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러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안러 구는 타이완 지룽 시의 구로, 지룽 시 북서쪽에 위치하며 인구가 가장 많다. 청나라 시대에는 지룽 보로 불렸으며, 일본 통치 시대에는 여러 행정 구역으로 나뉘었다. 1946년 안러 구로 개칭되었으며, 1988년 행정 구역 조정으로 현재의 구역이 확립되었다. 현재 25개의 리로 구성되어 있으며, 중산 고속공로와 포모사 고속공로가 지나간다. 다우룬 요새, 신산 댐, 러버스 호수 등 관광 명소가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안러구 - [지명]에 관한 문서 | |
---|---|
개요 | |
![]() | |
공식 명칭 | 안러구 |
다른 이름 | 해당 없음 |
원어 명칭 | }} |
별칭 | 해당 없음 |
유형 | 구 |
지리 | |
면적 | 18.0250km² |
행정 | |
국가 | 중화민국 |
성 | 타이완 성 (명목상) |
직할시 | 지룽시 |
하위 구역 | 25개 리 |
리더 직함 | 구장 (}}) |
리더 이름 | 정진농 () |
인구 | |
2023년 10월 | 80,452명 |
기타 정보 | |
우편 번호 | 204 |
시간대 | 국가 표준시 |
UTC 오프셋 | +8 |
웹사이트 | 공식 웹사이트 () |
언어 정보 | |
중국어 | |s=安乐区|first=t|p=Ānlè Qū|poj=An-lo̍k-khu}} |
2. 역사
안러구는 청나라 시대에 지룽보(基隆堡)로 불렸다. 일제강점기에는 여러 행정 구역 개편을 거쳐 1920년 지룽가(基隆街)에 속하게 되었고, 1924년 지룽시 승격 이후 정(町) 제도가 도입되었다. 1942년에는 여러 구(區)를 통합하여 제4구가 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인 1946년 1월, 제4구는 안러구(安樂區)로 개칭되어 현재의 이름이 되었다. 1988년 3월에는 행정 구역 조정이 이루어져 일부 리(里)가 중산구로 편입되고, 치두구의 일부 리가 안러구로 편입되어 현재의 행정 구역 경계가 확정되었다.
2. 1. 청나라 시대
안러구는 청나라 시대에 지룽보(基隆堡)라고 불렸다. 일본 통치 시대 초기에는 다우룬(大武崙)장(庄), 커커강(蚵殻港)장, 와이지아네이무산(外加内木山)장, 다간린(大竿林)장이 설치되어 지룽청(基隆廳)의 관할 아래 놓였으며, 이는 청나라 시대의 행정 구역을 답습한 것이었다.2. 2. 일제강점기
일본 통치 시대 초기 안러구 지역에는 다우룬(大武崙)장(庄), 커커강(蚵殻港)장, 와이지아네이무산(外加内木山)장, 다간린(大竿林)장의 4개 장(庄)이 설치되어 지룽청(基隆廳)의 관할 아래 놓였다. 이는 청나라 시대의 행정 구역을 답습한 것이었다.1920년 10월 1일, 지방 제도 개혁이 이루어지면서 이 지역은 지룽가(基隆街)에 속하게 되었다. 1924년 2월 25일에는 지룽가가 지룽시로 승격되었고, 기존의 장(庄)은 정(町)으로 개편되었다.
1941년 10월 1일, 지룽 지역의 발전에 따라 커커강 지역이 관음정(観音町), 보정(宝町), 서정(西町)의 3개 정으로 재편되었다.
1942년에는 각 정(町)과 대자(大字)에 구회(区会)가 설치되었으며, 관음구(観音区), 보구(宝区), 서구(西区), 다우룬구(大武崙区)를 합병하여 제4구가 성립되었다.
