히르카노스 2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히르카노스 2세는 하스몬 왕조의 마지막 인물로, 기원전 76년 대제사장에 임명되었으나 정치적 역량 부족으로 동생 아리스토불로스 2세와의 권력 다툼에서 패배했다. 로마의 지원을 받아 대제사장으로 복귀했지만 실질적인 권력은 로마와 그에게 협력한 안티파트로스에게 있었다. 파르티아의 침공으로 포로가 되어 대제사장직을 상실했고, 이후 헤로데 대왕에 의해 처형되었다. 그의 죽음은 하스몬 왕조의 종말과 헤로데 왕조의 시작을 알리는 계기가 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기원전 30년 사망 - 마르쿠스 안토니우스
마르쿠스 안토니우스는 기원전 83년경 로마에서 태어나 율리우스 카이사르 휘하에서 갈리아 전쟁에 참전하여 두각을 나타낸 로마의 장군이자 정치가로, 카이사르 암살 후 옥타비아누스와 권력 다툼을 벌이다 클레오파트라 7세와의 관계로 옥타비아누스와 갈등, 악티움 해전 패배 후 자결했다. - 기원전 30년 사망 - 디오도로스 시켈로스
디오도로스 시켈로스는 율리우스 카이사르와 아우구스투스 시대에 활동한 고대 그리스 역사가로, 3부 40권의 역사서 《역사총서》를 저술했으며, 이 책은 선대 역사가들의 저서를 종합하여 사료적 가치가 높다. - 하슈모나이 국왕 - 살로메 알렉산드라
살로메 알렉산드라는 하스몬 왕조 시대의 유대 여왕으로, 기원전 76년부터 67년까지 통치하며, 바리새파와 화해하고 군사력을 강화하여 유대 지역의 번영을 이끌었으나, 사후 아들들의 권력 다툼과 로마의 개입으로 하스몬 왕조는 멸망했다. - 하슈모나이 국왕 - 요한 히르카노스
요한 히르카노스는 하스몬 왕조 유대의 지도자로서, 셀레우코스 제국의 영향력 약화를 틈타 유대 독립을 공고히 하고 영토를 확장했으며, 사마리아 정복, 이두매아인 강제 개종, 로마 공화국과의 우호 관계 강화 등의 정책을 추진했다. - 기원전 1세기 출생 - 엘리사벳
사가리아의 아내이자 세례 요한의 어머니인 엘리사벳은 마리아의 친척으로, 오랫동안 불임이었으나 고령에 요한을 임신하여 마리아 방문 시 성령의 인도로 축복의 말을 전했으며, 이는 아베 마리아 기도의 일부가 되었다. - 기원전 1세기 출생 - 온조왕
온조왕은 기원전 18년부터 기원 28년까지 백제를 다스린 백제의 시조로, 고구려에서 남하하여 백제를 건국하고 외침을 격퇴하며 마한을 정복하는 등 백제의 기틀을 다진 인물이다.
히르카노스 2세 | |
---|---|
기본 정보 | |
![]() | |
통치 정보 | |
칭호 | 유대 왕 겸 대제사장 유대 민족장 |
왕조 | 하스몬 왕조 |
종교 | 유대교 |
유대 왕 | |
통치 기간 | 기원전 67년 – 66년 |
이전 통치자 | 살로메 알렉산드라 |
다음 통치자 | 아리스토불루스 2세 |
유대 대제사장 | |
통치 기간 | 기원전 76년 – 66년 |
이전 통치자 | 알렉산더 얀나이오스 |
다음 통치자 | 아리스토불루스 2세 |
통치 기간 | 기원전 63년 – 40년 |
이전 통치자 | 아리스토불루스 2세 |
다음 통치자 | 마타티아스 안티고노스 2세 |
유대 민족장 | |
통치 기간 | 기원전 47년 – 40년 |
다음 통치자 | 직위 폐지 |
개인 정보 | |
출생 | (정보 없음) |
사망 | (정보 없음) |
아버지 | 알렉산더 얀나이오스 |
어머니 | 살로메 알렉산드라 |
배우자 | (정보 없음) |
자녀 | 알렉산드라 |
2. 생애
기원전 76년, 어머니 알렉산드라 살로메에 의해 대제사장으로 임명되었다. 온화한 성격이었지만, 정치가로서의 자질은 부족했다. 반대로 동생 아리스토불로스 2세는 대담하고 야심가였으며, 어머니가 위독해지자 거병하여 권력 탈취를 노렸다. 기원전 67년 어머니가 사망한 후 왕위를 계승하지만 직후 반란을 일으킨 아리스토불로스 2세에게 패배하여, 다음 해인 기원전 66년에 퇴위하게 되었다.
