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알란 시몬센 (자동차 경주 선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알란 시몬센은 1999년 덴마크 포뮬러 포드 챔피언십에서 우승하며 경력을 시작한 덴마크의 자동차 경주 선수였다. 2002년 스포츠카 경주로 전향하여 영국 GT 챔피언십에 참가했고, 2007년 호주 GT 챔피언십에서 우승했다. 2007년부터 2013년까지 르망 24시에 7번 출전하여 2007년과 2010년에 GT2 클래스 포디움에 올랐다. 2011년에는 바서스트 1000에서 3위를 차지했다. 시몬센은 2013년 르망 24시 경기 중 사고로 사망했다.

2. 경력



알란 시몬센은 카트 레이싱에서 키미 라이쾨넨과 같은 선수들과 경쟁하며 경력을 시작한 후, 1999년에 자동차 경주로 전향하여 덴마크 포뮬러 포드 챔피언십에서 우승했다. 2000년에는 포뮬러 팔머 아우디에서 레이스를 펼쳤고, 2001년에는 독일 포뮬러 3 챔피언십과 영국 포뮬러 르노 챔피언십으로 옮겨갔다.[6]

2002년에 스포츠카 경주로 전향하여 영국 GT 챔피언십에서 벨록스 모터스포츠 팀 소속으로 페라리 360을 운전했다. 2003년에는 마크 코피 레이싱 팀 소속으로 호주에서 레이스를 시작하여 페라리 360 챌린지를 몰고 2003 호주 네이션스 컵 챔피언십에서 GT 스타일 차량으로 8위를 차지했고, 그룹 2에서는 2위를 차지했다. 이후 2003 바서스트 24시에서 람보르기니 디아블로 GTR을 몰고 8위를 기록했다. 2004 호주 네이션스 컵 챔피언십에서는 페라리 550 GT2를 제한적으로 운전하며 종합 순위 7위에 올랐고, 트로피 클래스에서는 3위를 차지했다.

시몬센은 호주에서 샌다운 500과 바서스트 1000 V8 슈퍼카에도 출전했다. 시몬센의 바서스트 최고 성적은 2011년으로, 켈리 레이싱 소속으로 그레그 머피와 함께 홀덴 VE 코모도어를 몰고 3위를 차지했다.[7] 시몬센은 2007년에 호주 GT 챔피언십에서 우승(페라리 360 GT와 페라리 F430을 모두 운전)했고, 2008년에는 페라리 F430 GT를 몰고 2위를 차지했다.

2011년 스프린트 바서스트 이벤트에서 그는 유명한 마운트 패노라마 서킷을 2분 4.95초로 주파하는 놀라운 기록을 세웠다. 이 기록은 당시 V8 슈퍼카 랩 타임보다 무려 2초나 빠른 기록이었으며, 이듬해에 세워진 포뮬러 3 랩 레코드와 견줄 만했다.[8][9] 시몬센의 기록이 너무 빨라서 관계자들은 처음에 오류라고 판단하여 기록에서 삭제했다. 그러나 수동 기록원과 팀 자체 데이터로 확인된 후에야 기록이 복원되었다.[10]

시몬센은 2007 르망 시리즈 시즌에서 버고 모터스포츠 팀 소속으로 포르쉐 911 GT3를 부분적으로 운전하며 4위를 차지했으며, 이 중에는 2007 뉘르부르크링 1000km GT2 클래스 우승도 포함되어 있다.[11] 그는 2008년부터 2011년까지 르망 시리즈와 다양한 국제 시리즈에서 Team Farnbacher 소속으로 페라리를 운전했다. 그 기간 동안 시몬슨은 도미니크 파른바허와 함께 2009 오카야마 1000km에서 GT2 클래스에서 우승했고, 파른바허, 레흐 킨, 마르코 제프리드와 함께 2010 뉘르부르크링 24시에서 SP7 클래스에서 우승했다. 그는 24시 르망에 2007년부터 2013년까지 7번 참가하여 2007년과 2010년에 GT2 클래스 포디움에 두 번 올랐다. (2007년 3위, 2010년 2위).

