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악구 (음악)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악구는 일반적으로 4마디로 구성되며 종지로 끝맺는 음악적 단위이다. 악구는 전행 또는 후행 구절에 따라 약하거나 강한 종지로 끝날 수 있으며, 동기나 별도의 음 사이의 경계를 긋기 어려울 수 있다. 게슈탈트 심리학 관점에서 악구는 일관된 게슈탈트로 인식되는 모든 음악적 표현을 포괄한다. 악구 리듬은 악구 구성과 악구 간의 관계의 리듬적 측면을 의미하며, 음악 이해와 연주의 중요한 요소로 여겨진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음악 연주 - 카덴차
    카덴차는 협주곡 등에서 오케스트라 반주가 멈춘 후 독주자가 자유로운 리듬으로 기교를 선보이는 부분으로, 즉흥 연주에서 작곡가의 작곡으로 발전하여 다양한 장르에서 나타나며 재즈 음악에도 짧게 등장한다.
  • 음악 연주 - 음역 (음악)
    음역은 악기나 사람의 목소리가 낼 수 있는 소리의 높낮이 범위를 의미하며, 악기는 종류와 연주 기량에 따라, 사람은 성별과 훈련에 따라 음역이 달라진다.
  • 리듬과 박자 - 폴리리듬
    폴리리듬은 동시에 서로 다른 박자를 사용하는 음악 기법이며, 두 수의 공배수를 활용하여 다양한 종류로 나타나 후기 낭만주의 음악, 20세기 고전 음악, 아프리카 음악 등 다양한 장르에서 활용된다.
  • 리듬과 박자 - 리듬 기타
    리듬 기타는 록, 팝, 재즈 등에서 곡의 리듬과 화성을 담당하며, 코드 스트로크, 아르페지오, 리프 등의 연주로 곡 분위기를 형성하고 리듬 섹션을 구성하며, 리드 기타와 상호 보완적인 역할을 한다.
악구 (음악)
일반 정보
용어악구 (樂句)
정의음악에서 완결된 하나의 생각이나 아이디어를 표현하는 부분
특징멜로디, 화성, 리듬의 상호작용을 통해 생성되며, 종지(cadence)로 끝맺음
어원그리스어 φράση (phrásē, "말", "표현")에서 유래
음악적 역할
기능음악의 의미와 감정을 전달하는 데 중요한 역할
구성 요소작은 동기(motif)들이 모여 형성
길이짧을 수도 있고, 여러 개의 작은 악구로 구성될 수도 있음
구조
선행 악구 (antecedent phrase)질문이나 미완성의 느낌을 주는 악구
응답 악구 (consequent phrase)선행 악구에 대한 답변이나 완결을 제공하는 악구
예시일반적인 8마디 악곡에서 처음 4마디는 선행 악구, 다음 4마디는 응답 악구로 구성되는 경우가 많음
다른 음악 요소와의 관계
리듬악구의 흐름과 구조에 중요한 영향
멜로디악구를 특징짓는 가장 중요한 요소 중 하나
화성악구의 감정적 색채와 방향성을 결정
표현
음악적 표현악구를 통해 음악가가 감정을 표현하고, 듣는 이에게 전달함
연주악구의 정확한 이해와 표현은 연주자의 중요한 기술

2. 정의 및 특징

일반적으로 악구는 4개의 마디로 구성되며[8], 비교적 확실한 종지로 끝을 맺는다.[9] 악구는 전행 악구 또는 후행 악구, 즉 주기의 전반부 또는 후반부에 따라 약하거나 강한 종지로 끝맺을 수 있다.

악구의 절대적인 범위(오늘날 사용되는 용어는 독일 이론가 휴고 리만[10]에 의해 만들어졌다)는 언어에서의 대응어만큼이나 논쟁의 여지가 있으며, 심지어 "멈춰!", "안녕!"과 같은 한 단어 악구도 존재할 수 있다. 따라서 '악구', '동기' 또는 심지어 별도의 음(1음, 1화음 또는 1음향 표현)이라는 용어 사이에는 엄격한 경계선을 그릴 수 없다.

게슈탈트 심리학의 관점에서 볼 때, '악구'라는 용어는 몇 개의 박자, 즉 음, 화음 또는 음향과 같은 뚜렷한 음악적 이벤트가 포함되어 있든, 다른 것들과 분리된 일관된 ''게슈탈트''로 인식되는 모든 음악적 표현을 포괄한다.

2. 1. 구절 그룹

구절 그룹은 "주기의 두 부분으로 나뉘는 느낌 없이 연결된 세 개 이상의 구절의 그룹" 또는 "첫 번째 구절이 두 번째 구절의 반복이거나, 어떤 이유에서든, 선행-후행 관계가 없는 연속된 구절의 쌍"이다.[11]

2. 2. 구절 리듬

구절 리듬은 구절 구성과 구절 간의 관계의 리듬적 측면이며, "결코 형식적인 문제가 아니라 음악의 생명이며 무한한 다양성을 가질 수 있다. 작품의 구절 리듬을 발견하는 것은 그것을 이해하고 효과적으로 연주하는 관문이다."[11] 이 용어는 윌리엄 로스스타인의 저서 ''조성 음악의 구절 리듬''에서 대중화되었다.[11] 구절 리듬의 기술에는 중첩, 도입, 확장, 팽창, 재해석 및 생략 등이 있다.

2. 3. 구절 구성원 및 세그먼트

구절 구성원은 일시 중지 또는 긴 음가로 두 부분으로 나뉜 구절의 일부이며, 이 중 두 번째 부분은 첫 번째 부분과 반복, 시퀀스 또는 대조될 수 있다.[12] 구절 세그먼트는 "구절의 뚜렷한 부분이지만 종지로 끝나지 않거나 상대적으로 독립하기에는 너무 짧아 보이기 때문에 구절이 아닌 것"으로 정의된다.[12]

3. 관련 인물


  • 휴고 리만: 독일의 음악 이론가로, 오늘날 사용되는 '구절'이라는 용어를 정립했다.[10]
  • 윌리엄 로스스타인: 《조성 음악의 구절 리듬》의 저자로, '구절 리듬'이라는 용어를 대중화했다.[11]

참조

[1] 서적 Techniques and Materials of Music Thomson Schirmer 2003
[2] 서적 Perspectives in Music Theory Dodd, Mead, and Co. 1973
[3] 간행물 Larousse 1958
[4] 간행물 New Grove 1980
[5] 간행물 Encyclopédie Fasquelle 1958
[6] 논문 Rhythm in Twentieth-Century Music Prentice-Hall 1975
[7] 논문 The Phrase Rhythm of Chopin's A-flat Major Mazurka, Op. 59, No. 2
[8] 간행물 Larousse 1966
[9] 간행물 Larousse
[10] 서적 System der musikalischen Rhythmik und Metrik 1903
[11] 서적 Phase Rhythm in Tonal Music Schirmer 1990
[12] 간행물 1995
[13] 서적 Techniques and Materials of Music Thomson Schirmer 2003
[14] 서적 Perspectives in Music Theory Dodd, Mead, and Co. 1973
[15] 서적 Tonal Harmony McGraw-Hill 1995
[16] 서적 Music and Discourse: Toward a Semiology of Music Larousse 1990
[17] 웹인용 악구: 네이버 국어사전 https://ko.dict.nave[...] 2018-10-2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