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샬마네세르 3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샬마네세르 3세는 기원전 858년부터 기원전 824년까지 아시리아 제국을 통치한 왕이다. 그의 치세는 동방, 바빌로니아, 메소포타미아, 시리아, 우라르투 등지에 대한 끊임없는 원정으로 특징지어진다. 주요 군사 원정으로는 우라르투 원정, 카르카르 전투, 바빌로니아 원정 등이 있으며, 레반트 지역의 예후에게 조공을 받기도 했다. 그의 업적은 검은 오벨리스크와 쿠르크 석비 등 여러 기록물에 상세히 기록되어 있으며, 특히 검은 오벨리스크는 고대 이스라엘의 모습을 묘사하고 있어 성서 고고학적으로 중요한 가치를 지닌다. 샬마네세르 3세는 말년에 아들 아슈르-다닌-팔의 반란으로 어려움을 겪었으며, 내전 이후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기원전 9세기 통치자 - 아슈르나시르팔 2세
    아슈르나시르팔 2세는 기원전 9세기에 아시리아를 통치하며 정복 사업을 통해 세력을 확장하고, 잔혹한 통치로 악명을 떨쳤으며, 칼후를 새로운 수도로 건설하고 예술 발전을 이끌었다.
  • 기원전 9세기 통치자 - 디도 (카르타고)
    디도는 카르타고를 건설한 전설적인 인물로, 오빠 피그말리온에 의해 남편이 살해된 후 아프리카 해안으로 도망쳐 카르타고를 건국했으며, 베르길리우스의 《아이네이스》에서 아이네이아스와의 비극적인 사랑 이야기가 묘사된다.
  • 아시리아 - 아슈르나시르팔 2세
    아슈르나시르팔 2세는 기원전 9세기에 아시리아를 통치하며 정복 사업을 통해 세력을 확장하고, 잔혹한 통치로 악명을 떨쳤으며, 칼후를 새로운 수도로 건설하고 예술 발전을 이끌었다.
  • 아시리아 - 아슈르바니팔
    아슈르바니팔은 신아시리아 제국의 왕으로, 문화와 예술을 장려하고 니네베에 아슈르바니팔 도서관을 세웠으며, 그의 통치 기간 동안 아시리아는 최대 영토를 확보했으나 그의 사후 제국은 쇠퇴하였다.
  • 아시리아의 왕 - 아슈르나시르팔 2세
    아슈르나시르팔 2세는 기원전 9세기에 아시리아를 통치하며 정복 사업을 통해 세력을 확장하고, 잔혹한 통치로 악명을 떨쳤으며, 칼후를 새로운 수도로 건설하고 예술 발전을 이끌었다.
  • 아시리아의 왕 - 아슈르바니팔
    아슈르바니팔은 신아시리아 제국의 왕으로, 문화와 예술을 장려하고 니네베에 아슈르바니팔 도서관을 세웠으며, 그의 통치 기간 동안 아시리아는 최대 영토를 확보했으나 그의 사후 제국은 쇠퇴하였다.
샬마네세르 3세
기본 정보
이라크 박물관에 있는 "샬마네세르 3세의 왕좌 단"에 묘사된 샬마네세르 3세
통치 기간기원전 859년 – 기원전 824년 (35년)
이전 통치자아슈르나시르팔 2세
다음 통치자샴시-아다드 5세
아버지아슈르나시르팔 2세
어머니물리수-무카니샤트-니누아(?)
출생기원전 893년 – 기원전 891년
사망기원전 824년경
칭호
계승

2. 즉위 이전

아슈르나시르팔 2세의 아들로 태어났으며, 즉위 전의 행적은 자세히 알려져 있지 않다.

3. 통치

샬마네세르 3세는 우라르투를 공격하여 수구니아와 아라슈쿤을 파괴했다.[2] 기원전 853년 카르카르 전투에서 아람-다마스쿠스 왕 하다데제르 연합군과 전투를 벌였으나, 결정적인 결과를 얻지 못하고 이후 레반트 지역을 점령했다.[2] 기원전 851년에는 바빌론 반란을 진압하고, 마르두크-자키르-슈미 1세를 지원했다.[3] 기원전 841년 다마스쿠스를 공격했으나 점령하지 못했고, 이스라엘 왕 예후에게 조공을 받았다.[8] 검은 오벨리스크에는 예후가 조공을 바치는 모습이 묘사되어 있다.[11][12][13] 기원전 836년 타발과 카파도키아를 공격했다.[10] 말년에 샬마네세르 3세는 군 지휘권을 타르탄 다얀-아수르에게 넘겼고, 아들 아수르-다닌-팔의 반란을 겪었으나 또 다른 아들 샴시-아다드 5세가 진압했다.