2. 1. 초기 경력 (카트 및 포뮬러)

알란 시몬센은 카트 레이싱에서 키미 라이쾨넨과 같은 선수들과 경쟁하며 경력을 시작하여, 1999년 덴마크 포뮬러 포드 챔피언십에서 우승했다.[6] 2000년에는 포뮬러 팔머 아우디에서 레이스를 펼쳤고, 2001년에는 독일 포뮬러 3 챔피언십과 영국 포뮬러 르노 챔피언십으로 옮겨갔다.[6]

2002년 스포츠카 경주로 전향하여 영국 GT 챔피언십에서 벨록스 모터스포츠 팀 소속으로 페라리 360을 운전했다.[6] 2003년에는 호주에서 마크 코피 레이싱 팀 소속으로 페라리 360 챌린지를 몰고 2003 호주 네이션스 컵 챔피언십 GT 스타일 차량 부문 8위, 그룹 2에서 2위를 차지했다.[6] 이후 2003 바서스트 24시에서 람보르기니 디아블로 GTR을 몰고 8위를 기록했다.[6] 2004 호주 네이션스 컵 챔피언십에서는 페라리 550 GT2를 제한적으로 운전하며 종합 순위 7위, 트로피 클래스 3위를 차지했다.[6]

시몬센은 호주에서 샌다운 500과 바서스트 1000 V8 슈퍼카에도 출전했다. 시몬센의 바서스트 최고 성적은 2011년으로, 켈리 레이싱 소속으로 그레그 머피와 함께 홀덴 VE 코모도어를 몰고 3위를 차지했다.[7]

2007년에는 호주 GT 챔피언십에서 페라리 360 GT와 페라리 F430을 몰아 우승했고,2008년에는 페라리 F430 GT를 몰고 2위를 차지했다.

2011년 스프린트 바서스트 이벤트에서 그는 마운트 패노라마 서킷을 2분 4.95초로 주파하는 기록을 세웠는데, 이는 당시 V8 슈퍼카 랩 타임보다 2초나 빠른 기록이었다.[8][9] 이 기록은 처음에 오류로 판단되어 삭제되었으나, 수동 기록원과 팀 자체 데이터로 확인된 후 복원되었다.[10]

2007 르망 시리즈 시즌에서 버고 모터스포츠 팀 소속으로 포르쉐 911 GT3를 부분적으로 운전하며 4위를 차지했으며, 2007 뉘르부르크링 1000km GT2 클래스 우승도 차지했다.[11] 2008년부터 2011년까지 르망 시리즈와 다양한 국제 시리즈에서 Team Farnbacher 소속으로 페라리를 운전했다. 도미니크 파른바허와 함께 2009 오카야마 1000km에서 GT2 클래스에서 우승했고, 파른바허, 레흐 킨, 마르코 제프리드와 함께 2010 뉘르부르크링 24시에서 SP7 클래스에서 우승했다. 24시 르망에 2007년부터 2013년까지 7번 참가하여 2007년과 2010년에 GT2 클래스 포디움에 두 번 올랐다. (2007년 3위, 2010년 2위).

시몬센이 운전하는 애스턴 마틴 밴티지 GTE, 2012년 르망 24시에 대비한 테스트 세션에서.

2. 2. 스포츠카 경주



그는 카트 레이싱에서 포뮬러 1 월드 챔피언 키미 라이쾨넨과 같은 선수들과 경쟁하며 경력을 시작한 후, 1999년에 자동차 경주로 전향하여 덴마크 포뮬러 포드 챔피언십에서 우승했다. 2000년에는 포뮬러 팔머 아우디에서 레이스를 펼쳤고, 2001년에는 독일 포뮬러 3 챔피언십과 영국 포뮬러 르노 챔피언십으로 옮겨갔다.[6]

시몬센은 2002년에 스포츠카 경주로 전향하여 영국 GT 챔피언십에서 벨록스 모터스포츠 팀 소속으로 페라리 360을 운전했다.

