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베르누스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베르누스호는 고대 로마인들에게 하데스로 들어가는 입구로 여겨진 호수이다. 로마 작가들은 지하 세계를 지칭하는 데 사용했으며, 베르길리우스의 《아이네이스》와 히기누스의 《신화집》 등에서 지하 세계로 가는 통로로 묘사된다. 로마 시대에는 해군 기지로 개조되었고, 쿰아이와 코체이오 동굴을 통해 연결되었다. 이탈리아 시대에는 부르봉 왕가가 소유했으며, 1991년 카르딜로 가문에 매각되었다. 2010년에는 마피아 연루 의혹으로 압수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캄파니아주의 지리 - 나폴리 광역시
나폴리 광역시는 이탈리아 캄파니아주에 위치하며, 인구 밀도가 높고 베수비오산과 가깝고, 563억 유로의 총 광역 생산액을 기록하며 폼페이, 카프리의 푸른 동굴 등의 관광 명소를 포함한다. - 캄파니아주의 지리 - 볼투르노강
볼투르노강은 이탈리아 아펜니노산맥에서 발원하여 티레니아해로 흘러드는 175km 길이의 강으로, 고대 로마 시대부터 군사적으로 중요했으며, 볼투르눔 식민지, 볼투르노 전투, 볼투르노 선 등 역사적 사건과 관련이 있다. - 이탈리아의 호수 - 코모호
코모호는 이탈리아 북부에 있는 Y자 모양의 호수로, 라리오라고도 불리며, 알프스 산맥과 인접해 있고 관광지로 유명하다. - 이탈리아의 호수 - 가르다호
가르다호는 이탈리아 북부 알프스산맥과 포강 평원 사이에 있는 구석기 시대 빙하호로, 로마 시대에는 베나쿠스로 불렸으며 지중해성 기후와 풍부한 생물 다양성, 매력적인 주변 도시들로 관광 산업이 발달했다. - 캄파니아주의 유적 - 헤르쿨라네움
헤르쿨라네움은 이탈리아 에르콜라노에 위치한 고대 로마 도시로, 오스칸족이 건설한 후 로마의 무니키피움이 되었으나 79년 베수비오 화산 폭발로 묻혀 1709년에 발견되어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지정되었으며, 파피루스의 빌라 등 다양한 유적을 통해 고대 로마 도시의 모습을 보여준다. - 캄파니아주의 유적 - 폼페이
기원전 79년 베수비오 화산 폭발로 멸망한 폼페이는 로마 식민지로서 번영을 누렸으나 화산재에 묻혀 보존되면서 고대 로마 사회상을 보여주는 유적이 되었고 현재는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되었다.
| 아베르누스호 | |
|---|---|
| 개요 | |
| 이름 | 아베르누스 호 |
| 원어명 | 라고 다베르노 (Lago d'Averno, 이탈리아어) |
| 유형 | 분화구 호 |
| 위치 | 이탈리아 |
| 어원 | 고대 그리스어로 "새가 없는"을 의미하는 Ἄορνος (Áornos)에서 유래. 고대에는 유독한 유황 가스로 인해 새들이 날아다니지 못한다고 여겨졌음. |
![]() | |
| 지리 | |
| 위치 | 캄파니아주, 캄피 플레그레이 지역 |
| 좌표 | 40° 50′ 18″ N 14° 04′ 30″ E |
| 둘레 | 4km |
| 면적 | 알려진 바 없음 |
| 최대 깊이 | 60m |
| 표고 | 1m |
| 역사 및 문화 | |
| 신화 | 고대 로마인들은 이곳을 하데스로 들어가는 입구로 여겼음. 아이네이스에서 아이네이아스는 시빌의 도움을 받아 아베르누스를 통해 지하 세계로 내려감. |
| 고대 로마 | 기원전 37년, 마르쿠스 아그리파는 아베르누스를 해군 기지로 사용하기 위해 포르투스 율리우스와 연결함. 호수 주변 지역은 휴양지로 개발되었고, 빌라와 온천이 건설됨. |
| 현재 | 현재는 관광지로 개발되어 있음. |
2. 로마 시대
기원전 37년, 로마의 장군 마르쿠스 빕사니우스 아그리파는 아베르누스호를 옥타비아누스의 이름을 따서 ''포르투스 율리우스''라는 해군 기지로 개조했다. 이 기지는 인근 호수인 루크리누스 호와 운하로 연결되었고, 다시 바다로 이어졌다. 또한 호숫가는 쿰아이라는 그리스 식민지와 코체이오 동굴(Grotta di Cocceio)로 알려진 지하 통로를 통해 연결되었다. 이 동굴은 길이가 약 1km에 달했고 전차가 다닐 수 있을 정도로 넓었으며, 세계 최초의 주요 도로 터널 중 하나로 평가받는다. 이 터널은 1940년대까지 사용되었다.
