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아리마 나오즈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리마 나오즈미는 1586년에 태어나 1641년에 사망한, 일본 에도 시대의 다이묘이다. 기독교 신자였으나, 도쿠가와 이에야스에게 아첨하기 위해 개종하고, 아버지의 처형과 이복 동생 살해 등 기독교 박해에 가담했다. 이후 노베오카 번으로 이봉되었으며, 시마바라의 난 진압에 참여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노베오카번주 - 다카하시 모토타네
    다카하시 모토타네는 아즈치모모야마 시대부터 에도 시대 초기의 무장으로, 다카하시 아키타네의 양자가 되어 휴가국 노베오카의 다이묘가 되었으며, 임진왜란과 세키가하라 전투에 참전 후 가이에키당했다.
  • 노베오카번주 - 마키노 사다미치
    마키노 사다미치는 18세기 일본의 다이묘로, 교토 쇼시다이를 역임하고 가사마 번으로 전봉되었으며, 43세에 사망했다.
  • 히젠 아리마씨 - 아리마 하루노부
    아리마 하루노부는 센고쿠 시대부터 에도 시대 초기의 기리시탄 다이묘로, 히젠 아리마 씨의 당주이자 히노에 번 번주였으며, 가톨릭 개종 후 덴쇼 소년사절단 파견, 임진왜란 참전 등 활발한 활동을 펼쳤으나, 이후 사건에 연루되어 유배 후 처형되었고, 그의 죽음은 에도 막부의 기독교 탄압 강화와 시마바라의 난의 배경이 되었다.
  • 히젠 아리마씨 - 이토이가와번
    이토이가와번은 에도 시대 에치고국 이토이가와시에 존재했던 번으로, 여러 가문이 번주를 역임했으며, 특히 에치젠 마쓰다이라 가문이 메이지 유신까지 통치했으나, 고쿠다카가 낮고 자연재해가 잦아 재정적으로 어려움을 겪다가 보신 전쟁 이후 폐번치현을 거쳐 니가타현에 병합되었다.
  • 시마바라번주 - 아리마 하루노부
    아리마 하루노부는 센고쿠 시대부터 에도 시대 초기의 기리시탄 다이묘로, 히젠 아리마 씨의 당주이자 히노에 번 번주였으며, 가톨릭 개종 후 덴쇼 소년사절단 파견, 임진왜란 참전 등 활발한 활동을 펼쳤으나, 이후 사건에 연루되어 유배 후 처형되었고, 그의 죽음은 에도 막부의 기독교 탄압 강화와 시마바라의 난의 배경이 되었다.
  • 시마바라번주 - 마쓰쿠라 가쓰이에
    마쓰쿠라 가쓰이에는 아버지와 함께 시마바라성을 건설하고 가혹한 수탈과 기리시탄 탄압을 자행했으며, 시마바라의 난 발발 후 개역되어 참수형에 처해진 에도 시대 초기의 다이묘이다.
아리마 나오즈미
기본 정보
이름아리마 나오즈미
본명충청 (초명), 나오즈미
영명미겔
묘소후쿠이현사카이시마루오카정 이시로키도의 하쿠도사
생애
시대아즈치모모야마 시대 - 에도 시대 전기
출생덴쇼 14년 (1586년)
사망간에이 18년 4월 25일 (1641년6월 3일)
사망 장소오사카, 일본
관직
관위종5위하・좌위문좌
봉록
히젠히노에 번 번주
휴가노베오카번 번주
가문
씨족히젠 아리마 씨
주요 인물
주군도쿠가와 이에야스→히데타다→이에미쓰
부모아버지: 아리마 하루노부, 어머니: 오오우에 (야마다 준노리 딸)
형제자매사이고 스미쓰네 부인
나오즈미
스미사다
사카이 셋쓰노카미 부인
기쿠테이 스에모치 부인
아리마 스미타다 부인
푸란
오마쓰
지쓰손 등
배우자정실: 고니시 요시아키의 딸・마르타
계실: 에이주인 (도쿠가와 이에야스 양녀)
자녀야스즈미
혼다 마사카쓰 정실
요시코 (혼다 마사카쓰 양매)
스미마사
장녀 (아키모토 도모토모 정실)
아리마 스미치카 부인
가독 상속
선대아리마 하루노부
계승아리마 야스즈미
주요 전투
전투오카모토 다이하치 사건 (1612년)
시마바라의 난 (1637년)
주요 직책
히젠 아리마 씨 당주임기: 1612년 ~ 1641년
대수: 15
시마바라 번 (히젠 아리마가) 번주임기: 1612년 ~ 1614년
대수: 2
노베오카 번 (히젠 아리마가) 번주임기: 1614년 ~ 1641년
대수: 1
시마바라 번 번주 후임막부령 (마쓰쿠라 시게마사)

