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안축 (조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안축은 조선 중기의 문신이다. 중종 26년(1531) 생원시와 진사시에 합격하고, 중종 37년(1542) 임인 정시 문과에 급제했다. 사간원 정언, 사헌부 지평을 거쳐 나주목사, 남원부사를 역임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500년 출생 - 벤베누토 첼리니
    벤베누토 첼리니는 16세기 르네상스 시대 이탈리아의 금세공사이자 조각가로, 메디치 가문의 후원을 받아 로마와 프랑스 등지에서 활동하며 '메두사의 머리를 든 페르세우스'와 '소금통' 같은 대표작을 남겼고, 그의 자서전은 후대 예술가들에게 영감을 주었다.
  • 1500년 출생 - 테쿤 우만
    테쿤 우만은 16세기 스페인 군에 맞서 싸운 키체족 전사이자 과테말라의 국민적 영웅으로 추앙받으며, 역사적 실존 여부에 대한 논쟁에도 불구하고 과테말라 독립의 상징으로 기려지고 다양한 방식으로 기념되고 있다.
  • 1572년 사망 - 이준경
    이준경은 조선 중종 때 문과에 급제하여 명종 대에 영의정을 지냈고 선조 즉위 후 원상으로서 국정을 주도했으며, 을사사화 때 사림을 보호하고 을묘왜변을 진압하는 데 공을 세운 문신이자 정치가이다.
  • 1572년 사망 - 라파엘 봄벨리
    라파엘 봄벨리는 이탈리아의 수학자로, 1572년 『대수』에서 복소수 개념을 체계적으로 다루고 허수의 산술 규칙을 명확히 제시하며 삼차방정식 해법에서 복소수가 나타나는 경우를 최초로 지적하는 등 후대 수학 발전에 기여했다.
  • 16세기 한국 사람 - 정유길
    정유길은 조선 중기 문신으로, 중종 때 문과에 급제하여 여러 관직을 거쳐 명종 때 왕의 총애를 받았으며, 윤원형 탄핵에 앞장서 훈구파, 소윤파, 사림파 모두에게 존경받아 좌의정에 이르렀다.
  • 16세기 한국 사람 - 정여립
    정여립은 조선 중기 문신으로 동인으로 전향하여 이이를 비판하다 관직을 버리고 고향으로 돌아간 후 대동계를 결성했으나 반란 혐의로 자결했으며, 기축옥사로 동서인 갈등을 심화시킨 인물이다.
안축 (조선) - [인물]에 관한 문서
인물 정보
이름안축
한자 표기安舳
출생일1500년 12월 2일
출생지전라도 보성(寶城)
사망일1572년 1월 11일
사망지전라도 보성 솔뫼[松山]
국적조선
직업문관, 유학자
배우자전라도 태인(泰仁) 출신의 보한당(保閑堂) 김약회(金若晦)의 따님 도강김씨(道康金氏)
학력 및 경력
경력1531년(중종 26) 사마시(생원ˑ진사) 합격

2. 생애

안축은 중종 때 문신으로, 1531년 생원시와 진사시에 합격하고, 1542년 문과에 급제하여 사간원 정언, 사헌부 지평, 나주목사 등을 거쳐 남원부사에 이르렀다.[1][5][6][7][8][9]

2. 1. 관직 생활

보성(宝城)에서 거하였다.[2]

중종 26년(1531) 생원시와 진사시에 합격하였고,[2][3] 중종 37년(1542년) 임인 정시(庭試) 문과에 급제하였다.[4]

1547년 사간원 정언,[5] 1548년 사헌부 지평에 제수되었다.[6] 1554년 경에는 나주목사(羅州牧使)로 명종실록에 언급된다.[7][8][9]

이후 관직이 남원부사(南原府使)에 이르렀다.[1]

3. 가족 관계

관계이름비고
증조부안민(安民)무과 급제, 훈련원 참군, 이시애의 난 때 전사, 종부시주부에 증직[10]
증조모보성 선씨(寶城宣氏)승훈랑(承訓郞) 선구령(宣龜齡)의 딸
조부안범(安範)현감(縣監), 1507년 4월 20일 정국원종공신(靖國原從功臣)[10]
조모천안 전씨(天安全氏)상장(上將) 전유정(全有貞)의 딸
부친안수륜(安秀崙)1516년 문과 급제, 성균관 학유(成均館學諭)[10][11]
어머니거창 신씨(居昌愼氏)사헌부감찰(司憲府監察) 신난동(愼蘭仝)의 장녀[12]
부인도강 김씨(道康金氏)생원(生員) 김약회(金若晦)의 장녀[13]
장남안중관(安重寬)안방준(1573년 ~ 1654년)의 생부[10]
차남안중홍(安重洪)[14]
3남안중돈(安重敦)[14]
사위이유창(李惟昌)[14]
동생안정(安艇)자 강빈(江賓), 호 손암(遜庵), 선무랑(宣務郞)
제수광주 이씨(廣州李氏)군수(郡守) 이지분(李之蕡)의 딸
양자안중묵(安重默)의영고직장(義盈庫直長), 자 기현(基賢), 호 동애(桐崖), 생부 안의(安艤)
질부청풍 김씨(淸風金氏)충의위(忠義衛) 김홍한(金弘漢)의 딸
숙부안수잠(安秀岑)1522년 문과 급제, 합천군수(陜川郡守)
숙모전주 이씨(全州李氏)화성군(花城君) 이감(李堪)의 딸
숙부안수금(安秀嶔)1513년 무과 급제, 운산군수(雲山郡守)
숙모전주 이씨(全州李氏)덕원군(德原君) 이서(李曙)의 딸


참조

[1] 서적 은봉전서(隱峯全書) 1864
[2] 웹사이트 가정10년[중묘26년]신묘8월방목 http://223.194.62.34[...] 2017-11-26
[3] 웹사이트 가정10년[중묘26년]신묘8월방목 http://223.194.62.34[...] 2017-11-26
[4] 웹사이트 국조방목 http://223.194.62.34[...] 2017-11-26
[5] 뉴스 명종실록 6권, 명종 2년 윤9월 16일 갑오 5번째기사 1547년 명 가정(嘉靖) 26년 2017-11-26
[6] 뉴스 명종실록 7권, 명종 3년 1월 23일 경자 1번째기사 1548년 명 가정(嘉靖) 27년 2017-11-26
[7] 뉴스 명종실록 15권, 명종 8년 9월 21일 갑자 1번째기사 1553년 명 가정(嘉靖) 32년 2017-11-26
[8] 뉴스 명종실록 16권, 명종 9년 3월 27일 정묘 2번째기사 1554년 명 가정(嘉靖) 33년 2017-11-26
[9] 뉴스 명종실록 18권, 명종 10년 3월 21일 병진 3번째기사 1555년 명 가정(嘉靖) 34년 2017-11-26
[10] 문서 안방준 묘지명
[11] 웹사이트 국조방목 http://223.194.62.34[...] 2017-11-26
[12] 문서 신자건 묘비명
[13] 문서 송연손 신도비명
[14] 서적 씨족원류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