2. 3. 중화민국 시대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일본 통치 시대의 행정 구역이었던 제4구(관음구, 보구, 서구, 다우룬구 통합)는 1946년 1월, 안러구(安樂區)로 개칭되어 현재의 구 이름이 되었다. 당시 안러구는 21개의 리(里)로 구성되었다.이후 1988년 3월, 지룽시 정부는 행정 구역을 재조정하였다. 이 과정에서 기존 안러구에 속했던 시화(西華), 시룽(西栄), 시딩(西定), 시캉(西康), 더허(徳和), 더안(德安), 중허(中和) 등 7개 리가 중산구로 편입되었다. 동시에, 치두구에 속해 있던 잉거(鶯歌), 치셴(七賢), 쓰웨이(四維), 산민(三民), 우푸(五福), 류허(六合) 등 6개 리가 안러구로 편입되었다. 이러한 조정을 거쳐 현재의 안러구 행정 구역이 확정되었다.
3. 지리
지룽 시의 북서쪽에 위치하며, 지룽 시의 구 중에서 가장 인구가 많다.
- 면적: 18.025km2
- 인구: 80,452명 (2023년 10월 기준)[1][2]
4. 행정 구역
한국어 명칭 | 원어 명칭 (중국어 정체) |
---|---|
사유리 | 四維里zho |
칠현리 | 七賢里zho |
가인리 | 嘉仁里zho |
영강리 | 永康里zho |
간성리 | 干城里zho |
신서리 | 新西里zho |
서천리 | 西川里zho |
정국리 | 定國里zho |
정방리 | 定邦里zho |
낙일리 | 樂一里zho |
안화리 | 安和里zho |
자인리 | 慈仁里zho |
신륜리 | 新崙里zho |
내료리 | 內寮里zho |
중륜리 | 中崙里zho |
무륜리 | 武崙里zho |
외료리 | 外寮里zho |
흥료리 | 興寮里zho |
장락리 | 長樂里zho |
오복리 | 五福里zho |
육합리 | 六合里zho |
삼민리 | 三民里zho |
앵안리 | 鶯安里zho |
앵가리 | 鶯歌里zho |
장관리 | 壯觀里zho |
과거의 행정 구역으로는 안궈(安國), 바오딩(寶丁), 다이톈푸(代天府), 다우룬(大武崙), 강코우(港口), 꽌인(觀音), 마이진(麥金), 칭런후(情人湖), 쓰딩(四碇), 신청(新城), 신후이(新輝), 신룬(新崙), 우링(五靈), 잉거스(鶯歌石) 등이 있었다.[5]
5. 교통
- 중산 고속공로(국도 1호선)
- 포모사 고속공로(국도 3호선)
6. 교육
(내용 없음)
6. 1. 고등학교
- 기륭시립 안러 고급중학교
6. 2. 중학교
- 지룽시립 젠더 국민중학교
- 지룽시립 우룬 국민중학교
6. 3. 초등학교
- 기륭시립 서정 국민소학교
- 기륭시립 안락 국민소학교
- 기륭시립 장락 국민소학교
- 기륭시립 무륜 국민소학교
- 기륭시립 건덕 국민소학교
- 기륭시립 륭성 국민소학교
7. 관광
- 다우룬 요새
- 신산 댐
- 아오디 어항
- 러버스 호수
- 스팡다주에 사찰
- 따우룬 산
- 스치우링 터널
참조
[1]
웹사이트
人口統計
http://www.klcg.gov.[...]
2016-06-06
[2]
웹사이트
Keelung City Anle District Office
http://www.klal.gov.[...]
Klal.gov.tw
2014-05-25
[3]
웹사이트
里長簡介
https://www.klal.gov[...]
2019-09-26
[4]
웹사이트
基隆市地名清單
https://land.klcg.go[...]
基隆市政府地政處
2019-09-27
[5]
웹사이트
Anle Land Office, Keelung City - Introduction to the District
http://anleh-land.go[...]
Anleh-land.gov.tw
2014-04-2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