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아이슬란드의 국장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이슬란드의 국장은 하늘색 바탕에 은색 십자가와 그 안에 밝은 빨간색 십자가가 있는 형태이다. 방패는 황소, 거인, 독수리, 용의 네 수호 영(란드베티르)에 의해 지지되며, 주상 절리 현무암판 위에 놓여 있다. 13세기 스노리 스투를루손의 헤임스크링글라에 묘사된 이 수호 영은 아이슬란드를 침략하려던 마법사를 물리쳤다는 전설과 관련이 있으며, 아이슬란드 크로나 동전에도 등장한다. 아이슬란드는 역사적으로 다양한 문장을 사용했으며, 현재의 국장은 1944년 공화국 선포 이후 덴마크 왕관을 제거하고 수호령 디자인을 개정하여 만들어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그리핀 문장 - 크림 공화국의 문장
    크림 공화국의 문장은 붉은 바탕의 은색 그리핀, 진주, 청색과 흰 기둥, 떠오르는 해, "단결 속의 번영" 문구로 구성되어 크림 반도의 역사, 문화, 번영, 그리고 다양한 민족의 단결을 상징하며, 역사적으로 다양한 문장들이 크림 반도의 역사를 반영한다.
  • 아이슬란드의 상징 - 아이슬란드의 국기
    아이슬란드의 국기는 푸른 바탕에 흰색 테두리의 붉은색 십자가가 그려진 깃발로, 1918년 영해에서 공식적으로 사용되기 시작해 1944년 공식 국기로 채택되었으며, 덴마크 국기와 유사하지만 아이슬란드의 독립과 바다, 빙하, 화산을 상징하는 색상을 담고 있다.
  • 아이슬란드의 상징 - 아이슬란드의 국가
    로프송구르는 1874년 아이슬란드 정착 1000주년 기념 축제를 위해 스베인비에른 스베인비에른손이 작곡하고 마티아스 요쿰손이 작사한 아이슬란드의 국가로, 1944년 독립과 함께 공식 국가로 채택되었으나, 넓은 음역대와 종교적 색채로 국가로서의 적합성에 대한 논쟁이 있다.
  • 용 문장 - 부탄의 국장
    부탄의 국장은 두 마리의 용이 여의주를 쥐고 있는 형상으로, 불교 국가인 부탄의 종교적 특성과 왕권을 상징한다.
  • 용 문장 - 러시아의 국장
    러시아의 국장은 러시아를 상징하는 국가 문장으로, 쌍두 독수리와 성 게오르기우스가 용을 물리치는 모습이 주요 구성 요소이며, 모스크바 대공국 시대로부터 러시아 제국, 러시아 소비에트 연방 사회주의 공화국을 거치며 변화를 겪어왔다.
아이슬란드의 국장
국장 개요
아이슬란드의 국장
아이슬란드의 국장
국가아이슬란드
채택일1944년 7월 1일
방패청색 바탕에 적색과 은색의 십자가
지지자란드베티르
지지대파호이호이 용암
대통령 문장
아이슬란드 대통령의 문장
아이슬란드 대통령의 문장
주체아이슬란드 대통령
채택일1944년 7월 8일
설명
국장 설명아이슬란드의 국장은 1944년 7월 1일에 채택되었으며, 파란색 방패 안에 은색 테두리가 있는 빨간색 십자가가 있고, 아이슬란드의 네 수호신이 지지하는 형태이다.
네 수호신방패의 오른쪽에는 황소 (Griðungur), 왼쪽에는 독수리 (Gammur), 오른쪽 위에는 용 (Dreki), 왼쪽 위에는 거인 (Bergrisi)이 있다.
아이슬란드 대통령의 문장아이슬란드 대통령의 문장은 국장과 동일하지만, 왕관이 추가되었다.

2. 공식적인 묘사

아이슬란드 정부는 국장을 다음과 같이 묘사한다.[2]

''아이슬란드의 국장은 하늘색 바탕에 은색 십자가가 있고, 은색 십자가 안에 밝은 빨간색 십자가가 있다. 십자가의 팔은 네 면 모두 방패의 가장자리까지 뻗어 있어야 한다. 십자가의 너비는 방패 너비의 2/9이며, 빨간색 십자가는 절반인 방패 너비의 1/9이다. 윗부분은 정사각형이고 아랫부분은 윗부분과 너비가 같지만 1/3 더 길다.''

방패 지지자는 13세기 스노리 스투를루손의 [헤임스크링글라]에 묘사된 아이슬란드의 네 명의 수호 영이다. 방패 오른쪽에는 황소가 있고, 왼쪽에는 거인이 있으며, 황소 위 오른쪽에는 독수리가 있고, 거인 위 왼쪽에는 용이 있다.