시몬센은 2007 르망 시리즈 시즌에서 버고 모터스포츠 팀 소속으로 포르쉐 911 GT3를 부분적으로 운전하며 4위를 차지했으며, 이 중에는 2007 뉘르부르크링 1000km GT2 클래스 우승도 포함되어 있다.[11] 그는 2008년부터 2011년까지 르망 시리즈와 다양한 국제 시리즈에서 Team Farnbacher 소속으로 페라리를 운전했다. 그 기간 동안 시몬슨은 도미니크 파른바허와 함께 2009 오카야마 1000km에서 GT2 클래스에서 우승했고, 파른바허, 레흐 킨, 마르코 제프리드와 함께 2010 뉘르부르크링 24시에서 SP7 클래스에서 우승했다. 그는 24시 르망에 2007년부터 2013년까지 7번 참가하여 2007년과 2010년에 GT2 클래스 포디움에 두 번 올랐다. (2007년 3위, 2010년 2위).

2. 2. 1. 호주에서의 활약

시몬센은 2003년에 마크 코피 레이싱 팀 소속으로 호주에서 레이스를 시작하여 페라리 360 챌린지를 몰고 2003 호주 네이션스 컵 챔피언십에서 GT 스타일 차량으로 8위를 차지했고, 그룹 2에서는 2위를 차지했다. 이후 2003 바서스트 24시에서 람보르기니 디아블로 GTR을 몰고 8위를 기록했다. 2004 호주 네이션스 컵 챔피언십에서는 페라리 550 GT2를 제한적으로 운전하며 종합 순위 7위에 올랐고, 트로피 클래스에서는 3위를 차지했다.

시몬센은 호주에서 샌다운 500과 바서스트 1000 V8 슈퍼카에도 출전했다. 시몬센의 바서스트 최고 성적은 2011년으로, 켈리 레이싱 소속으로 그레그 머피와 함께 홀덴 VE 코모도어를 몰고 3위를 차지했다.[7] 시몬센은 2007년에 호주 GT 챔피언십에서 우승(페라리 360 GT와 페라리 F430을 모두 운전)했고, 2008년에는 페라리 F430 GT를 몰고 2위를 차지했다.

2011 스프린트 바서스트 이벤트에서 그는 유명한 마운트 패노라마 서킷을 2분 4.95초로 주파하는 놀라운 기록을 세웠다. 이 기록은 당시 V8 슈퍼카 랩 타임보다 무려 2초나 빠른 기록이었으며, 이듬해에 세워진 포뮬러 3 랩 레코드와 견줄 만했다.[8][9] 시몬센의 기록이 너무 빨라서 관계자들은 처음에 오류라고 판단하여 기록에서 삭제했다. 그러나 수동 기록원과 팀 자체 데이터로 확인된 후에야 기록이 복원되었다.[10]

2. 2. 2. 국제 무대



그는 카트 레이싱에서 포뮬러 1 월드 챔피언 키미 라이쾨넨과 같은 선수들과 경쟁하며 경력을 시작한 후, 1999년에 자동차 경주로 전향하여 덴마크 포뮬러 포드 챔피언십에서 우승했다. 2000년에는 포뮬러 팔머 아우디에서 레이스를 펼쳤고, 2001년에는 독일 포뮬러 3 챔피언십과 영국 포뮬러 르노 챔피언십으로 옮겨갔다.[6]

시몬센은 2002년에 스포츠카 경주로 전향하여 영국 GT 챔피언십에서 벨록스 모터스포츠 팀 소속으로 페라리 360을 운전했다. 2003년에는 마크 코피 레이싱 팀 소속으로 호주에서 레이스를 시작하여 페라리 360 챌린지를 몰고 2003 호주 네이션스 컵 챔피언십에서 GT 스타일 차량으로 8위를 차지했고, 그룹 2에서는 2위를 차지했다. 이후 2003 바서스트 24시에서 람보르기니 디아블로 GTR을 몰고 8위를 기록했다. 2004 호주 네이션스 컵 챔피언십에서는 페라리 550 GT2를 제한적으로 운전하며 종합 순위 7위에 올랐고, 트로피 클래스에서는 3위를 차지했다.

