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음역 (음악)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음역은 악기나 사람의 목소리가 낼 수 있는 소리의 높낮이 범위를 의미한다. 악기 음역은 악기 종류, 크기, 제조 방식, 연주자의 기량에 따라 다르며, 현악기는 하모닉스를 통해 이론적으로 무한대에 가까운 음을 낼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지정된 음역 내에서 연주된다. 목관 및 현악기는 이론상 음역에 상한선이 없지만, 금관 악기는 페달톤을 포함하여 지정된 음역 밖의 소리도 낼 수 있다. 파이프 오르간은 인간의 가청 범위를 벗어나는 극저음을 낼 수 있다.

사람 목소리의 음역을 성역이라고 하며, 성장의 과정에서 변화한다. 사춘기 변성기를 거치며 음역이 넓어지고, 훈련을 통해 성악가들은 더 넓은 음역을 갖게 된다. 성역은 성종에 따라 구분되며, 소프라노, 메조소프라노, 알토, 테너, 바리톤, 베이스 등이 있다. 일부 가수의 과장된 음역 표현은 실제 음역과 차이가 있을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음악 연주 - 카덴차
    카덴차는 협주곡 등에서 오케스트라 반주가 멈춘 후 독주자가 자유로운 리듬으로 기교를 선보이는 부분으로, 즉흥 연주에서 작곡가의 작곡으로 발전하여 다양한 장르에서 나타나며 재즈 음악에도 짧게 등장한다.
  • 음악 연주 - 악구 (음악)
    악구는 음악에서 4마디로 구성되어 종지로 끝맺는 독립적인 음악적 표현 단위이며, 전행 또는 후행 구절로 나뉘고 구절 리듬을 통해 음악의 흐름을 만들며 다양한 기술로 표현되고 일시 중지나 긴 음가로 나뉘기도 한다.
  • 음높이 - 콘트랄토
    콘트랄토는 여성 성악의 가장 낮은 음역과 음색을 지칭하는 용어로, 고전 및 오페라 성악에서 주로 사용되며 다양한 역할과 저명한 가수들을 포함하여 종교곡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
  • 음높이 - A440
    A440은 '가' 음을 440 Hz로 정의하는 표준 음높이로, 국제 표준화 기구에서 공식화되었으며, 콘서트 피치나 시대악기 운동의 기준으로 널리 사용된다.
음역 (음악)

2. 악기의 음역

악기의 음역(音域)은 해당 악기가 낼 수 있는 소리의 높낮이 범위를 의미한다. 악기의 종류에 따라 음역이 다르며, 같은 종류의 악기라도 크기나 제조 방식에 따라 음역이 달라질 수 있다.

악기의 음역은 악기의 특성뿐만 아니라 연주자의 기량에 따라서도 달라질 수 있다. 특히 관악기의 경우, 고음역은 연주자의 숙련도에 따라 큰 영향을 받는다. 현악기의 경우 하모닉스 주법 등을 사용하면 이론적으로는 제한 없이 높은 음을 낼 수 있지만, 음역을 셀 때 하모닉스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도 많다.[5]

목관 악기와 현악기는 이론적으로 음역에 상한선이 없지만 (실용적인 한계 내에서) 일반적으로 지정된 음역 아래로는 연주할 수 없다. 반면에 금관 악기는 지정된 음역 밖에서도 연주할 수 있다. 금관 악기의 지정된 음역보다 낮은 음을 페달톤이라고 한다.[1][2]

클래식 편곡에서는 목관 악기나 금관 악기가 지정된 음역을 벗어나 연주하는 경우가 드물다. 현악기 연주자는 음역의 최저음을 매우 자주 연주하지만, 현악기의 최고음은 다소 불분명하며, 현악 연주자가 지정된 음역을 초과하는 경우는 드물다.[3]

파이프 오르간이 (진짜 파이프로) 낼 수 있는 가장 낮은 음은 C−1 (또는 CCCC)이며, 이는 8 Hz로, 인간의 가청 범위 이하이다. 그러나 음향 조합 (음과 그 완전 5도)을 고려하면 가장 낮은 음은 C−2 (또는 CCCCC)이며, 이는 4 Hz이다.

