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터 디바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피터 디바이는 네덜란드 출신의 물리학자이자 화학자로, 분자 구조 연구, 특히 쌍극자 모멘트와 X선 회절 연구에 기여하여 1936년 노벨 화학상을 수상했다. 그는 아헨 공과대학교에서 전기공학 학위를 받았으며, 막스 플랑크의 방사 공식 유도에 기여했다. 취리히 대학교, 괴팅겐 대학교 등에서 교수를 역임했으며, 1937년부터 1939년까지 독일 물리학회 회장을 지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 나치 정권과의 관계에 대한 논란이 있으며, 이후 미국으로 이주하여 코넬 대학교 화학과장을 역임했다. 주요 연구 분야로는 분자 구조, 열역학, 원자 구조, 전해질 용액, 콤프턴 효과 등이 있으며, 데바이 모델, 데바이-셰러 법, 데바이-휘켈 식 등 다양한 연구 업적을 남겼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피터 디바이 - 디바이 차폐
디바이 차폐는 플라스마 내 전하가 전기장을 차폐하는 현상으로, 플라스마 안정성 유지 및 상호작용 감소에 기여하며 핵융합 연구 등 다양한 분야에 응용되고 수학적 모델로 분석되는 개념이다. - 피터 디바이 - 디바이 주파수
- 베를린 훔볼트 대학교 - 존 폰 노이만
헝가리 출신의 존 폰 노이만은 수학, 물리학, 컴퓨터 과학, 경제학 등 다양한 분야에 혁신적인 업적을 남겼으며, 특히 폰 노이만 아키텍처는 현대 컴퓨터 설계의 기초가 되었고 게임 이론의 창시자로도 알려진 20세기 과학기술 발전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 인물이다. - 베를린 훔볼트 대학교 - 빅토어 바이스코프
빅토어 바이스코프는 오스트리아 출신의 이론물리학자이며, 양자 전기역학, 핵물리학 연구에 기여하고 CERN 사무총장을 역임하며 국제 과학 협력에 힘썼다. - 아헨 공과대학교 동문 - 허영섭
허영섭은 GC녹십자 사장 및 회장을 역임하며 필수의약품 국산화에 기여하고 한국혈우재단을 설립한 바이오제약 경영인이다. - 아헨 공과대학교 동문 - 네지메틴 에르바칸
네지메틴 에르바칸은 튀르키예의 이슬람주의 정치인이자 기술자, 학자로서, 이스탄불 공과대학교 교수 출신으로 정계에 입문하여 여러 이슬람주의 정당을 창당하고 1996년 총리에 취임했으나 군부의 압력으로 물러나 정치 활동 금지 처분을 받았다.
피터 디바이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본명 | 페트루스 요세푸스 빌헬무스 데비예 |
출생일 | 1884년 3월 24일 |
출생지 | 마스트리흐트, 네덜란드 |
사망일 | 1966년 11월 2일 |
사망지 | 미국 뉴욕주 이타카 |
국적 | 네덜란드 미국 (1946년 귀화) |
분야 | 물리학 화학 |
직장 | |
근무 기관 | 취리히 대학교 (1911–12) 위트레흐트 대학교 (1912–14) 괴팅겐 대학교 (1914–20) 취리히 연방 공과대학교 (1920–27) 라이프치히 대학교 (1927–34) 베를린 대학교 (1934–39) 카이저 빌헬름 물리 연구소 코넬 대학교 (1940–50) |
모교 | 아헨 공과대학교 뮌헨 대학교 |
박사 지도교수 | 아르놀트 조머펠트 |
박사 지도학생 | 랄스 온사게르 파울 셰러 조지 K. 프랭켈 프리츠 츠비키 |
주요 업적 | 데바이 모형 데바이 이완 데바이 주파수 |
개인사 | |
배우자 | 마틸데 알베러 (1913년 결혼) |
자녀 | 2명 |
수상 | |
수상 내역 | 럼퍼드 메달 (1930년) 패러데이 강연상 (1933년) 로렌츠 메달 (1935년) 노벨 화학상 (1936년) 윌러드 기브스 상 (1949년) 막스 플랑크 메달 (1950년) 윌리엄 H. 니컬스 메달 (1961년) 프리슬리 메달 (1963년) 국가 과학 훈장 (1965년) |
기타 | 왕립학회 외국인 회원 |
서명 | |
![]() |
2. 생애
1884년 3월 24일 네덜란드 마스트리흐트에서 태어났다. 아헨 공과대학교에서 아르놀트 조머펠트 아래 수학과 물리학을 공부하였고, 1905년 전기공학 학위를 받았다. 1906년 조머펠트가 뮌헨 대학교로 가면서 디바이는 조머펠트의 조수가 되었고, 1908년 박사 학위를 받았다.