시몬센은 호주에서 샌다운 500과 바서스트 1000 V8 슈퍼카에도 출전했다. 시몬센의 바서스트 최고 성적은 2011년으로, 켈리 레이싱 소속으로 그레그 머피와 함께 홀덴 VE 코모도어를 몰고 3위를 차지했다.[7] 시몬센은 2007년에 호주 GT 챔피언십에서 우승(페라리 360 GT와 페라리 F430을 모두 운전)했고, 2008년에는 페라리 F430 GT를 몰고 2위를 차지했다.

2011 스프린트 바서스트 이벤트에서 그는 유명한 마운트 패노라마 서킷을 2분 4.95초로 주파하는 놀라운 기록을 세웠다. 이 기록은 당시 V8 슈퍼카 랩 타임보다 무려 2초나 빠른 기록이었으며, 이듬해에 세워진 포뮬러 3 랩 레코드와 견줄 만했다.[8][9] 시몬센의 기록이 너무 빨라서 관계자들은 처음에 오류라고 판단하여 기록에서 삭제했다. 그러나 수동 기록원과 팀 자체 데이터로 확인된 후에야 기록이 복원되었다.[10]

시몬센은 2007 르망 시리즈 시즌에서 버고 모터스포츠 팀 소속으로 포르쉐 911 GT3를 부분적으로 운전하며 4위를 차지했으며, 이 중에는 2007 뉘르부르크링 1000km GT2 클래스 우승도 포함되어 있다.[11] 그는 2008년부터 2011년까지 르망 시리즈와 다양한 국제 시리즈에서 Team Farnbacher 소속으로 페라리를 운전했다. 그 기간 동안 시몬슨은 도미니크 파른바허와 함께 2009 오카야마 1000km에서 GT2 클래스에서 우승했고, 파른바허, 레흐 킨, 마르코 제프리드와 함께 2010 뉘르부르크링 24시에서 SP7 클래스에서 우승했다. 그는 24시 르망에 2007년부터 2013년까지 7번 참가하여 2007년과 2010년에 GT2 클래스 포디움에 두 번 올랐다. (2007년 3위, 2010년 2위).

3. 사망

충돌 전 95번 애스턴 마틴 밴티지 GTE 차량의 시몬센


2013년 르망 24시 경기 9분, 세 번째 랩에서[13] 시몬센은 95번 애스턴 마틴 밴티지 GTE로 LMGTE Am 선두를 달리고 있었다.[14] 테르트 루즈 코너에서 시몬센의 차량은 우회전을 가속하는 과정에서 흔들렸고,[14] 그가 조정을 시도했을 때[14][15] 차량은 왼쪽으로 꺾이면서 코너 바깥쪽의 방호벽에 충돌했다.[4][5] 그는 의식이 있는 상태로[16] 차량에서 구조된 후, 현장 의료 센터로 이송되었으나 부상으로 사망했다.[17] 그의 사망은 1986년 르망 24시에서 요 가르트너가 사망한 이후 24시간 르망 경기 중 발생한 첫 사망 사고였으며, 프랑스 드라이버 세바스티앙 앙졸라스는 그보다 앞선 1997년 르망 24시 예선 세션 사고로 사망했다.[17][18]

경기 관계자들은 시몬센을 기리기 위해 경기 중 서킷 포디엄에 덴마크 국기를 반기로 게양했다. 덴마크 출신 레이서 톰 크리스텐센은 종합 우승을 차지했으며, 그의 팀의 승리를 시몬센을 기리는 데 헌정했다.[19]

