살로메 알렉산드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살로메 알렉산드라는 하스몬 왕조 시대의 유대 여왕으로, 기원전 76년부터 67년까지 통치했다. 그녀는 알렉산드로스 얀나이오스의 미망인으로, 바리새파와의 화해를 통해 국내 안정을 도모하고, 산헤드린을 재건하는 등 내정에서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다. 또한 군사력을 강화하고 외교 정책을 펼쳐 유대 지역의 번영을 이끌었다. 그녀의 사후, 아들들의 권력 다툼과 로마의 개입으로 하스몬 왕조는 멸망하게 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기원전 2세기 여자 - 클레오파트라 3세 필로메토르 소테이라
클레오파트라 3세는 기원전 2세기 이집트 프톨레마이오스 왕조의 인물로, 프톨레마이오스 8세와 결혼하여 공동 통치하고 어머니 클레오파트라 2세와 함께 정치적 입지를 강화했으며, 아들 프톨레마이오스 9세와 10세와 공동 통치하며 권력 투쟁을 벌이다 프톨레마이오스 10세에게 암살당했다. - 기원전 2세기 여자 - 클레오파트라 4세
클레오파트라 4세는 프톨레마이오스 왕조 출신으로 이집트 왕비였으나 어머니의 간섭으로 추방 후 시리아 왕비가 되었지만 안티오코스 8세에게 패배하여 처형당했다. - 기원전 67년 사망 - 유갱생 (모평경후)
유갱생은 전한 시대에 모평후에 봉해진 인물로, 농업 기술 발전과 수리 시설 확충, 교육 및 문화 진흥을 통해 모평 지역의 경제 발전과 백성들의 삶에 기여했으나, 권력 집중과 통치 방식에 대한 비판도 있었다. - 기원전 67년 사망 - 유산부
유산부는 시대와 사회적 맥락에 따라 평가가 달라지는 역사적 의미를 지닌 주제로, 고려 시대 인물의 이름이자 후한 시대 인물의 작위였으며, 현대 사회에서는 여성의 권리 및 사회적 안전망과 관련된 논의의 중심에 있다.
살로메 알렉산드라 | |
---|---|
기본 정보 | |
![]() | |
원어 표기 | grc: Σαλώμη Ἀλεξάνδρα (살로메 알렉산드라) he: (슐롬치온) |
통치 정보 | |
칭호 | 유대 여왕 |
통치 기간 | 기원전 76년 ~ 기원전 67년 경 |
선임자 | 알렉산더 얀나이오스 |
후임자 | 히르카누스 2세 |
배우자 칭호 | 유대 왕비 |
배우자 통치 기간 | 기원전 104년 ~ 기원전 76년 경 |
배우자 임기 유형 | 재임 기간 |
개인 정보 | |
배우자 | 아리스토불루스 1세 (기원전 104년 ~ 기원전 103년 경) 알렉산더 얀나이오스 (기원전 103년 ~ 기원전 76년 경) |
자녀 | 요하네스 히르카누스 2세 |
아버지 | 셰타 (논쟁 중) |
종교 | 유대교 |
2. 이름
요세푸스는 살로메 알렉산드라의 히브리어 이름을 언급하지 않고, 단순히 그리스어 이름인 "알렉산드라"(Ἀλεξάνδρα)로만 기록했다. 이 이름은 하스몬 왕조에서 알려진 유일한 여성 그리스식 이름이다.[4] 랍비 문헌에서는 그녀를 알렉산드라라는 이름 대신 다양한 셈족 이름으로 불렀으며, 사해 문서에서도 "셸람치온"(שלמציון)으로 언급하고 있다.[4]
아리스토불로스 1세와 결혼하였으나, 남편이 기원전 103년 통치 1년 만에 사망하자, 남편의 형제이자 투옥되어 있던 알렉산드로스 얀나이오스를 석방하여 결혼하고 그를 통치자로 삼았다.[8] 요세푸스에 따르면, 알렉산드로스는 즉위 직후 그녀와 결혼한 것으로 보인다.[9] 기원전 76년 얀나이오스가 사망하자, 살로메 알렉산드라는 라가바 전방의 얀나이의 진영에서 통치권을 넘겨받았고(기원전 76년 또는 75년), 요새가 함락될 때까지 왕의 죽음을 숨겨 포위 공격의 강도를 유지했다. 이후 유약한 맏아들 요하네스 히르카노스 2세를 대제사장으로 임명하고, 자신은 여왕으로서 통치했다. 이는 권력욕이 강한 둘째 아들 아리스토불루스 2세의 불만을 야기했다.