1911년부터 취리히 대학교, 위트레흐트 대학교, 괴팅겐 대학교 교수를 역임했다. 1913년에는 마틸데 알베러(Mathilde Albererde)와 결혼하였다. 1920년 취리히 연방 공과대학교, 1927년 라이프치히 대학교 교수를 거쳐, 1934년부터 1938년까지 베를린 훔볼트 대학교 교수와 카이저 빌헬름 물리학 연구소 소장을 겸임했다. 1935년 로런츠 메달을 받았고, 1936년 노벨 화학상을 받았다.
1937년부터 1939년까지 독일 물리학회(Deutsche Physikalische Gesellschaft) 회장을 맡았다.
1940년 초 미국으로 이민하여 코넬 대학교 화학과장이 되었고, 1946년 미국 시민권을 얻었다. 1952년 코넬 대학교에서 은퇴하였고, 1966년 사망하였다. 미국화학회는 그를 기념하여 1962년 피터 디바이상을 제정했다.
디바이의 반유대주의 논란에 대하여, 네덜란드 전쟁·홀로코스트·집단 학살 연구소(NIOD Instituut voor Oorlogs-, Holocaust- en Genocidestudiesnl)의 2007년 공식 보고서가 있다.
2. 1. 초기 생애
1884년 3월 24일 네덜란드 마스트리흐트에서 '''페트뤼스 요세퓌스 빌헬뮈스 더베이어'''(Petrus Josephus Wilhelmus Debijenl)라는 이름으로 태어났다.[1] 출생 당시 이름은 「페트르스 요세푸스 빌헬무스 데바이예」(Petrus Josephus Wilhelmus Debije) 또는 「피터 요셉 빌렘 데바이예」(Pieter Joseph Willem Debije)였다.[3] 아헨 공과대학교에서 아르놀트 조머펠트 아래 수학과 물리학을 공부하였고, 1905년 전기공학 학위를 받았다.[1] 1907년에는 와전류(eddy current)에 관한 문제에 대한 수학적으로 우아한 해결책을 제시한 첫 논문을 발표했다.[2]1906년 조머펠트가 뮌헨 대학교 교수로 임용되면서 디바이를 조수로 데려갔다.[1][2] 디바이는 1908년 복사압(radiation pressure)에 관한 논문으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1][2]
2. 2. 유럽에서의 활동
1911년 알베르트 아인슈타인이 카를 대학교 교수가 되자, 디바이는 취리히 대학교 교수가 되었다.[7] 이후 1912년에는 위트레흐트 대학교, 1913년에는 괴팅겐 대학교, 1920년에는 취리히 연방 공과대학교, 1927년에는 라이프치히 대학교 교수가 되었다.[7] 1934년에는 베를린 훔볼트 대학교 교수가 되었고, 카이저 빌헬름 물리학 연구소(현재 막스 플랑크 연구소) 소장을 겸임하였다.[7] 이 연구소는 데바이 시대에 건설되었다.아놀드 조머펠트의 조수로 베를린에 있었을 때, 데바이는 마틸데 알베레르(Mathilde Albererde)를 알게 되었다.[8] 마틸데는 데바이가 머물렀던 하숙집 주인의 딸이었다.[8] 1913년 데바이와 결혼했다.[8][9]
1914년 5월에는 네덜란드 왕립 예술 과학 아카데미 회원이 되었고,[7] 같은 해 12월에는 외국인 회원이 되었다.[7] 1935년 로런츠 메달을 수상하였다.[7]
1937년부터 1939년까지 독일 물리학회(Deutsche Physikalische Gesellschaft) 회장을 역임했다. 1938년 12월 9일 독일 물리학회장으로서 다음과 같은 메모를 적었다.
