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아즈하르의 대이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알아즈하르의 대이맘은 1961년 공식 신설된 직책으로, 알아즈하르의 수장을 지칭한다. 14세기에는 '알아즈하르의 무쉬리프', 이후 '나지르', 오스만 제국 시대에는 '대셰이크'로 불렸다. 역대 대이맘으로는 무함마드 알카라쉬를 시작으로 아흐메드 알타예브까지 다양한 인물들이 이 직책을 역임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알아즈하르 모스크 - 알아즈하르 대학교
알 아즈하르 대학교는 970년 파티마 왕조 시대 카이로의 알 아즈하르 모스크에 부속된 마드라사로 시작하여 이슬람 학문 중심으로 성장, 현대에는 종합대학으로 개편되어 종교 연구와 교육의 중심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 이집트의 이슬람교 - 무슬림 형제단
무슬림 형제단은 1928년 하산 알반나가 이집트에서 설립한 범이슬람주의 운동으로, 사회 개혁과 이슬람 형제애 부흥을 목표로 시작하여 정치적 영향력을 확대하고 팔레스타인 문제 개입, 정권 장악 시도, 탄압 등의 부침을 겪으며 현재는 여러 국가에서 테러 조직으로 지정되기도 하는 단체이다. - 이집트의 이슬람교 - 초기 무슬림 정복
7세기부터 8세기, 아라비아 반도에서 시작된 초기 무슬림 정복은 이슬람 세력의 급속한 확장으로 레반트, 이집트, 메소포타미아, 페르시아, 북아프리카, 이베리아 반도, 트란스옥시아나 등 광범위한 지역을 지배하며 이슬람 세계 형성에 결정적인 역할을 하고 아랍 문화와 이슬람 확산을 촉진했다. - 이슬람교 지도자 - 대무프티
대무프티는 이슬람 율법 샤리아를 해석하여 파트와를 제시하는 최고위 이슬람 종교 학자를 지칭하는 칭호로, 국가별로 선출 또는 임명 방식, 역할, 통치자와의 관계 등에 차이가 있다. - 이슬람교 지도자 - 야쿱 알만수르
야쿱 알만수르는 무와히드 왕조의 칼리프로서 무역, 건축, 철학, 과학 발전에 기여하고 알라르코스 전투에서 승리하여 "신에 의한 승리자"라는 칭호를 얻었으나, 타우히드주의를 내세워 강압적인 종교 정책을 펼치기도 했다.
알아즈하르의 대이맘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직함 | 알아즈하르 대이맘 |
아랍어 | الإمام الأكبر |
로마자 표기 | Al-ʾImām al-ʾAkbar |
또 다른 아랍어 명칭 | شيخ الأزهر الشريف |
또 다른 로마자 표기 | Shaykh al-Azhar al-Sharif |
역할 | 알아즈하르의 최고위 성직자 알아즈하르 모스크의 이맘 알아즈하르 대학교 총장 |
임명 | |
임명권자 | 이집트 대통령 |
임기 | 종신 |
상세 정보 | |
관할 | 알아즈하르 |
소재지 | 이집트 카이로 |
역대 대이맘 | |
초대 | 무함마드 압달라 (1037년) |
현직 | 아흐메드 엘타예브 (2010년 ~ 현재) |
2. 명칭의 역사
알아즈하르 대이맘 직책은 1961년에 공식적으로 신설되었다.[3] 14세기 알아즈하르 수장은 '알아즈하르의 무쉬리프'(Mushrif of al-Azhar)라는 칭호를 받았고, 이후에는 '나지르'(nāẓir)라는 칭호를 받았다.[3] 오스만 제국 시대에는 알아즈하르의 대셰이크(Grand Sheikh)라는 칭호를 받았으며, 오늘날 이 칭호를 가진 사람은 대셰이크라는 칭호를 함께 사용한다.[3]