살로메 알렉산드라는 라가바 전방에서 얀나이에게 통치권을 넘겨받았다(기원전 76년 또는 75년). 요새가 함락될 때까지 왕의 죽음을 숨겨 포위 공격의 강도를 유지했고, 알렉산더 사망 당시 왕국의 내부 분쟁을 평화롭게 진정시키는 데 성공했다. 또한 유대 국가와 외부 세계와의 정치적 관계에 해를 끼치지 않았다. 알렉산드라는 알렉산더 치하에서 고통받았던 바리새파에게 하스몬 왕조에 대한 동의를 얻어냈다.
3. 가계 및 가족 관계
살로메 알렉산드라의 가계는 요세푸스나 마카베오기에 명확히 기록되지 않았다. 랍비 자료에 따르면, 그녀는 랍비 시몬 벤 셰타흐의 누이였다고 한다.[5]
살로메 알렉산드라는 남편 알렉산드로스 얀나이오스와의 사이에서 맏아들 히르카누스 2세와 둘째 아들 아리스토불로스 2세를 낳았다.[6] 히르카누스 2세와 아리스토불로스 2세는 대제사장직과 왕위를 놓고 다투었으며,[6] 이는 나바테아 왕 아레타스 3세의 도움을 받는 상황을 야기했고, 스카우루스를 포함한 로마 관리들에게 뇌물을 주는 상황으로 이어졌으며, 결국 폼페이우스의 개입을 불러일으키는 원인이 되었다.[7]
4. 즉위 과정
5. 통치 정책 및 업적
사두개파는 여왕에게 집권 세력으로부터 보호를 요청했다. 살로메 알렉산드라는 모든 당파 간의 갈등을 피하고자 예루살렘에서 사두개파를 제거하고, 특정 요새 도시에 거주하도록 했다.[10]
살로메 알렉산드라는 군대 규모를 늘리고 수많은 요새를 보급하여, 인접 군주들이 유대 국경의 보호된 도시와 성의 수에 깊은 인상을 받도록 했다. 아들 아리스토불루스를 다마스쿠스 포위전에 보냈으나 별다른 성과를 거두지 못했다.[10] 아르메니아 왕 티그라네스 2세가 시리아의 셀레우코스 왕조를 공격하자 사절을 보내 우호 관계를 확인했다. 티그라네스는 로마 공화정과의 전쟁 때문에 귀국했다(기원전 69년경).[10]
랍비 자료는 살로메 알렉산드라 시대에 유대 지역이 누렸던 번영을 칭찬한다. 탈무드에 따르면, 그녀의 통치 기간 동안 비가 안식일(금요일) 밤에만 내려 노동자들이 임금을 잃는 일이 없었다. 토지의 비옥함은 매우 커서 밀알은 강낭콩만큼, 귀리는 올리브만큼, 렌즈콩은 금 데나리우스만큼 크게 자랐다. 현자들은 이 곡물 표본을 수집하여 율법에 순종하는 것의 보상과 경건함이 무엇을 이룰 수 있는지를 후세에게 보여주기 위해 보존했다.[12] 기록에 따르면, "간 크기의 밀 이삭, 올리브 열매 정도의 보리 열매", "금 알갱이 같은 렌즈콩" 등 풍부한 수확물 덕분에 백성들은 부유한 생활을 했다고 한다.
