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알아즈하르 대학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알아즈하르 대학교는 970년에 설립된 이집트 카이로에 위치한 이슬람 대학이다. 파티마 왕조 시대에 알 아즈하르 모스크에 부속된 마드라사로 시작하여 수니파 이슬람 학문의 중심지로 발전했다. 1961년 종합대학으로 개편되어 세속적인 학문 분야도 포함하게 되었으며, 현재 이슬람 신학, 법학, 아랍어학 등 다양한 분야를 교육하고 있다. 이슬람 율법 해석에 권위를 인정받고 있으며, 고위 학자 협의회를 통해 종교적, 정치적 문제에 대한 영향력을 행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970년대 설립 - 니더로트링겐 공국
    니더로트링겐 공국은 로타링기아 왕국에서 분리되어 성립되었으며, 니더로트링겐과 오베로트링겐으로 분할된 후 신성 로마 제국의 서쪽 변방을 형성했으나, 위세 약화로 영토적 권위를 상실하고 브라반트 공작에게 작위가 넘어간 명목상의 공국이다.
  • 알아즈하르 모스크 - 알아즈하르의 대이맘
    알아즈하르의 대이맘은 1961년 신설된 직책으로 알아즈하르의 수장을 지칭하며, 과거에는 다양한 명칭으로 불리다가 현재의 명칭으로 정착되었다.
알아즈하르 대학교 - [대학]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알아즈하르 대학교 로고
알아즈하르 대학교 로고
모토(정보 없음)
설립기원후 970/972년 경 - 고등 이슬람 교육 기관으로 설립
대학교 지위 획득1961년 대학교 지위 획득
유형공립
총장살라마 다우드 박사
위치카이로
국가이집트
캠퍼스도시
종교적 제휴수니 이슬람
학사력(정보 없음)
교수진(정보 없음)
신학부(정보 없음)
노벨상 수상자(정보 없음)
웹사이트알아즈하르 대학교
순위
QS 세계 대학 순위 (2024)1201–1400위
THE 세계 대학 순위 (2024)801–1000위
US 뉴스 & 월드 리포트 (2023)739위
기타 정보
일본어 명칭アル=アズハル大学
학부
학부이슬람 신학부
이슬람 법학부
아랍어 학부
의학부
공학부
농학부
상학부
이학부
연구과(정보 없음)

2. 역사

970년 알 아즈하르 모스크에 부속된 마드라사로 시작하여 파티마 왕조 지배하의 카이로에 설립되었다. 초기에는 '알 카히라 모스크'로 불렸으나, 후에 예언자 무함마드의 딸 파티마의 칭호 '아즈 자흐라'에서 유래한 '아즈하르'로 불리게 되었다.

975년 라마단 달에 학술 연구가 시작되었고, 978년에 교육 활동을 시작했다. 이슬람 신학(칼람), 이슬람 철학, 이슬람법(샤리아), 이슬람 법학 및 법 해석(피크), 아랍어(고전 아랍어) 문법언어학(푸스하), 철학, 천문학, 논리학 등 다양한 학문을 가르쳤으며, 시아파 학부로 시작했다.

12세기 후반 아이유브 왕조를 세운 살라딘은 아즈하르를 수니파 학부로 바꾸었다. 맘루크 왕조 시대에는 아미르가 아즈하르를 통괄했으며,[73] 1517년 오스만 제국셀림 1세는 아즈하르를 존속시키고 희사를 했다.[74] 17세기 후반에는 아즈하르 대학의 총장직이 확립되었다.

19세기 영국과 프랑스의 영향을 받아 자연 과학 등 근대 학문을 흡수했고, 수에즈 운하 개통 이후 동남아시아 유학생이 늘면서 반식민지 운동 그룹이 생겨났다.[75]

1936년 이슬람 신학, 이슬람 법학, 아랍어학의 3개 학부로 재편되었고, 1961년 가말 압델 나세르 정권 하에서 의학부, 공학부, 농학부 등 근대 학부가 추가되어 종합 대학이 되었다.[77]

2011년 기준 교직원 약 8,900명, 학생 약 26만 9,000명 규모이며, 현재도 이슬람 세계에서 종교 연구 및 교육의 중심 기관이다.