4. 추모

2013년 배서스트 12시간에서 가장 빠른 예선 통과자에게 수여되는 상은 앨런 시몬센 폴 포지션 트로피로 명명되었다.[20]

5. 기록

페라리 F430 GT3컨솔리데이티드 케미컬 레이싱 팀
Mark Coffey Racing2007Le Mans Series LM GT2 클래스4위페라리 F430 GT3Virgo Motorsport2007British GT Championship GT3 클래스10위페라리 F430 GT3Christians in Motorsport2007V8 슈퍼카 챔피언십 시리즈25위포드 BF 팔콘Triple Eight Race Engineering2008FIA GT Championship GT1 클래스11위애스턴 마틴 DBR9Gigawave Motorsport2008오스트레일리아 GT 챔피언십2위페라리 F430 GT3Maranello Motorsport2008British GT Championship GT3 클래스7위페라리 F430 GT3Christians in Motorsport2008Le Mans Series LM GT2 클래스17위포르쉐 997 GT3-RSRTeam Farnbacher2008American Le Mans Series GT2 클래스23위페라리 F430 GT3Tafel Racing2009Le Mans Series LM GT2 클래스7위페라리 F430 GT3Team Farnbacher2009British GT Championship GT3 클래스4위페라리 F430 GT3Team Rosso Verde2009Asian Le Mans Series LM GT2 클래스1위페라리 F430 GT3Team Farnbacher2009V8 슈퍼카 챔피언십 시리즈58위포드 FG 팔콘Triple Eight Race Engineering2009오스트레일리아 GT 챔피언십20위페라리 F430 GT3Maranello Motorsport2009Le Mans Series LM GT2 클래스106위포르쉐 997 GT3 CupFarnbacher-Loles Racing2010British GT Championship GT3 클래스5위페라리 430 ScuderiaTeam Rosso Verde2010Le Mans Series LM GT2 클래스17위페라리 F430 GTTeam Farnbacher2010V8 슈퍼카 챔피언십 시리즈49위홀덴 VE 코모도어Paul Morris Motorsport2011Le Mans Series LM GTE Pro 클래스5위페라리 458 GTCTeam Farnbacher2011British GT Championship GT3 클래스10위페라리 430 Scuderia
페라리 458 GTCTeam Rosso Verde2011International V8 Supercars Championship32위홀덴 VE 코모도어Kelly Racing
Brad Jones Racing2012International V8 Supercars Championship52위포드 FG 팔콘Dick Johnson Racing2012오스트레일리아 GT 챔피언십4위페라리 458 GTMaranello Motorsport2012British GT Championship GT3 클래스12위페라리 458 이탈리아Team Rosso Verde


5. 1. 경력 요약

알란 시몬센은 1999년 덴마크 포뮬러 포드 챔피언십에서 '''1위'''를 차지하며 경력을 시작했다. 이후 포뮬러 팔머 아우디(2000년, 11위), 영국 포뮬러 르노 챔피언십(2001년, 26위)에 참가했다. 2003년에는 오스트레일리아 네이션스 컵 챔피언십에서 8위, 그룹 2에서 '''2위'''를 기록했고, V8 슈퍼카 챔피언십 시리즈에서는 67위를 기록했다.

2004년 오스트레일리아 네이션스 컵 챔피언십 7위, 트로피 차량 '''3위''', V8 슈퍼카 챔피언십 시리즈 52위, 영국 GT 챔피언십 GT컵 클래스 13위를 기록했다. 2005년에는 V8 유츠 시리즈 10위, V8 슈퍼카 챔피언십 시리즈 57위를 기록했다.

2006년 FIA GT3 유럽 챔피언십 15위, FIA GT 챔피언십 GT2 클래스 38위, 오스트레일리아 GT 챔피언십 11위, V8 슈퍼카 챔피언십 시리즈 46위를 기록했다. 2007년에는 오스트레일리아 GT 챔피언십 '''1위''', 오스트레일리아 투어리스트 트로피 '''1위''', 르망 시리즈 LM GT2 클래스 4위, 영국 GT 챔피언십 GT3 클래스 10위, V8 슈퍼카 챔피언십 시리즈 25위를 기록했다.