3. 1. 주요 군사 원정

샬마네세르 3세는 그의 재위 기간 동안 동방의 여러 부족, 바빌로니아, 메소포타미아, 시리아, 키주와트나, 우라르투 등 다양한 지역에 대한 군사 원정을 지속적으로 펼쳤다. 그의 군대는 반 호와 토로스 산맥까지 진출했으며, 카르케미시의 신 히타이트인들에게 공물을 강요하고, 하맛와 아람 다마스쿠스를 평정했다.

샬마네세르 3세의 주요 군사 원정은 다음과 같다.

  • 우라르투 원정: 우라르투 왕국을 공격하여 수구니아와 아라슈쿤 도시를 파괴했다. 이 도시들은 투쉬파가 우라르투의 중심지가 되기 전의 수도였던 것으로 추정된다.
  • 레반트 원정: 기원전 853년, 카르카르 전투에서 아람-다마스쿠스의 왕 하다데제르를 비롯한 여러 통치자들의 연합군과 맞섰다. 이 전투는 결정적인 결과를 내지 못했지만, 이후 샬마네세르 3세는 계속해서 이 지역을 공격하여 레반트 지역을 점령했다.
  • 바빌로니아 원정: 기원전 851년, 바빌론에서 반란이 일어나자 샬마네세르 3세는 반란군을 진압하고 자신의 동맹인 마르두크-자키르-슈미 1세를 지원했다.
  • 이스라엘 원정: 기원전 841년, 하자엘이 통치하던 다마스쿠스를 공격했으나 점령에는 실패했다. 그러나 이스라엘의 예후는 샬마네세르 3세에게 조공을 바쳤다.
  • 타발 원정: 기원전 836년, 타발 지역과 카파도키아로 원정을 떠났다.


기원전 832년에는 우라르투를 상대로 또 다른 원정이 있었다.[10] 이듬해, 샬마네세르 3세는 노령으로 인해 군대 지휘권을 타르탄 다얀-아수르에게 넘겨야 했다. 6년 후, 니네베를 비롯한 여러 도시들이 샬마네세르 3세의 아들 아수르-다닌-팔의 지휘 아래 반란을 일으켰다. 2년간의 내전 끝에, 샬마네세르 3세의 또 다른 아들인 샴시-아다드 5세가 반란을 진압했다. 샬마네세르 3세는 그 직후 사망했다.

마르두크 자키르 슈미 1세(왼쪽)와 인사를 나누는 샬마네세르 3세(오른쪽).


샬마네세르 3세는 통치 후반기에 반란을 겪었음에도 불구하고, 신 아시리아 제국의 영토를 확장하고 하부르와 자그로스 산맥의 산악 국경 지역에 대한 지배력을 안정시키는 데 성공했다.

3. 1. 1. 우라르투 원정

샬마네세르 3세는 우라르투를 상대로 원정을 시작했으며, 기원전 858년에 수구니아 도시를 파괴했고, 기원전 853년에는 아라슈쿤을 파괴했다고 보고했다. 두 도시는 투쉬파가 우라르투인들의 중심지가 되기 전에 우라르투의 수도였을 것으로 추정된다.[2]

3. 1. 2. 레반트 원정 (카르카르 전투)

기원전 853년, 샬마네세르 3세는 아람-다마스쿠스의 왕 하다데제르, 하맛의 왕 이르훌레니, 북이스라엘의 왕 아합, 아랍의 왕 긴디부를 비롯한 여러 통치자들의 연합군과 카르카르 전투에서 맞붙었다.[2] 이 전투의 결과는 결정적이지 않았지만, 샬마네세르 3세는 이후 몇 년 동안 이들과 계속 싸우면서 결국 레반트, 요르단, 시리아 사막을 점령하여 아시리아 제국의 영토를 넓혔다.

