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발티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발티어는 파키스탄 길기트발티스탄 지역과 인도 카르길, 라다크 지역에서 사용되는 언어이다. 네 개의 방언으로 나뉘며, 음운 체계와 문자를 가지고 있다. 페르시아-아랍 문자를 주로 사용하지만, 티베트 문자를 부활시키려는 시도도 있었다. 발티어에는 존칭어가 존재하며, 파키스탄 점령 이후 우르두어의 차용어가 유입되었다. 발티어 문학은 주로 구전으로 전해지며, 시 형식이 주를 이룬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티베트의 언어 - 셰르파어
    셰르파어는 티베트버마어족 티베트어파에 속하며 성조 언어이고, SOV 어순을 따르며 5개의 방언이 존재한다.
  • 티베트의 언어 - 중앙 티베트어
    중앙 티베트어는 티베트어군의 방언으로, 라싸 방언을 포함한 여러 방언이 존재하며, 암도 티베트어와 70%, 캄 티베트어와 80%의 어휘 유사성을 보이고, 자음 및 모음 체계는 다양한 표기법으로 표기된다.
  • 중국티베트어족 - 중국어파
    중국어파는 중국어 및 그 방언들을 묶어 부르는 말로, 중국티베트어족의 주요 어군이며, 현대 언어학에서는 의사소통이 어려울 정도로 차이가 큰 여러 방언들을 별개의 어군으로 분류한다.
  • 중국티베트어족 - 둥간어
    둥간어는 19세기 둥간 반란 이후 중앙아시아로 이주한 후이족 후손들이 간쑤성 방언을 기반으로 러시아어와 튀르크어의 영향을 받아 발전시킨 독립적인 언어로, 소련 시대에 표준어가 개발되어 키릴 문자로 교육 및 출판에 사용되었으나 현재는 보존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 인도의 언어 - 시킴어
    시킴어는 티베트 문자를 사용하는 히말라야 언어이며, 존카어와 어휘적 관련이 높으며, 자음, 모음, 높낮이 두 가지의 조성을 특징으로 한다.
  • 인도의 언어 - 네팔어
    네팔어는 데바나가리 문자로 표기되며, 산스크리트어와 프라크리트어의 영향을 받았으며, 10세기에서 14세기 사이에 나타나, 20세기 이후 표준화 과정을 거쳐 현대 네팔어로 자리 잡았으며, 인도 내 네팔어 사용자들의 권익 신장에 기여했다.
발티어
지도 정보
발티어 사용 지역
발티어 사용 지역
언어 정보
이름발티어
고유 이름بلتی
고유 이름 (티베트 문자)སྦལ་འཐུས་
사용 지역파키스탄, 인도
주요 사용 지역발티스탄, 라다크
민족발티족
사용자 수425,000명 (파키스탄, 2018년), 총 사용자 438,800명
사용 시기2018년
어족중국티베트어족
어파티베트-버마어족
어군티베트-카나우리어족 (?)
어계보드어군
분파티베트어군
하위 분파라다크-발티어군
문자페르시아-아랍 문자 (현재)
티베트 문자 (현재)
발티 문자 (역사적)
ISO 639-3bft
Glottologbalt1258
Glottolog 명칭발티어

2. 인구 통계 및 분포

발티어는 파키스탄의 길기트발티스탄 대부분 지역과 인도의 카르길 및 누브라 라다크에서 사용된다. 길기트발티스탄 스카우트에 따르면, 이 언어는 주로 길기트발티스탄의 스카르두, 시가르, 간체, 룬두, 카르망 지역에서 사용된다.[4] 라다크 지역의 쌍둥이 지구(카르길과 레)에서는 카르길 시와 하르다스, 라토, 카르키치후, 발티 바자르와 같은 주변 마을뿐만 아니라 투르툭, 보그당, 탁시를 포함하여 레 시와 인근 마을에서 사용된다. 발티어는 파키스탄의 카라치, 라호르, 페샤와르, 이슬라마바드, 퀘타 등 다른 도시의 이주민들에 의해서도 사용된다. 인도에서는 인도와 파키스탄 분할 이전에 발티스탄, 카르길, 누브라에서 이주한 화자들 사이에서 데라둔, 나이니탈, 암바리, 쉼라, 비카스나가르 등 북부 도시들에서 발견된다.[5]

3. 분류 및 방언

역사적으로 레의 불교도들은 라다크의 모든 무슬림들을 발티어 사용자로 지칭해왔다.

