'(cha, छ)를 합쳐 '훈차'(huncha, हुन्छ)를 만드는 등의 몇 가지 변화가 있었다.[17] 이 시기에 쓰여진 가장 주목할 만한 작품은 바누박타 아차리아의 『바누박타 라마야나』로, 최초로 산스크리트어의 서사시 라마야나를 네팔어로 번역한 작품이다.[18] 아차리아의 작품은 네팔을 통일한 프리트비 나라얀 샤와 비교하여 네팔의 "문화적, 정서적, 언어적 통합"으로 이어졌다고 일부 학자들은 말한다.[19][20]
20세기 초, 라나 왕조는 네팔어를 교육 언어로 만들기 위해 노력했다. 특히 데브 쉼셰르 융 바하두르 라나와 찬드라 쉼셰르 융 바하두르 라나는 각각 ''고르카파트라''와 ''고르카 바샤 프라카시니 사미티''를 설립했다.[21][5] 당시 네팔어는 힌디어와 벵골어에 비해 문학이 부족했고, 인도의 바라나시와 다르질링에서 통일된 네팔어 정체성을 만들기 위한 운동이 시작되었다. 이 운동은 1951년 네팔 혁명 이후와 판차야트 시대에 네팔에도 영향을 미쳤다.[21]
1957년에는 네팔어 문학, 문화, 예술, 과학의 발전과 증진을 목표로 왕립 네팔 아카데미가 설립되었다.[22] 판차야트 시대에 네팔은 "한 왕, 한 옷, 한 언어, 한 국가" 이념을 채택하여 네팔어를 네팔 민족주의의 기반으로 삼았고, 이 시기는 네팔어의 황금기로 여겨진다.[23][24]
인도 서벵골주에서는 1961년 서벵골주 정부가 다르질링 지구와 칼림퐁, 쿠르세옹의 공식 언어로 네팔어를 인정했다.[25] 네팔어 운동은 1980년대경 인도에서 인도 헌법 제8부속서에 네팔어를 포함시키기 위해 일어났다.[26] 1977년에는 사히탸 아카데미(인도 문학 진흥 기관)가 네팔어를 공식적으로 인정했다.[27] 시킴이 인도에 합병된 후, 1977년 시킴 공식 언어법은 네팔어를 주 공식 언어 중 하나로 만들었다.[28] 1992년 8월 20일, 로크 사바는 네팔어를 제8부속서에 추가하는 결의안을 통과시켰다.[29]
3. 1. 기원과 발전
현대 네팔어의 초기 형태는 10세기에서 14세기 사이, 카샤 왕국 시대에 오늘날 네팔 서부의 중세 인도아리아어 ''아파브란샤'' 방언에서 발전했다.[13] 이 언어는 산스크리트어, 프라크리트어 및 아파브란샤에서 진화했다.[13] 카샤 왕국이 쇠퇴한 후, 이 언어는 카르날리-베리 지역의 바이세 라자야(22개의 작은 왕국)와 간다키 지역의 차우비세 라자야(24개의 작은 왕국)로 나뉘었다.[13] 현재 널리 쓰이는 네팔어 변종은 약 500년 전 카샤족의 한 갈래가 카르날리-베리-세티 지역에서 카르날리와 간다키 분지의 더 낮은 계곡으로 동쪽으로 대규모 이주하면서 시작된 것으로 여겨진다.[14][13]
세나 왕조 시대에 그들은 네팔의 테라이와 중앙 산악 지대의 광대한 지역을 지배했는데, 네팔어는 아와디어, 보즈푸리어, 브라즈 바샤, 마이틸리어를 포함한 인도 언어의 영향을 받았다.[13] 네팔어 사용자와 세나 왕조는 긴밀한 관계를 맺었고, 그 결과 이 언어는 그 지역의 ''공용어''가 되었다.[13] 이로 인해 문법이 단순화되고 어휘가 확장되었으며 음운론이 완화되었고, 네팔어는 이전 언어에 존재했던 복잡한 굴절 체계의 많은 부분을 잃었다.[13]
3. 2. 중세 네팔어
네팔어의 제도화는 고르카 왕국의 샤 왕조로부터 시작된 것으로 여겨진다.[15] 18세기 네팔 통일 이후, 네팔 왕국의 궁정에서 사용되면서 국어가 되었다.[15] 중세 네팔어로 쓰여진 초기 작품 중 하나는 고르카의 국왕 람 샤 재위 기간에 쓰여진, 저자가 알려지지 않은 책인 『람 샤 코 지바니』(람 샤의 전기)이다.[15] 프리트비 나라얀 샤가 생애 말년인 1774~75년경에 쓴 『디비요파데시』는 당시의 구네팔어 방언을 담고 있으며, 네팔 문학 최초의 수필 작품으로 여겨진다.[16]