카르카르 전투를 기념하는 샬마네세르의 쿠르크 석비


쿠르크 석비는 카르카르 전투와 관련하여 아합 왕을 언급하고 있어, 히브리 성경에 등장하는 통치자의 이름을 언급하는 기념물로서 성서 고고학적으로 중요한 유물이다.[13]

3. 1. 3. 바빌로니아 원정

기원전 851년, 바빌론에서 반란이 일어났다. 샬마네세르 3세는 자신의 동맹이었던 마르두크-자키르-슈미 1세의 동생 마르두크-벨-우샤테를 상대로 원정을 이끌었다.[3] 원정 2년째에 마르두크-벨-우샤테는 후퇴했고, 결국 죽임을 당했다. 이 사건은 검은 오벨리스크에 기록되어 있다.[4]

샬마네세르 3세의 검은 오벨리스크, 기원전 9세기, 이라크 님루드 출토. 영국 박물관 소장

3. 1. 4. 이스라엘 원정 (예후의 조공)

300px


기원전 841년, 샬마네세르 3세는 하닷에제르의 후계자인 하자엘을 상대로 원정을 벌여, 하자엘은 수도 성벽 안으로 피신해야 했다.[7] 샬마네세르 3세는 다마스쿠스를 점령하는 데 실패했지만, 그 영토를 황폐화시켰다.

이스라엘 왕국의 예후페니키아 도시들과 함께 샬마네세르 3세에게 조공을 바쳤는데, 아마도 기원전 841년으로 추정된다.[8] 예후가 샬마네세르 3세에게 조공을 바치는 장면은 검은 오벨리스크에 묘사되어 있다. 검은 오벨리스크는 님루드(고대 칼후)에서 발견된 검은 석회암 부조 조각으로, 고대 이스라엘인의 가장 초기의 모습을 묘사하고 있다는 점에서 역사적으로 중요하다.

검은 오벨리스크의 상단에서 두 번째 레지스터에는 성경의 예후로 추정되는 인물이 묘사되어 있다.[11] 예후페니키아유다와의 동맹을 끊고 아시리아의 신하가 되었다. 여기에는 예후가 기원전 841년경에 공물을 가져오거나 보낸 방법이 묘사되어 있다.[12][13]

장면 위의 캡션은 아시리아 설형 문자로 작성되었으며 다음과 같이 번역할 수 있다.

> "오므리의 아들 예후의 공물: 나는 그로부터 은, 금, 금 그릇, 뾰족한 바닥의 금 꽃병, 금 술잔, 금 양동이, 주석, 왕의 지팡이, 창을 받았다."[13]

검은 오벨리스크에는 예후가 오므리의 아들로 기록되어 있으나, 이는 사실과 다르다.[13]

3. 1. 5. 타발(티바레니) 원정

기원전 836년, 샬마네세르 3세는 티바레니 (타발)를 상대로 원정대를 보냈고, 그 뒤를 이어 카파도키아를 공격했다.[10]

샬마네세르 3세의 원정

3. 2. 내정



샬마네세르 3세는 칼후(성경의 칼라, 현대의 님루드)에 궁전을 지었으며, 자신의 군사 원정을 기록한 여러 판의 왕실 연대기를 남겼다. 그 마지막 판이 칼라에서 발견된 검은 오벨리스크에 새겨져 있다.

검은 오벨리스크는 샬마네세르 3세 통치 기간의 중요한 유물이다. 이 오벨리스크는 북부 이라크님루드(고대 칼후)에서 발견된 검은 석회암 부조 조각이다. 발견된 아시리아 오벨리스크 중 가장 완전한 형태로, 고대 이스라엘인의 가장 초기의 모습을 묘사하고 있다는 점에서 역사적으로 중요하다. 부조 상단과 하단에는 샬마네세르 3세의 연대기를 기록한 긴 설형 문자 비문이 있다. 여기에는 왕과 최고 사령관이 통치 31년까지 매년 수행한 군사 원정이 기록되어 있다. 일부 특징을 볼 때 최고 사령관인 다얀-아슈르가 이 작품을 의뢰했을 가능성이 있다.

상단에서 두 번째 레지스터에는 이스라엘인의 가장 초기의 생존 그림이 포함되어 있는데, 성경예후, 이스라엘 왕국의 왕이다. 예후페니키아유다와의 동맹을 끊고 아시리아의 신하가 되었다. 여기에는 예후가 기원전 841년경에 공물을 가져오거나 보낸 방법이 묘사되어 있다.

"오므리의 아들 예후의 공물: 나는 그로부터 은, 금, 금 그릇, 뾰족한 바닥의 금 꽃병, 금 술잔, 금 양동이, 주석, 왕의 지팡이, 창을 받았다."[13]


이 오벨리스크는 내전이 벌어지던 기원전 825년에 공공 기념물로 세워졌다. 1846년 고고학자 오스틴 헨리 레이어드 경에 의해 발견되었다.

