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안투리움속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안투리움속은 천남성과의 속으로, 착생식물 또는 육생 여러해살이풀로 자란다. 잎은 다양한 모양으로 뭉쳐나며, 꽃은 육수꽃차례에 촘촘히 나선형으로 배열된다. 육수꽃차례 아래에는 불염포가 있으며, 열매는 씨앗 두 개를 포함하는 장과이다. 안투리움은 관엽식물로 재배되며, 밝은 색상의 불염포를 가진 품종이 개발되었다. 수산칼슘 결정체로 인해 독성이 있으며, 씨앗이나 영양 번식, 또는 식물 조직 배양을 통해 번식한다. 1860년 하이리히 빌헬름 쇼트는 안투리움을 28개 절로 분류했으며, 주요 종으로는 안투리움 안드레아눔, 안투리움 세르제리아눔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천남성과 - 개구리밥
    개구리밥은 전 세계 담수 환경에 서식하는 부유성 수생 식물로, 엽상체와 뿌리로 구성되어 빠른 성장 속도와 높은 단백질 함량으로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 가능성이 높고 유전학 연구에도 활용된다.
  • 천남성과 - 좀개구리밥
    좀개구리밥은 부유성 수생식물로, 넓은 타원형 엽상체와 뿌리, 낭체를 가지며, 무성생식과 유성생식을 통해 번식하고, 사료, 식용, 환경 정화 등에 이용된다.
  • 1829년 기재된 식물 - 진달래아과
    진달래아과는 진달래속을 포함하는 식물 분류군으로, 가솔송족, 브리안투스족, 시로미족, 에리카족, 진달래족 등 5개의 족으로 구성된다.
  • 1829년 기재된 식물 - 파파야과
    파파야과는 십자화목에 속하는 목본 또는 초본 식물 과로, 손바닥 모양의 잎과 측막태좌에 다수의 종자가 붙는 특징을 가지며, 주로 아메리카 열대 지역에 분포하고 6개의 속을 포함한다.
  • 식물의 속 - 너도밤나무속
    너도밤나무속은 북반구 온대 지역에 분포하는 참나무과 교목으로, 두 아속으로 나뉘며 각 아속은 형태, 유전형, 분포에서 차이를 보이고, 목재, 식량, 관상용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되며, 질병과 해충의 위협을 받고 있다.
  • 식물의 속 - 라이밀
    라이밀은 밀과 호밀을 교배하여 만든 곡물이며, 육종을 통해 수확량, 영양 품질, 도복 저항성 등을 개량하고 글루텐을 함유하고 있다.
안투리움속 - [생물]에 관한 문서
속 정보
안투리움 속
안투리움 속
학명Anthurium Schott
명명자Schott
하위 분류 계급
하위 분류종 목록 참조
이명Podospadix Raf.
Strepsanthera Raf.
안투리움 속 분포도
안투리움 속의 분포
일반 정보
사토이모과
하위 분류
본문 참조

2. 주요 특징

안투리움속은 다양한 생육 형태를 가지는 여러해살이풀로, 대부분 다른 식물에 붙어사는 착생식물이지만 땅에서 자라는 육생식물도 있다. 잎은 뭉쳐나며 모양이 다양하다. 꽃은 육수꽃차례에 촘촘히 나선형으로 배열된 양성화이며, 육수꽃차례 아래에는 밝은 색을 띠는 불염포가 있다. 열매는 즙이 많은 장과로 보통 두 개의 씨앗을 포함한다.[11]

육수꽃차례와 불염포는 안투리움 품종 개량가들이 밝은 색상과 독특한 모양의 재배 품종을 개발하는 데 주된 초점이 된다. 재배 시 가장 흔한 ''안투리움 쉐르제리아눔(Anthurium scherzerianum)''과 ''홍학꽃(A. andraeanum)''은 밝은 붉은색 불염포를 갖는 유일한 종이다. 또한 다른 많은 색상과 패턴의 불염포를 생산하도록 개량되었다.[12]

2. 1. 생물학적 특징

안투리움속 식물은 종종 다른 식물에 붙어서 사는 착생식물로 자라거나, 땅에서 직접 자라는 육생식물이다. 잎은 뭉쳐서 나며, 그 모양은 매우 다양하다. 꽃차례는 암술과 수술을 모두 가진 작은 양성화들이 촘촘하게 나선형으로 배열된 육수꽃차례 형태이다. 육수꽃차례는 가늘고 길쭉한 모양이 일반적이지만, 구형이나 곤봉형인 경우도 있다. 육수꽃차례 아래에는 불염포라고 하는 포가 있는데, 이 역시 모양이 다양하며, 창 모양이 많지만 평평하게 뻗거나 곡선을 이루기도 하고, 때로는 두건처럼 육수꽃차례를 덮기도 한다. 열매는 육수꽃차례에서 발달하며, 보통 두 개의 씨앗을 포함하는 즙이 많은 장과이고 다양한 색깔을 띤다.[11]

안투리움은 수산칼슘 결정체 때문에 독성이 있으며, 식물의 수액은 피부와 눈에 자극을 줄 수 있다.[5]

국제적인 안투리움 거래는 대부분 식물 조직 배양을 통해 번식시킨다.[14]