2. 1. 파티마 왕조 시대 (970년-1171년)

파티마 시대에 건축된 알 아즈하르 모스크의 안뜰


알 아즈하르 모스크의 기도실


알 아즈하르는 무함마드의 딸이자 사위이며 사촌인 파티마의 후손을 자처한 이스마일파 파티마 왕조의 유물 중 하나이다. 파티마는 '알 자흐라'(빛나는 자)라고 불렸으며, 이 기관은 그녀를 기리기 위해 명명되었다.[12] 970년, 파티마 왕조의 장군 자우하르 알 시킬리가 칼리프이자 이맘인 알 무이즈 리딘 알라의 명령에 따라 카이로를 건설하면서 알 아즈하르 모스크를 건립하였다. 주마다 알 아왈 AH 359년(970년 3/4월) 토요일에 시작되었고, AH 361년 라마단 9일(972년 6월 24일)에 완공되었다.[13] 칼리프 알 아지즈 빌라와 칼리프 알 하킴 비암르 알라 모두 이 건물에 추가적인 건축을 했으며, 알 무스탄시르 빌라와 알 하피즈 리딘 알라에 의해 추가로 수리, 개조, 확장되었다.[13]

파티마 칼리프들은 항상 학자들과 율법학자들이 이 모스크에서 학문 토론회와 모임을 갖도록 장려했고, 그리하여 이곳은 현재까지 운영되는 가장 오래된 교육 기관으로 간주되는 마드라사로 바뀌었다.[13][14] 알 아즈하르 모스크는 당초에는 도시의 이름에 연유하여 알 카히라 모스크(카이로 모스크의 의미)라고 불렸지만, 후에 '아즈하르'라는 명칭으로 알려지게 되었다. 970년에 건립된 알 아즈하르 모스크에 부속된 마드라사로서, 파티마 왕조 지배하의 카이로에 설립되었다.

이 모스크는 다양한 학자들의 다양한 과목에 대한 교육을 제공했다.[15] 이 과목에는 이슬람 율법, 법학, 아랍어 문법, 이슬람 천문학, 이슬람 철학, 논리학 등이 포함되었다.[16] 975년 라마단 달에 학술 연구가 시작되었고, 978년에 교육 활동을 시작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슬람 신학(칼람), 이슬람 철학, 이슬람법(샤리아), 이슬람 법학 및 법 해석(피크), 아랍어(고전 아랍어) 문법언어학(푸스하), 철학, 천문학, 논리학의 부문을 갖추고, 파티마 왕조의 종지를 반영하여 시아파의 학부로 발족했다. 파티마 왕조 시대에 알 아즈하르는 또한 시아 이슬람을 널리 장려했다.[17][18]

동시대 다른 왕조의 칼리프가 그리스 철학을 "배교적이고 헬레니즘적이다"라며 비난하고 배제했지만, 파티마 왕조의 칼리프는 그리스 철학을 적극적으로 장려하여, 내외에서 뛰어난 저작과 학자를 카이로에 모았다. 이 때문에 아즈하르는 이슬람 세계에서 철학 연구의 중심지가 되었고, 플라톤, 아리스토텔레스 등의 저작 연구가 이루어져, 철학 관련 장서는 방대한 수를 자랑하게 되었다.

창립 당시 파티마 왕조 하에서는 칼리프가 직접 관리하거나, 칼리프를 대신하는 관리가 통괄하여, 대신 또는 국가의 요인이 직접 교수의 직무를 맡았다. 현재의 대학원에 해당하는 코스도 개설되어, 세계 최초의 성숙한 대학이었다고 평가받고 있다. 또한 창립 당시부터의 전통에서는, 법학자를 지망하는 자에 대해서 누구에게나 언제라도 문호를 개방한다는 취지에서, 입학 수시·출석 자유·수업 연한 없음이라는 3원칙을 지켰다.[72] 학생은 출신지·교파 등으로 각각의 기숙사로 나뉘어, 검소한 생활로 연구에 몰두했다고 한다.

2. 2. 아이유브 왕조 시대 (1171년-1250년)

12세기 후반, 살라딘시아파 파티마 왕조를 무너뜨리고 수니파 아이유브 왕조를 세웠다. 살라딘은 알아즈하르를 샤피이파 수니파 학문 센터로 바꾸었다.[8][19] 그는 시아파 관련 서적들을 매각하거나 파기했는데, 그 수가 12만 권에서 200만 권에 이른다고 한다.[20][21] 살라딘은 이집트에 칼리지 시스템을 도입했고, 알아즈하르에서도 이를 채택했다. 이 시스템 하에서 칼리지는 자체 교실, 기숙사 및 도서관을 갖춘 모스크 구내의 별도 기관이었다.[23] 그는 알아즈하르의 교지를 수니파 학부로 변경하고, 수니파 학자들을 초빙하여 교육을 개혁했다.