3. 3. 말년과 내전

기원전 836년, 샬마네세르 3세는 티바레니 (타발)를 상대로 원정대를 보냈고, 그 뒤를 이어 카파도키아를 공격했다. 기원전 832년에는 우라르투를 상대로 또 다른 원정이 있었다.[10] 이듬해, 늙은 왕은 그의 군대 지휘권을 타르탄 (최고 사령관) 다얀-아수르에게 넘겨야 했다. 6년 후 니네베와 다른 도시들이 샬마네세르 3세의 아들 아수르-다닌-팔의 지휘 아래 그에게 반란을 일으켰다. 내전은 2년 동안 계속되었지만, 반란은 결국 샬마네세르의 또 다른 아들인 샴시-아다드 5세에 의해 진압되었다. 샬마네세르는 그 직후 사망했다.

샬마네세르는 통치 후반기에 반란이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신아시리아 제국의 영토를 확장하고, 우라르투와 분쟁이 있었던 하부르와 자그로스 산맥의 산악 국경 지역에 대한 지배력을 안정시키는 능력을 입증했다.

4. 샬마네세르 3세의 검은 오벨리스크



검은 오벨리스크는 샬마네세르 3세의 통치 기간 중 중요한 유물이다. 이 오벨리스크는 북부 이라크님루드(고대 칼후)에서 발견된 검은 석회암 부조 조각으로, 발견된 아시리아 오벨리스크 중 가장 완전한 형태를 갖추고 있다. 특히 고대 이스라엘인의 가장 초기의 모습을 묘사하고 있다는 점에서 역사적으로 중요하다.

부조 상단과 하단에는 샬마네세르 3세의 연대기를 기록한 긴 설형 문자 비문이 있다. 여기에는 왕과 최고 사령관이 통치 31년까지 매년 수행한 군사 원정이 기록되어 있으며, 일부 특징으로 볼 때 최고 사령관인 다얀-아슈르가 이 작품을 의뢰했을 가능성이 있다.

상단에서 두 번째 레지스터에는 이스라엘 왕국의 왕 예후가 묘사되어 있는데, 이는 이스라엘인의 가장 초기의 생존 그림이다.[11] 예후페니키아유다와의 동맹을 끊고 아시리아의 신하가 되었다. 오벨리스크에는 예후가 기원전 841년경에 공물을 가져오거나 보낸 장면이 묘사되어 있다.[12][13]

장면 위의 캡션은 아시리아 설형 문자로 작성되었으며, 다음과 같이 번역할 수 있다.

> "오므리의 아들 예후의 공물: 나는 그로부터 은, 금, 금 그릇, 뾰족한 바닥의 금 꽃병, 금 술잔, 금 양동이, 주석, 왕의 지팡이, 창을 받았다."[13]

이 오벨리스크는 내전이 벌어지던 기원전 825년에 공공 기념물로 세워졌으며, 1846년 고고학자 오스틴 헨리 레이어드 경에 의해 발견되었다.

5. 성서 고고학과의 관계

샬마네세르 3세의 통치는 성서 고고학에서 중요한 의미를 갖는데, 그의 기념물 두 개에 구약성경에 등장하는 왕들의 이름이 언급되기 때문이다.[13] 검은 오벨리스크에는 이스라엘 왕국의 왕 예후오므리의 아들로 언급되어 있다(예후는 오므리의 아들이 아니지만, 오므리의 아들로 잘못 알려져 있다).[13] 또한 쿠르크 석비에는 카르카르 전투와 관련하여 아합 왕이 언급되어 있다.

검은 오벨리스크의 두 번째 단에는 이스라엘 왕 예후가 샬마네세르 3세에게 조공을 바치는 장면이 묘사되어 있는데, 이는 고대 이스라엘인의 모습을 보여주는 가장 오래된 사례로 여겨진다.[11] 예후는 페니키아유다와의 동맹을 끊고 아시리아에 조공을 바쳤다. 캡션에는 아시리아 쐐기 문자로 다음과 같이 기록되어 있다.