2. 3. 미국으로의 이주와 이후 활동
1940년 초, 디바이는 미국으로 이민하여 코넬 대학교 화학과장이 되었고, 1946년 미국 시민권을 획득하였다.[12] 유럽 시절에는 여러 대학을 옮겨 다녔지만, 미국에서는 코넬 대학교에 정착하여 은퇴할 때까지 재직하였다. 1952년에 은퇴하였으나, 사망할 때까지 연구를 계속하였다.코넬 대학교에서 디바이는 광산란 기술을 사용하여 폴리머 분자의 크기와 분자량을 결정하는 연구를 주로 수행하였다. 이는 제2차 세계 대전 중 합성 고무 연구에서 시작하여 단백질과 다른 고분자로 확장되었다.
1966년 4월, 디바이는 심장마비를 겪었고, 그해 11월 2일 뉴욕주 이타카에서 두 번째 심장마비로 사망하였다.[12] 그는 이타카의 플레전트 그로브 묘지에 묻혔다.[12]
3. 주요 연구 분야 및 업적
피터 디바이는 물리학 및 화학 분야에 걸쳐 다양한 연구 업적을 남겼다. 주요 연구 분야 및 업적은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연도 | 연구 분야 및 업적 |
---|---|
1912년 | 비대칭 분자의 전기 쌍극자 모멘트 (유전율) 연구. 이 연구를 통해 분자 모멘트 단위에 데바이가 사용됨.[1] |
1912년 | 아인슈타인의 비열 이론을 저온으로 확장. (데바이 모델)[3] |
1913년 | 닐스 보어의 원자 구조 이론 확장.[13] |
1914년–1915년 | 폴 셰러와 함께 X선 산란을 이용한 구조 분석법인 데바이-셰러 법 개발.[1] |
1923년 | 에리히 휘켈과 함께 전해액에서의 데바이-휘켈 방정식 제안.[12] |
1923년 | 콤프턴 효과 설명.[1] |
3. 1. 분자 구조 연구
1912년, 피터 디바이는 비대칭 분자 내 전하 분포에 대한 쌍극자 모멘트 개념을 적용하여 분자 구조를 연구했다. 그는 쌍극자 모멘트를 온도와 유전 상수와 관련짓는 방정식을 개발했다. 그 결과, 분자 쌍극자 모멘트의 단위는 그의 업적을 기념하여 '데바이'라고 명명되었다.[1] 1914년부터 1915년까지는 파울 셰러와 함께 온도가 결정성 고체의 X선 회절 패턴에 미치는 영향을 계산했고, 이를 이용해 X선 산란을 이용한 구조 분석법인 데바이-셰러 법(Debye-Scherrer method)을 개발하였다.[1]3. 2. 열역학 연구
1912년 플랑크의 양자론을 이용하여 저온 영역의 비열에 대한 아인슈타인의 식을 확장하여 데바이 비열식을 제안하였다. (데바이 모델)[3]3. 3. 원자 구조 연구
1913년 - 닐스 보어의 원자 구조 이론을 확장하였다.[13]3. 4. 전해질 용액 연구
1923년 에리히 휘켈과 함께 전해질 용액에서의 데바이-휘켈 방정식을 제안하였다.[12]3. 5. 콤프턴 효과 설명
1923년 - 콤프턴 효과에 대한 설명을 제시하였다.[1]3. 6. 기타 연구
- 1912년 - 비대칭 분자의 전기 쌍극자 모멘트(유전율) 연구를 통해 분자 모멘트 단위명에 자신의 이름이 사용되고 있다.[1]
- 1912년 - 저온 영역의 비열에 대한 아인슈타인의 식을 플랑크의 양자론을 이용하여 확장하였다(데바이 비열식).[1]
- 1913년 - 닐스 보어의 원자 구조 이론을 확장하였다.[1]
- 1914년–1915년 - 폴 셰러와 함께 X선 산란을 이용한 구조 분석법인 데바이-셰러 법을 개발하였다.[1]
- 1923년 - 에리히 휘켈과 함께 전해액에서의 데바이-휘켈 식을 제안하였다.[1]
- 1923년 - 콤프턴 효과에 대한 설명을 하였다.[1]
4. 나치 시대 활동과 논란
1937년부터 1939년까지 디바이는 독일 물리학회(Deutsche Physikalische Gesellschaft) 회장을 역임했다. 1938년 12월 9일, 독일 물리학회장으로서 디바이는 뉘른베르크법을 근거로 유대인 회원들에게 학회를 떠날 것을 요구하는 편지를 작성했다.[13] 이 편지에서 디바이는 "현재 상황을 고려하여, 뉘른베르크 법에 명시된 바와 같이 독일 유대인의 독일 물리학회 회원 자격은 유지될 수 없습니다. 이사회의 희망에 따라, 저는 이러한 규정에 해당하는 모든 회원들에게 사임을 보고해 주시기를 요청드립니다. 하일 히틀러!"라고 썼다.