5. 1. 바리새파와의 화해와 산헤드린 재건
살로메 알렉산드라는 남편 알렉산드로스 얀나이오스의 유언에 따라 바리새파와 화해했다.[11] 산헤드린 의장으로 이집트에 망명해 있던 바리새파 지도자 시몬 벤 세타를 불러들였다.[10]
알렉산드라는 산헤드린을 재조직하여 바리새파에게 사법권과 종교 문제에 대한 권한을 부여했다. 맏아들 히르카누스 2세를 대제사장에 임명하여 바리새파의 지지를 더욱 공고히 했다. 이러한 조치는 하스몬 왕조에 대한 바리새파의 지지를 얻어내고 국내 안정을 도모하기 위한 것이었다.[11]
그러나 이러한 화해 정책은 사두개파의 반발을 샀다. 바리새파는 얀나이오스 시절 자신들을 탄압한 사람들에게 보복했고, 이에 반발한 사두개파는 아리스토불로스를 중심으로 결집했다. 알렉산드라는 이들에게 히르카니아, 알렉산드리온, 마케루스를 제외한 요새의 수비를 맡기며 달랬다.
5. 2. 내정 및 외교 정책
사두개파는 여왕에게 집권 세력으로부터 보호해 달라고 청원했다. 모든 당파 간의 갈등을 피하려 했던 살로메 알렉산드라는 예루살렘에서 사두개파를 제거하고, 그들의 거주를 위해 특정 요새 도시를 할당했다.[10]
살로메 알렉산드라는 군대의 규모를 늘리고, 수많은 요새를 신중하게 보급하여 인접 군주들이 유대 국경에 접한 보호된 도시와 성의 수에 깊은 인상을 받도록 했다. 그녀는 아들 아리스토불루스를 군대와 함께 다마스쿠스로 보내 프톨레마이오스 메나이오스에게 포위되어 있는 다마스쿠스를 포위하게 했으나, 이 원정은 별다른 성과를 거두지 못했다고 전해진다.[10]
아르메니아의 왕 티그라네스 2세가 시리아의 셀레우코스 왕조 지배를 목표로 진군해 오자, 사절을 보내 우호 관계를 확인했다. 결국 티그라네스는 로마 공화정과의 전쟁 때문에 귀국하여 무사히 끝났다.(기원전 69년경)[10]
5. 3. 경제적 번영
랍비 자료는 살로메 알렉산드라 시대에 유대 지역이 누렸던 번영에 대해 칭찬하는 어조로 언급하고 있다. 탈무드(타아니트 23a; 시프라, 후캇, i. 110)에 따르면, 그녀의 통치 기간 동안, 그녀의 경건함에 대한 보상으로, 비가 안식일(금요일) 밤에만 내려 노동자들이 일하는 시간에 비가 내려 임금을 잃는 일이 없었다고 한다. 토지의 비옥함은 매우 커서, 밀알은 강낭콩만큼 크게 자랐고, 귀리는 올리브만큼, 렌즈콩은 금 데나리우스만큼 크게 자랐다. 현자들은 이 곡물 표본을 수집하여 율법에 순종하는 것의 보상과 경건함이 무엇을 이룰 수 있는지를 후세에게 보여주기 위해 보존했다.[12] 기록에 따르면, "간 크기의 밀 이삭, 올리브 열매 정도의 보리 열매", "금 알갱이 같은 렌즈콩" 등 풍부한 수확물 덕분에 백성들은 부유한 생활을 했다고 한다.
6. 아리스토불로스 2세의 반란과 알렉산드라의 죽음
알렉산드라가 중병에 걸리자, 아리스토불로스 2세는 아가바로 탈출하여 파라이스테스의 보호를 받았다. 아리스토불루스는 바리새파의 전횡을 싫어하여 권력 탈취를 위해 거병했다. 아리스토불루스에게 속속 합류자가 나타나, 예루살렘의 원로단과 히르카누스 2세는 당황했다. 그들은 알렉산드라의 결정을 구했지만, 알렉산드라는 그들이 득책이라고 생각하는 수단을 따르면 된다고 말하며, 자신은 체력도 다해 국사에 마음을 쓸 수도 없다고 말했다.