2008년 FIA GT 챔피언십 GT1 클래스 11위, 오스트레일리아 GT 챔피언십 '''2위''', 오스트레일리아 투어리스트 트로피 '''1위''', 영국 GT 챔피언십 GT3 클래스 7위, 아메리카 르망 시리즈 GT2 클래스 23위, 르망 시리즈 LM GT2 클래스 17위를 기록했다.

2009년 르망 시리즈 LM GT2 클래스 7위, 오카야마 1000km 아시아 르망 시리즈 LM GT2 클래스 '''1위''', 영국 GT 챔피언십 GT3 클래스 4위, 오스트레일리아 GT 챔피언십 20위, V8 슈퍼카 챔피언십 시리즈 58위, 롤렉스 스포츠카 시리즈 LM GT2 클래스 106위를 기록했다.

2010년 영국 GT 챔피언십 GT3 클래스 5위, 르망 시리즈 LM GT2 클래스 17위, V8 슈퍼카 챔피언십 시리즈 49위를 기록했다. 2011년 르망 시리즈 LM GTE Pro 클래스 5위, 영국 GT 챔피언십 GT3 클래스 10위, 국제 V8 슈퍼카 챔피언십 32위를 기록했다.

2012년 국제 V8 슈퍼카 챔피언십 52위, 오스트레일리아 GT 챔피언십 4위, 영국 GT 챔피언십 GT3 클래스 12위를 기록했다. 2013년 오스트레일리아 GT 챔피언십에서는 17위를 기록했다.

5. 2. 르망 24시 결과

파른바허 레이싱 피에르 에레트
라르스-에릭 닐슨포르쉐 997 GT3-RSRGT230921위3위2008 크루즈 쉴러 모터스포츠 장 드 푸르탈레스
노다 히데키롤라 B05/40-마쓰다LMP2147DNFDNF2009 한국타이어 팀 파른바허 도미니크 파른바허
크리스티안 몬타나리페라리 F430 GT2GT2183DNFDNF2010 한국타이어 팀 파른바허 도미니크 파른바허
리 킨페라리 F430 GT2GT233612위2위2011 한국타이어 팀 파른바허 도미니크 파른바허
리 킨페라리 458 이탈리아 GTCGTE
Pro137DNFDNF2012 애스턴 마틴 레이싱 크리스토퍼 니가드
크리스티안 폴센애스턴 마틴 밴티지 GTEGTE
Am31DNFDNF2013 애스턴 마틴 레이싱 크리스토퍼 니가드
크리스티안 폴센애스턴 마틴 밴티지 GTEGTE
Am2DNFDNF


5. 3. 배서스트 24시 결과

루크 유든
피터 해킷람보르기니 디아블로 GTRA4878위6위


5. 4. 배서스트 12시 결과

마커스 주카노비치포드 머스탱 셸비I12126위1위2011 Red Alert Laser Tag 헥터 레스터
루크 설페라리 430 GT3A2766위5위2012 Maranello Motorsport 존 보위
피터 에드워즈
도미니크 판바허페라리 458 GT3A114DNFDNF2013 Maranello Motorsport 존 보위
피터 에드워즈
미카 살로페라리 458 GT3A111DNFDNF


5. 5. 국제 V8 슈퍼카 챔피언십

알란 시몬센은 2003년부터 2012년까지 V8 슈퍼카 챔피언십 시리즈에 참가했다. 2003년에는 개리 로저스 모터스포츠 팀 소속으로 홀덴 VX 코모도어를 몰고 출전하여 챔피언십 69위를 기록했다. 2004년에도 같은 팀에서 홀덴 VY 코모도어로 출전하여 51위를 기록했다.

