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융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양융연은 오대 십국 시대 오나라의 군주로, 양행미의 아들이자 양악의 동생이다. 908년 형 양악이 살해된 후 회남 절도사, 홍농군왕 등을 거쳐 919년 오나라 국왕이 되었으며, 연호를 무의로 바꾸며 당나라로부터 독립했다. 서온의 섭정 하에 통치하며, 온화한 성품을 지녔으나 서온 부자의 전횡에 불만을 품고 술에 빠져 병을 얻어 920년 사망했다. 사후 오선왕으로 추존되었으며, 동생 양부가 황제 즉위 후 선황제로 추존되었고, 묘호는 고조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양융연 - [인물]에 관한 문서 | |
|---|---|
| 기본 정보 | |
| 칭호 | 왕 |
| 휘 | 양영(楊瀛)→양위(楊渭)→양융연(楊隆演) |
| 자 | 홍원(鴻源) |
| 묘호 | 고조(高祖) |
| 시호 | 선왕(宣王) → 선황제(宣皇帝) (오예제 양부에 의해 추존) |
| 생년 | 897년 |
| 몰년 | 920년 6월 17일 (24세) |
| 능묘 | 숙릉(肅陵) |
| 통치 정보 | |
| 왕조 | 양오 |
| 재위 기간 | 908년 6월 10일 - 920년 6월 17일 |
| 연호 | 천우(天祐): 908년 – 919년 5월 3일 무의(武義): 919년 5월 3일 – 921년 |
| 전임자 | 오나라 왕 즉위 |
| 후임자 | 양부 |
| 섭정 | 서온 |
| 홍농군왕 정보 | |
| 재위 기간 | 908년 6월 10일 – 910년 |
| 전임자 | 양악 |
| 후임자 | 오나라 왕 즉위 |
| 섭정 | 장호(908년), 서온 |
| 가족 관계 | |
| 부친 | 태조 |
| 추가 정보 | |
| 다른 이름 | 양영(楊瀛) (초기 이름) 양융연(楊隆演) 또는 양위(楊渭) (후기 이름) |
| 사후 칭호 | 선왕(宣王) (초기) 선황제(宣皇帝) (나중에 양부에 의해 추존) |
2. 생애
908년, 양악(楊渥)이 장호와 서온에게 살해된 후 옹립되었으며, 회남절도사(淮南節度使), 홍농군왕(弘農郡王) 작위를 계승하였다.[10] 즉위 후, 양융연은 관리 완취안간(萬全感)을 적대 세력(후량) 영토를 몰래 지나가 명목상 동맹국인 진과 제 (두 세력 모두 후량을 인정하지 않았음)에게 자신의 즉위를 알리도록 보냈다.[10]
909년, 부주(撫州) 지역을 장악한 위취안펑이 진남절도(鎭南)에 대한 홍농의 지배에 도전했다. 홍농의 장군 저우번이 위취안펑을 격파하여 사로잡아 홍농의 수도 광릉(廣陵)으로 압송하자, 양융연은 양행미의 원정에 도움을 주었다는 이유로 그를 석방하고 많은 선물을 하사했다.[10]
910년 봄, 완취안간이 진과 제에서 임무를 마치고 돌아왔다. 그는 또한 이기 제왕 이모전이 당나라 황제의 권한으로 그에게 더 높은 명예직인 중서령(中書令)을 수여하고, 양행미의 오왕 작위를 계승하도록 허가했다고 발표했다. 양융연은 그 작위를 받아들이고 대사면령을 내렸다.[10]
919년, 서온이 양융연에게 제위에 오르라고 권유하였으나, 양융연은 이를 거부하고 오왕(吳王)으로 즉위하였다. 이때 연호를 천우에서 무의로 변경하여, 사실상 멸망한 당나라와의 종속 관계를 끝냈다.[6][13]
양융연은 진지하고, 관대하며, 존경받는 인품을 보였다고 한다. 그는 서온과 서온의 아들들이 실질적으로 국정을 장악하는 것에 불만을 표하지 않았으며, 서온 역시 그가 개인적으로 권력을 찬탈하려는 의도를 품고 있다고 의심하지 않았다. 그러나 그는 스스로 원하지 않았던 독립 오국 선포 이후 우울해졌다고 한다. 그는 자주 술을 마시고 음식을 거의 먹지 않아 병에 걸렸다.[2]
