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티그라트-필레세르 1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티그라트-필레세르 1세는 기원전 1115년에 즉위한 아시리아의 왕으로, 아시리아의 가장 위대한 정복자 중 한 명으로 평가받는다. 그는 아나톨리아의 후르리인 소국들을 정복하고 유프라테스 강을 넘어 지중해에 도달하여 아시리아 왕 최초로 지중해에 도달했다. 그는 "우주의 타의 추종을 불허하는 왕"이라고 자칭하며, 정복한 백성들에게 잔혹함을 보이고 인질을 요구하는 등 정치적 도구로 활용했다. 티글라트-필레세르 1세는 42개국을 정복했으며, 아람인의 침입으로 인해 통치 후반에는 혼란을 겪었으며, 기원전 1077년에 암살되었다. 그의 업적은 다양한 비문과 연대기를 통해 기록되어 있으며, 세계 최초로 보존된 연대기 중 하나로 평가받는 프리즘이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기원전 11세기 통치자 - 아슈르-나시르-팔 1세
    아슈르-나시르-팔 1세는 아슈르-라비 1세의 뒤를 이어 고대 아시리아의 왕이 되었으며, 아슈르 신전 재건과 도시 방어 시설 강화, 그리고 왕실 찬가들을 통해 그의 업적과 권위를 확인할 수 있는 인물이다.
  • 기원전 11세기 통치자 - 아슈르-벨-칼라
    아슈르-벨-칼라는 기원전 1083년부터 1074년까지 아시리아를 통치하며 바빌로니아와의 잦은 전쟁, 아슈르 재건, 희귀 동물 수집 등의 활동을 펼친 왕이다.
  • 기원전 12세기 통치자 - 람세스 3세
    람세스 3세는 기원전 1186년부터 1155년까지 이집트를 통치한 제20왕조의 파라오로, 해양 민족과 리비아인의 침입을 막아 이집트의 안정을 유지했지만 통치 말기 경제적 어려움과 암살로 비극적인 최후를 맞이했으며, 메디넷 하부 신전 등의 건축 사업을 통해 업적을 기념했다.
  • 기원전 12세기 통치자 - 프리아모스
    프리아모스는 호메로스의 《일리아스》에 등장하는 트로이의 마지막 왕으로, 헥토르, 파리스, 카산드라 등을 자녀로 두었으며 트로이 함락 때 네오프톨레모스에게 살해당한다.
  • 아시리아 - 아슈르나시르팔 2세
    아슈르나시르팔 2세는 기원전 9세기에 아시리아를 통치하며 정복 사업을 통해 세력을 확장하고, 잔혹한 통치로 악명을 떨쳤으며, 칼후를 새로운 수도로 건설하고 예술 발전을 이끌었다.
  • 아시리아 - 샬마네세르 3세
    샬마네세르 3세는 신아시리아 제국의 왕으로서 영토 확장과 지배력 안정에 기여했으며, 잦은 원정과 카르카르 전투, 예후로부터의 조공, 중앙집권적 통치, 도시 재건 및 예술 장려 등의 업적을 남겼다.
티그라트-필레세르 1세
기본 정보
티글라트-필레세르 1세의 바위 부조
원어 이름언어: 아카드어
표기: }}
음역: Tukultī-apil-Ešarra
통치
칭호아시리아의 왕
세계 사방의 왕
재위 기간기원전 1114년 – 기원전 1076년
이전 통치자아슈르-레쉬-이쉬 1세
다음 통치자아샤리드-아팔-에쿠르
가족
자녀아샤리드-아팔-에쿠르
아슈르-벨-칼라
샴시-아다드 4세
출생과 사망
사망기원전 1076년
종교
종교고대 메소포타미아 종교

2. 즉위 이전

아슈르-레쉬-이시 1세의 아들로 태어났으며, 기원전 1115년에 왕위에 올랐다.[5]