2. 3. 맘루크 왕조 시대 (1250년-1517년)

맘루크 왕조 시대에 알아즈하르는 영향력과 명성이 높아졌다.[24] 맘루크 왕조는 강사들에게 급여를 지급하고 학생들에게 장학금을 지급했으며, 이 기관에 기부금을 제공했다.[23] 1340년에는 모스크 외부에 이 기관을 위한 칼리지(대학)가 세워졌다. 1400년대 후반에는 건물들이 개조되었고, 학생들을 위한 새로운 기숙사가 건설되었다.[23]

이 시기에 카이로에는 70개의 다른 이슬람 교육 기관이 있었지만, 알아즈하르는 그 명성 때문에 많은 학자들을 끌어들였다. 이븐 할둔은 1383년부터 알아즈하르에서 가르쳤다.[24]

당시에는 책이 부족했고, 학습은 주로 학생들이 교사의 강의와 노트를 암기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졌다. 실제로 시각 장애가 있는 어린 소년들이 교사로서 생계를 유지할 수 있기를 바라며 알아즈하르에 입학하기도 했다.[23]

2. 4. 오스만 제국 시대 (1517년-19세기)

오스만 제국 시대 알아즈하르수니파 이슬람 세계에서 이슬람 학문의 중심지로 명성과 영향력이 커졌다.[24] 이 시기, 기관의 수석 학자에게 주어지는 '셰이크 알-아즈하르' 직함이 제정되었다. 1748년, 오스만 파샤는 알아즈하르에 천문학수학을 가르치려 했으나 큰 성과를 거두지 못했다.[23]

당시 학위 제도는 없었고, '셰이크'(교수)가 학생의 교수 자격(ijazah) 유무를 결정했다. 평균 학습 기간은 6년이었다. 관료주의는 부족했지만, 훈련은 엄격하고 장기간 지속되었다.[23] 학생들은 국적과 이슬람 법 분파에 따라 조직된 '리와크'라는 동아리로 구성되었고, 각 리와크는 교수가 감독했다. 총장은 보통 선임 교수가 재정을 감독했다.[23]

1517년, 맘루크 왕조를 멸망시키고 카이로를 점령한 오스만 제국셀림 1세는 맘루크 왕조 시대의 학교와 모스크를 폐쇄했지만, 아즈하르는 존속시켰다. 셀림 1세는 이집트 체류 중 알 아즈하르 모스크의 금요 예배에 참석하여 많은 희사를 하기도 했다.[74] 17세기 후반, 아즈하르 대학의 총장직이 확립되었다.

2. 5. 근대화와 개혁 (19세기-현재)

19세기 중반, 알아즈하르이스탄불을 능가하여 수니파 법학 전문가의 중심지로 여겨졌으며, 이슬람 세계의 주요 권력 중심지로서 다마스쿠스, 메카, 바그다드와 경쟁 관계에 있었다.[25]

1923년 헌법 서명은 푸아드 1세가 알아즈하르와 다른 종교 기관들을 의회가 아닌 자신에게 종속시키려 했기 때문에 지연되었다.[26] 1924년 7월 10일, 알아즈하르 대학교 위원회에서 푸아드 1세 판 쿠란이 처음 출판되었다.[27][28] 이 위원회에는 이슬람 학자 무함마드 빈 알리 알-후사이니 알-하드다드가 있었다. 베르그스트레서와 제프리 등 서구 학자들도 당시 이집트에서 활동했다.[29]

1924년 3월, 압둘메지드 2세가 칼리파 자리에서 폐위되자,[30] 알아즈하르의 그랜드 셰이크는 이를 부인하고 이슬람 회의를 소집했다. 1926년 알아즈하르의 그랜드 챈슬러가 의장을 맡은 "칼리파 회의"는 후보자에 대한 합의를 얻지 못하고 실패했다. 칼리파 후보에는 푸아드 국왕도 포함되었다.

1908년카이로 대학교가 세속 교육의 최고 학부로 설립된 이후, 알아즈하르는 카이로에서 종교 교육의 최고 학부로 존속했다. 1936년에는 이슬람 신학, 이슬람 법학, 아랍어학의 3개 학부로 재편성되었다.

1955년, 파키스탄의 언론인 자이브 운 니사 하미둘라가 이 대학에서 연설한 최초의 여성이 되었다. 1961년, 가말 압델 나세르 정부 하에서 알아즈하르는 대학교로 재설립되었으며, 경영학, 경제학, 과학, 약학, 의학, 공학, 농업 등 다양한 세속 학부가 처음으로 추가되었다.[31][32] 같은 해에 이슬람 여성 학부도 추가되었다.[36] 이후 상학부, 이학부, 언어 번역 고등 연구소, 아랍·이슬람 고등 연구소가 설치되어 종합 대학의 면모를 갖추게 되었다.