2005년에는 퍼킨스 엔지니어링 팀으로 이적하여 홀덴 VY 코모도어를 운전했고, 챔피언십 57위를 기록했다. 2006년과 2007년에는 트리플 에이트 레이스 엔지니어링 팀에서 각각 포드 BA 팔콘과 포드 BF 팔콘을 몰고 출전하여 46위와 25위를 기록했다. 특히 2007년에는 슈퍼치프 오토 바서스트 1000에서 5위를 차지하는 좋은 성적을 거두었다.

2009년에는 다시 트리플 에이트 레이스 엔지니어링 팀으로 복귀하여 포드 FG 팔콘을 몰았고, 챔피언십 59위를 기록했다. 2010년에는 폴 모리스 모터스포츠 팀에서 홀덴 VE 코모도어로 출전하여 49위를 기록했다.

2011년에는 켈리 레이싱과 브래드 존스 레이싱 팀에서 홀덴 VE 코모도어를 몰고 출전하여 종합 32위를 기록했으며, 슈퍼치프 오토 바서스트 1000에서 3위를 차지하는 쾌거를 이루었다. 2012년에는 딕 존슨 레이싱 팀에서 포드 FG 팔콘으로 출전하여 52위를 기록했다.

연도차량챔피언십 순위점수
2003개리 로저스 모터스포츠홀덴 VX 코모도어69위80
2004개리 로저스 모터스포츠홀덴 VY 코모도어51위156
2005퍼킨스 엔지니어링홀덴 VY 코모도어57위128
2006트리플 에이트 레이스 엔지니어링포드 BA 팔콘46위210
2007트리플 에이트 레이스 엔지니어링포드 BF 팔콘25위63
2009트리플 에이트 레이스 엔지니어링포드 FG 팔콘59위91
2010폴 모리스 모터스포츠홀덴 VE 코모도어49위204
2011켈리 레이싱
브래드 존스 레이싱
홀덴 VE 코모도어32위509
2012딕 존슨 레이싱포드 FG 팔콘52위108


5. 6. 배서스트 1000

알란 시몬센은 배서스트 1000에 2003년부터 2012년까지 총 9번 참가했다. 2003년에는 개리 로저스 모터스포츠 팀 소속으로 네이선 프리티와 함께 홀든 코모도어 VX를 타고 출전했으나 42랩만에 완주하지 못했다. 2004년에는 같은 팀에서 홀든 코모도어 VY로 네이선 프리티와 함께 출전하여 160랩을 완주하며 10위를 기록했다.

2005년에는 퍼킨스 엔지니어링 소속으로 알렉스 데이비슨과 함께 홀든 코모도어 VZ를 타고 129랩을 달려 20위를 기록했다. 2006년부터 2009년까지는 트리플 에이트 레이스 엔지니어링 팀에서 활동했다. 2006년에는 리처드 라이온스와 함께 포드 팔콘 BA를 몰고 161랩을 완주하여 12위를 기록했고, 2007년에는 리처드 라이온스와 다시 짝을 이뤄 포드 팔콘 BF로 161랩을 달려 5위를 기록했다. 2009년에는 제임스 톰슨과 함께 포드 팔콘 FG로 출전했으나 152랩만에 완주하지 못했다.

2010년에는 폴 모리스 모터스포츠 소속으로 그렉 머피와 함께 홀든 코모도어 VE를 타고 161랩을 완주하여 6위를 기록했다. 2011년에는 켈리 레이싱으로 팀을 옮겨 그렉 머피와 다시 호흡을 맞춰 홀든 코모도어 VE로 161랩을 완주, 3위를 차지하며 최고의 성적을 거두었다. 2012년에는 딕 존슨 레이싱 소속으로 스티븐 존슨과 함께 포드 팔콘 FG를 타고 161랩을 완주하여 17위를 기록했다.

