앨런 뉴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앨런 뉴얼은 1949년 스탠퍼드 대학교에서 물리학 학사 학위를 받고, 프린스턴 대학교에서 게임 이론을 접하며 실험과 이론의 융합 분야에 관심을 갖게 되었다. 랜드 연구소에서 조직 이론 연구를 수행하고, 카네기 멜론 대학교에서 허버트 사이먼의 지도하에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그는 인공지능 분야에 기여하여, J. C. 쇼와 함께 최초의 인공지능 프로그램인 로직 시어리스트를 개발했으며, 다트머스 회의에 참여하여 인공지능 연구의 초석을 다졌다. 뉴얼은 일반 문제 해결사 개발, 물리적 기호 체계 가설 제시, Soar 인지 아키텍처 구체화 등 주요 업적을 남겼으며, 1975년 튜링상을 수상하는 등 컴퓨터 과학 및 인공지능 분야에서 다양한 상과 훈장을 받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카네기 멜런 대학교 교수 - 허버트 사이먼
허버트 사이먼은 제한된 합리성 개념을 제시하고 조직 내 의사결정 과정을 연구하여 노벨 경제학상을 수상한 미국의 경제학자, 인지심리학자, 컴퓨터 과학자이자 철학자이며, 인공지능 분야 초기 연구에 기여했고 카네기 멜론 대학교에서 교수로 재직하며 인지과학 발전에 영향을 미쳤다. - 카네기 멜런 대학교 교수 - 제프리 힌턴
제프리 힌턴은 심층 신경망 연구의 선구자로서, 역전파 알고리즘 개선 및 효과적인 학습 방법 개발에 기여하여 튜링상을 수상하고 볼츠만 머신 공동 발명, t-SNE 시각화 기법 개발 등 다양한 신경망 연구에 기여했으며, AI 위험성에 대한 우려를 표명하며 구글을 퇴사하고 존 호프필드와 함께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한 인지 심리학자이자 컴퓨터 과학자이다. - 인지과학자 - 노엄 촘스키
노엄 촘스키는 변형생성문법 이론으로 언어학에 혁명을 일으키고 인지 과학 등 여러 학문에 영향을 미쳤으며, 미국 외교 정책과 자본주의를 비판하는 저명한 지식인이자 사회운동가이다. - 인지과학자 - 마빈 민스키
마빈 민스키는 인지 과학자이자 인공지능 연구의 선구자이며, MIT 교수로 재직하며 MIT 컴퓨터과학·인공지능연구소를 설립하고, 헤드 마운트형 그래픽 디스플레이 발명, 로고 프로그래밍 언어 개발 등의 업적을 남겼다. - 튜링상 수상자 - 얀 르쿤
프랑스 컴퓨터 과학자 얀 르쿤은 딥 러닝 분야의 선구자로서 합성곱 신경망을 제안하여 이미지 인식 발전에 기여했고, 뉴욕 대학교 교수이자 메타 AI 연구소 초대 소장을 역임했으며, 제프리 힌턴, 요슈아 벤지오와 함께 튜링상을 공동 수상했다. - 튜링상 수상자 - 마빈 민스키
마빈 민스키는 인지 과학자이자 인공지능 연구의 선구자이며, MIT 교수로 재직하며 MIT 컴퓨터과학·인공지능연구소를 설립하고, 헤드 마운트형 그래픽 디스플레이 발명, 로고 프로그래밍 언어 개발 등의 업적을 남겼다.
