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정유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정유길은 조선 중기의 문신으로, 중종 때 문과에 급제하여 명종 대에 이르기까지 요직을 두루 거치며 정치적 영향력을 행사했다. 그는 윤원형을 여러 차례 탄핵하는 등 정치 활동을 펼쳤으며, 훈구파, 소윤파, 사림파 등 다양한 세력과 연대하며 여러 관직을 역임했다. 이량 일파로 몰려 탄핵받아 조정에서 물러나기도 했지만, 이후 훈구파 및 서인과의 친분으로 좌의정까지 올랐다.

2. 생애

정유길은 중종 때 문과에 급제하여 공조좌랑, 사간원정언 등을 거쳤다.[1] 명종 대에는 동부승지, 좌부승지, 우승지, 도승지 등 승정원의 요직을 역임하며 왕의 측근에서 활동했다.[1]

홍언필 등과 윤원로를 귀양 보냈고,[1] 이준경 등과 윤원형을 여러 번 탄핵했다.[1] 홍문관 부제학 시절에는 윤개, 이량 등과 함께 반 윤원형 세력을 형성하기도 했다.[1]

이후 대사헌, 예조판서, 이조판서, 대제학 등을 거쳐 우참찬, 이조판서, 공조판서에 이르렀으나, 이량 일파로 몰려 탄핵받았다.[1] 그러나 훈구파, 서인과의 친분으로 지중추부사로 복귀, 예조판서, 이조판서를 거쳐 숭정대부에 올랐다.[1] 이후 우찬성, 좌찬성, 병조판서, 판의금부사를 거쳐 우의정, 좌의정까지 역임했다.[1]

2. 1. 관직 역임

중종 때 문과에 급제하여 공조좌랑, 사간원 정언을 지냈다.[1] 정언과 이조정랑을 거쳐 홍언필, 윤인경, 성세창, 유관, 윤임, 정사룡, 신광한, 심연원, 유인숙, 권벌, 윤개 등과 윤원로를 탄핵해서 귀양을 보냈다.[1] 이후 명종 때 의정부 검상, 의정부사인을 지내고, 사헌부 집의로 승진했다.[1] 사복시부정을 거쳐 홍문관 부교리가 되고, 시독관이 되어 명종의 총애를 받았다.[1] 시강관을 거쳐 교리로 있을 때 이준경, 이윤경, 심연원, 홍섬 등과 윤원형을 여러 번 탄핵했다.[1] 홍문관부응교로 승진하면서 대윤 잔존 세력과 연대했고, 훈구파와 소윤파, 사림파 모두에게서 존경을 받았다.[1] 시강관과 사인을 거쳐 동부승지로 당상관에 올라 명종의 총애를 얻어 조선의 폐단을 개혁하려 애썼고, 좌부승지로 초배된다.[1] 참찬관과 색승지를 거쳐 우승지가 되었다.[1] 도승지 시절에 이탁, 이명, 심연원, 홍섬 등과 윤원형을 여러 번 탄핵했지만 제거하지는 못했다.[1] 홍문관 부제학이 되며 윤개, 이량, 홍섬, 심연원, 심통원, 노수신, 이명, 정사룡, 신광한, 홍담 등과 반 윤원형 세력에 섰고, 참찬관을 겸하며, 이량 일파에 들어갔다.[1] 심연원, 심통원, 이명, 이량, 정사룡, 이탁 등과 윤원형을 여러 번 탄핵하였다.[1] 동지중추부사가 되고 다시 승정원 도승지가 되었다.[1] 도승지참찬관을 겸했고, 사헌부 대사헌이 되고, 홍문관 부제학을 겸하다 대사헌, 예조참판, 이조참판으로 승진하고 예조판서와 대제학으로 곧 승진한다.[1] 우참찬, 이조판서, 공조판서까지 되지만, 이량 일파로 몰려 탄핵을 받아 조정에서 물러난다.[1] 훈구파와 서인들과의 지속적인 친분으로 지중추부사가 되고, 예조판서, 이조판서를 거쳐 숭정대부에 오르고 특진관을 겸하고 다시 예조판서가 되고 우찬성, 좌찬성으로 오르고, 병조판서와 판의금부사를 거쳐 우의정을 거쳐 좌의정에 이르렀다.[1]

2. 2. 정치 활동

중종 때 문과에 급제하여 공조좌랑, 사간원정언을 지냈다. 정언과 이조정랑을 거쳐 홍언필, 윤인경, 성세창, 유관, 윤임, 정사룡, 신광한, 심연원, 유인숙, 권벌, 윤개 등과 윤원로를 탄핵하여 귀양 보냈다.[1] 명종 때 의정부검상, 의정부사인을 지냈고, 사헌부집의로 승진했다. 사복시부정을 거쳐 홍문관부교리가 되었으며, 시독관으로서 명종의 총애를 받았다.[1] 시강관, 교리를 거치며 이준경, 이윤경, 심연원, 홍섬 등과 윤원형을 여러 번 탄핵했다.[1] 홍문관부응교, 홍문관응교로 승진하면서 대윤 잔존 세력과 연대했고, 훈구파, 소윤파, 사림파 모두에게서 존경받았다.[1] 시강관과 사인을 거쳐 동부승지로 당상관에 올랐고, 명종의 총애를 받아 조선의 폐단을 개혁하려 애썼으며, 좌부승지로 초배되었다.[1] 참찬관과 색승지를 거쳐 우승지가 되었다.[1] 도승지 시절 이탁, 이명, 심연원, 홍섬 등과 윤원형을 여러 번 탄핵했지만, 윤원형을 제거하지는 못했다.[1] 홍문관부제학이 되면서 윤개, 이량, 홍섬, 심연원, 심통원, 노수신, 이명, 정사룡, 신광한, 홍담 등과 반 윤원형 세력에 섰고, 참찬관을 겸하며 이량 일파에 들어갔다.[1] 심연원, 심통원, 이명, 이량, 정사룡, 이탁 등과 윤원형을 여러 번 탄핵했다.[1] 동지중추부사가 되고 다시 승정원도승지가 되었다.[1] 도승지로 참찬관을 겸했고, 사헌부대사헌이 되고, 홍문관부제학을 겸하다 대사헌, 예조참판, 이조참판으로 승진했으며, 곧 예조판서와 대제학으로 승진했다.[1] 우참찬, 이조판서, 공조판서까지 되었지만, 이량 일파로 몰려 탄핵받아 조정에서 물러났다.[1] 그러나 훈구파와 서인과의 친분으로 지중추부사가 되었고, 예조판서, 이조판서를 거쳐 숭정대부에 올랐으며, 특진관을 겸하고 다시 예조판서가 되었다.[1] 우찬성, 좌찬성을 거쳐 병조판서와 판의금부사를 지내고 우의정을 거쳐 좌의정에 이르렀다.[1]

참조

[1] 서적 정유길 비명
[2] 문서 선원록
[3] 문서 정석군의 손녀
[4] 문서 의혜공주와 한경록의 차남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