3. 주요 업적 및 통치

티그라트-필레세르 1세는 아슈르-레쉬-이시 1세의 아들로, 기원전 1115년에 왕위에 올라 아시리아의 주요 정복자 중 한 명이 되었다.[5] 그는 즉위 후 5년간 대대적인 정복 전쟁을 벌여 아시리아의 영토를 확장했으며, 스스로를 "우주의 타의 추종을 불허하는 왕, 사방의 왕, 모든 왕자의 왕, 영주의 영주... 신 아슈르가 무기를 날카롭게 하고 그의 이름을 사방을 통치하기 위해 영원히 선포한 자... 폭풍우처럼 적대적인 땅을 덮는 훌륭한 불꽃"이라고 칭하며[5] 자신의 잔혹성을 강조하기도 했다. 정복된 백성에 대한 정치적 도구로서 인질(때로는 어린아이)을 요구한 최초의 아시리아 왕이었다.[5]

그의 통치 후반부는 아람 부족민들이 왕국에 압력을 가함에 따라 방어적인 시기였던 것으로 보인다. 기원전 1076년에 사망했고 그의 아들 아샤리드-아팔-에쿠르가 계승했다. 아슈르-벨-칼라와 샴시-아다드 4세 또한 그의 아들이었다.

3. 1. 군사 원정

아슈르-레쉬-이시 1세의 아들인 티그라트-필레세르 1세는 기원전 1115년에 왕위에 올라 아시리아의 가장 위대한 정복자 중 한 명이 되었다.[5] 그는 스스로를 "우주의 타의 추종을 불허하는 왕, 사방의 왕, 모든 왕자의 왕, 영주의 영주... 신 아슈르가 무기를 날카롭게 하고 그의 이름을 사방을 통치하기 위해 영원히 선포한 자... 폭풍우처럼 적대적인 땅을 덮는 훌륭한 불꽃"이라고 칭했다.[5]

그의 첫 번째 원정은 기원전 1112년 무슈쿠를 상대로 한 것이었는데, 그들은 유프라테스 강 상류의 특정 아시리아 지역을 점령하고 있었다. 그 후 코마게네와 동부 카파도키아를 유린하고 히타이트족을 말라티아 북동부에 위치한 아시리아 속주 수바르투에서 몰아냈다.

다음 원정에서 아시리아군은 반 호 남쪽 산맥으로 진입한 후 서쪽으로 방향을 틀어 말라티아의 항복을 받았다. 티글라트-필레세르는 즉위 5년째에 카파도키아의 코마나를 공격하고, 킬리키아 정복을 확보하기 위해 건설한 요새에 구리판에 새겨진 승리 기록을 남겼다.



아람인은 중아시리아 제국 (기원전 1365–1050년)의 지배하에 있던 지역에서 등장하여 유프라테스 강 서쪽에 주로 위치한 아시리아 국가에 빠르게 위협을 가했다. 티글라트-필레세르 1세는 아람 영토에서 많은 원정을 수행했지만, 아시리아 군사 원정이 아람인에 대한 권력이나 지배력을 행사하는 데 성공하지 못했음을 알 수 있다. 일부 학자들은 아람인이 이 시기에 니네베를 점령했다고 믿는다.

지중해로 가는 주요 도로는 유프라테스 강과 사주르의 합류점에 있는 히타이트 도시 피트루를 점령하여 확보되었다. 거기에서 그는 ''구발'' (비블로스), 시돈, 마지막으로 아르바드로 진격하여 배를 타고 지중해로 항해하여 바다에서 ''나히루'' (일각돌고래로 추정)를 죽였다.

티그라트-필레세르 1세는 바빌로니아를 공격하여 Marduk-nadin-ahhe|마르두크 나딘 아헤영어 왕을 격파하고 북부 바빌로니아를 획득하였다.

3. 2. 내치

일반적으로 아슈르에 있는 아슈르와 하닷 신전을 복원한 것이 티그라트-필레세르 1세의 계획 중 하나였다고 여겨진다.[6] 그는 외국의 나무와 식물로 공원과 정원을 조성하도록 지시한 최초의 아시리아 왕 중 한 명으로도 알려져 있다.[6][8]