녹음 및 재생과 관련하여, 많은 스피커는 약 40–60 Hz의 낮은 한계를 가지고 있다.

2. 1. 악기 음역의 확장

악기 제조가 끝나면 음역을 확장할 수 없는 건반악기와 달리, 악기 완성 후에도 어느 정도 음역 확장이 가능한 악기도 있다.

고음역 확장은 주로 연주 기술에 의존한다.

하지만, 현악기 중 바이올린이나 기타 등은 같은 종류의 악기라도 제품의 형태에 따라 최고음이 달라진다. 기타의 경우 지판의 길이 등이 영향을 준다. 따라서 최고음을 제한하는 부분을 개조하여 음역을 확장할 수 있다.

저음역 확장은 악기의 최저음이 악기 구조에 따라 결정되는 경우가 많아, 그 이상 확장하려면 특수한 방법이 필요하다.[6]

예를 들어 관을 덧붙여 기주를 연장하거나, 현을 느슨하게 하여 장력을 약하게 하거나, 현을 단위 길이당 질량이 무거운 것으로 교체하는 등의 조작이 필요하다.[6] 이러한 조작은 연주 전에 미리 해두는 것이 원칙이다.

그러나 이러한 조작으로 확장된 저음역은 확실히 낼 수 있는 정도인 경우가 많다.[7] 또한, 저음역 확장의 영향으로 다른 음역 연주에 지장을 주어 기대하는 소리를 얻기 어려운 경우도 있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이러한 음역의 저음 확장은 잘 이루어지지 않으며, 확장하더라도 확장된 음역은 그다지 사용되지 않는다.

하지만 예외도 있다. 원래 4현 악기인 콘트라베이스를 5현으로 하거나, 플루트에 H 족관(하족관)을 장착하는 것은 비교적 널리 사용되는 저음역 확장법이다.

2. 2. 다양한 악기 음역

악기 종류악기명음역비고
사람 목소리베이스E2 - E4
바리톤A2 - A4
테너C3 - C5
알토F3 - F5
메조 소프라노A3 - A5
소프라노C4 - C6
사람 목소리E2 - C6
현악기
활로 연주
옥토베이스C1 - A3
더블베이스C2 - A4
첼로C2 - A5
비올라C3 - D6
바이올린G3 - A6
발현
하프B1 - F6
쳄발로F2 - F5
베이스 기타E2 - G4
바리톤 기타B2 - B4
기타E3 - E6
만돌린G3 - D6
5현 밴조D3 - A4
우쿨렐레C4 - C5
건반 악기
피아노A0 - C8
해머드 둘시머D3 - D5
심벌럼A2 - A5
기명악기
목관악기
겹리드
노출
콘트라바순B1 - C4
바순B1 - F4
헤켈폰A2 - G4
잉글리시 호른E3 - C5
오보에 다모레G3 - F5
오보에B3 - A5
홑리드
옥토콘트라베이스 클라리넷D1 - B2
옥토콘트라알토 클라리넷G1 - E3
콘트라베이스 클라리넷D2 - B3
콘트라알토 클라리넷G2 - E4
베이스 클라리넷D2 - B4
알토 클라리넷G2 - E5
소프라노 클라리넷D3 - B5
소프라니노 클라리넷C4 - A6
서브콘트라베이스 색소폰A1 - E3
콘트라베이스 색소폰D2 - A3
베이스 색소폰A2 - E4
바리톤 색소폰D2 - A4
테너 색소폰A2 - E5
알토 색소폰D3 - A5
소프라노 색소폰A3 - E6
소프라니노 색소폰D4 - A6
소프라니시모 색소폰A4 - D7
프리 리드
하모늄C2 - C6
아코디언G2 - A5
16홀 하모니카C3 - D6
일반적인 C 하모니카C4 - C6
플루트
가로로 부는
하이퍼베이스 플루트C1 - C3
더블 콘트라베이스 플루트C2 - C4
서브콘트라베이스 플루트G2 - G4
콘트라베이스 플루트C2 - C4
콘트라알토 플루트G2 - G4
베이스 플루트C3 - C5
알토 플루트G3 - G5
플루트C4 - C6
피콜로C5 - C7
내부 덕트 (피플)
리코더F2 - G7
서브콘트라베이스 리코더F2 - C4
서브 그레이트 베이스 리코더C2 - G4
콘트라베이스 리코더F2 - C5
그레이트 베이스 리코더C3 - G5
베이스 리코더F3 - C6
테너 리코더C4 - G6
알토 리코더F4 - C7
소프라노 리코더C5 - G7
소프라니노 리코더F5 - C8
가르클라인 리코더C6 - G8
오르간*C0 - C9
금관악기
서브콘트라베이스 튜바*C1 - F2
콘트라베이스 튜바A1 - F3
베이스 튜바D2 - B3
유포니움A2 - F4
콘트라베이스 트롬본B1 - E4
베이스 트롬본B1 - C5
테너 트롬본E2 - F4
알토 트롬본A2 - B4
소프라노 트롬본E3 - F5
소프라니노 트롬본A3 - B5
피콜로 트롬본E4 - F6
침바소F2 - F4
프렌치 호른F2 - F4
바리톤 호른E2 - F4
알토 호른A2 - B4
플루겔호른E3 - F5
베이스 바그너 튜바B2 - C5
테너 바그너 튜바E2 - F4
베이스 트럼펫E2 - F4
코넷E3 - F5
트럼펫E3 - F5
피콜로 트럼펫E4 - F6
막명악기
팀파니
32인치C2 - A2
29인치E2 - C3
26인치A2 - F3
23인치D3 - B3
20인치F3 - D4
자명악기
실로폰
마림바C2 - C6
실로폰C4 - C8
금속성명기
첼레스타C3 - F8
비브라폰C3 - F6
글로켄슈필C5 - F8
크로탈레스C6 - F8
오르간 파이프E3 - G5
용기
C2 - G4