920년, 양융연은 병으로 사망하였다. 처음에는 시호가 선왕(宣王)이었으나, 동생 양부가 황제로 즉위한 후 묘호 고조(高祖), 시호 선황제(宣皇帝)로 추존되었다.[11]
2. 1. 출생과 배경
양융연은 897년 당나라 소종 재위 기간에 양행미의 둘째 아들로 태어났다.[1] 출생 당시 양행미는 화이난(淮南, 현재의 장쑤성양저우시) 절도사(군사 지휘관, ''Jiedushi'')로서 주요 군벌이었다.[7] 어머니는 양행미의 첩 사 부인으로, 양워의 어머니이기도 했다. 양융연의 네 남동생은 모두 다른 어머니에게서 태어났는데, 양보는 왕 부인에게서 태어났고, 나머지 세 형제의 어머니는 역사에 기록되지 않았다.[8] 905년 양행미가 사망한 후, 양워가 영지와 홍농공 칭호를 상속받았다.[9]908년, 양워는 장교 장호와 서온에게 암살당했다. 당시 양워의 홍농은 라이벌 군벌 주전충이 907년 당나라 왕위를 찬탈하고 후량을 건국하여 태조 황제로 즉위했지만, 양워와 다른 여러 지역 군벌들은 정통성을 인정하지 않아 실질적으로 독립 국가였다. 양워 사후, 장호는 지휘권을 가지려 했으나 관리 엄극구의 권고로 중단했다. 이후 양워와 양융연의 어머니 사 태후의 이름으로 양융연을 홍농 절도사 대행으로 임명하는 명령을 작성, 발표했다. 얼마 지나지 않아 서온은 장호를 암살하고 섭정이 되었다. 그는 권력을 서온에게 넘기고 양 가문이 조상 고향인 여주(廬州, 현재의 안후이성허페이시)로 돌아가기를 요청한 사 태후를 안심시키며 권력 찬탈 의도가 없다고 말했으나, 실질적 영지 지휘권은 서온의 손에 있었다. 그 후, 오(吳) 관리들은 이언과 만났는데, 그는 소종 황제가 화이난에 보낸 공식 대표였다. 이언은 당나라 황제의 이름으로 양융연을 화이난 정식 절도사, 동남 지역 최고 사령관, 홍농공, 명예 재상 (同中書門下平章事, ''퉁 중수 먼샤 핑장스'')으로 임명했다.[4]
2. 2. 홍농군왕 시대
908년, 양악이 장호와 서온에 살해된 후 옹립되었으며, 회남절도사(淮南節度使), 홍농군왕(弘農郡王) 작위를 계승하였다.[10] 즉위 후, 양융연은 관리 완취안간(萬全感)을 적대 세력(후량) 영토를 몰래 지나가 명목상 동맹국인 진과 제 (두 세력 모두 후량을 인정하지 않았음)에게 자신의 즉위를 알리도록 보냈다.[10]909년, 부주(撫州, 현재 장시성 푸저우) 지역을 장악한 위취안펑이 진남절도(鎮南, 현재 난창, 장시)에 대한 홍농의 지배에 도전했다. 홍농의 장군 저우번이 위취안펑을 격파하여 사로잡아 홍농의 수도 광릉(廣陵)으로 압송하자, 양융연은 위취안펑이 양행미의 원정에 도움을 주었다는 이유로 그를 석방하고 많은 선물을 하사했다.[10]
910년 봄, 완취안간이 진과 제에서 임무를 마치고 돌아왔다. 그는 또한 이기 제왕 이모전이 당나라 황제의 권한으로 그에게 더 높은 명예직인 중서령(中書令)을 수여하고, 양행미의 오왕 작위를 계승하도록 허가했다고 발표했다. 양융연은 그 작위를 받아들이고 대사면령을 내렸다.[10]
천우 7년(910년), 중서령 · 오왕이 되었다.
919년, 서온이 홍농왕에게 제위를 오르라고 하였으나, 홍농군왕이 칭제를 거부하여 칭제 대신 오국(吳國)의 왕으로 칭왕하였으며, 건원을 하여 천우(天祐) 연호 대신 무의(武義)를 사용하게 하였다.
920년, 양융연(楊隆演)이 질병으로 사망하였다. 사후에 오선왕(吳宣王)이라 칭하였으나, 양부의 칭제 후에 묘호는 고조(高祖)로, 시호는 선황제(宣皇帝)로 개칭하였다.
