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키르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키르드(Achird)는 카시오페이아자리에 있는 이중성계인 에타 카시오페이아이(η Cassiopeiae)의 고유 이름이다. 1950년 스칼나테 플레소 천체 지도에 처음 등장했으며, 2017년 국제천문연맹(IAU)은 에타 카시오페이아이 A에 아키르드라는 이름을 공식적으로 부여했다. 이 별은 중국 천문학에서 전차병의 이름을 딴 왕량(王良) 성군의 일부로, 왕량삼(王良三)으로 불린다. 아키르드는 태양과 유사한 G형 주계열성인 에타 카시오페이아이 A와 K형 주계열성인 에타 카시오페이아이 B로 구성되어 있으며, 480년 주기로 서로 공전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카시오페이아자리 - 쉐다르
쉐다르는 카시오페이아자리의 별로, 아랍어로는 "가슴", 중국에서는 '왕량사'로 불리며, 북반구에서 쉽게 관측할 수 있는 적색 초거성이다. - 카시오페이아자리 - 카시오페이아자리 감마
카시오페이아자리 감마는 겉보기 등급이 불규칙하게 변하는 분출 변광성이자 카시오페이아자리 감마 변광성의 대표 별로, 빠른 회전 속도와 적도 팽창, 뜨거운 가스 원반을 특징으로 하며 X선 방출 메커니즘에 대한 논쟁이 있고, 분광 쌍성을 포함하는 다중성계이며 'Navi'라는 별칭으로도 알려져 있다. - 변광성 - 세페이드 변광성
세페이드 변광성은 주기적인 밝기 변화와 주기-광도 관계를 통해 우주 거리 측정에 활용되는 별로, 고전 세페이드와 II형 세페이드로 나뉘며 헬륨 이온화에 의한 맥동 현상을 보인다. - 변광성 - 마차부자리 SU
마차부자리 SU는 추가 정보가 필요한 천체로, 구체적인 특성 및 분류가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아 학계에 의미 있는 기여를 하지 못하고 있다. - K형 주계열성 - 백조자리 61
백조자리 61은 11.36광년 거리에 있는, 큰 고유 운동과 시차 측정으로 유명한 '베셀의 별'이라고도 불리는 K형 주계열성 쌍성계이다. - K형 주계열성 - 허큘리스자리 14
허큘리스자리 14는 태양 질량의 약 98%를 가진 K0V형 적색 왜성으로, 최소 두 개의 행성(14 헤르쿨리스 b, 14 헤르쿨리스 c)을 거느리고 있으며, 세 번째 행성 후보도 존재하나 별의 자기 활동과 관련되었을 가능성이 있고, 14 헤르쿨리스 c에 대한 제임스 웹 우주 망원경을 이용한 직접 영상 관측이 계획되어 있다.
| 아키르드 | |
|---|---|
| 기본 정보 | |
![]() | |
| 명칭 | 아키르드 |
| 바이어 명칭 | η Cas, 24 Cassiopeiae |
| 위치 (별자리) | 카시오페이아자리 |
![]() | |
| 식별 정보 | |
| 겉보기 등급 | 3.44 / 7.51 |
| 분광형 | G0 V + K7 V |
| U-B 색지수 | +0.02 / 1.03 |
| B-V 색지수 | +0.58 / 1.39 |
| 변광성 여부 | RS CVn? |
| 측성학적 데이터 | |
| 시선 속도 | +10.0 ± 0.1 km/s |
| 고유 운동 (RA) | 1,086.59 mas/yr |
| 고유 운동 (Dec) | –559.43 mas/yr |
| 연주시차 (A) | 168.8322 mas |
| 연주시차 오차 (A) | 0.1663 mas |
| 절대 등급 | 4.57 |
| 고유 운동 (RA, B) | 1144.693 mas/yr |
| 고유 운동 (Dec, B) | –469.668 mas/yr |
| 연주시차 (B) | 168.7186 mas |
| 연주시차 오차 (B) | 0.0216 mas |
| 물리적 특성 | |
| 나이 | 5.4 ± 0.9 Gyr |
| 금속 함량 [Fe/H] | –0.31 |
| 질량 (A) | 0.95 ± 0.08 태양질량 |
| 반지름 (A) | 1.00 태양반경 |
| 표면 중력 (A) | 4.4 ± 0.3 cgs |