앨런 뉴얼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앨런 뉴얼 |
원어 이름 | Allen Newell |
출생일 | 1927년 3월 19일 |
출생지 | 샌프란시스코 |
사망일 | 1992년 7월 19일 |
사망지 | 피츠버그 |
국적 | 미국 |
분야 | 컴퓨터 과학 인지심리학 |
소속 | 카네기 멜론 대학교 |
학력 | 스탠퍼드 대학교 프린스턴 대학교 카네기 멜론 대학교 |
지도 교수 | 허버트 사이먼 |
배우자 | 노엘 맥케나 (1947년 결혼) |
연구 및 업적 | |
주요 업적 | 정보 처리 언어 로직 시어리스트 일반 문제 해결기 Soar 인지 통합 이론 |
수상 | |
수상 | 튜링상 (1975) IJCAI 우수 연구 상 (1989) IEEE 임마누엘 R. 피오레 상 (1990) 미국 국가 과학 훈장 (1992) 루이 E. 레비 메달 (1992) |
제자 | |
주요 제자 | 한스 베를리너 스튜어트 카드 존 E. 레어드 프랭크 리터 밀린드 탐베 |
2. 초기 연구
앨런 뉴얼은 1949년 스탠퍼드 대학교에서 학사 학위를 받고, 1949년부터 1950년까지 프린스턴 대학교에서 수학을 공부했다. 게임이론을 접하면서 순수수학보다 실험과 이론이 결합된 분야를 선호한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그 후 랜드 연구소로 옮겨 공군의 로지스틱 문제를 연구하는 그룹에 참여하여 조셉 크루스칼을 만나 조직이론에 관한 연구를 했다. 이후 허버트 사이먼의 지도로 카네기멜론 대학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뉴웰은 랜드 연구소에서 소규모 그룹의 의사결정 실험을 설계하고 실시했으나, 그 결과의 정확성과 타당성에 불만을 느꼈다. 1952년, 랜드 연구소 동료들과 함께 공군 조기경보 시스템 기지에서 비행 승무원의 조직 과정을 연구하는 대규모 시뮬레이션을 진행하여 공군으로부터 자금을 지원받았다. 이 실험을 통해 뉴웰은 조직 활동의 본질이 정보 처리라고 확신하게 되었다.[3]
2. 1. 학문적 배경
앨런 뉴얼은 1949년 스탠퍼드 대학교에서 물리학 학사 학위를 받았다.[2] 1949년부터 1950년까지 프린스턴 대학교에서 대학원 과정으로 수학을 공부했다. 게임 이론이라는 당시에는 생소했던 분야를 접하면서 순수 수학보다는 실험 연구와 이론 연구를 결합하는 것을 선호하게 되었다.[2]1950년, 프린스턴을 떠나 샌타모니카의 랜드 연구소에 합류하여 공군의 물류 문제를 연구하는 그룹에서 일했다.[2] Joseph Kruskal|조셉 크루스칼영어과의 연구를 통해 조직 이론 모델과 조직 이론에서의 정확한 개념 형성이라는 두 가지 이론을 만들어냈다. 이후 허버트 사이먼을 지도교수로 하여 카네기 멜론 대학교 테퍼 경영대학원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그 후 소규모 그룹의 의사결정에 대한 실험 설계 및 실시에 관심을 가졌으나,[2] 소규모 실험실 실험 결과의 정확성과 타당성에 불만을 느꼈다. 랜드 연구소 동료인 존 케네디(John Kennedy), 밥 채프먼(Bob Chapman), 빌 비엘(Bill Biel)과 함께 공군 조기경보 시스템 기지에서 비행 승무원의 조직 과정을 연구했다. 1952년, 이들은 공군으로부터 의사결정 및 정보 처리와 관련된 조종석 상호 작용을 조사하고 분석할 수 있는 시뮬레이터 구축 자금을 지원받았다.[3] 이 연구를 통해 뉴웰은 정보 처리가 조직의 중심 활동이라고 믿게 되었다.[3]
2. 2. 랜드 연구소 시절
1949년, 스탠퍼드 대학교에서 물리학 학사 학위를 받았다. 1949년부터 1950년까지 프린스턴 대학교에서 수학을 공부하면서 게임 이론을 접했고, 순수 수학보다는 실험과 이론이 결합된 분야를 선호한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2]1950년, 프린스턴을 떠나 샌타모니카에 있는 랜드 연구소에 합류하여 공군의 물류 문제를 연구하는 그룹에서 일했다.[2] 조셉 크루스칼과의 연구를 통해 조직 이론 모델과 조직 이론에서의 정확한 개념 형성에 대한 두 가지 이론을 만들었다.