2000년에는 대학에 킹 파이살 국제상 이슬람 봉사 부문이 수여되었다. 2011년 기준 교직원 수는 약 8,900명, 학생 수는 약 26만 9,000명이며, 이 중 약 10만 명이 여성이다. 현재도 알아즈하르는 이슬람 세계에서 종교 연구 및 교육의 중심 기관으로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3. 주요 특징

알 아즈하르는 수니파 이슬람 학문의 중심지로서, 이슬람 율법(샤리아) 해석에 있어 권위 있는 기관으로 인정받고 있다. 975년 라마단 달에 학술 연구가 시작되었고, 978년에 교육 활동을 시작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슬람 신학(칼람), 이슬람 철학, 이슬람법, 이슬람 법학 및 법 해석(피크), 아랍어(고전 아랍어) 문법언어학(푸스하), 철학, 천문학, 논리학 등 다양한 학문을 가르쳤다.

12세기 후반 아이유브 왕조를 세운 살라딘은 알아즈하르를 수니파 학문 중심으로 바꾸었다. 오스만 제국셀림 1세는 알아즈하르를 존속시켰고, 17세기 후반에는 총장직이 확립되었다.

19세기 수에즈 운하 개통 이후, 동남아시아 등지에서 유학생이 증가하면서 반식민지 운동 그룹이 생겨나기도 했다.[75] 졸업생들은 이슬람 지도자, 재판관 등으로 활동했으며, 범아랍주의 운동 지도자도 배출했다.

1924년 칼리프제 폐지 이후, 알아즈하르 대학교 총장은 수니파 최고 권위로 여겨지기도 한다. 1961년 가말 압델 나세르 정권 하에 종합 대학으로 개편되어 의학부, 공학부 등 근대 학문 분야가 추가되었고, 이후 상학부, 이학부 등이 설치되었다.

2011년 기준 교직원 수는 약 8,900명, 학생 수는 약 26만 9,000명이며, 이 중 약 10만 명이 여성이다. 현재도 이슬람 세계에서 종교 연구 및 교육의 중심 기관으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3. 1. 이슬람 신학

알아즈하르는 아슈아리파 신학을 중심으로 다양한 이슬람 신학 사상을 포괄한다. 수니파 이슬람 율법학의 네 가지 학파(하나피, 말리키, 샤피, 한발리)를 모두 가르치는 오랜 전통을 가지고 있으며, 각 학파의 수석 무프티는 해당 집단의 교사와 학생을 책임지는 학장 역할을 했다.[37] 오스만 시대에는 하나피 학장이 ''프리무스 인터 파레스''의 지위를 얻게 되었다.[37] 또한 7개의 주요 수피 교단의 회원도 있었다.[38]

알아즈하르는 와하비즘과 적대적인 관계를 가져왔으며,[39] 카네기 국제 평화 기금에서 발표한 2011년 보고서에 따르면, 본질적으로 강력한 수피적 성향을 띈다.[40] 현재 알아즈하르의 셰이크(학교 총장)인 아흐메드 엘-타예브는 세계 수피 리그 결성을 지지하는 상부 이집트 출신의 세습 수피 셰이크이며, 전 이집트 최고 무프티이자 알아즈하르의 고위 학자인 알리 고마 역시 매우 존경받는 수피 지도자이다.[40]

20세기 초, 계몽된 근대주의자 사상가인 무하마드 압두는 이즈티하드를 통해 법 개혁에 대한 열망을 재도입하는 등 커리큘럼 개혁을 이끌었다.[41][42] 그 후 알아즈하르 내의 근대주의 지식인과 전통주의자들 사이에 분쟁이 있었다.[43] 알아즈하르는 현재 근대주의 입장을 유지하며 많은 와하비 살라피 이데올로그의 극단적인 문구주의에 대한 반작용인 "와사티야"(중심주의)를 옹호한다. 와사티야는 종교적 성향을 가진 자유주의 지식인, 유수프 알-카라다위와 같은 설교자, 무슬림 형제단의 많은 구성원 등 다양한 사상가를 포괄한다.