| 광도 (A) | 1.2321 ± 0.0074 태양광도 |
| 표면 온도 (A) | 6,010 K |
| 자전 속도 (A) | 3.15 km/s |
| 질량 (B) | 0.57 ± 0.07 태양질량 |
| 반지름 (B) | 0.66 태양반경 |
| 광도 (B) | 0.0646 +0.0131 -0.0109 태양광도 |
| 표면 온도 (B) | 4,036 ± 150 K |
| 궤도 요소 (η Cas B) | |
| 주기 | 480 년 |
| 긴반축 | 11.9939 각초 |
| 이심률 | 0.497 |
| 궤도 경사 | 34.76 도 |
| 승교점 경도 | 98.42 도 |
| 근일점 인수 | 88.59 도 |
| 근성점 통과 시기 | 1889.6 |
| 식별 부호 | |
| 기타 명칭 | Achird, η Cas 24 Cassiopeiae, ADS 671, BD+57°150, GCTP 155, GJ 34, HD 4614, HIP 3821, HR 219, LHS 123/122, LFT 74, LTT 10287, SAO 21732, Wolf 24, Struve 60, GC 962, CCDM J00491+5749 |
2. 명칭
'η 카시오페이아이'는 이 별의 라틴어화된 이름이다. 이중성을 이루는 두 별 A와 B는 워싱턴 다중성 목록(WMC)과 국제 천문 연맹(IAU)의 관례에 따라 각각 '에타 카시오페이아이 A', '에타 카시오페이아이 B'로 명명되었다.[4]
이 별은 고유 이름으로 아키르드를 가지고 있으며, 이는 2017년 국제천문연맹(IAU)에 의해 공식적으로 승인된 이름이다.[3] 중국 천문학에서는 왕량 성군의 일부로 여겨져 王良三|왕량삼중국어으로 불린다.[8]
2. 1. 아키르드 (Achird)
'η 카시오페이아이'는 이 별자리의 라틴어화된 이름이다. 두 구성 요소의 명칭인 '에타 카시오페이아이 A'와 'B'는 다중성계에 대한 워싱턴 다중성 목록(WMC)에서 사용되었고 국제 천문 연맹(IAU)에서 채택한 관례에서 유래되었다.[4]고유 이름 아키르드는 안토닌 베추바르의 성도와 1950년에 출판된 스칼나테 플레소 천체 지도에 처음 등장한 것으로 보이나, 그 이전 기록이나 정확한 출처는 불분명하다. 리처드 힌클리 앨런은 그의 저서 ''별의 이름: 그들의 지식과 의미''에서 이 별에 대한 역사적인 이름을 언급하지 않았다.
2016년, IAU는 별의 고유 이름을 목록화하고 표준화하기 위해 별 이름 워킹 그룹(WGSN)[5]을 조직했다. WGSN은 전체 다중성 시스템이 아닌 개별 별에 고유 이름을 부여하기로 결정했으며,[6] 2017년 9월 5일, 구성 요소인 에타 카시오페이아이 A에 아키르드라는 이름을 공식적으로 승인하여 현재 IAU 승인 별 이름 목록에 포함되어 있다.[3]
중국 천문학에서 에타 카시오페이아이는 다리(Legs)에 속하며, 춘추 시대의 유명한 마부 왕량을 기리기 위해 명명된 王良|왕량중국어 성관의 일부이다. 이 성관의 다른 구성 요소는 베타 카시오페이아이(카프), 카파 카시오페이아이, 알파 카시오페이아이(셰다르), 람다 카시오페이아이이다.[7] 결과적으로 에타 카시오페이아이 자체의 중국 별 이름은 王良三|왕량삼중국어이며, 이는 '왕량의 세 번째 별'을 의미한다.[8]
2. 2. 중국 별자리
중국 천문학에서 에타 카시오페이아이는 다리(Legs)에 속하며, 춘추 시대의 유명한 전차병을 기리기 위해 이름 붙여진 王良|왕량중국어 성군의 일부를 이룬다. 이 성군에는 에타 카시오페이아이 외에도 베타 카시오페이아이 (카프), 카파 카시오페이아이, 알파 카시오페이아이 (셰다르), 람다 카시오페이아이가 포함된다.[7] 따라서 에타 카시오페이아이 자체의 중국 별 이름은 王良三|왕량삼중국어 (왕량의 세 번째 별)이다.[8]3. 물리적 특성
아키르드는 두 개의 별로 이루어진 쌍성계이다.
주성인 에타 카시오페이애 A는 태양과 비슷한 분광형 G0 V의 G형 주계열성이다. 반성인 에타 카시오페이애 B는 그보다 작고 어두운 분광형 K7 V의 K형 주계열성이다.
두 별 모두 태양과 비교했을 때 수소와 헬륨 외 원소의 함량, 즉 금속 함량이 절반 수준이다.