연도차량공동 드라이버순위
2003개리 로저스 모터스포츠홀든 코모도어 VX 네이선 프리티DNF42
2004개리 로저스 모터스포츠홀든 코모도어 VY 네이선 프리티10위160
2005퍼킨스 엔지니어링홀든 코모도어 VZ 알렉스 데이비슨20위129
2006트리플 에이트 레이스 엔지니어링포드 팔콘 BA 리처드 라이온스12위161
2007트리플 에이트 레이스 엔지니어링포드 팔콘 BF 리처드 라이온스5위161
2009트리플 에이트 레이스 엔지니어링포드 팔콘 FG 제임스 톰슨DNF152
2010폴 모리스 모터스포츠홀든 코모도어 VE 그렉 머피6위161
2011켈리 레이싱홀든 코모도어 VE 그렉 머피3위161
2012딕 존슨 레이싱포드 팔콘 FG 스티븐 존슨17위161


참조

[1] 웹사이트 Motorsport Memorial - Allan Simonsen http://www.motorspor[...] 2023-03-21
[2] 웹사이트 Race — Final Classification http://fiawec.alkame[...] 2013-06-23
[3] 웹사이트 24 Heures du Mans. La course endeuillée http://www.ouest-fra[...] Ouest-France Multimédia 2013-06-22
[4] 뉴스 Danish driver Allan Simonsen, 34, killed at Le Mans https://www.theguard[...] 2013-06-22
[5] 뉴스 Danish driver Simonsen killed in Le Mans endurance race https://www.bbc.co.u[...] 2013-06-22
[6] 웹사이트 The racing career of Allan Simonsen — in detail http://www.driverdb.[...] 2013-06-22
[7] 뉴스 Allan Simonsen killed in Le Mans 24 Hours http://www.speedcafe[...] 2013-06-22
[8] 웹사이트 Ferrari breaks into 2:04s bracket at Bathurst http://www.speedcafe[...] 2011-11-13
[9] Youtube YHnj0K0YEno
[10] 문서 Mount Panorama Circuit#Lap records
[11] 웹사이트 Nürburgring 1000 Kilometres http://www.racingspo[...] 2013-06-22
[12] 뉴스 Le Mans in shock as Danish racing driver Allan Simonsen dies after crashing during 24 hours race https://www.telegrap[...] 2013-06-22
[13] 웹사이트 2013 Le Mans Race Classification http://fiawec.alkame[...]
[14] 뉴스 Driver Death at Le Mans Raises Safety Issue Again {{!}} Edmunds https://www.edmunds.[...] 2018-06-07
[15] 뉴스 Allan Simonsen's death a tragic loss https://www.westerna[...] 2018-06-07
[16] 뉴스 Danish driver Allan Simonsen dies at Le Mans http://uk.reuters.co[...] 2013-06-22
[17] 뉴스 LE MANS: Simonsen Killed in Early Race Accident http://auto-racing.s[...] 2013-06-22
[18] 뉴스 Tay đua Simonsen tử nạn ở cuộc đua Le Mans 24 giờ https://tuoitre.vn/t[...] 2013-06-22
[19] 뉴스 Le Mans win tinged with tragedy for Kristensen http://uk.reuters.co[...] 2013-06-24
[20] 뉴스 Allan Simonsen Trophy for Bathurst 12 Hour http://www.speedcafe[...] 2017-07-13
[21] 웹사이트 The racing career of Allan Simonsen — in detail http://www.driverdb.[...] 2013-06-22
[22] 뉴스 Allan Simonsen killed in Le Mans 24 Hours http://www.speedcafe[...] 2013-06-22
[23] 웹사이트 Race — Final Classification http://fiawec.alkame[...] 2013-06-23
[24] 웹사이트 24 Heures du Mans. La course endeuillée http://www.ouest-fra[...] Ouest-France Multimédia 2013-06-22
[25] 뉴스 Danish driver Allan Simonsen, 34, killed at Le Mans http://www.guardian.[...] 2013-06-22
[26] 뉴스 Danish driver Simonsen killed in Le Mans endurance race http://www.bbc.co.uk[...] 2013-06-2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