3. 2. 이슬람 법학

알 아즈하르는 수니파 이슬람 법학(샤리아)의 4대 학파인 하나피, 말리키, 샤피이, 한발리 학파를 모두 가르치는 오랜 전통을 가지고 있다. 이슬람 법학 연구와 교육의 중심지로서, 이슬람 세계의 법률 시스템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시아파 피크(이슬람 법학)는 알 아즈하르의 파트와에 따르면 다섯 번째 이슬람 사상 학파로 받아들여진다.[51] 2016년 아흐메드 엘-타예브는 시아 무슬림에 대한 파트와를 재발행하여 시아를 이슬람의 다섯 번째 학파로 칭하고, 수니에서 시아 이슬람으로의 개종에 아무런 문제가 없다고 보았다.[55] 그러나 이집트의 시아 무슬림을 고립시키고 소외시킴으로써 종파적 신념을 공개적으로 조장하기도 한다.[56][57]

알 아즈하르의 학자들은 파라그 포다의 저술을 신성 모독이라고 선언했다.[58] 알 아즈하르의 일원인 무함마드 알-가잘리는 포다가 배교했다고 선언했다.[58] 제네이브 압도에 따르면, 무함마드 알-가잘리는 또한 배교자를 살해하는 사람은 처벌받지 않을 것이라고 덧붙였다.[59] 포다는 1992년 6월에 암살되었으며,[60][61] 알-자마아 알-이슬라미야라는 이집트 테러 단체가 알 아즈하르의 파트와를 근거로 암살의 정당성을 주장했다.[62]

3. 3. 현대 학문

1961년, 가말 압델 나세르 정부 하에서 알아즈하르는 대학교로 재설립되면서, 경영학, 경제학, 과학, 약학, 의학, 공학, 농업 등 다양한 현대 학문 분야들이 추가되었다.[31][32] 같은 해에 이슬람 여성 학부도 추가되었다.[36] 이후 상학부, 이학부, 언어 번역 고등 연구소, 아랍·이슬람 고등 연구소가 설치되어 종합 대학으로 발전하였다.

3. 4. 국제적 영향력

알 아즈하르는 이슬람 세계 각지에서 유학생들을 받아들였다. 19세기에 수에즈 운하가 개통되자, 열강의 식민지 하에 있던 동남아시아 각지에서의 유학도 더욱 늘어나 반식민지 운동을 지향하는 그룹을 낳기도 하였다.[75]

알 아즈하르 졸업생들은 이슬람 지도자, 재판관, 각 대학의 교수 및 아랍어 교사로 많이 진출하였다. 이들 중에는 범아랍주의 운동의 지도자도 있었다.

1924년 칼리프제 폐지 이후, 알 아즈하르 대학 총장은 수니파의 최고 권위로 여겨지기도 한다.

4. 조직 및 기구

970년 알 아즈하르 모스크에 부속된 마드라사로 설립된 알아즈하르 대학교는 파티마 왕조 지배하의 카이로에 설립되었다. 초기에는 이슬람 신학, 이슬람 철학, 이슬람법, 아랍어 문법 등을 가르치는 시아파 학부로 시작했으나, 살라딘이 아이유브 왕조를 세우면서 수니파 학부로 바뀌었다.

맘루크 왕조 시대에는 맘루크 기사단의 아미르 중 한 명이 알아즈하르를 통괄했다.[73] 1517년 오스만 제국셀림 1세는 알아즈하르를 존속시켰고, 17세기 후반에는 총장직이 확립되었다.

19세기에는 영국프랑스의 영향을 받아 근대 학문을 흡수했으며, 수에즈 운하 개통 이후 동남아시아 등지에서 유학생이 늘어나면서 반식민지 운동 그룹이 생겨나기도 했다.[75] 1924년 칼리프제 폐지 이후, 알아즈하르 대학교 총장은 수니파 최고 권위자로 여겨진다. 신학부와 법학부는 독자적인 자치권을 가지고 있다.

1908년 카이로 대학교 설립 이후, 카이로에서 종교 교육의 최고 학부로 존속했다. 2011년 기준 교직원 수는 약 8,900명, 학생 수는 약 26만 9,000명이며, 이 중 약 10만 명이 여성이다. 현재도 이슬람 세계에서 종교 연구 및 교육의 중심 기관으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4. 1. 학부 및 단과 대학

알 아즈하르는 1936년에 이슬람 신학, 이슬람 법학, 아랍어학의 3개 학부로 재편성되었다. 1961년 나세르 정권 하에서 가 설립되면서 종합 대학으로 개편되었고, 전통적인 3개 학부 외에 의학부, 공학부, 농학부, 여자 칼리지가 신설되어 세속 교육도 담당하게 되었다.[77] 이후 상학부, 이학부, 언어 번역 고등 연구소, 아랍·이슬람 고등 연구소가 설치되어 종합 대학으로서의 면모를 갖추게 되었다.