발티어는 네 가지 방언을 가지고 있다. 어휘 발음의 차이에도 불구하고, 상호 이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유지하다"는 다른 방언에서는 'yuq'이지만, 남부 칼만(Kharmang)카르길 방언에서는 'juq'이다. 마찬가지로, "우유"는 동부 초르바트-누브라, 중앙 캬플루, 남부 칼만-카르길 방언에서는 'oma'이지만, 서부 스카르두, 시가르, 론두 계곡 방언에서는 'ona'이다.[6][7]

발티어의 네 가지 방언은 다음과 같다.

# 동부 초르바트와 누브라 계곡 방언

# 중앙 캬플루 계곡 방언

# 서부 스카르두, 시가르, 론두 방언

# 남부 상(上) 칼만과 카르길 방언

발티어 방언 비교
영어영어동부 누브라/초르바트 방언중앙 캬플루 방언서부 스카르두 방언남부 칼만 방언
우유OmaOmaOnaOma
유지하다YuqYuqYuqJuq
소녀BonoBonoBonoBomo
yanyanyangyan
BraqBraqBlaqBraq


4. 음운

발티어의 음운 체계는 자음과 모음으로 구성된다.

(자세한 내용은 자음 및 모음 부분을 참조)

4. 1. 자음

colspan="2" |순음치음/치경음경구개음경구개후음구개음연구개음연구개후음성문음
파열음무성음
기음
유성음
마찰음무성음
기음
유성음
마찰음무성음()
유성음
비음
탄음()
측음보통()
유기음()
반모음


  • /l/sa의 동소음에는 [lʱ]sa, [ɭ]sa 및 [ɫ̥]sa가 포함된다.
  • /ɖ/sa는 탄음 [ɽ]sa로 발음될 수 있다.
  • /s/sa는 또한 경구개음 [ʂ]sa일 수 있다.[8]

4. 2. 모음

전면 모음중앙 모음후면 모음
고모음
중모음
저모음colspan="2" |


  • 는 개방 후면 모음 , 개방-중간 후면 모음 , 개방 중앙 모음 중 하나로 다양하게 발음된다.[8]
  • 중모음 는 개방-중간 모음 만큼 낮게 발음될 수 있다.[9]

5. 문자

발티어의 주된 표기 체계는 현재 페르시아-아랍 문자이지만, 8세기부터 16세기까지 사용되었던 티베트 문자를 부활시키려는 시도가 있었다.[10] 1970년대 인도어 중앙연구소에서는 발티어를 쓰기 위해 수정된 라틴 문자 기반 및 데바나가리 문자 기반 정서법을 제안하기도 했다.[10]

1985년, 유수프 후세인 아바디는 발티어의 요구에 맞추기 위해 티베트 문자에 네 개의 새로운 문자를, 페르시아-아랍 문자에 일곱 개의 새로운 문자를 추가했다.

발티스탄이 티베트인들에게 정복된 727년부터 14세기 후반 발티인들이 이슬람으로 개종할 때까지 발티어는 티베트 문자의 변형으로 기록되었다.[10] 그 후 페르시아-아랍 문자로 대체되었지만, 이 문자는 일곱 개의 발티어 음가를 표기할 수 없어 결함이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유행했다. 이후 일곱 개의 새로운 문자를 추가함으로써 발티어를 위한 완전한 문자 체계가 되었다.

최근 많은 발티어 학자들과 사회 운동가들은 토착 발티어와 라다크 문화 및 민족 정체성 보존에 도움이 되는 것을 목표로 티베트 발티어 또는 "이게(Yige)" 알파벳[10]의 사용을 장려하려고 시도해왔다.

