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아리스토불로스 2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리스토불로스 2세는 알렉산드로스 얀나이오스와 살로메 알렉산드라의 아들로, 하스몬 왕조의 대제사장 겸 왕이었다. 그는 어머니 사후 형 히르카노스 2세와 권력 다툼을 벌였고, 로마의 폼페이우스가 개입하면서 예루살렘이 점령당하고 포로로 잡혔다. 이후 탈옥과 반란을 시도했으나 실패하고 독살당했다. 그의 아들 안티고노스는 파르티아의 지원을 받아 왕위를 차지했지만 헤로데 대왕에게 패배하여 하스몬 왕조는 멸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기원전 49년 사망 - 전한 선제
    전한 선제는 무제의 증손으로 불우한 어린 시절을 보냈으나 곽광 등의 추대로 전한의 제10대 황제가 되어 곽씨 일족 숙청, 친정, 흉노 약화 등 전한의 중흥을 이끌었지만, 법가주의적 통치와 황제 중심 정책으로 환관 세력 확대라는 부정적 영향도 남겼다는 평가를 받는다.
  • 기원전 49년 사망 - 유진정
    유진정은 전한 시대 천릉후 유현의 아들이자 천릉후로, 기원전 70년에 아버지의 뒤를 이어 천릉후에 봉해졌으며 기원전 49년에 사망하여 그의 작위는 아들 유경이 이었다.
  • 하슈모나이 국왕 - 살로메 알렉산드라
    살로메 알렉산드라는 하스몬 왕조 시대의 유대 여왕으로, 기원전 76년부터 67년까지 통치하며, 바리새파와 화해하고 군사력을 강화하여 유대 지역의 번영을 이끌었으나, 사후 아들들의 권력 다툼과 로마의 개입으로 하스몬 왕조는 멸망했다.
  • 하슈모나이 국왕 - 요한 히르카노스
    요한 히르카노스는 하스몬 왕조 유대의 지도자로서, 셀레우코스 제국의 영향력 약화를 틈타 유대 독립을 공고히 하고 영토를 확장했으며, 사마리아 정복, 이두매아인 강제 개종, 로마 공화국과의 우호 관계 강화 등의 정책을 추진했다.
  • 기원전 1세기 출생 - 엘리사벳
    사가리아의 아내이자 세례 요한의 어머니인 엘리사벳은 마리아의 친척으로, 오랫동안 불임이었으나 고령에 요한을 임신하여 마리아 방문 시 성령의 인도로 축복의 말을 전했으며, 이는 아베 마리아 기도의 일부가 되었다.
  • 기원전 1세기 출생 - 온조왕
    온조왕은 기원전 18년부터 기원 28년까지 백제를 다스린 백제의 시조로, 고구려에서 남하하여 백제를 건국하고 외침을 격퇴하며 마한을 정복하는 등 백제의 기틀을 다진 인물이다.
아리스토불로스 2세
기본 정보
아리스토불루스 2세 메달
아리스토불루스 2세, 기욤 루이예의 Promptuarii Iconum Insigniorum에서
칭호유대의 왕이자 대제사장
왕조하스몬
아버지알렉산더르 얀나이오스
어머니살로메 알렉산드라
통치
유대 왕 재위기원전 66년경 – 기원전 63년
선임자히르카누스 2세
후임자마타티아스 안티고노스 2세
유대 대제사장 재위기원전 66년경 – 기원전 63년
선임자히르카누스 2세
후임자히르카누스 2세
자녀
자녀마타티아스 안티고노스 2세
알렉산더르
알렉산드라 하스몬
사망
사망일기원전 49년경

2. 생애



아리스토불로스 2세는 알렉산드로스 얀나이오스와 살로메 알렉산드라의 차남으로 태어났다.

어머니 살로메의 치세 중 바리새파가 실권을 장악하자 아리스토불로스는 반바리사이파를 옹호하고 이들에게 히르카니아, 알렉산드리온, 마케루스의 수비를 맡기는 데 성공했다. 어머니가 중태에 빠지자 권력 탈취를 위해 아가바 요새로 탈출해 거병했다. 어머니 사후 형 요한 히르카노스 2세가 왕위에 즉위하자 아리스토불로스 2세는 예리코 인근 전투에서 형을 격파했고 기원전 66년 힐카노스 2세는 포로로 잡고 있던 아리스토브로스 처자의 구명과 맞바꿔 퇴위, 아리스토브로스 2세가 대신하여 대제사왕이 되었다.