이후 소규모 그룹의 의사결정에 대한 실험 설계 및 실시에 관심을 가졌으나,[2] 소규모 실험실 실험 결과의 정확성과 타당성에 불만을 느꼈다. 존 케네디, 밥 채프먼, 빌 비엘과 함께 공군 조기경보 시스템 기지에서 비행 승무원의 조직 과정을 연구했다. 1952년, 이들은 공군으로부터 의사결정 및 정보 처리와 관련된 조종석 상호 작용을 조사하고 분석할 수 있는 시뮬레이터 구축 자금을 지원받았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 뉴웰은 정보 처리가 조직의 중심 활동이라고 믿게 되었다.[3]
3. 인공지능 연구
앨런 뉴얼은 인공지능 분야의 선구자 중 한 명이다. 1954년 9월, 올리버 셀프리지의 세미나에서 "문자 등의 패턴을 인식하고 학습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에 대한 설명을 듣고, 지능과 적응 능력을 갖춘 시스템을 만들 수 있다는 생각을 하게 되었다.[2] 이를 바탕으로 1955년 "체스 머신: 적응을 통해 복잡한 작업을 처리하는 예"라는 논문을 통해 "인간과 같은 방식으로 체스를 두는 컴퓨터 프로그램" 설계를 제시했다.[2]
허버트 사이먼, J. C. 쇼와 함께 최초의 인공지능 프로그램인 로직 시어리스트를 개발하면서 리스트 처리, 목표-수단 분석(means-ends analysis), 휴리스틱 등 인공지능의 기초가 되는 여러 개념을 고안했다.
1973년에는 인지 아키텍처 쏘아(Soar)를 개발했으며, 이는 1990년 출간된 통합인지이론의 바탕이 되었다. 뉴얼은 죽을 때까지 Soar를 개량하는 데 힘썼다.
3. 1. 로직 시어리스트 개발
1954년 9월, 뉴얼은 올리버 셀프리지(Oliver Selfridge)가 "문자와 다른 패턴을 인식하도록 학습하는 실행 중인 컴퓨터 프로그램"을 설명한 세미나에 등록했다.[2] 이때 앨런은 시스템이 지능을 포함하고 적응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질 수 있다고 믿게 되었다. 이를 염두에 두고 앨런은 몇 달 후인 1955년에 "체스 머신: 적응을 통해 복잡한 작업을 처리하는 예"라는 논문을 작성했는데, 이 논문에서는 "인간과 같은 방식으로 체스를 두는 컴퓨터 프로그램에 대한 상상력 넘치는 설계"를 개략적으로 설명했다.[2]그의 연구는 경제학자이자 미래의 노벨상 수상자인 허버트 사이먼(Herbert A. Simon)의 관심을 끌었고, 프로그래머 J. C. 쇼(J. C. Shaw)와 함께 최초의 진정한 인공지능 프로그램[4]인 로직 시어리스트(Logic Theorist)를 개발했다. 뉴얼의 프로그램에 대한 연구는 이 분야의 기초를 마련했다. 그의 발명에는 리스트 처리(이후 인공지능에서 사용된 가장 중요한 프로그래밍 패러다임), 일반적인 추론(또는 "탐색으로서의 추론")에 대한 목표-수단 분석(means-ends analysis)의 적용, 그리고 탐색 공간을 제한하기 위한 휴리스틱(heuristics)의 사용이 포함된다.
그들은 1956년 다트머스 회의에서 프로그램을 발표했는데, 이는 기계를 사용하여 지능을 시뮬레이션하는 데 관심이 있는 연구자들의 비공식적인 모임이었다. 현재 널리 "인공지능의 탄생"[5]으로 여겨지는 이 회의는 엄청난 영향력을 행사했으며, 참석자들은 뉴얼을 포함하여 향후 20년간 인공지능 연구의 선두주자가 되었다.[21]
3. 2. 다트머스 회의 참가
1956년 다트머스 회의에서 뉴얼은 허버트 사이먼, J. C. 쇼와 함께 개발한 최초의 인공지능 프로그램 로직 시어리스트를 발표했다.[4] 이 회의는 기계를 사용하여 지능을 시뮬레이션하는 데 관심이 있는 연구자들의 비공식적인 모임이었다. 이 회의는 현재 "인공지능의 탄생"[5]으로 널리 알려져 있으며, 뉴얼을 포함한 참석자들은 향후 20년간 인공지능 연구의 선두 주자가 되었다.[21]4. 주요 업적
앨런 뉴얼은 허버트 사이먼과 함께 인공지능 분야에서 중요한 업적을 남겼다. 1975년에는 튜링상을 공동 수상했다.[6] 뉴얼은 Soar라는 인지 아키텍처 개발과 1990년에 출판된 통합 인지 이론을 통해 인지 과학 분야에도 큰 영향을 미쳤다. 그는 Soar의 개선을 위해 사망할 때까지 노력했으며,[6] 그가 시작한 인지 아키텍처 분야는 인공지능과 계산 인지 과학 분야 모두에서 여전히 활발하게 연구되고 있다.