  • 이 표는 C0까지만 표시되지만, 보드워크 홀 오디토리엄 오르간과 같은 일부 파이프 오르간은 C-1(C0보다 1옥타브 아래)까지 확장된다. 또한 서브콘트라베이스 튜바의 기본 주파수는 B♭|플랫de-1이다.
  • 목관 악기와 현악기는 이론적으로 음역에 상한선이 없지만, 금관 악기는 지정된 음역 밖에서도 연주할 수 있다. 금관 악기의 지정된 음역보다 낮은 음을 페달톤이라고 한다.[1][2]
  • 클래식 편곡에서는 목관 악기나 금관 악기가 지정된 음역을 벗어나 연주하는 경우가 드물지만, 현악기 연주자는 음역의 최저음을 매우 자주 연주한다.[3]
  • 파이프 오르간이 낼 수 있는 가장 낮은 음은 C-1 (또는 CCCC)이며, 이는 8Hz로, 인간의 가청 범위 이하이다.
  • 녹음 및 재생과 관련하여, 많은 스피커는 약 40Hz~60Hz의 낮은 한계를 가지고 있다.

3. 사람 목소리의 음역

사람의 목소리로 낼 수 있는 음높이의 범위를 사람 목소리의 음역이라고 하며, 흔히 성역이라고 부른다.

3. 1. 성역의 변화

사람의 성역은 성장하면서 변화한다. 신생아 때는 호흡에 따라 나오는 울음소리 정도만 낼 수 있어 음역이라 부를 수 있는 범위가 거의 없으며, 400 Hz에서 500 Hz 정도의 매우 좁은 범위의 소리만 낼 수 있다.[8] 하지만 성장하면서 성도가 길어지고 성대가 발달하며, 소리 내는 방식에 익숙해지면서 음역이 넓어진다. 예를 들어 성대의 길이는 신생아는 3mm 정도, 1세 아동은 5.5mm 정도, 5세 아동은 7.5mm 정도, 성인 여성은 15mm 정도, 성인 남성은 20mm 정도이다.[9]

사춘기에는 변성이 발생하여 목소리가 크게 변화하는데, 특히 남성의 경우 기본 주파수가 낮아진다. 이는 성대가 더 길고 두껍게 변하기 때문이다. 변성기에는 일시적으로 성대가 불안정해져 성역이 좁아지기도 한다.