히르카노스 2세는 은둔생활과 재산보장으로 만족했지만 그의 부하인 이두메아인 안티파트로스는 아리스토불로스 2세에 대항할 것을 히르카노스 2세에게 권했고 나바테아인 아레타스 3세에게 도움을 청해 아리스토불로스 2세와 히르카노스 2세의 내전이 재발했다. 기원전 63년 로마 장군 그나이우스 폼페이우스셀레우코스 시리아를 정복한 뒤 유대 제압도 노렸다. 아리스토불로스 2세, 히르카노스 2세는 함께 폼페이우스를 조정해달라고 요청했으나 아리스토불로스 2세가 폼페이우스를 업신여겨주자 폼페이우스는 히르카노스 2세를 돕고 아리스토불로스 2세는 공납금을 내기로 약속하고도 지불하지 않아 폼페이우스에게 구금됐다.

폼페이우스가 이끄는 로마군은 히르카노스 2세파의 안내도 받아 3개월의 공방 끝에 예루살렘을 점령했다(예루살렘 공방전). 함락시, 유태인끼리의 살육이 행해졌다. 이때 폼페이우스는 침입이 금지된 신전의 성소에 침입했다고 한다. 아리스토불로스 2세는 아들들과 함께 포로가 돼 포로생활을 했다.

기원전 57년 아리스토불로스 2세는 탈옥해 지지자를 모으고 알렉산드리온에 이어 마케루스 요새를 농성했으나 반란은 로마에 진압됐고, 아리스토불로스 2세는 아울루스 가비니우스에 의해 로마로 송환돼 유폐됐다. 기원전 49년 가이우스 율리우스 카이사르는 그를 해방시켜 폼페이우스에 대항시키기 위해 유대로 돌려보냈지만 여행 도중 폼페이우스파에 독살됐다. 아들 알렉산드로스도 안티오키아에서 폼페이우스파 스키피오에게 살해됐다.

아리스토불로스의 또 다른 아들 안티고노스는 나중에 파르티아의 원조로 왕위를 탈취했지만, 힐카노스 2세 밑에서 권력을 잡은 안티파트로스의 아들 헤로데에게 패배해 처형당했고 하스몬 왕조는 단절됐으며 헤로데가 유대왕으로 즉위하면서 헤로데 왕조가 성립됐다.

손자로 알렉산드로스의 딸 마리아므네 1세/Mariamne I영어는 헤로데 대왕의 아내가 되지만 마리암네도 헤로데 대왕과 낳은 왕자 2명도 나중에 헤로데 대왕에 의해 처형된다.

2. 1. 권력 투쟁과 내전

어머니 살로메 알렉산드라의 통치 기간 동안 바리새파가 실권을 장악하자, 아리스토불로스 2세는 반(反)바리새파를 옹호하며 히르카니아, 알렉산드리온, 마케루스의 수비를 맡기는 데 성공하며 세력을 키웠다.[3] 어머니가 위독해지자 권력을 탈취하기 위해 아가바 요새로 탈출해 거병했다. 어머니 사후 형 히르카노스 2세가 왕위에 즉위하자 예리코 인근 전투에서 형을 격파했고, 기원전 66년 히르카노스 2세는 포로로 잡고 있던 아리스토불로스 2세 처자의 구명과 맞바꿔 퇴위했다.[4] 이로써 아리스토불로스 2세는 대제사장 겸 왕이 되었다.

히르카노스 2세는 은둔 생활과 재산 보장으로 만족했지만, 그의 부하인 이두매인 안티파트로스는 아리스토불로스 2세에 대항할 것을 히르카노스 2세에게 권했고, 나바테아인 아레타스 3세에게 도움을 청해 아리스토불로스 2세와 히르카노스 2세의 내전이 재발했다. 나바테아인들은 5만 명의 군대를 이끌고 예루살렘으로 진격하여 반란 동안 몇 달 동안 도시를 포위했다. 기원전 63년, 로마 장군 그나이우스 폼페이우스셀레우코스 시리아를 정복한 뒤 유대 정복도 꾀했다. 아리스토불로스 2세와 히르카노스 2세는 모두 폼페이우스에게 조정을 요청했으나, 아리스토불로스 2세가 폼페이우스를 업신여겼기 때문에 폼페이우스는 히르카노스 2세를 도왔다. 아리스토불로스 2세는 공납금을 내기로 약속하고도 지불하지 않아 폼페이우스에게 구금됐다.