"오므리의 아들 예후의 공물: 나는 그로부터 은, 금, 금 그릇, 뾰족한 바닥의 금 꽃병, 금 술잔, 금 양동이, 주석, 왕의 지팡이, 창을 받았다."[13]

6. 평가

샬마네세르 3세는 강력한 군사력을 바탕으로 아시리아 제국의 영토를 크게 확장한 왕으로 평가받는다. 그의 장기간 통치는 동방 여러 부족, 바빌로니아, 메소포타미아, 시리아, 키주와트나, 우라르투 등에 대한 끊임없는 군사 원정으로 이어졌다. 그의 군대는 반 호와 토로스 산맥까지 진출했으며, 카르케미시의 신 히타이트에게 공물을 강요하고, 하맛과 아람 다마스쿠스를 평정했다.

특히, 기원전 853년에는 다마스쿠스아람인 왕 하닷에제르, 하맛 왕 이르훌레니, 이스라엘아합, 아랍의 왕 긴디부 등 11명의 왕들이 연합하여 카르카르 전투에서 샬마네세르 3세와 맞섰다. 이 전투의 결과는 결정적이지 않았지만, 아시리아 제국은 최종적으로 레반트 지역을 점령하는 데 성공했다.

샬마네세르 3세의 군사 원정은 주변 국가들에게 큰 영향을 미쳤으며, 특히 이스라엘과의 관계는 주목할 만하다. 검은 오벨리스크에는 이스라엘의 왕 예후가 샬마네세르 3세에게 무릎 꿇고 조공을 바치는 장면이 묘사되어 있는데, 이는 "고대 오리엔트 미술에서 현존하는 유일한 이스라엘 또는 유대인 군주의 초상"으로 평가받는다.[14] 또한, 쿠르크 석비에는 카르카르 전투에 참전한 아합 왕에 대한 언급이 있어, 성경 기록과 교차 검증되어 역사적 신뢰성을 높이는 데 기여한다.
한국의 관점 (중도진보적 관점): 샬마네세르 3세의 통치는 고대 근동 지역의 패권 다툼과 강대국의 팽창 정책을 보여주는 사례로, 강대국 중심의 국제 질서와 그로 인한 약소국의 어려움을 이해하는 데 시사점을 준다.

7. 갤러리



샬마네세르 3세의 검은 오벨리스크, 대영 박물관


위대한 왕, 세상의 왕, 아시리아의 왕, 강한 왕, 샬마네세르 3세 아수르 나시르 아블리(2세)의 아들, 아시리아의 왕 토클티 니노르타(2세)의 아들, 세상의 왕 아시리아의 왕, 킬코 도시의 왕, 지구라트 건축... 샬마네세르 3세의 점토 벽돌에 새겨진 설형 문자 '''에르빌 문명 박물관'''

참조

[1] 웹사이트 Black Obelisk of Shalmaneser II http://mcadams.posc.[...] Mcadams.posc.mu.edu 2012-10-26
[2] 서적 The Socio-Economic Organisation of the Urartian Kingdom Brill
[3] 간행물 Mesopotamian Chronicles Atlanta
[4] 문서 Black Obelisk
[5] 서적 Neo-Assyrian Historical Inscriptions and Syria-Palestine: Israelite/Judean-Tyrian-Damascene Political and Commercial Relations in the Ninth-Eighth Centuries BCE https://books.google[...] Wipf and Stock Publishers 2016
[6] 서적 Assyrian Reliefs from the Palace of Ashurnasirpal II: A Cultural Biography https://books.google[...] UPNE 2010
[7] 서적 Ancient Syria: A Three Thousand Year History https://books.google[...] OUP Oxford 2014-03-06
[8] 서적 Righteous Jehu and His Evil Heirs: The Deuteronomist's Negative Perspective on Dynastic Succession https://books.google[...] OUP Oxford 2007-11-22
[9] 문서 Ancient Iraq
[10] 서적 The Encyclopædia Britannica: A Dictionary of Arts, Sciences, Literature & General Information https://books.google[...] Encyclopædia Britannica Company, Limited 1926
[11] 서적 Assyrian Reliefs from the Palace of Ashurnasirpal II: A Cultural Biography https://books.google[...] UPNE 2010
[12] 서적 Neo-Assyrian Historical Inscriptions and Syria-Palestine: Israelite/Judean-Tyrian-Damascene Political and Commercial Relations in the Ninth-Eighth Centuries BCE https://books.google[...] Wipf and Stock Publishers 2016
[13] 서적 Assyrian Reliefs from the Palace of Ashurnasirpal II: A Cultural Biography https://books.google[...] UPNE 2010
[14] 문서 Black Obelisk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