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불라 터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알불라 터널은 스위스 래티셰 철도(RhB)의 중요한 부분으로, 1903년에 개통되었다. 이 터널은 관광객 유치를 위해 아름다운 경관 지역을 지나도록 설계되었으며, 건설 과정에서 여러 어려움과 16명의 사망자를 겪었다. 2000년대 후반 터널 노후화로 인해 새로운 터널 건설이 결정되었고, 2014년에 시작되어 2024년 6월 12일에 개통되었다. 새 터널은 기존 터널보다 크고, 최신 운영 표준과 안전 기준을 반영하였으며, 건설 중 기존 터널을 계속 사용하며 노선 폐쇄를 피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그라우뷘덴주의 터널 - 산베르나르디노 터널
스위스의 힌터라인과 산베르나르디노 마을을 잇는 6.6km 길이의 산베르나르디노 터널은 동부 스위스와 티치노주를 연결하는 국도 A13의 일부로, 안전 강화를 위한 개보수 공사가 진행되었다. - 그라우뷘덴주의 터널 - 페라이나 터널
페라이나 터널은 스위스 그라우뷘덴주의 클로스터스와 사야인스를 잇는 19km 길이의 철도 터널로, 개통 이후 플뤼엘라 고개의 겨울철 교통 문제 해결과 쿠어-스쿠올-타라스프 간 이동 시간 단축에 기여하며 지역 열차, 자동차 셔틀 열차, 화물 열차가 운행되고 기술 개선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 알프스산맥의 터널 - 심플론 터널
심플론 터널은 스위스와 이탈리아를 연결하는 알프스 산맥 횡단 철도 터널로, 1906년과 1922년에 개통된 두 개의 터널로 이루어져 알프스 횡단의 주요 교통로 역할을 수행하며, 안전 문제 개선과 교통 효율 증대를 위한 노력이 지속되고 문화적 상징성도 지닌다. - 알프스산맥의 터널 - 체네리 베이스 터널
체네리 베이스 터널은 스위스 티치노주에 위치한 알프스 횡단 철도의 일부로, 카모리노와 베치아를 연결하여 스위스 북부와 이탈리아 북부 간 이동 시간을 단축시키고 교통 흐름을 원활하게 하는 철도 터널이다. - 스위스의 철도 터널 - 심플론 터널
심플론 터널은 스위스와 이탈리아를 연결하는 알프스 산맥 횡단 철도 터널로, 1906년과 1922년에 개통된 두 개의 터널로 이루어져 알프스 횡단의 주요 교통로 역할을 수행하며, 안전 문제 개선과 교통 효율 증대를 위한 노력이 지속되고 문화적 상징성도 지닌다. - 스위스의 철도 터널 - 체네리 베이스 터널
체네리 베이스 터널은 스위스 티치노주에 위치한 알프스 횡단 철도의 일부로, 카모리노와 베치아를 연결하여 스위스 북부와 이탈리아 북부 간 이동 시간을 단축시키고 교통 흐름을 원활하게 하는 철도 터널이다.
알불라 터널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일반 정보 | |
![]() | |
위치 | 알불라 지구, 그라우뷘덴주, 스위스 |
노선 | 알불라선 |
운영 | 레티셰 철도 |
상태 | 개통 |
개통일 (구 터널) | 1903년 7월 1일 |
폐쇄일 (구 터널) | 2024년 6월 12일 |
개통일 (신 터널) | 2024년 6월 12일 |
특징 | 여객 및 화물 |
기술 정보 | |
궤도 수 | 단선 |
궤간 | 1,000mm |
전철화 | 가공 전차선 방식, AC 11 kV 16 2/3 Hz |
최고 속도 (구 터널) | 75km/h |
최고 속도 (신 터널) | 120km/h |
높이 | 해발 1820미터 |
길이 | 5865미터 |
건설 정보 | |
착공 (구 터널) | 1898년 |
착공 (신 터널) | 2014년 |
2. 역사
레티셰 철도(RhB)는 1889년부터 스위스 남동부에 광범위한 미터궤 철도망을 확장해 왔으며, 알불라 터널은 그 주요 구간 중 하나이다.[26] 관광 산업이 성장함에 따라, 철도는 노선을 의도적으로 아름다운 경관을 지나도록 설계했으며, 노선에서 가장 높은 지점(해발 약 1,800m)에 알불라 터널을 건설했다.[25]
터널 건설에는 여러가지 어려움이 있었다. 섭씨 6도의 차가운 물이 유출되어 부서진 암석을 진흙처럼 만들었고, 북쪽 터널 입구 위의 수원지가 마르는 문제가 발생했다. 초당 300L의 물을 우회시켜야 했기 때문에 공사가 중단되기도 했다. 이러한 어려움으로 주 시공사였던 론치 & 칼로티는 파산했다.