2. 2. 재배 및 관리

다른 천남성처럼 많은 종의 ''안투리움'' 식물은 관엽식물로 재배할 수 있으며, 그늘진 곳의 온화한 기후에서는 야외에서도 재배할 수 있다. 여기에는 크고 벨벳 같은 짙은 녹색 잎과 은백색 잎맥을 가진 ''Anthurium crystallinum'' 및 ''Anthurium clarinervium''이 포함된다. 많은 잡종은 화려한 불염포 때문에 ''Anthurium andraeanum'' 또는 ''Anthurium scherzerianum''에서 파생된다. 이들은 유기물이 풍부하고 촉촉한 토양에서 잘 자란다. 온화한 기후에서는 흙에 심은 화분에서 식물을 재배할 수 있다. 실내 식물은 16°C-22°C의 온도와 다른 관엽식물보다 낮은 광도에서 잘 자란다. 잎을 물로 닦아내면 먼지와 곤충을 제거할 수 있다. 뿌리 시스템이 좋은 화분에서 자라는 식물은 격주로 약한 비료 용액을 사용하면 도움이 된다. 덩굴성 또는 덩굴성 안투리움의 경우, 식물은 기어 올라갈 수 있는 토템을 제공받으면 도움이 된다.[13]

3. 분류

1860년, 하이리히 빌헬름 쇼트는 당시 알려진 183종의 안투리움을 28개의 절(section)로 분류했다.[15] 1983년에는 이 속이 다음과 같은 절로 나뉘었다:[17]


  • Belolonchium
  • Calomystrium
  • Cardiolonchium
  • Chamaerepium
  • Cordatopunctatum
  • Dactylophyllium
  • Decurrentia
  • Digitinervium
  • Gymnopodium
  • Leptanthurium
  • Pachyneurium
  • Polyphyllium
  • Polyneurium
  • Porphyrochitonium
  • Schizoplacium
  • Semaeophyllium
  • Tetraspermium
  • Urospadix
  • Xialophyllium


전체 목록은 Anthurium 종 목록에서 확인할 수 있다.

4. 주요 종


  • 안투리움 안드레아눔(오오베니우치와): 콜롬비아 원산으로, 흔히 '안투리움'이라고 하면 이 종을 가리킨다. 소형 품종은 '히메안스리움'이라고 부른다.
  • 안투리움 쉐르제리아눔(베니우치와): 과테말라, 코스타리카 원산이다.
  • 안투리움 크리스탈리눔(시로시마우치와): 콜롬비아 원산이다.
  • 안투리움 마그니피쿰(비로드우치와): 콜롬비아 원산이다.

5. 독성

안투리움속 식물은 모두 수산칼슘 결정을 함유하고 있어 독성이 있다. 섭취하면 구강 자극, 통증, 부기, 과도한 침 흘림, 구토, 삼키기 어려움 등을 유발할 수 있다. 특히 고양이, 개, 말 등 반려동물에게 위험하므로 주의해야 한다.[18]

6. 갤러리

안투리움 폴리시스텀


안투리움 안드레아눔


안투리움 안드레아눔 cv. 프리비아

참조

[1] 웹사이트 Kew World Checklist of Selected Plant Families http://apps.kew.org/[...]
[2] 서적 Sunset Western Garden Book Sunset 1995
[3] 논문 Anthurium (section Urospadix; subsection Flavescentiviridia) http://rodriguesia.j[...] 2005
[4] 웹사이트 Araceae. http://www.kew.org/s[...] 2020-11-12
[5] 웹사이트 Anthurium spp. http://www.ces.ncsu.[...] 2013-10-03
[6] 웹사이트 Flamingo Flower https://www.aspca.or[...] 2024-05-26
[7] 웹사이트 Anthurium https://www.itis.gov[...]
[8] 서적 World Checklist and Bibliography of Araceae (and Acoraceae) The Board of Trustees of the Royal Botanic Gardens, Kew 2002
[9] 논문 Revisão taxonômica das espécies de Anthurium (Araceae) seção Urospadix subseção Flavescentiviridia 2009
[10] 논문 A revision of the genus Anthurium (Araceae) of Mexico and Central America. Part 1: Mexico and Middle America. http://www.aroid.org[...] 1983
[11] 웹사이트 Anthurium description. http://www.aroid.org[...]
[12] 웹사이트 Anthurium scherzerianum (flamingo flower). http://www.kew.org/p[...] 2013-10-23
[13] 웹사이트 How to grow anthurium https://www.gardener[...] 2024-05-26
[14] 웹사이트 Cultural guidelines for commercial production of interiorscape Anthurium. http://edis.ifas.ufl[...] 2003/2009
[15] 서적 Prodromus Systematis Aroidearum Wien 1860
[16] 서적 Araceae-Pothoideae 1905
[17] 웹사이트 Sections of Anthurium. http://www.aroid.org[...] 2007-12-31
[18] 웹사이트 Anthurium https://www.britanni[...] 2024-05-26
[19] 웹사이트 Anthurium http://www.tropicos.[...]
[20] 간행물 Nova Acta Academiae Caesareae Leopoldino-Carolinae Germanicae Naturae Curiosorum 1876
[21] 간행물 Wiener Zeitschrift für Kunst, Litteratur, Theater und Mode 182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