이 쌍성계 내에서 행성이 안정적으로 존재할 수 있는 영역은 제한적이다. 계산에 따르면, 주성 주위는 최대 9.5 AU, 반성 주위는 최대 7.1 AU 이내여야 하며, 두 별 모두를 공전하는 행성이 있다면 최소 235 AU 이상 떨어져 있어야 한다.
3. 1. 궤도
에타 카시오페이애의 두 구성 요소는 480년의 공전 주기 동안 서로를 공전한다. 추정되는 궤도 긴반지름 12″와 시차 0.168″를 기준으로, 두 별은 평균 71 AU의 거리에 떨어져 있으며, 여기서 AU는 태양과 지구 사이의 평균 거리이다. 그러나 0.497의 큰 궤도 이심률 때문에 두 별 사이의 거리는 크게 변한다. 가장 가까울 때(근점)는 36 AU까지 접근하며, 가장 멀 때는(원점) 약 106 AU까지 멀어진다. 참고로 해왕성의 궤도 긴반지름은 30 AU이다.워싱턴 이중성 목록에는 에타 카시오페이애 근처에 6개의 더 어두운 별이 기록되어 있지만, 이들은 실제로는 훨씬 멀리 떨어져 있어 에타 카시오페이애 계와 물리적으로 관련이 없는 안시 동반성이다. 주성인 에타 카시오페이애 A가 분광 쌍성일 가능성이 제기되기도 했으나, 아직 확인되지 않았다.
주성인 '''에타 카시오페이애 A'''는 분광형 G0 V로 태양과 비슷한 G형 주계열성이다. 질량은 태양 질량의 97%, 반지름은 태양 반지름의 100%에 해당한다. 겉보기 밝기는 겉보기 등급 3.44이며, 표면의 유효 온도는 6,010,000이다. 이 온도에서 별의 대기는 태양 광도의 129%에 해당하는 에너지를 방출한다. 자전 속도는 비교적 느린 편으로, 관측된 회전 속도는 3.15 km/s이다.
반성인 '''에타 카시오페이애 B'''는 주성보다 더 차갑고 어둡다. 겉보기 등급은 7.51이며, 분광형은 K7 V로 K형 주계열성에 속한다. 질량은 태양 질량의 57%, 반지름은 태양 반지름의 66%이다. 주성보다 작기 때문에 에너지를 더 천천히 생성하며, 방출하는 에너지양은 태양 광도의 6%에 불과하다. 표면의 유효 온도는 4,036,000이다.
태양과 비교하면, 에타 카시오페이애 A와 B 모두 수소와 헬륨보다 무거운 원소의 함량(금속 함량)이 태양의 절반 수준이다.
이 쌍성계에서 행성이 안정적으로 존재하려면 오랜 시간 동안 궤도를 유지할 수 있는 영역에 있어야 한다. 계산에 따르면, 주성 A 주위를 도는 행성은 최대 9.5 AU 이내, 반성 B 주위를 도는 행성은 최대 7.1 AU 이내의 궤도를 가져야 안정적이다. (참고로 태양계의 화성은 태양으로부터 1.5 AU 떨어져 있다.) 만약 두 별 모두를 바깥에서 공전하는 행성이 있다면, 그 거리는 최소 235 AU 이상이어야 한다.
3. 2. 구성원
에타 카시오페이아의 두 구성 요소는 480년의 공전 주기 동안 서로를 공전한다. 추정되는 궤도 긴반지름 12″와 시차 0.168″를 기준으로, 두 별은 평균 71 AU 거리에 떨어져 있다. 그러나 궤도 이심률이 0.497로 커서 두 별이 가장 가까울 때(근점) 거리는 36 AU까지 줄어들고, 가장 멀 때(원점)는 약 106 AU까지 늘어난다. 참고로 해왕성의 궤도 긴반지름은 30 AU이다.워싱턴 이중성 목록에는 6개의 더 어두운 광학적 동반성이 기록되어 있지만, 이들은 에타 카시오페이아 계와 물리적으로 관련이 없는 더 멀리 있는 별들이다.
두 별 모두 태양과 비교했을 때 수소와 헬륨 외 원소의 함량(금속 함량)이 절반 수준이다. 각 별의 자세한 특징은 아래 하위 문단에서 설명한다.
