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악승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악승은 조나라의 장군으로, 혜문왕 시대에 진나라의 공격에서 연여를 구원하는 데 기여했다. 효성왕 시대에는 경사와 함께 진나라 군대를 격파하고, 연나라의 침공을 막아내어 무양군에 봉해졌다. 이후 염파와 교체되어 위기에 몰리면서 그의 행적은 더 이상 알려지지 않는다. 《사기》의 기록과 다른 기록 간의 모순이 존재하며, 학자들은 《사기》의 기록이 잘못되었을 가능성을 제기한다.

2. 생애

악승은 조나라 혜문왕, 효성왕, 도양왕 3대에 걸쳐 활약한 장수이다.

기원전 270년, 진나라가 조나라의 앨여(閼与)를 침공했을 때, 조사의 의견에 따라 혜문왕은 조사를 장군으로 임명하여 앨여를 구원하게 했다.[1]

기원전 256년, 경사와 함께 진나라 신량군을 격파했다.[2]

기원전 251년, 조나라가 쇠퇴한 틈을 타 연나라가 침공했을 때, 악승은 5만 명의 군대로 경진이 이끄는 20만 명의 군대를 대에서 격파했다.[3][4]

기원전 250년, 무양군에 봉해졌고,[5] 기원전 249년에는 가재상이 되어 연나라를 공격하고 국도를 포위했다.

기원전 245년, 조나라 효성왕이 죽고 도양왕이 즉위하자, 염파를 대신해 악승이 장군으로 임명되었다. 염파는 이에 불만을 품고 악승을 공격했고, 악승은 패하여 도망쳤다.[6][5]

2. 1. 혜문왕 시대

기원전 270년, 진나라한나라를 공격하기 위해 조나라의 연여(閼與)를 공격했다. 혜문왕염파와 악승에게 구원 가능성을 묻자, 염파와 악승은 "길이 멀고 험하고 좁아서 구하기 어렵습니다"라고 답했다.[8] 그러나 조사는 "그곳은 길이 멀고 험하고 좁은 곳이라 비유하자면 두 마리의 쥐가 좁은 구멍 안에서 싸우는 것과 같으므로 용감한 자가 이깁니다."라며 혜문왕을 설득했고, 결국 출정하여 진나라 군대를 물리쳤다.[8][1]

2. 2. 효성왕 시대

기원전 256년(효성왕 10), 악승은 경사와 함께 진나라 장수 신량(信梁)을 격파하였다.[9]

기원전 251년(효성왕 15), 연나라 연왕 희가 상국 율복(栗腹)을 보내 조나라와 동맹을 맺으려 하였다. 그런데 조나라에 다녀온 율복은 연왕 희에게 조나라가 아직 장평대전의 피해에서 벗어나지 못한 틈을 타서 이를 공격할 것을 권하였다. 이에 연왕 희가 율복과 경진 등을 보내 조나라를 침공하였다. 그러나 염파가 호(鄗)에서 연나라 군대를 크게 격파하여 율복을 죽였고, 악승 또한 경진을 격파하여 포로로 잡았다.[10] 악승은 5만 명의 군대로 경진이 이끄는 20만 명의 군대를 대에서 격파하였다.[3]

기원전 250년(효성왕 16), 악승은 염파와 함께 연나라를 포위하였다. 이에 연왕 희가 성 5개를 떼어주며 화친을 청하자 조 효성왕이 이를 받아들였다. 이 공로로 악승은 무양군(武襄君)에 봉해졌다.[11]

기원전 249년(효성왕 17), 무양군 악승은 또다시 연나라를 공격하여 이를 포위하였다.[12]

2. 3. 도양왕 시대

기원전 245년, 조 효성왕이 죽고 조 도양왕이 즉위하였다. 도양왕은 염파를 장군직에서 파면시키고 악승을 임명하였다. 이에 분노한 염파는 악승을 공격했고, 악승은 패배하여 도망쳤다.[13] 이후 악승의 행적은 명확히 알 수 없다.

3. 기록상의 모순

《사기》 악의열전에서는 연왕 희가 조나라를 공격했을 당시(기원전 251년)에 악승이 경복과 함께 조나라 장군 염파에게 사로잡혔으며, 악승은 악간의 친척이었으므로 악간 또한 조나라로 달아났다고 서술하였다.[14] 이와 같은 기록은 《사기》 조세가 등의 기록에서 악승이 보다 이전부터 조나라의 장수로 활약하며 무양군에 봉해졌던 것과는 모순된다.

여러 정황으로 볼 때 《사기》 악의열전에 보이는 모순적인 서술은 잘못된 기록인 것 같다. 원나라 시대의 학자인 호삼성(胡三省)의 《자치통감음주》[15]청나라 시대의 양옥승(梁玉繩)의 《사기지의》 등에서도 악승은 조나라의 장수이며, 연나라의 장수는 아닐 것이라고 주장하였다. 《전국책》에서도 염파와 악승이 각기 8만의 군대와 3만의 군대를 거느리고 연나라의 율복과 경진을 막았다고 하였다.[16]

참조

[1] wikisource 史記/卷081#附 趙奢
[2] wikisource 史記/卷043#趙孝成王
[3] wikisource 史記/卷043#趙孝成王
[4] wikisource 戰國策/卷31#燕王喜使栗腹以百金為趙孝成王
[5] wikisource 史記/卷080
[6] wikisource 史記/卷043#燕王喜使栗腹以百金為趙孝成王
[7] 서적 《사기》 권80 악의열전
[8] 서적 《사기》 권5 진본기 ; 《사기》 권81 염파인상여열전
[9] 서적 《사기》 권43 조세가
[10] 서적 《사기》 권43 조세가, 《사기》 권81 염파인상여열전
[11] 서적 《사기》 권43 조세가
[12] 서적 《사기》 권43 조세가
[13] 서적 《사기》 권43 조세가 ; 《사기》 권81 염파인상여열전
[14] 서적 《사기》 권80 악의열전
[15] 서적 《자치통감》(호삼성음주) 권6
[16] 서적 《전국책》 권31 연책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