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산군 (선거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산군 (선거구)는 1948년 제헌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신설되어, 1973년 제9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천안시·천원군 선거구와 통합되어 폐지된 대한민국 국회의원 선거구이다. 역대 국회의원으로는 서용길, 이규갑, 홍순철, 이민우, 성기선, 이영진, 김세배 등이 있다. 선거 결과는 각 선거별로 당선자와 득표율을 포함한 정보를 제공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산시의 정치 - 아산시 (선거구)
아산시 선거구는 1995년 아산시 출범과 함께 설치되어 제19대 국회의원 선거까지 존재했으며, 제20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아산시 갑, 아산시 을로 분구되면서 폐지되었다. - 아산시의 정치 - 아산시장
아산시장은 충청남도 아산시의 행정 수반으로, 아산군과 온양시 통합 이후 8명의 시장이 시정을 운영해 왔으며, 본 페이지는 역대 군수 및 시장들의 재임 기간과 시정 구호, 방침을 상세히 정리하고 있다. - 충청남도의 폐지된 선거구 - 공주시·연기군
공주시·연기군은 2000년 제16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공주시 선거구와 연기군 선거구가 통합되어 2000년부터 2012년까지 존속했던 대한민국 국회의원 선거구였으나, 2012년 연기군 지역이 세종특별자치시로 편입되면서 폐지되었다. - 충청남도의 폐지된 선거구 - 아산시 (선거구)
아산시 선거구는 1995년 아산시 출범과 함께 설치되어 제19대 국회의원 선거까지 존재했으며, 제20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아산시 갑, 아산시 을로 분구되면서 폐지되었다. - 1973년 폐지된 대한민국 선거구 - 부여군 (1963년 선거구)
부여군(1963년 선거구)은 1963년 신설되어 1971년 폐지된 선거구로, 제6대와 제7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민주공화당 김종필이, 제8대 선거에서는 신민당에서 민주공화당으로 당적을 변경한 이상익이 당선되었으며, 1968년 재보궐선거에서는 신민당 이상익이 당선되는 이변이 있었다. - 1973년 폐지된 대한민국 선거구 - 동대문구 을 (1958년 선거구)
동대문구 을 선거구는 1958년 신설되어 1963년 양주군 구리면 일부가 편입되기도 했으나 1973년 동대문구 갑 선거구와 통합되어 폐지되었으며, 이영준, 장준하, 유옥우 등이 국회의원으로 당선되었다.
아산군 (선거구) - [선거구 정보]에 관한 문서 | |
---|---|
선거구 정보 | |
이름 | 아산군 |
의회 | 국회 |
큰 지도 | 충청남도 |
연도 | 1948년 |
폐지 | 1973년 |
유형 | 국회 |
이후 선거구 | 천안시·천원군·아산군 |
의원 수 | 1인 |
2. 역사
1948년 제헌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아산군 전 지역을 관할하는 선거구로 신설되었다.
1973년 제9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천안시·천원군 선거구와 통합, 천안시·천원군·아산군 선거구가 됨에 따라 폐지되었다.
3. 역대 국회의원
선거 정당 의원 1948년 무소속 서용길 1950년 대한국민당 이규갑 1954년 자유당 홍순철 1958년 자유당 이민우 1960년 민주당 성기선 1963년 민주공화당 이영진 1967년 민주공화당 이민우 1971년 민주공화당 김세배
3. 1. 역대 국회의원 목록
선거 | 정당 | 의원 |
---|---|---|
1948년 | 무소속 | 서용길 |
1950년 | 대한국민당 | 이규갑 |
1954년 | 자유당 | 홍순철 |
1958년 | 자유당 | 이민우 |
1960년 | 민주당 | 성기선 |
1963년 | 민주공화당 | 이영진 |
1967년 | 민주공화당 | 이민우 |
1971년 | 민주공화당 | 김세배 |
4. 역대 선거 결과
대한민국 제헌 국회의원 선거부터 1971년 대한민국 제8대 국회의원 선거까지 아산군 선거구에서 실시된 역대 국회의원 선거 결과는 다음과 같다.