티그라트-필레세르 1세는 군사 원정에서 돌아와 다양한 동물들의 조각상을 세웠다. 번역된 연대기 텍스트에 따르면 "나히루(바다의 말) 조각상 2개, burhiš 조각상 4개, 현무암으로 만든 사자 4마리, 설화석고로 만든 황소 거상 2마리, 백색 석회암으로 만든 burhiš 조각상 2개를 아슈르 시의 문에 설치했다"고 한다.[8] 이러한 조각상들은 주로 "왕실 입구"를 장식하는 데 사용되었으며, 이 관행은 티그라트-필레세르 1세의 아들 아슈르-벨-칼라가 아버지 사후에 계승했다.[8] 티그라트-필레세르 1세는 백성들이 결코 본 적이 없는 동물 조각상을 세우는 것 외에도, 일부 전쟁 원정에서 야생 황소 송아지와 코끼리를 포함한 살아있는 동물들을 직접 데려왔다.

그의 시대에 "중기 아시리아 법전"이 작성되었다고 여겨진다. 이는 중 아시리아 시대의 아시리아 사회를 아는 데 중요한 정보를 제공하며, 여성에 관한 규정이 많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4. 통치 후반기와 죽음

티글라트-필레세르 1세의 통치 후반기는 아람 부족민들의 압력으로 인해 방어적인 시기였다. 이 시기에 대규모 기근이 발생했고, 아람인의 침입으로 국내가 혼란에 빠졌다.[7] 티글라트-필레세르 1세는 아람 영토에서 여러 차례 원정을 실시했지만, 아시리아 군사 원정이 아람인에 대한 권력이나 지배력을 행사하는 데 성공하지 못했다는 기록이 남아있다. 일부 학자들은 아람인이 이 시기에 니네베를 점령했다고도 한다.[7]

기원전 1076년(혹은 기원전 1077년)에 그는 암살되었으며, 그의 아들 아샤리드-아팔-에쿠르가 왕위를 계승했다.

5. 연대기 및 기록

티글라트-필레세르 1세의 "5년 연대기" 비문은 원통형 비문, 점토판, 8면체 프리즘 등 다양한 형태로 남아있다.[4] 이 기록들은 티글라트-필레세르 1세의 군사 원정, 정복한 지역, 조공으로 받은 물품 등에 대한 상세한 정보를 담고 있다. 예를 들어, A.0.87.i (또는 ''RIMA'' 2)는 8면체 프리즘에 새겨져 있으며, 6개의 군사 작전을 포함하고 있는데, 각 작전은 "나의 계승 연도"로 시작하는 도입부로 구분된다.[4]

티글라트-필레세르 1세의 통치 기간 대부분은 군사 작전과 관련되어 있었기 때문에, 그의 문헌 대부분은 군사 관련 정보를 담고 있다. "나는 나의 즉위 해부터 5년 통치 해까지, 저 멀리 산악 지역의 하부 자브 강 건너편에서 유프라테스 강 건너편, 하티 민족, 서쪽의 상부 해에 이르는 42개국과 그 통치자들을 모두 정복했다."[4]라는 기록에서 볼 수 있듯이, 티글라트-필레세르 1세의 프리즘은 그의 군사 작전을 연도별로 정리한 것으로, 세계 최초로 보존된 연대기 중 하나로 여겨진다.

그의 시대에 "중기 아시리아 법전"이 작성되었다고 여겨진다. 이는 중 아시리아 시대의 아시리아 사회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정보를 제공하며, 특히 여성에 관한 규정이 많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참조

[1] 성경
[2] 서적 Ancient Iraq Penguin Books 1992
[3] 기타 The Collins Encyclopedia of Military History 1993
[4] 논문 Compositional and Editorial Processes of Annalistic and Summary Texts of Tiglath-pileser I https://www.academia[...]
[5] 서적 A Companion to Assyria John Wiley & Sons, Incorporated
[6] 웹사이트 Prism British Museum https://www.britishm[...]
[7] 서적 Encyclopedia of the Bible and Its Reception vol. 2 De Gruyter 2009
[8] 논문 The Hunt is on again! Tiglath-pileser I's and Aššur-bel-kala's nāḫirū-Sculptures in Assur, in: H.D. Baker/K. Kaniuth/A. Otto (eds.), Stories of Long Ago. Festschrift für Michael Roaf. Alter Orient und Altes Testament 397, Münster 2012, 323-338 https://www.academia[...]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