폼페이우스가 이끄는 로마군은 히르카노스 2세파의 안내를 받아 3개월의 공방 끝에 예루살렘을 점령했다(예루살렘 공방전). 함락 당시, 유대인끼리의 살육이 행해졌고, 폼페이우스는 침입이 금지된 신전의 성소에 침입했다고 한다. 아리스토불로스 2세는 아들들과 함께 포로가 돼 포로생활을 했다.

기원전 57년 아리스토불로스 2세는 탈옥해 지지자를 모으고 알렉산드레이온에 이어 마케루스 요새를 농성했으나, 반란은 로마에 진압됐고, 아리스토불로스 2세는 아울루스 가비니우스에 의해 로마로 송환돼 유폐됐다. 기원전 49년 가이우스 율리우스 카이사르는 그를 해방시켜 폼페이우스에 대항시키기 위해 유대로 돌려보냈지만, 여행 도중 폼페이우스파에 독살됐다. 아들 알렉산드로스도 안티오키아에서 폼페이우스파 스키피오에게 살해됐다.

아리스토불로스의 또 다른 아들 안티고노스는 후에 파르티아의 원조로 왕위를 탈취했지만, 히르카노스 2세 밑에서 권력을 잡은 안티파트로스의 아들 헤로데에게 패배해 처형당했고, 하스몬 왕조는 단절됐으며, 헤로데가 유대 왕으로 즉위하면서 헤로데 왕조가 성립됐다.

손녀이자 알렉산드로스의 딸 마리아므네 1세/Mariamne I영어는 헤로데 대왕의 아내가 되었지만, 마리아므네도 헤로데 대왕과 낳은 왕자 2명도 나중에 헤로데 대왕에 의해 처형된다.

2. 2. 로마의 개입과 패배

기원전 63년, 로마 장군 그나이우스 폼페이우스셀레우코스 시리아를 정복한 후 유대 정복도 꾀했다. 아리스토불로스 2세와 히르카노스 2세는 모두 폼페이우스에게 조정을 요청했지만, 아리스토불로스 2세가 폼페이우스를 업신여기는 태도를 취했기 때문에 폼페이우스는 히르카노스 2세를 지원했다. 아리스토불로스 2세는 공납금을 납부하겠다고 약속했지만 지불하지 않아 폼페이우스에게 구금되었다.

폼페이우스가 이끄는 로마군은 히르카노스 2세파의 안내를 받아 3개월간의 포위 끝에 예루살렘을 점령했다(예루살렘 공방전). 함락 당시, 유대인 간의 살육이 벌어졌다. 이때 폼페이우스는 침입이 금지된 신전의 성소에 들어갔다고 한다. 아리스토불로스 2세는 아들들과 함께 포로가 되어 로마로 압송되었다.

2. 3. 탈출과 죽음

기원전 57년, 아리스토불로스 2세는 탈옥하여 지지자들을 모아 알렉산드레이온과 마카이로스 요새에서 농성하며 반란을 일으켰다. 그러나 이 반란은 로마에 의해 진압되었고, 아리스토불로스 2세는 아우루스 가비니우스에 의해 로마로 다시 송환되어 유폐되었다.

기원전 49년, 가이우스 율리우스 카이사르는 폼페이우스에 대항하게 하기 위해 아리스토불로스 2세를 석방하여 유대로 돌려보냈다. 그러나 아리스토불로스 2세는 유대로 가던 도중 폼페이우스 파에 의해 독살되었다. 그의 아들 알렉산드로스 역시 안티오키아에서 폼페이우스 파의 스키피오에게 살해되었다.

2. 4. 하스몬 왕조의 몰락

3. 가족

아리스토불로스 2세는 왕이자 대제사장인 알렉산드로스 얀나이오스와 살로메 알렉산드라의 차남이었다.[1] 형제로는 히르카누스 2세가 있었다.[1]

4. 평가 및 의의

5. 관련 자료

플라비우스 요세푸스의 요세푸스 벤 마티탸후/יוסף בן מתתיהוhe가 저술한 『유대고대사』에서 아리스토불로스 2세에 대한 내용을 찾아볼 수 있다.

참조

[1] 서적 Antiquities of the Jews
[2] 간행물 Aristobulus II http://jewishencyclo[...] Jewish Encyclopedia
[3] 서적 Jewish Leadership in Roman Palestine from 70 C.E. to 135 C.E. https://books.google[...] BRILL
[4] 서적 Gesch.
[5] 서적 Makers of Rome Penguin Classics
[6] 서적 Jewish Wars
[7] 서적 Jewish War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