사춘기가 끝난 후에는 성역에 큰 변화가 없지만, 노래 훈련을 통해 발성 기술을 향상시키면 성역을 더 넓힐 수 있다. 일반 성인의 성역은 2옥타브 정도이지만, 성악가는 2~2.5옥타브 정도로 넓어지는 경향이 있다. 대중 음악에서는 PA를 사용해 확성하므로 클래식 음악보다 더 넓은 음역의 소리를 활용할 수 있다. 가성을 많이 사용하는 가수는 3~4옥타브, 휘슬 보이스[11]를 사용하는 가수는 5옥타브를 넘는 경우도 있다.

3. 2. 성종

성종(聲種)은 성악적인 음색이나 음질을 나타내는 데 사용된다. 한편, 주로 클래식 음악에서 성악가 개인의 음역을 나타내는 말로도 알려져 있다. 성부는 목소리의 음색과 음역을 함께 구분하는 것이지만, 적절한 훈련을 통해 능력을 개발한 가수의 경우 음역이 더 우선시된다. 이 때문에 바리톤과 같은 굵고 억센 음색의 테너나, 반대로 테너와 같은 가벼운 음색의 바리톤 등이 존재한다.

여성 성악과 남성 성악의 종류는 다음과 같으며, 각각 먼저 언급된 것이 더 높은 음역이다.

3. 3. 과장된 음역 표현

일부 대중음악 가수들이 '4옥타브', '5옥타브' 등으로 표현하는 경우는 과장된 경우가 많다. 지성으로 알토 가수와 비슷한 고음을 내거나, 소프라노 가수와 같은 가성을 낼 수 있는 남성 가수, 휘슬 보이스를 사용하는 여성 가수의 캐치프레이즈에 "4옥타브"나 "5옥타브"라는 단어가 사용되지만, 이 중 많은 경우는 과장된 표현이다. 그러한 가수의 실제 음역은 3~3.5옥타브 정도인 경우가 많다.

과학적 피치 표기법을 사용한 5옥타브의 음역은, 예를 들어 최고음이 A6 (휘슬 보이스)인 여성 가수의 경우, 이것을 성립시키기 위해서는 A1 (피아노의 아래에서 두 번째 라)까지 낼 수 있어야 한다. 그러나 이것은 베이스 가수의 최저음보다 낮은 음으로, 여성의 성대로 발성하기에는 불가능에 가까운 저음이다.

덧붙여, 전성기의 머라이어 캐리는 실제로 5옥타브의 음역으로 발성 가능했지만, 그녀는 바리톤 가수와 비슷한 저음(G#2)부터 하프의 최고음에 필적하는 휘슬 보이스(G#7)까지 내어, 이 음역을 실현했다.

참조

[1] 서적 Collins English Dictionary https://www.collinsd[...] HarperCollins 2018
[2] 서적 Harvard Dictionary of Music https://www.bookyard[...]
[3] 웹사이트 Music theory online : musical instrument ranges & names http://www.dolmetsch[...] Dolmetsch.com 2009
[4] 웹사이트 Dolmetsch Online - Music Theory Online - Musical Instrument Ranges & Names http://www.dolmetsch[...]
[5] 서적 新音楽辞典 楽語 音楽之友社 1977-03-15
[6] 문서
[7] 문서
[8] 서적 標準音楽リズム教育法 / 保育所保母・幼稚園教諭養成課程用 音楽之友社 1984-02-20
[9] 서적 標準音楽リズム教育法 / 保育所保母・幼稚園教諭養成課程用 音楽之友社 1984-02-20
[10] 서적 標準音楽リズム教育法 / 保育所保母・幼稚園教諭養成課程用 音楽之友社 1984-02-20
[11] 문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