5. 1. 페르시아-아랍 문자

문자로마자 표기IPA
ا|ābftā, a, (e), o, -, , , ,
ب|bbftb
پ|pbftp
ت|tbftt
ٹ|ṭbft
ث|(s)bft(s)
ج|jbftj
ڃ|žbftž
چ|čbftč
ڇ|č̣bftč̣
ح|(h)bft(h)
خ|xbftx
د|dbftd
ڈ|ḍbft
ذ|(z)bft(z)
ر|rbftr
ڑ|ṛbft
ز|zbftz
ڗ|đ/dzbftđ/dz
ژ|c/tsbftc/ts
س|sbfts
ش|šbftš
ݜ|ṣbft
ص|(s)bft(s)
ض|(z)bft(z)
ط|(t)bft(t)
ظ|(z)bft(z)
ع|(ā), (a), (e), (o), (-)bft(ā), (a), (e), (o), (-), , , ,
غ|ǧbftǧ
ف|fbftf
ق|qbftq
ک|kbftk
کٔ|ǩ/ṡbftǩ/ṡ
گ|gbftg
ل|lbftl, (), ()
م|mbftm
ن|nbftn
ݨ|ŋ/ngbftŋ/ng
ݩ|ň/nybftň/ny
و|w, ubftw, u,
ہ|hbfth
ھ|_hbft_h,
ی|y, ibfty, i,
ے|e/aybfte/ay


5. 2. 티베트 문자 (이게)

발티어의 주된 표기 체계는 현재 페르시아-아랍 문자이지만, 8세기부터 16세기까지 사용되었던 티베트 문자를 부활시키려는 시도가 있었다.[10] 1970년대 인도어 중앙연구소에서는 발티어를 쓰기 위해 수정된 라틴 문자 기반[10]데바나가리 문자 기반 정서법을 제안했다.[10]

1985년, 유수프 후세인 아바디는 발티어의 요구에 맞추기 위해 티베트 문자에 네 개의 새로운 문자와 페르시아-아랍 문자에 일곱 개의 새로운 문자를 추가했다. 추가된 네 개의 문자 중 두 개는 현재 티베트 유니코드 블록에 포함되어 있다.

발티스탄이 티베트인들에게 정복된 서기 727년부터 14세기 후반 발티인들이 이슬람으로 개종할 때까지 발티어는 티베트 문자의 변형으로 기록되었다.[10] 그 후 페르시아-아랍 문자로 대체되었지만, 이 문자는 일곱 개의 발티어 음가를 표기할 수 없었고 결함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유행했다. 일곱 개의 새로운 문자를 추가함으로써 이제 발티어를 위한 완전한 문자 체계가 되었다.

최근 많은 발티어 학자들과 사회 운동가들은 토착 발티어와 라다크 문화 및 민족 정체성 보존에 도움이 되는 것을 목표로 티베트 발티어 또는 "이게(Yige)" 알파벳[10]의 사용을 장려하려고 시도해왔다. 이러한 지역 사회의 요청에 따라 2006년 9월 ISO/IEC 10646 WG2의 도쿄 회의에서 아바디가 고안한 두 개의 문자(U+0F6B 티베트 문자 KKA 및 U+0F6C 티베트 문자 RRA)를 ISO 10646 및 유니코드 표준에 인코딩하여 이게 알파벳을 사용하는 현대 발티어에 있는 우르두어 차용어 렌더링을 지원하기로 합의했다.

} || q ||

|-

| ཬ|bft || ɽ ||

|-

| ཁ༹|bft || x ||

|-

| ག༹|bft || ɣ ||

|}

6. 어휘 및 문법 특징

발티어는 크게 4가지 방언으로 나뉜다. 각 방언은 어휘와 발음에서 약간의 차이를 보이지만, 서로 의사소통하는 데는 문제가 없다.[6][7]

추가 발티 이게 문자
추가 발티 이게 문자로마자 표기IPA
{{lang|bft|ཫ|}
발티어의 방언
방언지역
동부 방언초르바트, 누브라 계곡
중앙 방언캬플루 계곡
서부 방언스카르두, 시가르, 론두
남부 방언칼만, 카르길



각 방언별 어휘 차이의 예시는 다음과 같다.

