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아산군 (선거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산군 (선거구)는 1948년 제헌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신설되어, 1973년 제9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천안시·천원군 선거구와 통합되어 폐지된 대한민국 국회의원 선거구이다. 역대 국회의원으로는 서용길, 이규갑, 홍순철, 이민우, 성기선, 이영진, 김세배 등이 있다. 선거 결과는 각 선거별로 당선자와 득표율을 포함한 정보를 제공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산시의 정치 - 아산시 (선거구)
    아산시 선거구는 1995년 아산시 출범과 함께 설치되어 제19대 국회의원 선거까지 존재했으며, 제20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아산시 갑, 아산시 을로 분구되면서 폐지되었다.
  • 아산시의 정치 - 아산시장
    아산시장은 충청남도 아산시의 행정 수반으로, 아산군과 온양시 통합 이후 8명의 시장이 시정을 운영해 왔으며, 본 페이지는 역대 군수 및 시장들의 재임 기간과 시정 구호, 방침을 상세히 정리하고 있다.
  • 충청남도의 폐지된 선거구 - 공주시·연기군
    공주시·연기군은 2000년 제16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공주시 선거구와 연기군 선거구가 통합되어 2000년부터 2012년까지 존속했던 대한민국 국회의원 선거구였으나, 2012년 연기군 지역이 세종특별자치시로 편입되면서 폐지되었다.
  • 충청남도의 폐지된 선거구 - 아산시 (선거구)
    아산시 선거구는 1995년 아산시 출범과 함께 설치되어 제19대 국회의원 선거까지 존재했으며, 제20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아산시 갑, 아산시 을로 분구되면서 폐지되었다.
  • 1973년 폐지된 대한민국 선거구 - 부여군 (1963년 선거구)
    부여군(1963년 선거구)은 1963년 신설되어 1971년 폐지된 선거구로, 제6대와 제7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민주공화당 김종필이, 제8대 선거에서는 신민당에서 민주공화당으로 당적을 변경한 이상익이 당선되었으며, 1968년 재보궐선거에서는 신민당 이상익이 당선되는 이변이 있었다.
  • 1973년 폐지된 대한민국 선거구 - 동대문구 을 (1958년 선거구)
    동대문구 을 선거구는 1958년 신설되어 1963년 양주군 구리면 일부가 편입되기도 했으나 1973년 동대문구 갑 선거구와 통합되어 폐지되었으며, 이영준, 장준하, 유옥우 등이 국회의원으로 당선되었다.
아산군 (선거구) - [선거구 정보]에 관한 문서
선거구 정보
이름아산군
의회국회
큰 지도충청남도
연도1948년
폐지1973년
유형국회
이후 선거구천안시·천원군·아산군
의원 수1인

2. 역사

1948년 제헌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아산군 전 지역을 관할하는 선거구로 신설되었다.

1973년 제9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천안시·천원군 선거구와 통합, 천안시·천원군·아산군 선거구가 됨에 따라 폐지되었다.

3. 역대 국회의원


3. 1. 역대 국회의원 목록

아산군 역대 국회의원 목록
선거정당의원
1948년무소속서용길
1950년대한국민당이규갑
1954년자유당홍순철
1958년자유당이민우
1960년민주당성기선
1963년민주공화당이영진
1967년민주공화당이민우
1971년민주공화당김세배


4. 역대 선거 결과

대한민국 제헌 국회의원 선거부터 1971년 대한민국 제8대 국회의원 선거까지 아산군 선거구에서 실시된 역대 국회의원 선거 결과는 다음과 같다.

4. 1. 대한민국 제헌 국회의원 선거 (1948년)

후보정당득표수득표율
서용길무소속13,45326.98%
이영진무소속9,89719.84%
이종형민중당19457,66415.37%
윤보선한국민주당7,06914.17%
이준규대한독립촉성국민회4,3378.69%
정희복대한독립촉성국민회4,1708.36%
홍순철대한독립촉성국민회3,2706.55%
총합49,860100%



대한민국 제헌 국회의원 선거에서 충청남도 아산군 선거구의 결과는 위 표와 같다. 무소속 서용길 후보가 당선되었다.

4. 2. 대한민국 제2대 국회의원 선거 (1950년)

후보정당득표수득표율
이규갑대한국민당8,00116.74%
채인석대한청년당4,94010.33%
이정우무소속4,1778.74%
이만종민주국민당19493,7017.74%
김학성무소속3,5837.49%
홍순철대한독립촉성국민회3,4447.20%
맹일섭무소속3,1136.51%
변상복무소속3,0396.35%
김영상무소속2,7755.80%
이정진무소속2,4265.07%
김현문무소속2,4265.07%
강원식무소속2,4125.04%
양문환무소속1,5573.25%
성기선무소속1,5393.22%
변동규무소속6531.36%
정희복무소속00%
김한익무소속00%



대한민국 제2대 국회의원 선거 결과 대한국민당 이규갑 후보가 당선되었다.

4. 3. 대한민국 제3대 국회의원 선거 (1954년)

1954년 대한민국 제3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자유당 홍순철 후보가 당선되었다.

후보정당득표수득표율(%)
홍순철자유당20,08139.93
성기선무소속5,54411.02
김홍식무소속4,9659.87
원용태무소속4,9139.76
홍석영무소속4,4408.82
윤상구무소속3,7307.41
서용길무소속3,4746.90
이규갑민주국민당3,1426.24
천웅무소속00


4. 4. 대한민국 제4대 국회의원 선거 (1958년)

대한민국 제4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자유당 이민우 후보가 50.35%의 득표율을 기록하여 당선되었다. 민주당 성기선 후보는 49.64%를 득표하여 낙선하였다.

후보정당득표수득표율 (%)
이민우자유당27,71350.35
성기선민주당27,32349.64
합계55,036100


4. 5. 대한민국 제5대 국회의원 선거 (1960년)

1960년 제5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당 성기선 후보가 당선되었다.

후보정당득표수득표율(%)
성기선민주당34,65958.42
성인기무소속10,18617.17
서용길무소속10,13517.08
김안기무소속4,3387.31
합계59,318100.00


4. 6. 대한민국 제6대 국회의원 선거 (1963년)

대한민국 제6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공화당 이영진 후보가 당선되었다.

후보정당득표수득표율(%)
이영진민주공화당15,52429.22
강필선민정당15,20828.62
성기선민주당6,78012.76
서용길자유민주당5,93911.17
이민우국민의당4,8679.16
방주현보수당2,2464.22
성백수정민회1,3852.60
권태근한국독립당1,1752.21
합계53,124100


4. 7. 대한민국 제7대 국회의원 선거 (1967년)

대한민국 제7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민주공화당 이민우 후보가 당선되었다.

후보정당득표수득표율(%)
이민우민주공화당35,75058.54
강필선신민당21,35734.97
서용길민주당1,6652.72
이상혁민중당1,0481.71
권태근한국독립당7051.15
성백수통일사회당5350.87
이민국통한당00


4. 8. 대한민국 제8대 국회의원 선거 (1971년)

1971년에 실시된 대한민국 제8대 국회의원 선거충청남도 아산군 지역구 선거 결과는 다음과 같다.

후보정당득표수득표율
김세배민주공화당30,38252.62%
황명수신민당26,82446.46%
이상혁국민당5290.91%
합계57,735100%



민주공화당 김세배 후보가 52.62%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