그러나, 히르카노스 2세의 친구이자 이두매 출신인 안티파트로스는 아리스토불루스 2세로부터 권력을 되찾도록 권유했고, 나바테아인아레타스 3세의 지원을 받아 반격에 나섰다. 이어서 안티파트로스는 로마의 장군 그나이우스 폼페이우스에게 조정을 요청했고, 아리스토불루스 2세가 폼페이우스에게 반항적인 태도를 보인 탓에 폼페이우스의 지지를 얻는 데 성공했다. 기원전 63년, 폼페이우스는 예루살렘을 점령하고 아리스토불루스 2세를 체포했으며, 히르카노스 2세는 대제사장으로 복귀했다. (예루살렘 공방전) 폼페이우스는 하스몬 왕조의 영토를 분할했고, 히르카노스 2세는 로마와 안티파트로스의 괴뢰로서 지배하게 되었다.
안티파트로스는 폼페이우스, 이어서 가이우스 율리우스 카이사르에게 접근하여 행정·군사 면에서 수완을 발휘하며 지위를 굳혔고, 장남 파사엘로스는 예루살렘과 그 주변 지역의 총독, 차남 헤로데는 갈릴리의 행정을 위임받았다. 헤로데는 유능했지만, 독단적인 행위도 눈에 띄어 고소를 당했다. 히르카노스 2세는 시리아 총독 섹스투스 카이사르의 압력으로 헤로데를 석방했지만, 이때 헤로데는 무장하고 가는 등 오만한 태도를 보였다. 기원전 43년, 안티파트로스는 정적에게 독살당했지만, 파사엘로스와 헤로데 형제의 권력은 더욱 커졌고, 헤로데는 히르카노스 2세의 조카손녀미리암/מִרְיָםhe (아리스토불루스 2세의 아들 알렉산드로스의 딸)와 결혼하여 지위를 굳혔다.
기원전 40년, 아리스토불루스 2세의 아들 안티고노스가 파르티아의 장군 파코로스, 태수 바르자파르네스 등의 지지를 얻어 침공해오자, 파사엘로스 등은 이를 맞이했다. 그러나 파사엘로스와 히르카노스 2세는 파코로스에게 속아 바르자파르네스에게 갔다가 포로로 잡혔다. 안티고노스는 히르카노스 2세의 양쪽 귀를 잘라 대제사장으로 복귀하지 못하게 했다 (대제사장은 신체에 결함이 없어야 취임할 수 있다). 히르카노스 2세는 포로로 파르티아로 보내졌고, 안티고노스가 즉위했다.
안티고노스에 대항하여, 로마에서 유대 왕으로 임명된 헤로데가 반격하여 기원전 37년에 안티고노스를 물리치고 왕이 되었으며, 하스몬 왕조는 종말을 맞이하고 새롭게 헤로데 왕조가 성립되었다. 히르카노스 2세는 기원전 36년에 파르티아에서 귀국했지만, 기원전 30년에 나바테아인과 결탁하여 헤로데에 대한 음모를 꾸미려 했다는 이유로 처형되었다. 이 일은 헤로데와 미리암의 신뢰 관계를 무너뜨렸고, 이듬해 미리암 처형으로 이어졌다.