1901년 4월 1일부터 레티셰 철도가 직접 건설을 맡았다. 보너스 제도를 도입하여 잃어버린 시간을 일부 만회했고, 1902년 5월 29일 새벽 3시에 터널이 관통되었다. 완공된 터널의 길이는 5,864m이며 단선이었다.[26] 건설 비용은 7828000CHF이었다. 총 1,316명이 건설에 참여했으며, 16명의 사망 사고가 발생했다. 희생자들을 기리는 비석이 프레다역에 세워져 있다.
1903년에 개통되어 초기에는 증기 기관차로 운행되었으나, 이후 전철화되었다. 빙하특급과 같은 다양한 여객 열차가 터널을 이용한다.[28] 2006년 검사 결과 터널 보수가 필요한 것으로 확인되었고, 2009년 6월, 래티셰 철도는 터널의 현대화 또는 재건에 대한 조사를 진행 중이라고 발표했다.[29]
2010년대에는 두 번째 터널이 건설되는 동안 기존의 알불라 터널은 유지되었다. 두 터널 사이에는 12개의 교차 통로가 굴착되어 비상 상황 및 유지 보수 작업에 사용된다.[30] 두 번째 터널 완공 후에는 기존 터널은 일시 폐쇄되어 보수작업을 진행했다.[26][31]
2. 1. 초기 건설 (1903년 개통)
레티셰 철도(RhB)는 1889년부터 스위스 남동부에 광범위한 미터궤 철도망을 확장해 왔으며, 알불라 터널은 그 주요 구간 중 하나이다.[26] 철도는 관광객 유치를 위해 노선을 의도적으로 아름다운 경관을 지나도록 설계했으며, 노선에서 가장 높은 지점(해발 약 1,800m)에 알불라 터널을 건설했다.[25]터널 건설은 여러 가지 어려움에 직면했다. 섭씨 6도의 차가운 물이 유출되어 부서진 암석을 진흙처럼 만들었고, 북쪽 터널 입구 위의 수원지가 마르는 문제가 발생했다. 초당 300L의 물을 우회시켜야 했기 때문에 공사가 중단되기도 했다. 1900년 5월부터 10주 동안 2m밖에 굴착하지 못했으며, 주 시공사였던 론치 & 칼로티는 파산했다.
1901년 4월 1일부터 레티셰 철도가 직접 건설을 맡았다. 보너스 제도를 도입하여 잃어버린 시간을 일부 만회했고, 1902년 5월 29일 새벽 3시에 북쪽 입구에서 3,030.5m, 남쪽 입구에서 2,835m 지점에서 터널이 관통되었다.
완성된 터널의 길이는 5,864m이며 단선이었다.[26] 건설 비용은 7828000CHF이었다. 총 1,316명이 건설에 참여했으며, 16명의 사망 사고가 발생했다. 희생자들을 기리는 비석이 프레다역에 세워져 있다.
