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야쿱 알만수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야쿱 알만수르는 1184년부터 1199년까지 무와히드 왕조의 칼리프였다. 그는 아버지 아부 야쿱 유수프 1세가 암살되면서 왕위에 올랐으며, 즉위 후 반란을 진압하고 북아프리카와 이베리아 반도에서 세력을 확장했다. 이베리아 반도 원정을 통해 알라르코스 전투에서 승리하여 "알만수르 빌라" 칭호를 얻었지만, 10년 휴전 협정으로 이베리아 반도를 완전히 제압할 기회를 놓쳤다. 그는 경제 발전에 힘쓰고 건축 사업을 추진했으며, 종교적으로는 자히리즘을 선호하여 이븐 루시드를 추방하기도 했다. 1199년 마라케시에서 사망했으며, 그의 아들 무함마드 알나시르가 뒤를 이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무와히드 칼리파 - 압달라 알아딜
    알모아드 왕조의 칼리프인 압달라 알아딜은 야쿱 알-만수르의 아들이자 무함마드 알-나시르의 형제로, 1224년 칼리프임을 선언하며 내분을 일으켜 왕조의 혼란과 쇠퇴를 가속화시켰으며 1227년 암살당했다.
  • 이슬람교 지도자 - 대무프티
    대무프티는 이슬람 율법 샤리아를 해석하여 파트와를 제시하는 최고위 이슬람 종교 학자를 지칭하는 칭호로, 국가별로 선출 또는 임명 방식, 역할, 통치자와의 관계 등에 차이가 있다.
  • 이슬람교 지도자 - 알아즈하르의 대이맘
    알아즈하르의 대이맘은 1961년 신설된 직책으로 알아즈하르의 수장을 지칭하며, 과거에는 다양한 명칭으로 불리다가 현재의 명칭으로 정착되었다.
  • 1199년 사망 - 미나모토노 요리토모
    미나모토노 요리토모는 가마쿠라 막부를 개창하고 최초의 세이이타이쇼군이 된 무장으로, 헤이지의 난 이후 유배되었다가 반 다이라 씨 전쟁을 승리로 이끌고 막부를 설립했으나, 권력 다툼과 낙마 사고사 등 논란 속에 일본 봉건 사회의 기틀을 마련했다.
  • 1199년 사망 - 사이교의 딸
    사이교의 딸은 사이교의 딸이 있었다는 사실을 다루며, 동시대 문헌에 단편적으로 언급되지만 이름은 불명확하고, 『발심집』에는 출가 시 동생에게 맡겨 구조 민부경의 딸인 "레이제이 전"의 양녀가 되어 아마노 땅에 살았다는 기록이 있으며, 에도시대의 『사이교모노가타리』에는 다양한 일화가 추가되었지만 후대 창작 가능성이 있고, 와카야마현 가쓰라기정 가미아마노에는 관련 유적들이 남아 있다는 전설이 전해진다.
야쿱 알만수르
기본 정보
야쿠브 알 만수르의 라바트 미완성 모스크
야쿠브 알 만수르의 라바트 미완성 모스크
칭호아미르 알무미닌
이름아부 유수프 야쿠브 이븐 유수프 이븐 압드 알무민 알만수르
다른 이름야쿠브 알만수르
별칭물라이 야쿠브
통치
국가무와히드 왕조
통치 기간1184년 - 1199년
선임자아부 야쿠브 유수프
후임자무함마드 안나시르
개인 정보
출생1160년
사망일1199년 1월 23일
사망 장소마라케시
매장지틴말
배우자아메트 알라 빈트 아부 이삭
배우자 2사피야 빈트 아부 압달라 벤 메르드니치
자녀무함마드 안나시르
자녀 2이드리스 알마문
종교이슬람
가족 관계
아버지아부 야쿠브 유수프

2. 생애

아부 야쿱 유수프의 아들 야쿱 알만수르는 1184년 아버지의 뒤를 이어 왕위에 올랐다. 즉위 직후, 발레아레스 제도의 마요르카 섬에서 온 무라비트 왕조의 후예 가니야족의 반란에 직면했다. 1184년부터 1185년까지 가니야족의 압달라 이븐 가니야가 알제리베자이아, 알제 등을 점령하며 반란을 일으키자, 알만수르는 직접 원정하여 1188년에 이를 평정하였다. 이후 이프리키야에서 트리폴리(현 리비아 서부)까지 지배 영역을 넓혀 무와히드 왕조의 최대 판도를 실현했다.[3]