3. 2. 1. 에타 카시오페이아자리 A (주성)
에타 카시오페이아 A는 별의 분류상 G0 V에 해당하며, 이는 태양과 같은 G형 주계열성임을 의미한다. 따라서 이 별은 인간이 에타 카시오페이아에서 관측할 때 태양이 어떻게 보일지와 유사한 모습을 가진다. 이 별의 질량은 태양 질량의 약 97%이며, 반지름은 태양 반지름과 거의 같은 100%이다. 겉보기 등급은 3.44이고, 별의 대기에서 방출하는 에너지는 태양 광도의 129%에 달한다. 표면의 유효 온도는 약 6,010,000이다. 자전 속도는 상대적으로 느린 편으로, 투영된 회전 속도는 3.15 km s−1이다.동반성인 에타 카시오페이아 B와 비교했을 때, 두 별 모두 수소와 헬륨을 제외한 다른 원소, 즉 금속 함량이 태양의 절반 수준이다.
주성인 에타 카시오페이아 A가 분광 쌍성이라는 보고도 있었으나, 이는 아직 확인되지 않았다.
만약 이 별 주위에 행성이 존재한다면, 안정적인 궤도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별로부터 최대 9.5 AU 이내에 있어야 한다. 참고로 태양계의 화성은 태양으로부터 약 1.5 AU 거리에 있다.
3. 2. 2. 에타 카시오페이아자리 B (반성)
에타 카시오페이아자리 B는 겉보기 등급 7.51로 주성 A보다 어둡고 차가우며, 별의 분류상 K7 V에 해당하는 K형 주계열성이다. 이 별의 질량은 태양 질량의 약 57%이고, 반지름은 태양 반지름의 약 66%이다. 크기가 작고 온도가 낮아 에너지를 천천히 생성하기 때문에, 태양 광도의 약 6%만을 방출한다. 표면의 유효 온도는 약 4,036,000이다.주성 A와 마찬가지로, 반성 B 역시 태양과 비교했을 때 수소와 헬륨을 제외한 다른 원소, 즉 천문학에서 말하는 금속 함량이 절반 수준이다.
만약 이 별 주위에 행성이 존재한다면, 안정적인 궤도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별로부터 최대 7.1AU 이내에 있어야 할 것으로 계산된다.
3. 3. 금속 함량
태양과 비교했을 때, 아키르드를 구성하는 두 별(에타 카시오페이애 A와 B)은 모두 수소와 헬륨을 제외한 다른 원소, 즉 금속의 양이 태양의 절반 수준이다.4. 행성 존재 가능성
행성이 에타 카시오페이애 이중성계 내에 존재하려면, 장기간 안정적으로 궤도를 유지할 수 있는 영역에 위치해야 한다. 계산에 따르면, 주성 에타 카시오페이애 A 주위를 도는 행성의 경우 최대 안정 궤도 반지름은 약 9.5 AU이며, 부성 에타 카시오페이애 B 주위를 도는 행성의 경우는 약 7.1 AU이다. 참고로, 태양으로부터 화성까지의 거리는 약 1.5 AU이다. 만약 두 별 모두를 바깥에서 공전하는 행성이 있다면, 그 행성은 별들로부터 최소 235 AU 이상 떨어져 있어야 안정적인 궤도를 유지할 수 있다.
5. 대중 문화
(내용 없음)
참조
[1]
논문
VizieR Online Data Catalog: General Catalogue of Variable Stars (Samus+ 2007-2013)
[2]
웹사이트
Cite Gaia EDR3
[3]
웹사이트
Naming Stars
https://www.iau.org/[...]
IAU.org
2017-12-16
[4]
arXiv
On the naming convention used for multiple star systems and extrasolar planets
2010
[5]
웹사이트
IAU Working Group on Star Names (WGSN)
https://www.iau.org/[...]
2016-05-22
[6]
웹사이트
WG Triennial Report (2015-2018) - Star Names
https://www.iau.org/[...]
2018-07-14
[7]
서적
中國星座神話
台灣書房出版有限公司
[8]
웹사이트
香港太空館 - 研究資源 - 亮星中英對照表
http://www.lcsd.gov.[...]
Hong Kong Space Museum
2010-11-23
[9]
웹인용
SIMBAD query result: V* eta Cas -- Spectroscopic binary
http://simbad.u-stra[...]
Centre de Données astronomiques de Strasbourg
2009-04-12
[10]
저널
Fundamental stellar parameters for nearby visual binary stars: eta Cas, XI Boo, 70 OPH and 85 Peg
http://adsabs.harvar[...]
2009-04-12
[11]
저널
The orbit of Eta Cassiopeiae
http://adsabs.harvar[...]
2009-04-12
[12]
저널
Predicted infrared brightness of stars within 25 parsecs of the sun
http://adsabs.harvar[...]
2009-04-1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