2. 1. 신화와 문학 속 아베르누스 호
로마인들에게 아베르누스호는 하데스로 들어가는 입구로 여겨질 만큼 중요한 장소였다. 로마 작가들은 종종 이 호수의 이름을 지하 세계와 같은 의미로 사용하기도 했다. 베르길리우스의 서사시 《아이네이스》에서는 주인공 아이네아스가 호수 근처의 동굴을 통해 지하 세계로 내려가는 장면이 묘사된다. 또한 히기누스의 《신화집》에서는 오디세우스 역시 이곳을 통해 저승으로 가서, 키르케의 궁궐에서 실종된 동료 엘페노르를 만나는 이야기가 나온다.[1]이러한 신화적 인식에도 불구하고, 로마인들은 호숫가에 별장과 포도원을 건설하며 정착했다. 호수를 의인화한 신 deus Avernusla는 호숫가에 세워진 신전에서 숭배를 받았다. 호수 동쪽 기슭에는 대형 목욕탕 유적이 남아있다.
3. 이탈리아 시대
부르봉 왕가가 나폴리 왕국을 통치하던 시기, 이 호수는 1750년까지 왕가의 소유였다. 이후 여러 귀족 가문을 거쳐 1991년 카르딜로 가문에 매각되었으나, 2010년 소유주가 마피아 조직인 카살레시 클란과 연루된 혐의로 호수를 포함한 주변 55ha 면적의 토지가 압수되었다.[2] 한편, 근대 이전 이탈리아 지리학자들은 이 호수를 1538년 몬테 누오보 화산 분화로 파괴된 인근 마을 트리페르골라의 이름을 따 Lago di Tripergola|트리페르골라 호수it라고 불렀다.[3][4][5][6]
3. 1. 트리페르골라 호수
근대 이전 시대에 이탈리아 지리학자들은 아베르누스 호수를 'Lago di Tripergolait'(트리페르골라 호수)라고 불렀다.[3][4][5] 이 이름은 1538년 몬테 누오보 화산 분화로 파괴된 인근 마을 트리페르골라에서 유래했다.[6]부르봉 왕가의 일원이 나폴리 왕국을 통치하던 시기, 부르봉가는 1750년까지 이 호수를 소유했다. 이후 호수는 다른 귀족 가문에 넘어갔고, 1991년에는 카르딜로 가문에 매각되었다. 2010년, 호수와 호숫가 식당, B&B, 디스코텍을 포함한 55ha 면적의 토지가 경찰에 의해 압수되었다. 이는 소유주가 마피아 조직 카살레시 클란의 자금 관리책으로 기소되었기 때문이다.[2]
3. 2. 마피아 연루 의혹
부르봉 왕가는 1750년까지 이 호수를 소유했으며, 이후 여러 귀족 가문을 거쳐 1991년 카르딜로 가문에 매각되었다. 2010년, 호수와 호숫가 식당, B&B, 디스코텍 등을 포함한 55ha 면적의 토지가 경찰에 압수되었다. 이는 당시 소유주가 마피아 조직인 카살레시 파의 위장 사업주(프론트맨)라는 혐의로 기소되었기 때문이다.[2]참조
[1]
문서
fabulae 125
[2]
뉴스
Italian police seize land around Lake Avernus on suspicion of mafia links
https://www.theguard[...]
The Guardian
2010-07-11
[3]
서적
Dictionnaire mythologique universel
https://books.google[...]
F. Didot frères
[4]
서적
The Edinburgh Encyclopædia
https://books.google[...]
[5]
서적
Geographiæ et Hydrographiæ Reformatæ Libri duodecim.
https://books.google[...]
ex typographia Haeredis Victorii Benatii
[6]
간행물
The Quarterly journal of science, literature and art
https://books.googl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