2. 1. 이베리아 반도 원정

아부 야쿱 유수프가 포르투갈에서 암살되면서 왕위에 오른 알만수르는 아버지의 죽음에 복수하기 위해 이베리아 반도로 원정을 떠났다.[3] 1190년 7월 13일, 토마르 공방전에서 포르투갈 템플 기사단의 중심지를 포위했지만 함락에는 실패했다. 그러나 1191년 남쪽으로 이동하여 파데르네 성과 알가르브 인근 지역을 재점령했다. 이 지역은 1182년부터 산초 1세가 이끄는 포르투갈 군대에 의해 통제되고 있었다. 그는 주요 도시들을 점령하고 3천 명의 기독교인 포로를 데리고 마그레브로 돌아갔다.[3]

알만수르가 아프리카로 돌아간 사이, 이베리아 반도의 기독교 세력은 공세를 재개하여 실베스, 베라, 베자를 포함한 여러 무어인 도시들을 점령했다. 이에 알만수르는 다시 이베리아 반도로 돌아와 기독교 세력을 격파했다. 이때 많은 사람들이 50명씩 묶여 아프리카에서 노예로 팔려갔다.

1195년 7월 18일, 알라르코스 전투에서 카스티야의 알폰소 8세 군대를 대파했다. 알만수르의 군대는 15만 명을 죽이고 막대한 돈, 귀중품 등을 빼앗았다고 전해진다. 이 승리에는 카스티야 군보다 우세한 병력과 알폰소 8세 가신의 배신이 큰 영향을 미쳤다. 이 승리 이후 그는 "알만수르 빌라"("신에 의해 승리한 자")라는 칭호를 얻었다.[3]

알폰소 8세는 레온 왕 알폰소 9세와 나바라 왕 산초 7세와 동맹을 맺고 카스티야를 공격하여 기독교 국가들을 분열시켰고, 1196년 플라센시아를 빼앗고 톨레도를 약탈했다. 1197년 마드리드까지 진군하여 카스티야를 위협했다.

로마 교황 첼레스티노 3세의 중재로 기독교 국가들은 휴전하고, 교황에게서 파문된 알폰소 9세는 카스티야와 화해했다. 알만수르는 알폰소 8세와 10년 휴전 협정을 체결했지만, 이로 인해 이베리아 반도를 완전히 제압할 기회를 놓쳤다.

2. 2. 내치

루이 피기에의 삽화, 알 만수르가 그의 궁정에서 이븐 루시드(아베로에스)를 추방하는 모습


알 만수르는 경제 발전에 힘써 관개 정비를 통한 농업 진흥, 광산 개발, 교역 확대를 통해 무와히드 왕조의 번영을 이끌었다.[9] 세비야 대모스크, 히랄다 탑 (후에 세비야 대성당의 일부로 전용), 라바트하산 탑 등 무와히드 왕조 시대를 대표하는 건축물들을 건설했다. 마라케시에 광대한 왕궁 및 궁궐 단지(카스바)를 건설했으며, 이는 이후 수세기 동안 도시의 정부 소재지가 되었다. 이 왕실 구역에는 카스바 모스크(또는 엘 만수리야 모스크)가 포함되었으며, 기념비적인 문인 바브 아그나우를 통해 접근할 수 있었다. 라바트에 더 큰 요새화된 수도 건설을 시작하고 세계에서 가장 큰 모스크를 건설하려 했으나, 그의 사후 중단되었다. 하산 탑을 비롯한 모스크의 기초 부분만 완성되었다.

바브 우다야는 알 만수르의 통치하에 카스바트 알-아우다야에 추가되었다.