2. 1. 출생과 초기 생애
히르카노스 2세는 하스몬 왕조의 왕이자 대제사장인 알렉산드로스 얀나이오스와 알렉산드라 살로메의 장남이었다.[2] 기원전 76년 알렉산드로스가 사망한 후, 그의 미망인이 유대 왕국을 계승하고 장남 히르카노스를 대제사장으로 임명했다.[2] 알렉산드로스는 바리새파와 수많은 갈등을 겪었지만,[2] 히르카노스는 특히 그의 재임 후반에 바리새파의 지지를 받았다.[3] 그는 온화한 성격이었지만 정치적 자질은 부족했던 것으로 평가된다.2. 2. 아리스토불로스 2세와의 권력 투쟁
기원전 76년, 히르카노스 2세는 어머니 알렉산드라 살로메에 의해 대제사장으로 임명되었다.[2] 그는 온화한 성격이었지만 정치적 자질은 부족했던 반면, 동생 아리스토불로스 2세는 대담하고 야심찬 인물이었다. 기원전 67년, 살로메가 사망하면서 히르카노스 2세가 유대 왕국의 통치자로 지명되었으나,[4] 아리스토불로스 2세는 이에 불복하여 반란을 일으켰다. 히르카노스는 재위 3개월 만에 아리스토불로스 2세에게 패배하여 이듬해인 기원전 66년에 퇴위하였다.히르카노스는 예루살렘의 요새로 피신했으나, 아리스토불로스 2세가 성전을 점령하면서 항복할 수밖에 없었다.[6] 이후 평화 협정이 체결되어 히르카노스는 왕위와 대제사장직을 포기하는 대신, 대제사장직의 수입을 누리기로 했다.[6] 그러나 히르카노스 2세의 친구인 안티파트로스는 아리스토불로스 2세로부터 권력을 탈환하라고 권유했고, 나바테아인아레타스 3세의 지원을 얻어 반격에 나섰다.
2. 3. 로마의 개입과 대제사장 복귀
히르카노스 2세는 기원전 76년 어머니 살로메에 의해 대제사장으로 임명되었으나, 정치적 자질은 부족했다. 동생 아리스토불로스 2세에게 패배하여 기원전 66년 퇴위하였다.그러나 이두매 출신 안티파트로스의 조언에 따라 나바테아인 아레타스 3세의 지원을 받아 권력 탈환을 시도했다. 요세푸스에 따르면, 안티파테르는 유약한 히르카노스 2세를 다시 왕위에 앉혀 유대 지역을 지배하려 했다.[4] 안티파테르는 로마 장군 그나이우스 폼페이우스에게 조정을 요청했고, 폼페이우스는 히르카노스 2세를 지지하였다.[9] 폼페이우스가 기원전 63년 시리아에 도착했을 때, 두 형제와 왕조 전체를 제거하려는 제3 세력이 폼페이우스에게 대표를 보냈고, 폼페이우스는 결정을 미루었다. 그는 아리스토불루스보다 히르카노스를 선호했는데, 나이가 많고 더 약한 형제가 로마 공화국의 더 믿을 만한 동맹이라고 여겼기 때문이다.[9]
기원전 63년, 폼페이우스는 예루살렘을 점령하고 아리스토불로스 2세를 체포, 히르카노스 2세는 대제사장으로 복귀했다.
2. 4. 안티파트로스와 헤로데 가문의 부상
기원전 63년, 폼페이우스는 예루살렘을 점령하고 아리스토불로스 2세를 사로잡아, 히르카노스 2세는 대제사장으로 복귀했다.[9] 폼페이우스는 하스몬 왕조의 영토를 분할했고, 히르카노스 2세는 로마와 안티파트로스의 괴뢰로 지배하게 됐다.안티파트로스는 폼페이우스와 율리우스 카이사르의 지지를 받으며, 행정·군사적 수완을 발휘하여 자신의 입지를 굳혔다. 그의 아들들인 파사엘로스는 예루살렘과 그 주변 지역의 총독, 헤로데는 갈릴리의 행정을 위임받아, 가문의 세력을 확장했다. 기원전 47년, 율리우스 카이사르는 히르카노스 2세를 에트나르크로 임명하여 약간의 정치적 권한을 회복시켜 주었지만, 실질적인 권력은 여전히 안티파트로스에게 있었다.[8]
기원전 43년, 안티파트로스는 정적에게 독살당했지만, 헤로데는 히르카노스 2세의 조카손녀인 마리암네(아리스토불로스 2세의 아들 알렉산드로스의 딸)와 결혼하며 자신의 지위를 더욱 공고히 했다.