5. 비판 및 논란

알아즈하르는 이집트 정부의 영향을 받는다는 비판을 받아왔다. 특히, 정치적인 문제에 대한 입장 표명에 있어 정부의 입장을 대변한다는 비판이 제기되기도 한다.[31] 2013년 이집트 쿠데타 이후 알아즈하르는 무슬림 형제단에 반대하는 입장을 취했으며, 이는 일부 논란을 야기했다.[31] 또한 알아즈하르는 자유주의적인 이슬람 개혁에 반대하는 입장을 취하고 있으며, 이는 일부 진보적인 무슬림들로부터 비판을 받고 있다.[31]

6. 저명한 동문

알아즈하르 대학교는 오랜 역사 동안 수많은 저명인사를 배출했다. 10세기부터 17세기까지 시브트 알-마르디니, 압드 알-아지즈 알-와파이, 압드 알-카디르 알-바그다디와 같은 학자들이 이 대학을 거쳐갔다. 19세기와 20세기 초에는 무하마드 압두, 자말 앗-딘 알-아프가니, 이즈 앗-딘 알-카삼, 모하마드 아민 알-후세이니, 아흐메드 우라비 등 이슬람 근대화와 민족주의 운동에 기여한 인물들이 있었다.

1910년대부터 1950년대 사이에는 하산 알-반나, 세예드 무즈타바 알리, 메흐메드 한지치, 오마르 압델 라흐만, 타키 알-딘 알-나바니, 셰이크 아흐메드 야신, 사드 자글룰, 타하 후세인, 무하마드 마 지안, 아흐마드 메샤리 알-아드와니 등 다양한 분야의 인물들이 알아즈하르 대학교에서 수학했다.

1950년대 이후에는 알리코 당고테, 아크타르 라자 칸, 자이브 운-니사 하미둘라, 모하메드 부르하누딘, 압둘라 유수프 아잠, 마흐무드 샬투트, 마흐무드 칼릴 알-후사리, 아브델-할림 마흐무드, 아흐메드 수비 만수르, 무하마드 사이이드 탄타위, 아흐메드 엘-타예브, 무하마드 메트왈리 알 샤아라위, 마우문 압둘 가윰, 압둘라 모하메드, 살라마트 하심, 칼리파 난도, 파툴라 자밀, 무하마드 자밀 디디, 닉 압둘 아지즈 닉 맷, 압둘 하디 아왕, 오마르 마우테, 세이드 무하메달리 시합 탄갈, 사이드-우르-라흐만 아즈미 나드비, 티모시 윈터, 마흐무드 세에돈, 무스타파 캇타브, 타리크 나즘, 쿠라이쉬 시합, 알위 시합, 노라르판 자이날 등 종교, 정치, 학문, 경제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는 저명한 동문들이 배출되었다.

분류:알아즈하르 대학교 동문

6. 1. 종교 지도자 및 학자


  • 고스기 야스시 - 이슬람 연구자, 교토 대학 교수
  • 이이모리 카스케 - 중동 연구, 타쿠쇼쿠 대학 명예 교수
  • 부르하누딘 라바니 - 아프가니스탄 이슬람 공화국 초대 대통령
  • 시브가툴라 무자디디 - 아프가니스탄 상원 의장
  • 압두라만 와히드 - 인도네시아 제4대 대통령
  • 고바야시 테츠오 (1911-1943) - 종교학과 졸업 후, 인도네시아 마카사르의 남방 방면 해군 민정부에 소속되어, 회교 학원을 설립하는 등 군정 및 인도네시아 회교도 상호 이해에 노력했다.[78]
  • 알자바르티 - 19세기 이집트의 역사학자. 대학교 박사.
  • 무함마드 탄타위 - 총장
  • 무함마드 벨타기 - 동 대학교 의학부 교수, 자유정의당 소속 의원.

