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아슈르-나시르-팔 1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슈르-나시르-팔 1세는 고대 아시리아의 왕으로, 그의 통치 기간에 대한 기록은 단편적으로 남아 있다. 왕실 찬가에 따르면 그는 이쉬타르 여신의 숭배를 회복했으며, 이쉬타르 여신이 그를 왕위에 임명했다고 전해진다. 그는 니네베와 아르빌의 이쉬타르에게 헌신했으며, 사원 재건을 통해 여신의 건강 회복을 기원했다. 동기 왕 목록에는 바빌론의 왕과 대립한 것으로 기록되어 있으나, 당시 두 왕국 간의 접촉은 확인되지 않는다. 아슈르-나시르-팔 1세는 지구라트와 아누-아다드 신전 사이에 건축 활동을 벌였으며, 그의 뒤를 이어 아들인 살마네세르 2세가 왕위에 올랐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기원전 11세기 통치자 - 티그라트-필레세르 1세
    티글라트-필레세르 1세는 아시리아 중기 시대의 왕으로, 정복 활동을 통해 아시리아의 위세를 떨쳤으며 중기 아시리아 법전 편찬, 건축 및 문화 부흥을 이끌었으나 말년에는 기근과 아람인의 침입으로 혼란을 겪었다.
  • 기원전 11세기 통치자 - 아슈르-벨-칼라
    아슈르-벨-칼라는 기원전 1083년부터 1074년까지 아시리아를 통치하며 바빌로니아와의 잦은 전쟁, 아슈르 재건, 희귀 동물 수집 등의 활동을 펼친 왕이다.
  • 아시리아 - 아슈르나시르팔 2세
    아슈르나시르팔 2세는 기원전 9세기에 아시리아를 통치하며 정복 사업을 통해 세력을 확장하고, 잔혹한 통치로 악명을 떨쳤으며, 칼후를 새로운 수도로 건설하고 예술 발전을 이끌었다.
  • 아시리아 - 샬마네세르 3세
    샬마네세르 3세는 신아시리아 제국의 왕으로서 영토 확장과 지배력 안정에 기여했으며, 잦은 원정과 카르카르 전투, 예후로부터의 조공, 중앙집권적 통치, 도시 재건 및 예술 장려 등의 업적을 남겼다.
  • 아시리아의 왕 - 아슈르나시르팔 2세
    아슈르나시르팔 2세는 기원전 9세기에 아시리아를 통치하며 정복 사업을 통해 세력을 확장하고, 잔혹한 통치로 악명을 떨쳤으며, 칼후를 새로운 수도로 건설하고 예술 발전을 이끌었다.
  • 아시리아의 왕 - 샬마네세르 3세
    샬마네세르 3세는 신아시리아 제국의 왕으로서 영토 확장과 지배력 안정에 기여했으며, 잦은 원정과 카르카르 전투, 예후로부터의 조공, 중앙집권적 통치, 도시 재건 및 예술 장려 등의 업적을 남겼다.
아슈르-나시르-팔 1세
기본 정보
이름아슈르나시르팔 1세
직함아시리아의 왕
통치 기간기원전 1050년 – 기원전 1031년
이전 통치자샴시-아닷 4세
다음 통치자살마네세르 2세
아버지샴시-아닷 4세
후계중기 아시리아 제국의 왕
아슈르나시르팔 1세의 백색 오벨리스크
백색 오벨리스크. 일반적으로 아슈르나시르팔 2세의 통치 시기로 추정됨.
자녀살마네세르 2세, 아슈르-라비 2세

2. 즉위 배경 및 통치

아슈르-나시르-팔 1세를 기리는 왕실 찬가에는 그가 "아무도 모르는 산에서" 태어났다는 기록이 있는데, 이는 그가 왕위에 오르기 전 망명 생활을 했을 가능성을 시사한다. 다만 이것이 단순히 문학적인 표현일 수도 있다. 찬가는 또한 이쉬타르 여신이 그를 왕위에 임명했다고 전한다.[2]

한편, ''동기 왕 목록''[4]은 아슈르-나시르-팔 1세와 동시대의 바빌론 왕으로 카슈슈-나딘-아히(기원전 1006–1004년경)를 기록하고 있다. 그러나 이 시기에 두 왕국 사이에 실제로 교류가 있었다는 기록은 확인되지 않아, 이는 단순히 연대기 서술상의 목적일 가능성이 있다.[5]

2. 1. 이쉬타르 여신 숭배 회복

아슈르-나시르-팔 1세를 기리는 왕실 찬가에 따르면, 이쉬타르 여신이 그를 왕위에 임명했으며, 그는 이전에 전복되었던 이쉬타르 여신의 숭배를 회복했다고 전해진다.[2] 아슈르바니팔 도서관에 단 하나의 사본만 남아있는 이 찬가는 여신에게 왕의 건강 회복을 간청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왕이 여신을 설득하기 위해 그녀의 사원을 재건하고 헌신한 사실을 언급하며, 특히 니네베의 이쉬타르와 아르빌의 이쉬타르를 마치 별개의 신처럼 부르며 기도한다.[2] 또한, 다른 단편적인 문학적 기도문에서는 여신의 은총에 대한 감사를 표현하고 있다.[3]

3. 아슈르 지역 통치

아슈르-나시르-팔 1세의 치세 동안 아슈르 지역에서는 일부 건축 활동이 이루어졌다.

3. 1. 건축 활동

아슈르-나시르-팔 1세의 궁전에서 짧은 벽돌 비문 하나가 발견되었다.[6] 이 비문은 지구라트아누-아다드 신전 사이 남서쪽 정면에 위치한 건축물에 대한 기록을 담고 있다. 한편, "백색 오벨리스크"[7]는 때때로 아슈르-나시르-팔 1세의 업적으로 여겨지기도 한다. 그러나 오벨리스크에 묘사된 사냥, 군사 원정 등의 내용이 그의 치세에 대해 알려진 사실과 잘 부합하지 않아, 역사학자들은 대체로 그의 후대 동명이인인 아슈르나시르팔 2세의 것으로 보고 있다.[8]

4. 왕위 계승

아슈르-나시르-팔 1세의 뒤를 이어 아들인 살마네세르 2세가 왕위를 계승했다. 살마네세르 2세는 자신의 비문에 아버지 아슈르-나시르-팔 1세를 언급하기도 했다.[9] 이후에는 또 다른 아들인 아슈르-라비 2세가 왕위에 올라 오랜 기간 통치했는데, 이는 그의 왕조가 비교적 안정적으로 이어졌음을 보여준다.

참조

[1] 문서 Khorsabad Kinglist
[2] 간행물 Ištar of Nineveh 2004
[3] 서적 The Prosopography of the Neo-Assyrian Empire, Volume 1, Part I: A The Neo-Assyrian Text Corpus Project
[4] 문서 Synchronistic Kinglist
[5] 서적 A Political History of Post Kassite Babylonia, 1158–722 BC Pontificium Institutum Biblicum
[6] 문서 RIMA 2
[7] 문서 White Obelisk
[8] 서적 The Cambridge Ancient History, Volume II, Part 2, History of the Middle East and the Aegean Region, 1380–1000 BC Cambridge University Press
[9] 문서 RIMA 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