1903년 알불라 터널이 개통되어 초기에는 증기 기관차로 운행되었으나, 이후 15kV, 16⅔Hz 교류 시스템으로 전철화되었다. 빙하특급과 같은 다양한 여객 열차가 터널을 이용한다.[28]
2. 2. 20세기 운영 및 유지보수
1903년 7월 1일, 알불라 터널이 개통되었다.[26] 초기에는 증기 기관차가 운행되었지만, 이후 터널과 전체 노선은 11kV, 16⅔Hz 전력 시스템으로 전철화되었다. 빙하특급과 같은 다양한 여객 서비스가 터널을 정기적으로 이용한다.[28] 업계 간행물인 《Rail Engineer》에 따르면, 20세기 후반까지 낙석 위험이 존재했다.[26]2. 3. 현대화 및 재건 논의 (2000년대)
2006년 터널 검사 결과, 터널의 상태가 악화되어 대규모 보수가 필요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당시 터널은 매년 통근자 230만 명을 포함하여 약 740만 명의 승객과 많은 양의 화물을 운송하고 있었기 때문에, 터널 폐쇄는 큰 혼란을 야기할 수 있었다.[26] 2009년 6월, 래티셰 철도는 터널의 근본적인 현대화 또는 재건에 대한 조사를 진행 중이라고 발표했다.[29]3. 두 번째 터널 건설
기존 알불라 터널의 노후화로 인해, 새 터널 건설에 대한 타당성이 기존 터널 유지 보수 등 다른 방안과 함께 평가되었다. 연구 결과, 새 터널 건설 비용은 약 2.44억스위스 프랑으로 추산되었다.[26] 2010년, 래티셰 철도(RhB)는 새 터널 건설이 최적의 해결책이라고 발표하고, 같은 해 세부 계획 작업에 착수했다. 새 터널 건설은 기존 터널을 계속 사용하면서 공사를 진행할 수 있어 장기간 노선 폐쇄를 피할 수 있고, 기존 터널을 새 터널의 구조 터널로 활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었다. 2012년 12월, RhB는 연방 교통국에 승인 계획을 제출했다. 터널 예정 부지가 유네스코 세계유산 지역에 위치하여 RhB와 당국 간 긴밀한 협력이 필요했다.[32]
2014년, 두 번째 터널 건설이 공식적으로 시작되었다. 새 터널은 최신 운영 표준과 안전 기준을 반영하여 기존 터널보다 폭과 높이가 더 크게 설계되었다. 터널 단면적이 커져 통로 설치와 전차선 설비 공간 확보가 가능해졌다. 건설 중에는 도로 차량이 암벽에 직접 접근하여 기존 기계를 투입할 수 있었다. 새 터널의 길이는 약 5,860m로 기존 터널보다 약간 짧다.[26]
터널 굴착 방식은 당시 관행과 일치했다. 터널 양쪽 끝에 건설 현장이 설치되었고, 굴착된 흙을 제거하기 위해 컨베이어 시스템이 설치되었다. 굴착 작업은 천공, 발파, 이물질 제거, 안전 검사 순으로 진행되었다. 신선한 공기를 암벽까지 공급하여 터널 내부 압력을 높여 먼지와 디젤 연기를 배출했다. 배수 채널을 설치하고, 습식 혼합 콘크리트로 터널 지붕과 벽을 안정화했다.[26]
터널 주변 지질은 주로 화강암이지만, 프레다 쪽 끝부분 110m 구간은 세포 백운석으로 구성되었고, 20m 구간은 부드럽고 다공성인 백운석이 주를 이뤘다. 이 구간은 단단한 재료가 없어 붕괴 위험이 높아, 굴착 전 지반을 동결하고 철근 콘크리트 라이닝을 적용했다. 이로 인해 작업이 지연되기도 했다.[26]
겨울철 폭설로 12월 중순부터 2월 말까지 작업이 중단되었지만, 그 외에는 24시간 교대 근무가 이루어졌다. 평균 굴진 속도는 하루 6.5m였으나, 지질 문제로 0.7m로 느려진 구간도 있었다. 굴착 과정에서 약 244,000㎥의 암석이 제거되었다.[26]
건설 기간은 8.5년으로 예상되었다. 2018년 8월, 터널 완공은 2022년으로 예상되었다. 2018년 10월 2일, 새 터널 양쪽 끝이 관통되었다.[33] 새 터널 외에 슈피나스역과 프레다역도 개조되었다. 완공 후 연간 약 15,000대의 열차가 터널을 통과하고, 최고 속도 120km/h로 운행할 수 있도록 건설되었다.[26]