- 대한민국 제헌 국회의원 선거: 무소속 서용길 후보 당선
- 대한민국 제2대 국회의원 선거: 대한국민당 이규갑 후보 당선
- 1954년 대한민국 제3대 국회의원 선거: 자유당 홍순철 후보 당선
- 대한민국 제4대 국회의원 선거: 자유당 이민우 후보 당선
- 1960년 대한민국 제5대 국회의원 선거: 민주당 성기선 후보 당선
- 대한민국 제6대 국회의원 선거: 민주공화당 이영진 후보 당선
- 대한민국 제7대 국회의원 선거: 민주공화당 이민우 후보 당선
- 대한민국 제8대 국회의원 선거: 민주공화당 김세배 후보 당선
4. 1. 대한민국 제헌 국회의원 선거 (1948년)
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서용길 | 무소속 | 13,453 | 26.98% |
이영진 | 무소속 | 9,897 | 19.84% |
이종형 | 민중당1945 | 7,664 | 15.37% |
윤보선 | 한국민주당 | 7,069 | 14.17% |
이준규 | 대한독립촉성국민회 | 4,337 | 8.69% |
정희복 | 대한독립촉성국민회 | 4,170 | 8.36% |
홍순철 | 대한독립촉성국민회 | 3,270 | 6.55% |
총합 | 49,860 | 100% |
대한민국 제헌 국회의원 선거에서 충청남도 아산군 선거구의 결과는 위 표와 같다. 무소속 서용길 후보가 당선되었다.
4. 2. 대한민국 제2대 국회의원 선거 (1950년)
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이규갑 | 대한국민당 | 8,001 | 16.74% |
채인석 | 대한청년당 | 4,940 | 10.33% |
이정우 | 무소속 | 4,177 | 8.74% |
이만종 | 민주국민당1949 | 3,701 | 7.74% |
김학성 | 무소속 | 3,583 | 7.49% |
홍순철 | 대한독립촉성국민회 | 3,444 | 7.20% |
맹일섭 | 무소속 | 3,113 | 6.51% |
변상복 | 무소속 | 3,039 | 6.35% |
김영상 | 무소속 | 2,775 | 5.80% |
이정진 | 무소속 | 2,426 | 5.07% |
김현문 | 무소속 | 2,426 | 5.07% |
강원식 | 무소속 | 2,412 | 5.04% |
양문환 | 무소속 | 1,557 | 3.25% |
성기선 | 무소속 | 1,539 | 3.22% |
변동규 | 무소속 | 653 | 1.36% |
정희복 | 무소속 | 0 | 0% |
김한익 | 무소속 | 0 | 0% |
대한민국 제2대 국회의원 선거 결과 대한국민당 이규갑 후보가 당선되었다.
4. 3. 대한민국 제3대 국회의원 선거 (1954년)
1954년 대한민국 제3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자유당 홍순철 후보가 당선되었다.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홍순철 | 자유당 | 20,081 | 39.93 |
성기선 | 무소속 | 5,544 | 11.02 |
김홍식 | 무소속 | 4,965 | 9.87 |
원용태 | 무소속 | 4,913 | 9.76 |
홍석영 | 무소속 | 4,440 | 8.82 |
윤상구 | 무소속 | 3,730 | 7.41 |
서용길 | 무소속 | 3,474 | 6.90 |
이규갑 | 민주국민당 | 3,142 | 6.24 |
천웅 | 무소속 | 0 | 0 |
4. 4. 대한민국 제4대 국회의원 선거 (1958년)
대한민국 제4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자유당 이민우 후보가 50.35%의 득표율을 기록하여 당선되었다. 민주당 성기선 후보는 49.64%를 득표하여 낙선하였다.
4. 5. 대한민국 제5대 국회의원 선거 (1960년)
1960년 제5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당 성기선 후보가 당선되었다.
4. 6. 대한민국 제6대 국회의원 선거 (1963년)
대한민국 제6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공화당 이영진 후보가 당선되었다.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
이영진 | 민주공화당 | 15,524 | 29.22 | |
강필선 | 민정당 | 15,208 | 28.62 | |
성기선 | 민주당 | 6,780 | 12.76 | |
서용길 | 자유민주당 | 5,939 | 11.17 | |
이민우 | 국민의당 | 4,867 | 9.16 | |
방주현 | 보수당 | 2,246 | 4.22 | |
성백수 | 정민회 | 1,385 | 2.60 | |
권태근 | 한국독립당 | 1,175 | 2.21 | |
합계 | 53,124 | 100 |
4. 7. 대한민국 제7대 국회의원 선거 (1967년)
대한민국 제7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민주공화당 이민우 후보가 당선되었다.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이민우 | 민주공화당 | 35,750 | 58.54 |
강필선 | 신민당 | 21,357 | 34.97 |
서용길 | 민주당 | 1,665 | 2.72 |
이상혁 | 민중당 | 1,048 | 1.71 |
권태근 | 한국독립당 | 705 | 1.15 |
성백수 | 통일사회당 | 535 | 0.87 |
이민국 | 통한당 | 0 | 0 |
4. 8. 대한민국 제8대 국회의원 선거 (1971년)
1971년에 실시된 대한민국 제8대 국회의원 선거의 충청남도 아산군 지역구 선거 결과는 다음과 같다.
민주공화당 김세배 후보가 52.62%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