2. 5. 파르티아 침공과 유배
기원전 40년, 아리스토불로스 2세의 아들 안티고노스가 파르티아의 지원을 받아 침공했다.[8] 히르카노스 2세는 파코로스에게 속아 바르자파르네스에게 갔다가 포로로 잡혔다. 안티고노스는 히르카노스 2세의 귀를 잘라내어 대제사장에 복귀할 수 없도록 만들었다.[8] (대제사장은 신체가 건강해야 취임할 수 있다). 그 후 히르카노스 2세는 파르티아인에 의해 바빌로니아로 끌려가 4년 동안 바빌론 유대인들 사이에서 살았으며, 그들은 그에게 모든 존경을 표했다.[8]2. 6. 예루살렘 귀환과 죽음
기원전 40년, 안티고노스가 파르티아의 지원을 받아 침공했을 때, 히르카노스 2세는 포로로 잡혀 파르티아로 보내졌다. 안티고노스는 히르카노스 2세의 귀를 잘라 대제사장에 복귀할 수 없도록 조치했다. 기원전 37년, 헤로데는 로마의 지원을 받아 안티고노스를 격파하고 유대 왕이 되었다. 기원전 36년, 헤로데는 히르카노스 2세를 예루살렘으로 초대했고, 히르카노스 2세는 이를 받아들였다. 헤로데는 그를 극진히 존경하며 맞이하여, 식사 자리에 가장 먼저 초대하고 국가 평의회의 의장으로 임명했다. 그러나 기원전 30년, 헤로데는 히르카노스 2세가 나바테아인과 공모했다는 혐의를 씌워 그를 처형했다. 요세푸스에 따르면, 처형 당시 히르카노스 2세는 80세였다. 이 사건은 헤로데와 마리암네 1세의 신뢰를 무너뜨려, 이듬해 마리암네 1세가 처형되는 결과로 이어졌다.3. 평가
요세푸스는 히르카노스 2세가 온화한 성격이었지만 정치적 역량이 부족하여 동생 아리스토불로스 2세와의 권력 투쟁에서 패배하고, 결국 꼭두각시 신세로 전락했다고 평가했다. 히르카노스 2세는 기원전 76년 어머니 살로메에 의해 대제사장으로 임명되었으나, 기원전 67년 어머니가 사망한 후 왕위를 계승했음에도 불구하고 동생에게 패배하여 기원전 66년 퇴위하게 되었다. 이후 이두메인 안티파트로스의 도움을 받아 권력 탈환을 시도하였고, 폼페이우스의 지원으로 기원전 63년 대제사장으로 복귀하였으나, 실질적인 권력은 로마와 안티파트로스에게 있었다.
히르카노스 2세의 죽음은 하스몬 왕조의 종말과 헤로데 왕조의 시작을 알리는 상징적인 사건으로 여겨진다. 기원전 40년 파르티아의 지원을 받은 안티고노스에게 사로잡혀 대제사장직을 수행할 수 없게 되었고, 기원전 37년 헤로데가 안티고노스를 몰아내고 왕위에 오르면서 하스몬 왕조는 막을 내렸다. 히르카노스 2세는 기원전 36년 파르티아에서 귀국했으나, 기원전 30년 헤로데에 대한 음모 혐의로 처형되었다.
일부 성서학자들은 히르카노스 2세를 쿰란 문서에 등장하는 '의의 스승'과 동일시하기도 한다.
4. 가계
참조
[1]
서적
The Armies of the Hasmonaeans and Herod– Google Knihy
https://books.google[...]
1991-01-01
[2]
웹사이트
Alexander Jannaeus
http://www.jewishenc[...]
[3]
웹사이트
Hyrcanus II
http://www.jewishenc[...]
[4]
웹사이트
Hyrcanus II
http://www.jewishenc[...]
[5]
문서
Josephus
Antiquities of the Jews
[6]
문서
Schürer
[7]
웹사이트
The Antiquities of the Jews
http://www.gutenberg[...]
2015-04-05
[8]
서적
Hasmoneans
https://books.google[...]
Wm. B. Eerdmans Publishing
1995
[9]
서적
Rocca, Samuel. The Forts of Judaea 168 BC-AD 73: From the Maccabees to the Fall of Masada
https://books.google[...]
Bloomsbury USA
2008-05-20
[10]
서적
Qumran Revisited: A Reassessment of the Archaeology of the Site and its Texts.
Archaeopress
2013
[11]
웹사이트
A Narrative Argument that the Teacher of Righteousness was Hyrcanus II.
https://bibleinterp.[...]
2021-03-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