3. 1. 건설 배경 및 결정
기존 알불라 터널이 노후화되면서, 새로운 터널 건설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2010년, 레티셰 철도(RhB)는 여러 대안을 검토한 끝에 새 터널을 건설하는 것이 최적의 해결책이라고 발표했다.[26] 이 결정은 기존 터널을 계속 운영하면서 새 터널을 건설할 수 있다는 장점 때문이었다.새 터널 건설 비용은 약 2.44억스위스 프랑으로 추산되었다.[26] 2012년 12월, RhB는 연방 교통국에 터널 건설 승인 계획을 제출했다. 터널 건설 예정지가 유네스코 세계유산 지역에 위치했기 때문에, RhB와 관계 당국 간의 긴밀한 협의가 이루어졌다.[32]
3. 2. 건설 과정 (2014년 ~ 2024년)
기존 알불라 터널의 노후화로 인해, 2010년 (RhB)는 기존 터널 옆에 새로운 터널을 건설하는 것이 최적의 해결책이라고 발표하고 상세 설계에 착수했다.[26] 새로운 터널 건설은 기존 터널을 계속 사용하면서 공사를 진행할 수 있어 장기간의 노선 폐쇄를 피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었다. 또한, 기존 터널은 필요시 새 터널의 구조 터널로 활용될 수 있었다.[32]2014년, 새로운 터널 건설이 공식적으로 시작되었다.[26] 새 터널은 다양한 최신 운영 표준 및 안전 기준을 반영하여 기존 터널보다 폭과 높이가 더 크게 설계되었다. 터널 단면이 커짐에 따라 통로 설치가 가능해졌고, 전차선 설치를 위한 공간도 확보되었다. 건설 중에는 일반적인 기계류 반입을 위해 도로 차량이 터널 내 암반까지 직접 접근할 수 있도록 했다.[26] 터널의 폭은 넓어졌지만 길이는 약 5,860m로 기존 터널보다 약간 짧다.[26]
터널 굴착은 천공, 발파, 잔해 제거, 안전 검사 순으로 진행되었다.[26] 신선한 공기를 공급하고 터널 내부 압력을 높여 먼지와 디젤 연기를 배출했으며, 용수 처리를 위한 수로를 굴착하고 습식 혼합 콘크리트로 터널 벽과 지붕을 안정화했다.[26]
터널 주변 지질은 주로 화강암이었으나, 프레다 쪽 끝부분 110m 구간은 세 가지 다른 유형의 암석(세포 백운석)으로 구성되었고, 20m 구간은 부드럽고 다공성인 백운석이 주를 이루었다. 이 구간은 단단한 재료가 없어 붕괴 위험이 높아 굴착 전 지반을 동결시키고 철근 콘크리트 라이닝을 적용했지만, 이로 인해 공사 속도가 느려졌다.[26]
겨울철 폭설로 인해 12월 중순부터 2월 말까지는 공사가 중단되었지만, 그 외 기간에는 24시간 교대 근무를 통해 공사가 진행되었다. 평균 굴진 속도는 하루 6.5m였으나, 지질학적 문제로 인해 0.7m로 느려진 구간도 있었다. 굴착 과정에서 약 244,000㎥의 암석이 제거되었다.[26]
건설에는 8.5년이 소요될 것으로 예상되었으며, 2018년 10월 2일, 새 터널의 양쪽 끝이 관통되는 중요한 이정표가 달성되었다.[33] 새 터널뿐만 아니라 슈피나스역과 프레다역도 개조되었다. 완공 후에는 연간 약 15,000대의 열차가 터널을 통과할 것으로 예상되며, 최고 속도는 120km/h이다.[26]
3. 3. 기술적 특징
기존 알불라 터널의 노후화로 인해 새 터널 건설이 결정되었다. 새 터널은 기존 터널보다 폭과 높이가 더 크며, 이는 최신 운영 표준 및 안전 기준을 반영한 결과이다. 터널 단면적이 커짐에 따라 통로 설치 및 전차선 간격 확보가 용이해졌다. 새 터널의 길이는 약 5,860m로 기존 터널보다 약간 짧다.[26]터널 굴착은 천공, 발파, 이물질 제거, 안전 검사 순으로 진행되었다. 터널 내부에는 신선한 공기가 공급되었고, 습식 혼합 콘크리트를 사용하여 터널 벽과 지붕을 안정화시켰다.[26] 터널 주변 지질은 주로 화강암이지만, 일부 구간은 붕괴 위험이 높은 다공성 백운석으로 구성되어 있어, 지반 동결 및 철근 콘크리트 보강 등의 추가적인 안전 조치가 필요했다.[26]