알렉산드라는 곧 72세로 사망했다.
7. 평가 및 유산
요세푸스는 살로메 알렉산드라를 히브리어 이름 대신 그리스어 이름인 "알렉산드라"(Ἀλεξάνδρα)로만 언급하는데, 이는 하스몬 왕조에서 알려진 유일한 여성 그리스 이름이다. 살로메의 손녀들도 이 이름을 사용했다. 그러나 랍비 문헌은 알렉산드라라는 이름 대신 다양한 셈족 이름으로 그녀를 지칭한다. 사해 문서의 4Q331 및 4Q332를 포함한 여러 텍스트에서는 알렉산드라를 "셸람치온"(שלמציון)으로 식별했다.[4]
"슐로므치온"(שלומציון|슐롬치온he)은 현대 이스라엘에서 여성 이름으로 사용되기도 한다. 특히, 이스라엘 작가 아모스 케난은 그의 딸에게 이 이름을 지어주었다.
팔레스타인 위임통치령 시대 예루살렘의 주요 거리는 조지 5세와 메리 오브 테크의 외동딸인 메리 공주 거리로 불렸다.[13] 이스라엘 건국 이후, 이 거리는 유대인 여왕을 기념하기 위해 "슐로므치온 여왕 거리"로 이름이 변경되었다. 이러한 거리 이름은 텔아비브와 라마트 간에도 존재한다.
1977년 크네세트 선거에서 아리엘 샤론은 케난의 조언을 받아 그의 새 정치 정당 이름을 "슐로므치온"으로 지었다(이후 리쿠드와 합병).
유대 사막의 표범들을 주의 깊게 관찰한 이스라엘 동물학자들은 삶, 짝짓기, 새끼에 대한 수년간의 집중적인 연구를 거친 암컷 표범에게 "슐로므치온"이라는 이름을 붙였다. 1996년, 그녀는 체엘림 시내에서 노령으로 사망한 채 발견되었다.[14][15]
8. 중세 문헌에서의 묘사
일부 중세 예수의 생애를 다룬 대체 기독교 문헌인 ''톨레도트 예슈''에 따르면, 살로메 알렉산드라는 나자렛 예수가 죽은 시기를 150년 앞당겨 예수와 연관되어 묘사된다.[16]
참조
[1]
서적
Queen Salome: Jerusalem's Warrior Monarch of the First Century B.C.
https://books.google[...]
McFarland
[2]
문서
[3]
문서
[4]
서적
A History of the Hasmonean State: Josephus and Beyond
https://www.worldcat[...]
Bloomsbury T&T Clark, an imprint of Bloomsbury Publishing Plc
2016
[5]
서적
Rabbinic Law in Its Roman and Near Eastern Context
https://books.google[...]
Mohr Siebeck
2003
[6]
문서
[7]
문서
[8]
웹사이트
Aristobulus I
http://www.jewishenc[...]
[9]
문서
[10]
웹사이트
The Peace of Zion
http://archive.archa[...]
the Archaeological Institute of America
2010
[11]
서적
Antiquities
[12]
웹사이트
"#kidneybeans"
https://www.geni.com[...]
geni
2003
[13]
웹사이트
1940 photo of Princess Mary Street with Rex Cinema in background, West Jerusalem on the Alamy website
https://www.alamy.co[...]
[14]
뉴스
האיש שתיעד את הנמרים האחרונים בעין גדי
https://www.ynet.co.[...]
2022-01-04
[15]
웹사이트
בלי להותיר עקבות: האם נמרים עדיין חיים בארץ?
https://www.makorris[...]
2019-12-02
[16]
서적
Jesus in the Jewish Tradition
Macmillan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