방패는 주상 절리 현무암판 위에 놓여 있다.

3. 수호자 (란드베티르)

아이슬란드의 국장은 하늘색 바탕에 은색 십자가가 있고, 은색 십자가 안에 밝은 빨간색 십자가가 있는 형태이다.[2] 십자가의 팔은 네 면 모두 방패의 가장자리까지 뻗어 있어야 한다.[2] 십자가의 너비는 방패 너비의 2/9이며, 빨간색 십자가는 절반인 방패 너비의 1/9이다.[2] 윗부분은 정사각형이고 아랫부분은 윗부분과 너비가 같지만 1/3 더 길다.[2]

방패 지지자는 13세기 스노리 스투를루손헤임스크링글라에 묘사된 아이슬란드의 네 명의 수호 영(란드베티르)이다.[5][8] 방패 오른쪽에는 황소가 있고, 왼쪽에는 거인이 있으며, 황소 위 오른쪽에는 독수리가 있고, 거인 위 왼쪽에는 용이 있다.[2] 방패는 주상 절리 현무암판 위에 놓여 있다.[2]

국장에 4체의 수호자가 그려진 것은 덴마크 국왕 하랄 1세 고름손이 아이슬란드를 정복하기 위해 마법사를 아이슬란드로 파견했을 때, 아이슬란드의 각 방위에 이 강력한 4체의 란드베티르가 존재하여 마법사를 격퇴했기 때문에 정복을 포기할 수밖에 없었다는 전승에 근거한다.[5][8] 이들 수호자는 아이슬란드 크로나의 동전 한 면에도 그려져 있다.

4. 역사

아이슬란드는 역사적으로 다양한 문장이 있었다.


  • 최초의 문장은 6개의 파란색 줄과 6개의 은색 줄이 있는 방패로, 이는 아마도 아이슬란드 자유국의 12개의 싱(Þing)을 의미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 두 번째 문장은 1258년 노르웨이 국왕 호콘 4세가 기수르 토르발드손(Gissur Þorvaldsson) 백작에게 하사한 것으로 여겨진다. 이는 노르웨이의 문장을 본뜬 것으로, 방패의 색상을 사자의 색상과 교환하고 이전 문장의 파란색과 은색 줄을 추가했다.
  • 1500년경, 아이슬란드의 문장은 빨간 방패 위에 왕관을 쓴 말린 대구(머리와 내장을 제거하고 펼쳐서 말린 대구)가 되었습니다. 이는 ''Þorskmerkið''(“대구 표시”)로 알려져 있으며, 물고기는 때때로 변형된 형태로 묘사되었다.
  • 1903년 10월 3일, 아이슬란드의 문장은 파란색 방패 위의 흰색 (falcon)로 변경되었다. 1919년 2월 12일, 덴마크 왕국 아래의 아이슬란드를 대표하는 ''landvættir''(수호령)이 있는 문장의 첫 번째 버전이 공식화될 때까지 사용되었다.[2]
  • 1919년 2월 12일, 덴마크 왕국 아래의 아이슬란드를 대표하는 ''landvættir''(수호령)이 있는 문장의 첫번째 버전이 공식화 되었다. 이는 아이슬란드가 공화국이 될 때 까지 지속되었다.
  • 1944년 6월 17일, 공화국이 선포되었을 때 문장은 재설계되었다. 덴마크 왕관을 제거하고 이전의 ''landvættir'' 디자인을 개정했다.


4. 1. 초기 문장 (아이슬란드 자유국)

아이슬란드는 역사적으로 다양한 문장이 있었다.

최초의 문장은 6개의 파란색 줄과 6개의 은색 줄이 있는 방패로, 이는 아이슬란드 자유국의 12개의 싱(Þing)을 의미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두 번째 문장은 1258년 노르웨이 국왕 호콘 4세(Hákon Hákonarson)가 기수르 토르발드손(Gissur Þorvaldsson) 백작에게 하사한 것으로 여겨진다. 이는 노르웨이의 문장을 본뜬 것으로, 방패의 색상을 사자의 색상과 교환하고 이전 문장의 파란색과 은색 줄을 추가했다.

4. 2. 노르웨이 왕국 시대

아이슬란드는 역사적으로 다양한 문장을 사용했다. 두 번째 문장은 1258년 노르웨이 국왕 호콘 4세가 기수르 토르발드손(Gissur Þorvaldsson) 백작에게 하사한 것으로 추정된다.[2] 이는 노르웨이의 문장을 본뜬 것으로, 방패의 색상과 사자의 색상을 교환하고 이전 문장의 파란색과 은색 줄을 추가했다.