겨울철 폭설로 인해 12월 중순부터 2월 말까지는 작업이 중단되었으며, 나머지 기간에는 24시간 교대 근무가 이루어졌다. 평균 굴착 속도는 하루 6.5m였으나, 지질학적 문제로 인해 0.7m로 감소하는 구간도 있었다. 굴착 과정에서 약 244,000㎥의 암석이 제거되었다.[26]
새 터널은 2024년 6월 12일에 개통되었으며, 최고 속도 120km/h로 열차가 운행될 수 있다.[26] 건설에는 8.5년이 소요되었으며, 완공 후 연간 약 15,000대의 열차가 터널을 통과할 것으로 예상된다. 새 터널 건설에는 약 2440억스위스 프랑이 소요되었다.[26]
3. 4. 개통 및 운영
2024년 6월 12일, 새로운 알불라 터널이 개통되었다. 6월 8일에 열린 개통식에는 300명의 손님이 참석했다.[1]새 터널 건설은 기존 터널의 노후화에 따른 것이었다. 2010년 (RhB)는 새 터널 건설이 최적의 해결책이라고 발표하고 상세 설계를 시작했다.[1] 새 터널 건설은 기존 터널을 계속 사용하면서 공사를 진행할 수 있어 노선 폐쇄를 피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었다. 또한 기존 터널은 새 터널의 피난 갱도로 활용할 수 있었다. 2012년 12월, 래티셰 철도는 연방 교통청에 건설 계획을 제출했다. 이 지역은 UNESCO 세계유산으로 지정되어 있어, 래티셰 철도와 당국 간의 긴밀한 협력이 필요했다.[11]
2014년 새 터널 건설이 공식적으로 시작되었다.[1] 새 터널은 기존 터널보다 폭과 높이가 더 커졌는데, 이는 새로운 운영 표준과 안전 기준을 충족하기 위해서였다.[1] 터널이 커짐에 따라 보행로 설치와 가공 전선 설치 공간 확보가 가능해졌다. 건설 과정에서 터널은 도로 차량이 접근할 수 있을 만큼 충분히 컸고, 기존 기계를 투입할 수 있었다.[1] 새 터널은 폭이 넓어졌지만, 길이는 기존 터널보다 약간 짧은 5860m이다.[1]
터널 굴착은 천공, 발파, 토사 제거, 안전 검사 순서로 진행되었다.[1] 신선한 공기를 공급하고 먼지와 디젤 연기를 배출하기 위해 터널 내부 압력을 약간 높였다. 또한 물 유입을 처리하기 위한 채널을 설치하고, 습식 혼합 콘크리트를 사용하여 터널 지붕과 벽을 안정화했다.[1]
터널 주변은 주로 화강암 지질이지만, 프레다 쪽 끝부분 110m 구간은 세포질 돌로마이트 등 세 가지 다른 유형의 암석으로 구성되어 있었고, 20m 구간은 부드럽고 다공성인 미세한 모래와 유사한 돌로마이트가 주를 이루었다.[1] 이 구간은 단단한 물질이 없어 붕괴 위험이 컸기 때문에, 굴착 전 주변 지반을 동결시켜 안정화하고, 120cm 두께의 철근 콘크리트 라이닝을 적용했다. 이로 인해 공사가 지연되기도 했다.[1]
겨울철 폭설로 인해 12월 중순부터 2월 말까지 건설 작업이 중단되기도 했지만, 그 외 기간에는 24시간 교대 근무를 통해 작업이 진행되었다.[1] 평균적으로 하루 6.5m를 굴착했지만, 지질 문제로 인해 하루 0.7m로 진행 속도가 느려진 구간도 있었다.[1] 굴착 작업에는 총 244000m3의 암석을 굴착하는 것이 포함되었다.[1]
건설에는 8.5년이 소요될 것으로 예상되었으며, 2018년 8월에는 2022년 완공을 예상했다.[1] 2018년 10월 2일, 새로운 터널의 양쪽 끝이 연결되는 돌파구가 발생했다.[12] 새 터널 외에도 스피나스(Spinas)와 프레다(Preda) 역도 개조될 예정이다.[1] 완공 후에는 매년 약 15,000개의 열차가 터널을 통과할 것으로 예상되며, 최대 120km/h의 속도를 낼 수 있도록 건설되었다.[1]
참조
[1]
웹사이트
A look back
https://www.rhb.ch/j[...]