1940년 초, 디바이는 미국으로 이민하여 코넬 대학교 화학과장이 되었고, 1946년 미국 시민권을 획득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디바이가 나치 독일과 비밀리에 접촉을 시도했다는 의혹이 제기되었다.[16] 2007년, 네덜란드 전쟁·홀로코스트·집단 학살 연구소(NIOD Instituut voor Oorlogs-, Holocaust- en Genocidestudiesnl)는 보고서를 통해 "미국에 이민한 디바이는 분명 기회주의자였다. 디바이는 정권을 잡은 정치 체계가 나치 독일이든, 미국이든 상관없이 충성을 바쳤다. 다만, 디바이는 항상 탈출구를 마련해 두었다. 나치 독일에서는 네덜란드 국적을 유지하였고, 미국에서는 나치 독일 외교부와 비밀리에 접촉하였다."라고 평가했다.[30]
2006년, 시베 리스펜스(Sybe I. Rispens)는 저서 《네덜란드의 아인슈타인》(Einstein in the Netherlands)에서 데바이가 카이저 빌헬름 학회 소장 재직 시기에 유대인 과학자들을 독일 과학 기관에서 제거하는 데 적극적으로 관여했다고 주장했다.[13] 리스펜스는 알베르트 아인슈타인이 1940년 상반기에 데바이가 코넬 대학교에 임용되는 것을 막으려고 시도했다고 주장했다.[13]
이러한 논란에 대해, 2008년 테를루위 위원회(Terlouw Commission)는 데바이가 당원이나 반유대주의자가 아니었고, 나치 선전에 협력하지 않았지만, 저항 영웅도 아니었다고 결론지었다.[32] 위원회는 데바이가 독일 물리학회(DPG) 서한 발송을 불가피하다고 생각했으며, 70년이 지난 지금 그 결정에 대해 어떠한 판단도 내릴 수 없다고 밝혔다.
5. 수상 내역
연도 | 수상 내역 |
---|---|
1927년 | 미국 예술 과학 아카데미 명예 국제 회원[36] |
1930년 | 럼퍼드 메달 (비열 및 X선 분광학 관련 연구) |
1935년 | 로렌츠 메달 |
1936년 | 노벨 화학상 (분자 구조 연구, 쌍극자 모멘트 및 X선 회절 연구)[36], 미국 철학 학회 회원[37] |
1937년 | 프랭클린 연구소 프랭클린 메달 |
1947년 | 미국 국립 과학 아카데미 회원[38] |
1949년 | 윌러드 기브스상 |
1950년 | 막스 플랑크 메달 |
1961년 | 윌리엄 H. 니콜스상 |
1963년 | 프리스트리 메달 |
1965년 | 미국 국가 과학상[39] |
1982년 | 알파 카이 시그마 명예의 전당 헌액[40] |
참조
[1]
논문
Peter Joseph Wilhelm Debye. 1884–1966
1970
[2]
서적
Debye
Random House
2013
[3]
웹사이트
The Nobel Prize in Chemistry 1936
https://www.nobelpri[...]
