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알프레드 카스틀레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알프레드 카스틀레르는 프랑스의 물리학자이다. 빛과 원자 간의 상호 작용 및 분광학 연구를 진행했으며, 광펌핑 방식을 개발하여 레이저와 메이저 이론 완성에 기여했다. 원자의 헤르츠 공명을 연구할 수 있는 광학적 방법을 발견한 공로로 1966년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했다. 에콜 노르말 쉬페리외르 총장을 역임했으며, 카스틀레-브로셀 연구소의 명칭에 그의 이름이 사용되었다. 또한 세계 헌법 제정을 위한 협약에 서명하고, 국제 굶주림 대책 기구의 초대 의장을 지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분광학자 - 피터 디바이
    피터 디바이는 분자 구조 및 물질의 물리적 성질 연구에 기여한 네덜란드 출신의 물리화학자로, 노벨 화학상 수상, 데바이 단위, 데바이 모델 등의 업적을 남겼으며, 나치 독일 시대 행적 논란 후 미국으로 이민하여 연구를 지속하며 현대 화학 및 물리학 발전에 영향을 미쳤다.
  • 분광학자 - 로버트 컬
    로버트 컬은 풀러렌 발견으로 노벨 화학상을 수상한 미국의 화학자로서, 라이스 대학교에서 분광학, 자유 라디칼, 양자 캐스케이드 레이저 등 다양한 분야를 연구하며 교수로 재직했고, 은퇴 후 명예교수가 되었다.
  • 프랑스의 물리학자 - 폴 랑주뱅
    폴 랑주뱅은 프랑스의 물리학자로서 상자성 및 반자성 연구, 초음파 발생, 상대성 이론 전파 등 다양한 분야에서 업적을 남겼으며, 반파시즘 운동에 참여하고 프랑스 인권연맹 회장을 역임하다가 1946년 사망하여 1948년 파리의 팡테옹에 안장되었다.
  • 프랑스의 물리학자 - 안 륄리에
    안 륄리에는 고차 고조파 발생 연구를 통해 아토초 펄스 생성 및 응용 분야를 개척하여 2023년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한 프랑스 출신의 물리학자이다.
  • 프랑스의 노벨상 수상자 - 안 륄리에
    안 륄리에는 고차 고조파 발생 연구를 통해 아토초 펄스 생성 및 응용 분야를 개척하여 2023년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한 프랑스 출신의 물리학자이다.
  • 프랑스의 노벨상 수상자 - 르네 카생
    르네 카생은 프랑스의 법학자이자 인권 운동가로서, 세계 대전 참전과 국제 연맹 활동, 자유 프랑스 합류, 세계인권선언 초안 작성 기여, 유럽인권재판소 재판장 역임, 유대인 인권 보호 등의 공로로 노벨 평화상을 수상하고 팡테옹에 안장되었다.
알프레드 카스틀레르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1966년의 카스틀레르
1966년의 카스틀레르
출생일1902년 5월 3일
출생지게브빌레르, 알자스-로렌, 독일 제국
사망일1984년 1월 7일
사망지방돌, 프로방스-알프-코트다쥐르, 프랑스
국적프랑스
학력
모교고등사범학교, 파리 대학교
박사 제자클로드 코엔타누지
경력
근무 기관보르도 대학교
업적
주요 업적광학 펌핑
핵 음향 공명
수상
수상 내역홀웨크상 (1954년)
CNRS 금메달 (1964년)
노벨 물리학상 (1966년)

2. 생애

알자스 게브빌레르에서 태어나 콜마르에 있는 바르톨디 고등학교를 졸업하고, 1921년 에콜 노르말 쉬페리외르에 들어갔다.[1] 1926년 뮐루즈에 있는 고등학교에서 물리학을 가르쳤고, 이후 보르도 대학교에서 일하다 1941년 교수가 되었다.[1] 조르주 브뤼아의 요청으로 에콜 노르말 쉬페리외르로 옮겨 1952년 총장이 되었다.[1]

장 브로셀과 함께 원자 간 상호작용, 분광학을 연구했다.[1] 광학 진동과 자기 진동을 결합하는 연구를 통해 광펌핑 방식을 개발했고,[1] 이는 레이저메이저 이론의 바탕이 되었다.[1] 1966년 원자헤르츠 공명을 연구하는 광학적 방법을 발견한 공로로 노벨 물리학상을 받았다.[1]

1984년 1월 7일 프랑스 방돌에서 사망했다.[1]

3. 카스틀레-브로셀 연구소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카스틀레르의 연구는 대부분 그의 제자였던 장 브로셀과 함께 에콜 노르말 쉬페리외르에서 소규모 그룹 형태로 이루어졌다. 40년 동안 이어진 이 연구 그룹은 다수의 젊은 과학자들을 배출해내어 프랑스원자 물리학 발전에 큰 공헌을 하였다.[1] 그 공헌으로 헤르츠 분광학 연구소(Laboratoire de Spectroscopie Hertzienne프랑스어)는 1994년에 카스틀레-브로셀 연구소(Laboratoire Kastle-Brossel프랑스어)로 이름이 바뀌었고,[1] 연구소의 본원은 에콜 노르말 쉬페리외르에, 분원은 피에르와 마리 퀴리 대학교에 두었다.[1]

1967년경의 카스틀레

4. 사회 활동

그는 세계 헌법을 제정하기 위한 협약을 소집하는 데 서명한 사람들 중 한 명이었다.[6][7] 그 결과, 인류 역사상 처음으로 세계 헌법 의회가 소집되어 지구 연방 헌법을 제정하고 채택했다.[8]

참조

[1] 문서
[2] 간행물 Obituary: Alfred Kastler http://www.physicsto[...] 1984-05
[3] 웹사이트 APS Member History https://search.amphi[...] 2022-07-25
[4] 웹사이트 A.H.F. Kastler (1902 - 1984) http://www.dwc.knaw.[...] Royal Netherlands Academy of Arts and Sciences 2015-07-19
[5] 문서
[6] 웹사이트 Letters from Thane Read asking Helen Keller to sign the World Constitution for world peace. 1961 https://www.afb.org/[...] American Foundation for the Blind 2023-07-01
[7] 웹사이트 Letter from World Constitution Coordinating Committee to Helen, enclosing current materials https://www.afb.org/[...] American Foundation for the Blind 2023-07-03
[8] 웹사이트 Preparing earth constitution {{!}} Global Strategies & Solutions {{!}} The Encyclopedia of World Problems http://encyclopedia.[...] 2023-07-15
[9] 뉴스 Dr. Alfred Kastler, 81, Nobel Prize-Winner, Dies https://www.nytimes.[...] 1984-01-0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