발티어의 방언 별 어휘 비교
영어동부 누브라/초르바트 방언중앙 캬플루 방언서부 스카르두 방언남부 칼만 방언
우유OmaOmaOnaOma
유지하다YuqYuqYuqJuq
소녀BonoBonoBonoBomo
yanyanyangyan
BraqBraqBlaqBraq


6. 1. 존칭어

발티어는 티베트어 방언과 다른 많은 언어의 특징인 많은 존칭어를 유지하고 있다.[6][7]

몇 가지 예는 다음과 같다.

일반 발티어텍스트 표기존칭라다크어의미
AtaاتاBawa/buwa/BabaAba아버지
khoکھوkhokho그는
gashayگشےliakhmoliakhmo아름다운
paynayپینےkhumulpaynay
bilaبلاBilabila고양이
suسُوsusu누구
Ano/Amoانو/اموZiziAma어머니
KakaککاKachoAcho형(남자 형제)
BustringبُسترنگZungNama여자 / 아내
MomoموموJangmochoAjang외삼촌
NeneنےنےNenechoAnay이모
BuبُوBuchobutsha아들
FruفُروNonothugu소년
ApoاپوApochoMeme할아버지
ApiاپیApichoAbi할머니
AsheاشےAshchoachay누나(여자 형제)
ZoزوbjesZo먹다
ThungتُھونگbjesThung마시다
OngاونگShokhsYong오다
SongسونگShokhsSong가다
ZairزیرKasal-byungZer말하다
Ngid tongنِت تونگghzim tongNgid tong자다(잠자러 가다)
LagpaلقپاPhyaq-laq/gLagpa손/팔
KhyangکھیانگYang/Yari-phyaqpoKhyorang
Kangmaکنگماgzok-pokangba다리


6. 2. 차용어

역사적으로 레의 불교도들은 라다크의 모든 무슬림들을 발티어(Balti) 사용자로 지칭해왔다.[6][7] 1948년 파키스탄이 이 지역을 장악한 이후 우르두어 단어들이 발티어를 포함한 지역 방언과 언어에 유입되었다. 현대 발티어에는 새롭게 발명되거나 도입된 수많은 것들에 대한 고유한 명칭이나 어휘가 없으며, 대신 우르두어와 영어 단어가 사용되고 있다.

발티어는 네 가지 방언을 가지고 있으며, 어휘 발음의 차이에도 불구하고 상호 이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유지하다"는 다른 방언에서는 ''yuq''이지만, 남부 칼만(Kharmang)과 카르길(Kargil) 방언에서는 ''juq''이다. 마찬가지로, "우유"는 동부 초르바트-누브라(Chorbat-Nubra), 중앙 캬플루(Khaplu), 남부 칼만-카르길 방언에서는 ''oma''이지만, 서부 스카르두(Skardu), 시가르(Shigar), 론두(Rondu) 계곡 방언에서는 ''ona''이다.[6][7]

발티어의 방언 별 어휘 비교
영어동부 누브라/초르바트 방언중앙 캬플루 방언서부 스카르두 방언남부 칼만 방언
우유OmaOmaOnaOma
유지하다YuqYuqYuqJuq
소녀BonoBonoBonoBomo
yanyanyangyan
BraqBraqBlaqBraq



발티어는 티베트 방언과 다른 많은 언어의 특징인 많은 존칭어를 유지하고 있다.