6. 2. 정치인


  • برهان الدين رباني|부르하누딘 라바니ar - 아프가니스탄 이슬람 공화국 초대 대통령
  • صبغة الله مجددي|시브가툴라 무자디디ar - 아프가니스탄 상원 의장
  • Abdurrahman Wahid|압두라만 와히드id - 인도네시아 제4대 대통령
  • محمد بلتاجي|무함마드 벨타기ar - 자유정의당 소속 의원

6. 3. 기타


  • 고스기 야스시 - 이슬람 연구자, 교토 대학 교수
  • 이이모리 카스케 - 중동 연구, 타쿠쇼쿠 대학 명예 교수
  • 부르하누딘 라바니 - 아프가니스탄 이슬람 공화국 초대 대통령
  • 시브가툴라 무자디디 - 아프가니스탄 상원 의장
  • 압두라만 와히드 - 인도네시아 제4대 대통령
  • 고바야시 테츠오 (1911-1943) - 종교학과 졸업 후, 인도네시아 마카사르의 남방 방면 해군 민정부에 소속되어, 회교 학원을 설립하는 등 군정 및 인도네시아 회교도 상호 이해에 노력했다.[78]
  • 알자바르티 - 19세기 이집트의 역사학자. 대학교 박사.
  • 무함마드 탄타위 - 총장
  • 무함마드 벨타기 - 동 대학교 의학부 교수, 자유정의당 소속 의원.