이 기간 동안 네팔어는 '랄 모하르'(왕실 칙령) - 외교 문서, 세금, 행정 기록 등 네팔 왕국과 관련된 문서 - 에서 표준화된 산문을 발전시켰다.[15] '랄 모하르'의 언어는 문법에서 약간의 차이와 근대 이전의 철자가 있지만 거의 현대 네팔어와 유사하다.[17] '카리'(Kari, करि)를 '가리'(Gari, गरि)로 바꾸고 '후누'(Hunu, हुनु)와 '차'(cha, छ)를 합쳐 '훈차'(huncha, हुन्छ)를 만드는 등의 몇 가지 변화가 있었다.[17] 이 시기에 쓰여진 가장 주목할 만한 작품은 바누박타 아차리아의 『바누박타 라마야나』로, 최초로 산스크리트어의 서사시 라마야나를 네팔어로 번역한 작품이다.[18] 아차리아의 작품은 네팔을 통일한 프리트비 나라얀 샤와 비교하여 네팔의 "문화적, 정서적, 언어적 통합"으로 이어졌다고 일부 학자들은 말한다.[19][20]
3. 3. 현대 네팔어
20세기 초, 라나 왕조는 네팔어를 교육 언어로 만들기 위해 노력했다. 특히 데브 쉼셰르 융 바하두르 라나와 찬드라 쉼셰르 융 바하두르 라나는 각각 ''고르카파트라''와 ''고르카 바샤 프라카시니 사미티''를 설립했다.[21][5] 당시 네팔어는 힌디어와 벵골어에 비해 문학이 부족했고, 인도의 바라나시와 다르질링에서 통일된 네팔어 정체성을 만들기 위한 운동이 시작되었다. 이 운동은 1951년 네팔 혁명 이후와 판차야트 시대에 네팔에도 영향을 미쳤다.[21]
1957년에는 네팔어 문학, 문화, 예술, 과학의 발전과 증진을 목표로 왕립 네팔 아카데미가 설립되었다.[22] 판차야트 시대에 네팔은 "한 왕, 한 옷, 한 언어, 한 국가" 이념을 채택하여 네팔어를 네팔 민족주의의 기반으로 삼았고, 이 시기는 네팔어의 황금기로 여겨진다.[23][24]
인도 서벵골주에서는 1961년 서벵골주 정부가 다르질링 지구와 칼림퐁, 쿠르세옹의 공식 언어로 네팔어를 인정했다.[25] 네팔어 운동은 1980년대경 인도에서 인도 헌법 제8부속서에 네팔어를 포함시키기 위해 일어났다.[26] 1977년에는 사히탸 아카데미(인도 문학 진흥 기관)가 네팔어를 공식적으로 인정했다.[27] 시킴이 인도에 합병된 후, 1977년 시킴 공식 언어법은 네팔어를 주 공식 언어 중 하나로 만들었다.[28] 1992년 8월 20일, 로크 사바는 네팔어를 제8부속서에 추가하는 결의안을 통과시켰다.[29]
4. 공식 지위
데바나가리 문자로 쓰인 네팔어는 네팔의 공용어이다.[30][31] 1992년 8월 31일, 인도의 공용어 목록에 추가되었다.[32] 네팔어는 시킴 주와 서벵골 주의 고르칼랜드의 공식 언어이다.
인구의 약 4분의 1이 사용하지만,[33] 네팔어는 부탄에서 공식 지위를 가지고 있지 않다.[34]
5. 지리적 분포
네팔어는 네팔과 인도의 일부 지역, 부탄 등지에서 사용되는 언어이다.
2011년 네팔 인구 조사에 따르면, 네팔 인구의 44.6%가 네팔어를 모어로 사용하고, 32.8%가 제2언어로 사용한다.[35][36] 네팔에서는 총 20,250,952명(약 77.20%)이 네팔어를 모어 및 제2언어로 사용한다.[37]
인도에서는 2011년 인구 조사 기준으로 총 2,926,168명의 네팔어 사용자가 있었다.[39] 네팔어는 인도 헌법의 제8부속서에 규정된 22개의 지정 언어 중 하나이다.