Rhaetian Railway
2024-06-18
[2]
문서
After the [[Furka Summit Tunnel|Furka Tunnel]], the second highest railway tunnel in Switzerland (not considering minor tunnels such as the [[Oberalp Pass]] tunnel and dead-end tunnels such as the [[Jungfrau Tunnel]])
[3]
서적
Eisenbahnatlas Schweiz
Verlag Schweers + Wall GmbH
[4]
웹사이트
The project
https://www.rhb.ch/e[...]
2020-07-13
[5]
웹사이트
Rhätische Bahn’s replacement Albula tunnel opens
https://www.railwayg[...]
Railway Gazette International
2024-06-18
[6]
웹사이트
Building a world heritage tunnel in Switzerland
https://www.railengi[...]
Rail Engineer
2024-06-18
[7]
웹사이트
On board Switzerland's most luxurious (and spectacular) train journey
https://www.telegrap[...]
The Telegraph
2019-05-11
[8]
뉴스
RhB studies Albula tunnel replacement
http://www.railwayga[...]
Railway Gazette International
2009-06-08
[9]
웹사이트
Albula Tunnel II
http://worldofporr.p[...]
2017-03-09
[10]
웹사이트
This Is How You Stop an Old Train Tunnel From Flooding
https://www.smithson[...]
2019-10-12
[11]
웹사이트
The Infrastructure Progress Report
https://railway-news[...]
railway-news.com
2019-10-07
[12]
웹사이트
Breakthrough for new Albula tunnel
https://www.railwayg[...]
Railway Gazette
2018-10-07
[13]
웹사이트
A look back
https://www.rhb.ch/j[...]
レーティッシュ鉄道
2024-06-18
[14]
서적
Eisenbahnatlas Schweiz
Verlag Schweers + Wall GmbH
[15]
웹사이트
The project
https://www.rhb.ch/e[...]
2020-07-13
[16]
웹사이트
Rhätische Bahn’s replacement Albula tunnel opens
https://www.railwayg[...]
Railway Gazette International
2024-06-18
[17]
웹사이트
Building a world heritage tunnel in Switzerland
https://www.railengi[...]
Rail Engineer
2024-06-18
[18]
웹사이트
On board Switzerland's most luxurious (and spectacular) train journey
https://www.telegrap[...]
The Daily Telegraph
2024-06-18
[19]
뉴스
RhB studies Albula tunnel replacement
http://www.railwayga[...]
Railway Gazette International
2009-06-08
[20]
웹사이트
Albula Tunnel II
http://worldofporr.p[...]
2017-03-09
[21]
웹사이트
This Is How You Stop an Old Train Tunnel From Flooding
https://www.smithson[...]
2019-10-12
[22]
웹사이트
The Infrastructure Progress Report
https://railway-news[...]
railway-news.com
2024-06-18
[23]
웹사이트
Breakthrough for new Albula tunnel
https://www.railwayg[...]
Railway Gazette
2024-06-18
[24]
서적
Eisenbahnatlas Schweiz
Verlag Schweers + Wall GmbH
[25]
웹인용
Building a world heritage tunnel in Switzerland
https://www.railengi[...]
Rail Engineer
2018-08-06
[26]
문서
푸르카 터널에 이어 스위스에서 두 번째로 높은 철도 터널([[오버알프 터널]]과 [[융프라우 터널]]과 같은 막다른 터널은 제외)이다.
[27]
웹인용
The project
https://www.rhb.ch/e[...]
2020-07-13
[28]
웹인용
On board Switzerland's most luxurious (and spectacular) train journey
https://www.telegrap[...]
The Telegraph
2019-05-11
[29]
뉴스
RhB studies Albula tunnel replacement
http://www.railwayga[...]
Railway Gazette International
2009-06-08
[30]
웹인용
Albula Tunnel II
http://worldofporr.p[...]
2017-03-09
[31]
웹인용
This Is How You Stop an Old Train Tunnel From Flooding
https://www.smithson[...]
Smithsonian
2022-07-13
[32]
웹인용
The Infrastructure Progress Report
https://railway-news[...]
railway-news.com
2019-10-07
[33]
웹인용
Breakthrough for new Albula tunnel
https://www.railwayg[...]
Railway Gazette
2018-10-0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