참조

[1] 웹사이트 QS World University Rankings: Al-Azhar University https://www.topunive[...] 2023-06-29
[2] 웹사이트 Al-Azhar University https://www.timeshig[...] 2023-09-28
[3] 웹사이트 Al-Azhar University https://www.usnews.c[...] 2024-02-27
[4] 뉴스 An Anti-ISIS Summit in Mecca A https://www.theatlan[...] 2015-02-26
[5] 서적 Pedagogy in Islamic Education: The Madrasah Context Emerald Group Publishing
[6] 서적 Post-Revolutionary al-Azhar http://carnegieendow[...] Carnegie Endowment for International Peace 2015-04-04
[7] 서적 Globalized Islam: The Search for a New Ummah https://books.google[...] Columbia University Press 2015-04-04
[8] 웹인용 Al-Azhar University https://www.britanni[...] Encyclopædia Britannica 2015-08-19
[9] 서적 Egyptian National Library Publications https://books.google[...] Egyptian National Library Press
[10] 웹인용 AME Info, 26 September 2005 http://www.ameinfo.c[...] AME Info 2010-03-21
[11] 간행물 ITEP press release, 10 October 2006
[12] 문서 Halm, Heinz. ''The [[Fatimids]] and their Traditions of Learning''. London: The Institute of Ismaili Studies and I.B. Tauris. 1997.
[13] 웹사이트 Shorter Shi'ite Encyclopaedia http://www.imamreza.[...]
[14] 웹사이트 The World's Oldest Universities, Some That Have Been Around For More Than A Thousand Years https://www.indiatim[...] 2022-12-17
[15] 서적 A History of Christian-Muslim Relations https://books.google[...] Edinburgh University Press
[16] 논문 From Jāmi'ah to University: Multiculturalism and Christian–Muslim Dialogue https://zenodo.org/r[...]
[17] 서적 Education and the Arab Spring https://brill.com/vi[...] Brill 2016
[18] 논문 Al-Azhar Madras https://uzresearcher[...] 2023
[19] 서적 Encyclopædia Britannica
[20] 서적 Encyclopaedia of Islam Leiden
[21] 웹사이트 End of the Fatimid Caliphate http://www.ismaili.n[...]
[22] 서적 Muqarnas, Volume 13 Brill Publishers
[23] 서적 International Dictionary of University Histories Taylor & Francis
[24] 서적 Great Events in Religion: An Encyclopedia of Pivotal Events in Religious History ABC-CLIO
[25] 문서 ABDU, MUHAMMAD Routledge
[26] 뉴스 Egyptian Constitution Delay. The Times 1923-04-19
[27] 웹사이트 Supplement II - Qurʾān Concordance http://dx.doi.org/10[...] Brill
[28] 문서 basmallah Routledge
[29] 문서 Quranic studies and its controversies 2008
[30] 뉴스 The Caliphate The Times 1924-03-18
[31] 문서 al-Azhar, modern period Brill
[32] 문서 al- Azhar (al-Ḏj̲āmiʿ al-Azhar) Brill
[33] 서적 A history of African higher education from antiquity to the present: a critical synthesis Praeger Publishers 2005
[34] 웹사이트 Al-Azhar University https://www.timeshig[...] 2020-08-28
[35] 웹사이트 Qantara - Al-Azhar Mosque https://www.qantara-[...] 2020-08-28
[36] 서적 Islam, Reproductive Health, and Women's Rights https://books.google[...] Sisters in Islam (SIS Forum Malaysia) 2000
[37] 서적 Defining Islam for the Egyptian State: Muftis and Fatwas of the Dār Al-Iftā BRILL
[38] 웹사이트 The Identity of Al-Azhar and Its Doctrine http://www.jadaliyya[...] Jadaliyya 2012-07-29
[39] 웹사이트 Al-Azhar's relations with other Sunni groups http://www.islamoped[...]
[40] 간행물 Salafis and Sufis in Egypt http://carnegieendow[...] Carnegie Endowment for International Peace 2011-12
[41] 문서 Islamic Reform and the Global Public Sphere Palgrave Macmillan, New York
[42] 간행물 SalafiSm in modern egypt: panacea or peSt?
[43] 간행물 Historical legacy and the challenge of modernity in the Middle East: the case of Al-Azhar in Egypt.
[44] 서적 Post-revolutionary al-Azhar Carnegie Endowment for International Peace, New York, NY
[45] 뉴스 Liberal Berlin mosque to stay open despite fatwa from Egypt https://www.theguard[...] 2017-07-16
[46] 뉴스 Senior scholars and the new Egyptian constitution http://www.alarabiya[...] Al Arabiya 2013-01-10
[47] 웹사이트 Egypt's new mufti https://foreignpolic[...] 2013-02-12
[48] 뉴스 Goodbye Pope, Hello Mufti http://latitude.blog[...] New York Times 2013-02-13
[49] 뉴스 Egypt's new Grand Mufti elected for first time ever http://english.ahram[...] Ahram Online 2013-02-11
[50] 웹사이트 The Grand Imams of Al-Azhar http://www.sunnah.or[...] 2006-06-24
[51] 웹사이트 al-Azhar Verdict on the Shia http://www.al-islam.[...] Al-islam
[52] 웹사이트 allheadlinenews http://www.feedsyndi[...] Feedsyndicate 2010-03-21
[53] 웹사이트 Arabic Online http://www.aljazeera[...] aljazeera.net
[54] 뉴스 International Herald Tribune http://www.iht.com/a[...] 2010-03-21
[55] 웹사이트 Fatwa of Al-Azhar's Grand Imam on Shia http://ijtihadnet.co[...] 2016-10-19
[56] 웹사이트 Egypt: For the people or against the people? http://shiarightswat[...] Shia Rights Watch
[57] 웹사이트 Iranian cleric calls out Egypt's Al-Azhar for anti-Shiite activities http://www.al-monito[...] Al-Monitor
[58] 서적 No God but God: Egypt and the Triumph of Islam Oxford University Press
[59] 서적 The Rule of Law in the Arab World: Courts in Egypt and the Gulf Cambridge University Press
[60] 서적 God Has Ninety-Nine Names: Reporting from a Militant Middle East https://books.google[...] Simon and Schuster 2011-07-19
[61] 웹사이트 EGYPT: Human Rights Abuses by Armed Groups https://www.amnesty.[...] Amnesty International 2015-12-02
[62] 서적 Warrant for Terror: The Fatwas of Radical Islam and the Duty to Jihad Rowman & Littlefield
[63] 서적 Censorship of Historical Thought: A World Guide, 1945-2000 https://books.google[...] Greenwood Publishing
[64] 웹사이트 THE 500 MOST INFLUENTIAL MUSLIMS 2010 https://rissc.jo/doc[...] The Royal Islamic Strategic Studies Centre 2022-06-30
[65] 웹사이트 Supreme Court of the Government of the Maldives http://supremecourt.[...]
[66] 웹사이트 Serving Dawoodi Bohras Worldwide http://www.mumineen.[...] Mumineen.org 2010-03-21
[67] 문서 Politics, Language, and Thought: The Somali Experienc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68] 서적 Islamic Bioethics: Problems and Perspectives https://books.google[...]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2006-12-02
[69] 웹사이트 Cordoba University http://www.cordobaun[...] Cordoba University 2010-03-21
[70] 서적 Essays in memory of Vice-Chancellor, UBD 1992-2002 https://www.research[...] Universiti Brunei Darussalam
[71] 뉴스 Majlis Ilmu 2017 https://www.mora.gov[...] Ministry of Religious Affairs 2017
[72] 서적 1980
[73] 서적 1980
[74] 서적 1980
[75] 서적 1970
[76] 웹사이트 http://ja.egypt.trav[...]
[77] 서적 2006
[78] 웹사이트 ハジ・ウマール・ファイサル小林哲夫のこと(脇田清之) https://yoridori-ind[...] 2020-08-20
[79] 서적 이슬람의 눈으로 본 세계사 뿌리와이파리 2011-08-2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