부탄에서는 르호참파 인구가 네팔어를 모어로 사용하며, 전체 인구의 약 35%로 추산된다.[42] 여기에는 부탄 난민도 포함되며, 비공식 추산으로는 30~40%에 달하며 남부 지역에서는 다수를 차지한다.[43]
이 외에도 호주 태즈메이니아 주에서 세 번째로 많이 사용되는 언어이며(인구의 1.3%),[44] 노던 준주에서는 다섯 번째로 많이 사용되는 언어이다(인구의 1.3%).[45]
국가 | 화자 수 | 참고 |
---|---|---|
-- 미얀마 | 300,000~500,000[46] | |
-- 오스트레일리아 | 133,068[47] | 2021년 인구 조사 |
-- 홍콩 | 25,472[48] | 2016년 인구 조사 |
-- 캐나다 | 13,375[49] | 2016년 인구 조사 |
-- 핀란드 | 7,234[50] | 2023년 통계 |
5. 1. 네팔
2011년 네팔 인구 조사에 따르면, 네팔 인구의 44.6%가 네팔어를 모어로 사용하고, 32.8%가 제2언어로 사용한다.[35][36] 네팔어는 총 20,250,952명(약 77.20%)이 모어 및 제2언어로 사용한다.[37]5. 2. 인도
2011년 인도 인구 조사에 따르면, 인도 내 네팔어 사용자는 총 2,926,168명이었다.[39] 네팔어는 인도에서 헌법의 제8부속서에 규정된 22개의 지정 언어 중 하나이다.주 | 네팔어 사용자 수 (2011년 인구조사) |
---|---|
서벵골주 | 1,155,375 |
아삼주 | 596,210 |
시킴주 | 382,200 |
우타라칸드주 | 106,399 |
아루나찰프라데시주 | 95,317 |
히마찰프라데시주 | 89,508 |
마하라슈트라주 | 75,683 |
마니푸르주 | 63,756 |
메갈라야주 | 54,716 |
나갈랜드주 | 43,481 |
델리 | 37,468 |
구자라트주 | 25,142 |
자무와카슈미르 | 22,138 |
펀자브주 | 22,061 |
하리아나주 | 19,914 |
카르나타카주 | 19,274 |
우타르프라데시주 | 18,743 |
자르칸드주 | 16,956 |
안드라프라데시주 | 11,551 |
미조람주 | 8,994 |
마디아프라데시주 | 8,724 |
오디샤주 | 8,654 |
라자스탄주 | 7,636 |
타밀나두주 | 7,575 |
찬디가르 | 6,546 |
비하르주 | 5,727 |
케랄라주 | 3,665 |
차티스가르주 | 3,431 |
트리푸라주 | 2,787 |
고아주 | 2,600 |
다만과디우 | 1,401 |
다드라와나가르하벨리 | 1,152 |
안다만니코바르제도 | 949 |
푸두체리 | 431 |
락샤드위프 | 4 |
주 | 네팔어 사용 인구 (2011년) | 증가율 (2011년) |
---|---|---|
서벵골 | 1,155,375 | 12.97% |
아삼 | 596,210 | 5.56% |
시킴 | 382,200 | 12.87% |
우타라칸드 | 106,399 | 16.86% |
아룬차르프라데시 | 95,317 | 00.42% |
히마찰프라데시 | 89,508 | 27.37% |
마하라슈트라 | 75,683 | 19.22% |
마니푸르 | 63,756 | 38.61% |
메갈라야 | 54,716 | 4.91% |
나갈랜드 | 43,481 | 27.06% |
미조람 | 8,994 | 0.51% |
5. 3. 부탄
부탄에서는 네팔어를 모어로 사용하는 르호참파 인구가 전체 인구의 약 35%로 추산된다.[42] 여기에는 부탄 난민을 포함하며, 비공식적으로 추산되는 부탄계 난민 인구는 30~40%에 달하며 남부 지역(약 24만 명)에서는 다수를 차지한다.[43]5. 4. 기타 국가
네팔어는 호주 태즈메이니아 주에서 세 번째로 많이 사용되는 언어이며, 인구의 1.3%가 사용한다.[44] 또한 호주 노던 준주에서는 다섯 번째로 많이 사용되는 언어이며, 인구의 1.3%가 사용한다.[45] 뉴사우스웨일스주 록데일과 코가라에서는 영어를 제외하고 가장 많이 사용되는 언어이다. 그랜빌, 캠프시, 애쉬필드에서는 영어 다음으로 두 번째로 많이 사용되는 언어이다. 앨러와와 허스트빌은 뉴사우스웨일스 주에서 네팔어 사용 인구가 세 번째로 많은 지역이다. 호주에는 정기적으로 네팔어 신문과 잡지가 발행된다.국가 | 화자 수 | 참고 |
---|---|---|
-- 미얀마 | 300,000~500,000[46] | |
-- 오스트레일리아 | 133,068[47] | 2021년 인구 조사 |
-- 홍콩 | 25,472[48] | 2016년 인구 조사 |
-- 캐나다 | 13,375[49] | 2016년 인구 조사 |
-- 핀란드 | 7,234[50] | 2023년 통계 |
6. 음운론
네팔어는 모음과 자음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자세한 내용은 하위 섹션에서 확인할 수 있다.
6. 1. 모음
네팔어는 6개의 구개 모음과 5개의 비음 모음을 구분한다. /o/는 음운론적 비음 대응체가 없지만, 종종 [õ]와 자유 변이를 일으킨다.[1]이중모음은 /ui̯/, /iu̯/, /ei̯/, /eu̯/, /oi̯/, /ou̯/, /ʌi̯/, /ʌu̯/, /ai̯/, /au̯/의 10개가 있다.[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