4. 3. 대구 문장 (16세기 ~ 1903년)

1500년경, 아이슬란드의 문장은 빨간 방패 위에 왕관을 쓴 말린 대구(머리와 내장을 제거하고 펼쳐서 말린 대구)가 있는 형태가 되었다.[2] 이 문장은 ''Þorskmerkið''(“대구 표시”)로 알려져 있으며, 물고기는 때때로 변형된 형태로 묘사되었다.[2] 1903년 10월 3일, 아이슬란드의 문장은 파란색 방패 위의 흰색 (falcon)로 변경되기 전까지 사용되었다.[2]

4. 4. 매 문장 (1903년 ~ 1919년)

1903년 10월 3일, 아이슬란드의 문장은 파란색 방패 위의 흰색 (falcon)로 변경되었다.[2] 이 문장은 1919년 2월 12일, 덴마크 왕국 아래의 아이슬란드를 대표하는 ''landvættir''(수호령)이 있는 문장의 첫 번째 버전이 공식화될 때까지 사용되었다.[2][7]

4. 5. 란드베티르 문장 (1919년 ~ 1944년)

1919년 2월 12일, 덴마크 왕국 아래의 아이슬란드를 대표하는 ''landvættir''(수호령)이 있는 문장의 첫 번째 버전이 공식화되었다.[2] 이는 아이슬란드가 공화국이 될 때까지 지속되었다.[2] 13세기 아이슬란드에서 쓰여진 『헤임스크링글라』에는 덴마크 국왕 하랄 1세 고름손이 아이슬란드를 정복하기 위해 마법사를 파견했으나, 아이슬란드의 각 방위에 강력한 4체의 란드베티르가 존재하여 마법사를 격퇴, 정복을 포기했다는 전승이 있다.[5][8] 이들 수호자는 아이슬란드 크로나 동전 한 면에도 그려져 있다.

4. 6. 현재의 국장 (1944년 ~ 현재)

아이슬란드는 1944년 6월 17일 공화국이 선포되면서 국장을 재설계했다.[2] 덴마크 왕관을 제거하고 이전의 수호령 디자인을 개정했다.[2]

아이슬란드는 역사적으로 다양한 문장을 사용해 왔다. 최초의 문장은 6개의 파란색 줄과 6개의 은색 줄이 있는 방패였으며, 이는 아이슬란드 자유국의 12개의 싱(Þing)을 의미하는 것으로 여겨진다.[2] 두 번째 문장은 1258년 노르웨이 국왕 호콘 4세(Hákon Hákonarson)가 기수르 토르발드손(Gissur Þorvaldsson) 백작에게 하사한 것으로, 노르웨이의 문장을 본뜬 것이었다.[2] 1500년경, 아이슬란드의 문장은 빨간 방패 위에 왕관을 쓴 말린 대구가 그려진 것이었다.[2] 1903년 10월 3일, 아이슬란드의 문장은 파란색 방패 위의 흰색 (falcon)로 변경되었다.[2] 1919년 2월 12일, 덴마크 왕국 아래의 아이슬란드를 대표하는 수호령이 있는 문장의 첫 번째 버전이 공식화될 때까지 사용되었다.[2]

4. 7. 연합군 점령 시기 (1940~1944)

아이슬란드는 1940년부터 1944년까지 연합군의 점령 하에 있었다. 이 시기 동안 아이슬란드는 공식적으로 아이슬란드 왕국(1919년 ~ 1944년)의 국장을 사용했지만,[2] 실제로는 연합군인 영국미국의 문장이 사용되었다.

참조

[1] 웹사이트 Skjaldarmerki og fáni forseta Íslands https://www.forseti.[...] 2024-02-01
[2] 웹사이트 Icelandic Coat of Arms https://www.governme[...] 2019-03-13
[3] 웹사이트 Landvættir og álagablettir http://www.ismennt.i[...] 2019-03-13
[4] 간행물 History Prime Minister's Office 2009-05-22
[5] 웹사이트 国の象徴「国の紋章」 http://www.iceland.o[...] アイスランド大使館 2010-02-16
[6] 문서 カールソン 2002
[7] 웹사이트 Ágrip af sögu skjaldarmerkis Íslands (en. History of Iceland's coat of arms) http://www.forsaetis[...] 2012-01-04
[8] 서적 ヘイムスクリングラ - 北欧王朝史 - プレスポート・北欧文化通信社 2009-0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