2. 1. 14세기 ~ 오스만 제국 시기
알아즈하르 대이맘 직책은 1961년에 공식적으로 신설되었다.[3] 14세기 알아즈하르 수장은 '알아즈하르의 무쉬리프'(Mushrif of al-Azhar)라는 칭호를 받았고, 이후에는 '나지르'(nāẓir)라는 칭호를 받았다.[3] 오스만 제국 시대에는 알아즈하르의 대셰이크(Grand Sheikh)라는 칭호를 받았으며, 오늘날 이 칭호를 가진 사람은 대셰이크라는 칭호를 함께 사용한다.[3]2. 2. 1961년 이후
1961년부터 알아즈하르의 대이맘이라는 직책이 공식적으로 신설되었다.[3] 14세기부터 알아즈하르의 수장은 알아즈하르의 무쉬리프(Mushrif of al-Azhar)라는 칭호를 부여받았고, 이후에는 나지르(nāẓir)라고 불렸다.[3] 오스만 제국 시기에는 알아즈하르의 대셰이크(Grand Sheikh)라고 불렸으며, 오늘날 이 칭호를 가진 사람은 대셰이크라는 칭호를 함께 사용한다.[3]3. 역대 대이맘
무함마드 알카라쉬(1679년 - 1690년)를 시작으로, 이브라힘 알바르마위(1690년 - 1694년), 무함마드 알나샤르티(1694년 - 1708년), 압드 알바키 알카리니(1708년 - ?년), 무함마드 샤난(?년 - 1721년), 이브라힘 알파유미(1721년 - 1725년), 압둘라 알슈브라위(1725년 - 1758년)가 알아즈하르의 대이맘 직을 역임했다. 이후 무함마드 알히프나위(1758년 - 1767년), 암브 알라우프 알사지니(1767년 - 1768년), 아흐메드 알아루시(1778년 - 1793년), 압둘라 알샤르카위(1793년 - 1812년), 무함마드 알샤나와니(1812년 - 1818년), 무함마드 알아루시(1818년 - 1829년), 아흐메드 알담후지(1829년 - 1830년), 하산 알아타르(1830년 - 1834년), 하산 알 쿠와시니(1834년 - 1838년), 아흐메드 알사임 알사프티(1838년 - 1847년), 이브라힘 알바주리(1847년 - 1860년)가 대이맘 직을 수행했다.
19세기 후반에는 무스타파 알아루시(1864년 - 1870년), 무함마드 알마흐디(1870년 - 1882년), 샴 알딘 무함마드 알임바디(1882년 - 1895년), 하순나흐 알나와위(1895년 - 1900년), 압드 알라흐만 알 쿱 알나와위(1900년), 살림 알비쉬리(1900년 - 1904년), 알리 알비블라위(1904년 - 1905년), 압드 알라흐만 알쉬르비니(1905년 - 1909년)가 이 직책을 맡았다. 20세기 초에는 하산누 알나와위(1909년 - 1917년), 무함마드 알지자위(1917년 - 1927년), 무함마드 알마라히(1927년 - 1929년), 무함마드 알자와히리(1929년 - 1935년), 무스타파 알마라히(1935년 - 1945년), 무스타파 압드 알리크(1945년 - 1947년), 무함마드 마문 알신나위(1947년 - 1950년), 압드 알마지드 살림(1950년 - 1951년), 이브라힘 함루쉬(1951년 - 1952년), 압드 알마지드 살림(1952년), 무함마드 알카디 후세인(1952년 - 1954년), 압드 알라흐만 타즈(1954년 - 1958년), 마흐무드 살투(1958년 - 1963년), 하산 마모운(1963년 - 1969년), 무함마드 알파흐함(1969년 - 1973년), 압둘 할림 마흐무드(1973년 - 1978년), 무함마드 압드 알라흐만 비샤르(1978년 - 1982년), 가드 알하크(1982년 - 1996년), 무함마드 사위드 탄타위(1996년 - 2010년)가 대이맘으로 재직했다.