일반 발티어존칭라다크어의미
AtaBawa/buwa/BabaAba아버지
khokhokho그는
gashayliakhmoliakhmo아름다운
paynaykhumulpaynay
bilaBilabila고양이
sususu누구
Ano/AmoZiziAma어머니
KakaKachoAcho형(남자 형제)
BustringZungNama여자 / 아내
MomoJangmochoAjang외삼촌
NeneNenechoAnay이모
BuBuchobutsha아들
FruNonothugu소년
ApoApochoMeme할아버지
ApiApichoAbi할머니
AsheAshchoachay누나(여자 형제)
ZobjesZo먹다
ThungbjesThung마시다
OngShokhsYong오다
SongShokhsSong가다
ZairKasal-byungZer말하다
Ngid tongghzim tongNgid tong자다(잠자러 가다)
LagpaPhyaq-laq/gLagpa손/팔
KhyangYang/Yari-phyaqpoKhyorang
Kangmagzok-pokangba다리


7. 문학

속담집을 제외하고는 발티어로 쓰인 산문 문학은 발견되지 않았다. 일부 서사시와 사가는 구전 문학으로 전해지는데, 예를 들어 《게사르왕 전설》과 'rgya lu cho lo bzang' 및 'rgya lu sras bu'의 이야기 등이 있다. 다른 모든 문학은 운문으로 되어 있다. 발티 문학은 시의 아름다움과 선율을 증폭시키는 수많은 페르시아식 운율과 어휘를 채택했다.[11]

파키스탄 북부 산악 지역의 파슈토어, 코와르어, 시나어 등의 언어와 방언은 거의 모두 인도아리아어파 또는 이란어파에 속하지만, 발티어는 시노티베트어족에 속한다. 따라서 발티어는 언어적 접촉으로 인해 수용된 일부 차용어를 제외하고는 이웃 언어들과 공통점이 없다. 발티어와 라다크어는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

발티 문학이 직면한 주요 문제는 정치적 분열과 강한 종교적 차이로 인해 티베트와 심지어 인접 국가인 라다크와도 수세기 동안 고립되어 왔다는 점이다. 발티어는 자매 언어들과 분리되어 우르두어와 같은 더 우세한 언어들의 압력을 받고 있다. 원래의 티베트 문자를 버린 후 적절한 표기법이 없다는 점이 이러한 상황을 더욱 악화시키고 있다. 발티 사람들은 원래의 문자를 부활시킬 의식이 없으며, 그것을 복원하고 사람들에게 다시 사용하도록 설득할 수 있는 기관도 없다. 설령 문자가 부활하더라도 발티어 내에서 일반적인 차용어에 나타나는 특정 우르두어 음소를 표현하기 위해 수정이 필요할 것이다.

시의 예시:



Youq fangsay thalang paqzi na mandoq na mabour na


Na drolbi laming yani si soq fangse chi thobtook


Nasir Karimi


참조

[1] 서적 Census of India, 1961: Jammu and Kashmir Registrar General and Census Commissioner of India
[2] 학술지 Lepcha and Balti Tibetan: Tonal or Non-Tonal Languages? 1966
[3] 학술지 The Impact of Dominant Languages on Regional Languages: A Case Study of English, Urdu and Shina
[4]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www.gilgitbal[...]
[5] 웹사이트 The Curious Case Of The Baltis Of Dehradun https://travelthehim[...] 2018-06-04
[6] 웹사이트 Balti: Protecting the language https://www.greaterk[...] 2021-01-29
[7] 웹사이트 Politicisation of Balti Language in Kargil - Skardu.pk https://skardu.pk/po[...]
[8] 서적 Balti New Delhi, India: Mittal Publications
[9] 서적 Balti Phonetic Reader Central Institute of Indian Languages
[10] 웹사이트 Balti https://omniglot.com[...]
[11] 학술지 The Extinction of Words from Use: A Critical Aspect of Balti Language Endangerment https://ojs.ahss.org[...] 2024-01-04
[12] 웹사이트 ethnologies of world language https://www.ethnolog[...]
[13] 서적 Census of India, 1961: Jammu and Kashmir Registrar General and Census Commissioner of India
[14] 학술지 Lepcha and Balti Tibetan: Tonal or Non-Tonal Languages? 196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