4. 1. 일반 문제 해결사(GPS) 개발
뉴얼과 사이먼은 오랫동안 파트너십을 맺었다. 이들은 카네기 멜론 대학교에 인공지능 연구소를 설립하고 1950년대 후반부터 1960년대까지 일련의 중요한 프로그램과 이론적 통찰을 제시했다. 이러한 업적에는 일반 문제 해결사 (General Problem Solver), 매우 영향력 있는 목표-수단 분석(means–ends analysis) 구현, 그리고 모든 지능적인 행동을 뉴얼의 프로그램이 보여준 것과 같은 기호 조작으로 환원할 수 있다는 논란이 많은 철학적 주장인 물리적 기호 체계 가설(physical symbol systems hypothesis)이 포함된다.[6]4. 2. 물리적 기호 체계 가설
뉴얼과 사이먼은 카네기 멜론 대학교에 인공지능 연구소를 설립하고 1950년대 후반부터 1960년대까지 일련의 중요한 프로그램과 이론적 통찰력을 제시했다. 이러한 업적에는 일반 문제 해결사 (General Problem Solver), 매우 영향력 있는 목표-수단 분석 구현, 그리고 모든 지능적인 행동을 뉴얼의 프로그램이 보여준 것과 같은 기호 조작으로 환원할 수 있다는 논란이 많은 철학적 주장인 물리적 기호 체계 가설이 포함된다.[6]4. 3. Soar 인지 아키텍처
앨런 뉴얼은 1973년에 Soar라는 인지 아키텍처를 구체화했으며, 이는 1990년에 출판된 『인지의 통합 이론』(UTC) 집필 과정의 일환이었다. 뉴얼은 사망할 때까지 Soar의 개량에 힘썼다.[22]5. 수상 및 영예
연도 | 수상 및 영예 |
---|---|
1971년 | 워싱턴 대학교 존 댄즈 강사, 미국 정보처리학회 해리 구드 기념상 |
1972년 | 미국 국립과학원 회원[7], 미국 예술 과학 아카데미 펠로[8] |
1975년 | 컴퓨터 학회 튜링상 (허버트 사이먼과 공동 수상)[9] |
1976-77년 | 존 사이먼 구겐하임 기념 재단 구겐하임 펠로십[10] |
1979년 | 인간요소학회 알렉산더 C. 윌리엄스 주니어 상 (윌리엄 C. 비엘, 로버트 채프먼, 존 L. 케네디와 공동 수상) |
1980년 | 미국 국립공학원 회원[11], 미국 인공지능학회 초대 회장 |
1981년 | IEEE 컴퓨터 학회 컴퓨터 개척자 상[12] |
1985년 | 미국 심리학회 탁월한 과학적 공헌상 |
1986년 | 펜실베이니아 대학교 명예 이학박사 |
1987년 | 하버드 대학교 윌리엄 제임스 강좌 |
1989년 | 국제 인공지능 합동 학술대회 연구 우수상, 네덜란드 흐로닝언 대학교 명예 행동 및 사회과학 박사, 미국 심리학회 윌리엄 제임스 펠로우 상(초대 수상자) |
1990년 | IEEE 이매뉴얼 R. 피오레 상[13], IEEE W.R.G. 베이커 논문상[14], 인공지능 발전협회 펠로[15] |
1992년 | 미국 과학 메달[16], 프랭클린 연구소 루이스 E. 레비 메달[17] |
ACM-AAAI 앨런 뉴웰 상과 카네기 멜론 대학교 컴퓨터 과학대학의 앨런 뉴웰 연구 우수상은 그의 업적을 기리기 위해 제정되었다.