3. 1. 17세기 ~ 20세기 초
무함마드 알카라쉬(1679년 - 1690년)를 시작으로, 이브라힘 알바르마위(1690년 - 1694년), 무함마드 알나샤르티(1694년 - 1708년), 압드 알바키 알카리니(1708년 - ?년), 무함마드 샤난(?년 - 1721년), 이브라힘 알파유미(1721년 - 1725년), 압둘라 알슈브라위(1725년 - 1758년)가 알아즈하르의 대이맘 직을 역임했다. 이후 무함마드 알히프나위(1758년 - 1767년), 암브 알라우프 알사지니(1767년 - 1768년), 아흐메드 알아루시(1778년 - 1793년), 압둘라 알샤르카위(1793년 - 1812년), 무함마드 알샤나와니(1812년 - 1818년), 무함마드 알아루시(1818년 - 1829년), 아흐메드 알담후지(1829년 - 1830년), 하산 알아타르(1830년 - 1834년), 하산 알 쿠와시니(1834년 - 1838년), 아흐메드 알사임 알사프티(1838년 - 1847년), 이브라힘 알바주리(1847년 - 1860년)가 대이맘 직을 수행했다.19세기 후반에는 무스타파 알아루시(1864년 - 1870년), 무함마드 알마흐디(1870년 - 1882년), 샴 알딘 무함마드 알임바디(1882년 - 1895년), 하순나흐 알나와위(1895년 - 1900년), 압드 알라흐만 알 쿱 알나와위(1900년), 살림 알비쉬리(1900년 - 1904년), 알리 알비블라위(1904년 - 1905년), 압드 알라흐만 알쉬르비니(1905년 - 1909년)가 이 직책을 맡았다. 20세기 초에는 하산누 알나와위(1909년 - 1917년), 무함마드 알지자위(1917년 - 1927년), 무함마드 알마라히(1927년 - 1929년), 무함마드 알자와히리(1929년 - 1935년), 무스타파 알마라히(1935년 - 1945년), 무스타파 압드 알리크(1945년 - 1947년), 무함마드 마문 알신나위(1947년 - 1950년), 압드 알마지드 살림(1950년 - 1951년), 이브라힘 함루쉬(1951년 - 1952년), 압드 알마지드 살림(1952년), 무함마드 알카디 후세인(1952년 - 1954년), 압드 알라흐만 타즈(1954년 - 1958년), 마흐무드 살투(1958년 - 1963년), 하산 마모운(1963년 - 1969년), 무함마드 알파흐함(1969년 - 1973년), 압둘 할림 마흐무드(1973년 - 1978년), 무함마드 압드 알라흐만 비샤르(1978년 - 1982년), 가드 알하크(1982년 - 1996년), 무함마드 사위드 탄타위(1996년 - 2010년)가 대이맘으로 재직했다.
3. 2. 20세기 중반 ~ 현재
무스타파 알마라히는 1935년부터 1945년까지 대이맘 직을 수행했다. 그는 무스타파 압드 알리크로 교체되었다. 무함마드 마문 알신나위는 1947년부터 1950년까지 재임했다. 압드 알마지드 살림은 1950년부터 1951년까지, 그리고 1952년에 다시 한번 대이맘 직을 맡았다. 이브라힘 함루쉬는 1951년부터 1952년까지 재임했다.무함마드 알카디 후세인은 1952년부터 1954년까지, 압드 알라흐만 타즈는 1954년부터 1958년까지 대이맘이었다. 마흐무드 살투는 1958년부터 1963년까지, 하산 마모운은 1963년부터 1969년까지 재임했다. 무함마드 알파흐함은 1969년부터 1973년까지, 압둘 할림 마흐무드는 1973년부터 1978년까지 대이맘 직을 수행했다.
무함마드 압드 알라흐만 비샤르는 1978년부터 1982년까지, 가드 알하크는 1982년부터 1996년까지 재임했다. 무함마드 사위드 탄타위는 1996년부터 2010년까지 대이맘 직을 수행했으며, 2010년부터 아흐메드 알타예브가 현재까지 대이맘 직을 맡고 있다.
참조
[1]
서적
[2]
서적
[3]
서적
[4]
서적
Egypt during the Sadat years
https://books.google[...]
[5]
서적
Muslims and modernity: an introduction to the issues and debates
https://books.googl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