2. 생애

아리마 하루노부의 아들로 태어난 아리마 나오즈미는 도쿠가와 이에야스를 섬기며, 오카모토 다이하치 사건으로 아버지가 처형된 후 영지를 상속받았다. 이후 기독교를 박해하고 시마바라의 난을 진압하는 등 파란만장한 삶을 살다가 산킨코타이 도중 사망했다. 그의 생애는 초기 생애와 개종, 오카모토 다이하치 사건과 기독교 박해, 노베오카 번으로의 전봉과 시마바라의 난, 그리고 죽음으로 나눌 수 있으며, 자세한 내용은 하위 문단을 참고할 수 있다.

2. 1. 초기 생애와 개종

1586년 히노에 성(시마바라)에서 기리시탄 다이묘 아리마 하루노부의 장남으로 태어났다.[2] 세례명은 미겔이었다.[2] 1600년 15세에 아버지의 명으로 도쿠가와 이에야스를 섬기기 위해 슨푸 성으로 보내졌다.[1] 1610년 고니시 유키나가의 조카 마르타와 결혼했으나,[2] 이에야스에게 아첨하기 위해 기독교 신자인 아내와 이혼하고 이에야스의 양녀인 구니히메(혼다 타다마사의 딸)와 재혼했다.[2]

2. 2. 오카모토 다이하치 사건과 기독교 박해

1612년, 아버지 아리마 하루노부가 오카모토 다이하치 사건에 연루되어 처형되자, 나오즈미는 시마바라 4만 코쿠의 영지를 상속받았다.[1] 나오즈미는 도쿠가와 이에야스금교령에 따라 기독교 신앙을 버리고 전 부인이자 고니시 유키나가의 조카인 마르타(マルタ)와 이혼했다.[1][2] 1613년 4월 25일 (음력)에는 아버지와 후처 쥐스타 사이에서 태어난 8살 프란시스코(フランシスコ)와 6살 마티아스(マティアス) 두 이복 동생을 살해했다.[1][2]

2. 3. 노베오카 번으로의 전봉과 시마바라의 난

나오즈미는 기독교 박해로 인한 끊임없는 반란과 혼란에 불만을 품고 도쿠가와 막부에 휴가국 노베오카로의 전봉을 요청했다.[1] 1614년 7월, 휴가 노베오카에 5만 3천 석을 받았다.[3]

1637년 그의 옛 영지에서 시마바라의 난이 발발하자, 막부의 명령에 따라 4,000명에 가까운 군대를 이끌고 반란 진압에 참여했다. 그는 난을 일으킨 자신의 옛 신하나 전 영민과 대결해야 했다.[3] 이때, 부젠 나카쓰번 번주 오가사와라 나가쓰구 휘하의 군감으로 참전했던 검호 미야모토 무사시로부터 서신을 받았다.[3]

2. 4. 사망

1641년 산킨코타이 도중 오사카에서 사망했다.[1] 향년 56세였다. 일설에는 아카시 앞바다의 선상에서 사망했다고도 한다.

3. 가계

아리마 나오즈미는 1586년 시마바라의 히노에 성에서 아리마 하루노부의 장남으로 태어났으며, 미겔(ミゲル)이라는 세례명을 받았다. 고니시 유키나가의 조카인 마르타(マルタ)와 결혼했으나, 도쿠가와 이에야스에게 아첨하기 위해 기독교 신자인 아내와 이혼하고 1610년 이에야스의 양녀인 쿠니히메와 결혼했다.[1]

3. 1. 부모

3. 2. 정실, 계실

3. 3. 자녀

이름비고
아리마 야스즈미장남, 생모는 에이주인
아리마 스미마사차남, 생모는 에이주인
아리마 스미치카의 처장녀
혼다 마사카츠의 정실차녀, 생모는 에이주인
아리마 키츠코혼다 마사카츠의 양녀, 구로다 타카마사의 정실, 생모는 에이주인
아리마 나가코아키모토 토미토모의 정실, 생모는 에이주인


참조

[1] 서적 Japan: Its History and Culture
[2] 서적 コンサイス日本人名辞典 第5版 株式会社三省堂 2009
[3] 문서 書簡の原本は吉川英治記念館(東京都青梅市)所蔵。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