6. 한국에 미친 영향
앨런 뉴얼의 이름을 딴 앨런 뉴웰 상은 미국 인공지능 학회(AAAI)와 미국 컴퓨터 학회(ACM)가 컴퓨터 과학 분야의 확장과 다른 학문 분야와의 가교 역할을 한 사람에게 수여하는 상이다.[32]
참조
[1]
웹사이트
Allen Newell, 65; Scientist Founded A Computing Field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1992-07-20
[2]
웹사이트
Allen Newell, Biographical Memoirs
http://www.nap.edu/h[...]
United States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3]
웹사이트
Allen Newell *50 Princeton Alumni Weekly
https://paw.princeto[...]
[4]
서적
Machines who think: a personal inquiry into the history and prospects of artificial intelligence
CRC Press
2018
[5]
간행물 # 추정, 추가 정보 필요
AI: the tumultuous history of the search for artificial intelligence
Basic books
1993
[6]
논문
40 years of cognitive architectures: core cognitive abilities and practical applications
2020
[7]
웹사이트
Search Deceased Member Data
http://www.nasonline[...]
United States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8]
웹사이트
Book of Members, 1780-2010: Chapter N
http://www.amacad.or[...]
American Academy of Arts and Sciences
[9]
웹사이트
A. M. Turing Award
http://awards.acm.or[...]
Association for Computing Machinery
[10]
웹사이트
Search Fellows
http://www.gf.org/fe[...]
John Simon Guggenheim Memorial Foundation
[11]
웹사이트
NAE Members Directory - Dr. Allen Newell
http://www.nae.edu/M[...]
United States National Academy of Engineering
[12]
웹사이트
Computer Pioneer Charter Recipients
http://www.computer.[...]
IEEE Computer Society
[13]
웹사이트
IEEE Emanuel R. Piore Award Recipients
http://www.ieee.org/[...]
IEEE
[14]
웹사이트
IEEE W.R.G. Baker Prize Paper Award Recipients
http://www.ieee.org/[...]
IEEE
[15]
웹사이트
Elected AAAI Fellows
https://aaai.org/abo[...]
[16]
웹사이트
The President's National Medal of Science: Recipient Details Allen Newell
https://www.nsf.gov/[...]
US National Science Foundation
[17]
웹사이트
Franklin Laureate Database - Louis E. Levy Medal Laureates
http://www.fi.edu/wi[...]
Franklin Institute
[18]
서적
AI: the tumultuous history of the search for artificial intelligence
Basic books
1993
[19]
웹사이트
Allen Newell, 65; Scientist Founded A Computing Field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1992-07-20
[20]
웹사이트
Allen Newell, Biographical Memoirs
http://www.nap.edu/h[...]
United States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21]
간행물 #추정, 추가 정보 필요
AI: the tumultuous history of the search for artificial intelligence
Basic books
1993
[22]
웹사이트 #추정
one of the last Newell's letters
http://erg4146.casac[...]
[23]
웹사이트
Search Deceased Member Data
http://www.nasonline[...]
United States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24]
웹사이트
Book of Members, 1780-2010: Chapter N
http://www.amacad.or[...]
American Academy of Arts and Sciences
[25]
웹사이트
A. M. Turing Award
http://awards.acm.or[...]
Association for Computing Machinery
[26]
웹사이트
NAE Members Directory - Dr. Allen Newell
http://www.nae.edu/M[...]
United States National Academy of Engineering
[27]
웹사이트
Computer Pioneer Charter Recipients
http://www.computer.[...]
IEEE Computer Society
[28]
웹사이트
IEEE Emanuel R. Piore Award Recipients
http://www.ieee.org/[...]
IEEE
[29]
웹사이트
IEEE W.R.G. Baker Prize Paper Award Recipients
http://www.ieee.org/[...]
IEEE
[30]
웹사이트
The President's National Medal of Science: Recipient Details Allen Newell
http://www.nsf.gov/o[...]
US National Science Foundation
[31]
웹사이트
Franklin Laureate Database - Louis E. Levy Medal Laureates
http://www.fi.edu/wi[...]
Franklin Institute
[32]
웹사이트
Allen Newell Award
http://awards.acm.or[...]
Association for Computer Machinery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