바브 에르-루아를 비롯한 라바트의 역사적인 문 일부는 이 시기에 건설되었으며,[4][5][6] 알 만수르의 유명한 작품 중 하나는 모로코 최초의 병원인 마라케시 비마리스탄이었다. 알 만수르는 이곳을 호화로운 장식과 조각품으로 장식했으며, 정원과 수로가 딸려 있었고, 알모아드 왕조 정부가 개인적으로 자금을 지원했다. 이븐 루시드가 한동안 이곳에서 일했다고 한다.[7][8]

알 만수르는 철학자 이븐 루시드를 보호하고 총애했으나, 1197년 철학을 이단으로 금지하고 그를 추방했다. 이는 무와히드 왕조의 타우히드주의 이념을 강화하고, 이에 반하는 무슬림들을 억압하기 위한 조치였다. 비무슬림에 대한 탄압이 심하여, 많은 이들이 이베리아 반도 북부의 기독교 지역으로 피난했다.

3. 죽음

1198년 3월, 아들 무함마드 알나시르를 후계자로 지명하고 모로코로 귀국했다.[12] 이듬해 1199년 마라케시에서 사망했다.[12] 만년에는 병으로 쇠약해져 명상에 잠기는 생활을 보냈다고 한다.[6] 그의 유해는 마라케시의 궁전에 임시로 매장되었다가, 이후 틴말에 있는 이전 알모하드 칼리프들과 이븐 투마르트의 묘소에 안장되었다.[6]

4. 가계도

(1)무함마드아부 야쿱 유수프 1세
(2)아부 알핫산 알리아부 자이드 압드 알라흐만아부 자카리야 압드 알라흐만아부 압드 알라흐만 야쿱아부 이브라힘 이스마일아부 사이드 우스만아부 알리 알후세인아부 무함마드 압드 알라흐아부 무사 이사아부 이샤크 이브라힘아부 알라비 술라이만아부 임란 무사아부 하프스 우마르야쿱 알만수르
(3)아부 알울라 이드리스아부 야흐야아부 이샤크 이브라힘아부 하프스 우마르 알라시드아부 자이드 무함마드압둘와히드 1세 알마클루
(6)아부 이브라힘 이샤크 알타히르아부 자이드 압드 알라흐만아부 자카리야 야흐야아부 알핫산 알리아부 유수프 야쿱아부 알라비 술라이만아부 압드 알라흐 무함마드무함마드 알나시르
(4)압달라 알아딜
(7)아부 무함마드 사이드아부 무사이브라힘아부 사이드이드리스 1세 알마문
(9)아부 하프스 우마르 알무르타다
(12)아부 자이드아부 이샤크이드리스 2세 알와시크
(13)아부 알리압드 알라흐 알바이얀시아부 자이드야흐야 알무타심
(8)무사자카리야알리유수프 2세 알무스탄시르
(5)알리 알사이드
(11)압드 알와히드 2세 알라시드
(10)


참조

[1] 서적 Roudh el-Kartas: Histoire des souverains du Maghreb (Espagne et Maroc) et annales de la ville de Fès https://books.google[...] Impr. impériale 1860
[2] 서적 Roudh el-Kartas: Histoire des souverains du Maghreb (Espagne et Maroc) et annales de la ville de Fès https://books.google[...] Impr. impériale 1860
[3] 간행물 Abū Yūsuf Yaʿḳūb b. Yūsuf b. ʿ Abd al-Muʾmin al-Manṣūr https://referencewor[...] Brill Publishers
[4] 서적 Marrakech: Des origines à 1912 Éditions Techniques Nord-Africaines
[5] 서적 Maroc Almoravide et Almohade: Architecture et décors au temps des conquérants, 1055-1269 LienArt
[6] 서적 The Almoravid and Almohad Empires Edinburgh University Press
[7] 문서 al-mujib fi talkhis akhbar ahl al-Maghrib https://www.noor-boo[...]
[8] 논문 The Maristan "Sidi Fredj" in Fez, Morocco https://web.archive.[...] 2015
[9] 논문 Ibn Mada's Criticism of Arab Grammarians.
[10] 서적 The Arabic Linguistic Tradition [[Routledge]]
[11] 문서 Introduction to Ibn Mada's Refutation of the Grammarians
[12] 간행물 Abū Yūsuf Yaʿḳūb b. Yūsuf b. ʿ Abd al-Muʾmin al-Manṣūr https://referencewor[...] Brill Publishers
[13] 문서 French translation by A. Beaumier 186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