2021-12-26
[4]
웹사이트
Peter Debye American physical chemist Britannica
https://www.britanni[...]
2021-12-26
[5]
일반
[6]
웹사이트
Peter Joseph Wilhelm Debije (1884–1966)
http://www.dwc.knaw.[...]
Royal Netherlands Academy of Arts and Sciences
2015-07-27
[7]
논문
Peter Joseph Wilhelm Debye. 1884–1966
1970
[8]
서적
Nobel Laureates in Chemistry, 1901–1992
https://books.google[...]
Chemical Heritage Foundation
1993-10-30
[9]
웹사이트
Towson University Daily Digest
http://www.towson.ed[...]
2012-07-25
[10]
논문
Peter Joseph Wilhelm Debye, 1884-1966
[11]
서적
Prof. Peter J. W. Debye (1884–1966) in 1935 – 1945: brilliant scientist – gifted teacher; an investigation of historical sources
RIPCN
2006
[12]
웹사이트
Chemical Industry Digest
http://chemindigest.[...]
[13]
서적
Einstein in Nederland. Een intellectuele biografie
Ambo/Anthos
2006
[14]
서적
Pie Debije-Peter Debye: 1884–1966
Gardez! Verlag
2000
[15]
논문
Peter Joseph Wilhelm Debye
http://www.nap.edu/o[...]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U.S.
1975
[16]
웹사이트
Prof. Peter J. W. Debye in 1935–1945. An investigation of historical sources
http://www.theochem.[...]
2006-12
[17]
서적
Lise Meitner: A Life in Physics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97
[18]
논문
Lise Meitner's Escape from Germany
1990
[19]
논문
Vor fünfzig Jahren
1988-11
[20]
인터뷰
[21]
웹사이트
AFSCHEID VAN DEBYE DOOR UTRECHT: EEN BESTUURLIJKE DWALING
http://www.debye.uu.[...]
2006
[22]
웹사이트
Opgeroepen beeld moeilijk verenigbaar met voorbeeldfunctie UM
http://www.unimaas.n[...]
2006-02-16
[23]
웹사이트
Peter Debye: A Typical Scientist in an Untypical Time
http://www.dpg-physi[...]
2006-03
[24]
웹사이트
Veltman letter to the Utrecht University's Board of Directors
http://home.hetnet.n[...]
2006-05-05
[25]
웹사이트
Decision Cornell University
http://home.hetnet.n[...]
2012-07-25
[26]
논문
ETHICS: Blocking a Book, Dutch University Rekindles Furor Over Nobelist Debye
2006
[27]
웹사이트
UU weer beschuldigd van censuur
http://www.c2w.nl/uu[...]
2006-06-20
[28]
뉴스
Volkskrant
2007-03-24
[29]
뉴스
NRC Handelsblad
2007-05-19
[30]
웹사이트
Zwischen Autonomie und Anpassung: Die Deutsche Physikalische Gesellschaft im Dritten Reich
http://www.mpiwg-ber[...]
2001
[31]
서적
In the Name of Science?
Aksant
2008
[32]
웹사이트
Terlouw Commission: ‘Continue using Debye’s name’
http://www.uu.nl/EN/[...]
2008-01-17
[33]
논문
Letters defend Nobel laureate against Nazi charges
2010
[34]
논문
Peter Debye: Nazi Collaborator or Secret Opponent?
2010
[35]
서적
Serving the Reich: The Struggle for the Soul of Physics under Hitler
2014
[36]
웹사이트
Peter Joseph William Debye
https://www.amacad.o[...]
2023-06-01
[37]
웹사이트
APS Member History
https://search.amphi[...]
2023-06-01
[38]
웹사이트
Peter J. Debye
http://www.nasonline[...]
2023-06-01
[39]
웹사이트
National Science Foundation – The President's National Medal of Science
https://www.nsf.gov/[...]
2012-07-25
[40]
웹사이트
Fraternity – Awards – Hall of Fame – Alpha Chi Sigma
http://www.alphachis[...]
[41]
서적
Debye
Random House
201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