2. 3. 오왕 시대
908년, 형인 양악이 장호와 서온에게 살해된 후 양융연이 옹립되어 회남절도사, 홍농군왕 작위를 계승하였다.[11]919년, 서온이 양융연에게 제위에 오르라고 권유하였으나, 양융연은 이를 거부하고 오왕(吳王)으로 즉위하였다. 이때 연호를 천우에서 무의로 변경하여, 사실상 멸망한 당나라와의 종속 관계를 끝냈다.[6][13]
920년, 양융연은 병으로 사망하였다. 처음에는 시호가 선왕(宣王)이었으나, 동생 양부가 황제로 즉위한 후 묘호 고조(高祖), 시호 선황제(宣皇帝)로 추존되었다.[11]
2. 4. 오왕으로서의 통치와 외교
919년, 쉬원은 우시에서 쳐들어온 오월군에 대해 대승을 거두었다. 쉬원은 오월의 포로들을 오월로 돌려보내고 오월과 평화 협정을 맺었는데, 그 후 약 20년 동안 오나라와 오월은 전쟁을 벌이지 않았다고 한다. 양융연과 쉬원은 자주 후량의 신하가 된 오월의 왕자 첸류에게 편지를 보내 후량으로부터 독립할 것을 촉구했지만, 첸류는 거절했다.[6]양융연은 진지하고, 관대하며, 존경받는 인품을 보였다고 한다. 그는 쉬원과 쉬원의 아들들이 실질적으로 국정을 장악하는 것에 불만을 표하지 않았으며, 쉬원 역시 그가 개인적으로 권력을 찬탈하려는 의도를 품고 있다고 의심하지 않았다. 그러나 그는 스스로 원하지 않았던 독립 오국 선포 이후 우울해졌다고 한다. 그는 자주 술을 마시고 음식을 거의 먹지 않아 병에 걸렸다. 920년 여름이 되자 그는 죽음에 가까워졌다. 쉬원은 정권을 이양하기 위해 윤주에서 도착했다. 쉬원의 일부 추종자들은 그가 직접 왕위를 차지하도록 촉구했지만, 쉬원은 "만약 내가 그럴 의도가 있었다면, 장하오를 죽였을 때 이미 했을 것이고 오늘까지 기다리지 않았을 것이다. 심지어 양씨에게 남자가 없더라도, 나는 여성을 옹립하여 왕위에 오르게 했을 것이다. 다른 말을 하는 자는 누구든 참수될 것이다!"라고 말하며 그러한 의도를 부인했다.[2]
양융연의 맏아우는 양멍으로 노강공이었지만, 쉬원은 양멍이 왕위를 계승할 경우 그의 의도를 의심했는데, 양멍은 쉬씨가 권력을 장악한 것에 대해 불평한 것으로 알려졌기 때문에, 양멍을 건너뛰기로 결정했다.[1][6] 대신, 그는 양융연의 이름으로 다음 아우인 양푸 단양공을 광릉으로 소환하여 정식으로 섭정으로 삼는 명령을 내리고, 추주(현 화이안, 장쑤)의 군사 지휘관이었던 양멍을 서주(현 안칭, 안후이)의 군사 지휘관으로 옮겼다. 양융연은 그 직후에 사망했고, 양푸가 왕위에 올랐다.[2]
3. 사망과 계승
형인 열조 양악이 좌아 지휘사 장호와 우아 지휘사 서온에게 살해당하자 천우 5년(908년)에 양융연이 뒤를 이었다. 회남 절도사, 동남 제도로 행영도통, 동평장사, 홍농군왕이 되었지만, 실권은 장호를 살해한 서온의 손에 있었다.[1]
천우 7년(910년)에 중서령 · 오왕이 되었다.[1]
천우 16년(919년)에 오나라 국왕의 자리에 올라 무의로 개원하고, 당나라의 연호를 폐지했다. 온후한 성격이었지만, 서온 부자의 전횡에 불만을 품고 술과 여자에 빠져 음식을 잘 섭취하지 않아 병에 걸려, 무의 2년(920년)에 사망했다. 시호는 선왕이다. 동생 양부가 뒤를 이었고, 양부가 황제를 칭하자 시호를 선제로, 묘호를 고조로 추존하였다.[1]
4. 가계
참조
[1]
서적
New History of the Five Dynasties
https://zh.wikisourc[...]
[2]
서적
Zizhi Tongjian
https://zh.wikisourc[...]
[3]
웹사이트
Chinese-Western Calendar Converter
http://sinocal.sinic[...]
[4]
서적
Zizhi Tongjian
https://zh.wikisourc[...]
[5]
문서
[6]
서적
Zizhi Tongjian
https://zh.wikisourc[...]
[7]
서적
Zizhi Tongjian
https://zh.wikisourc[...]
[8]
서적
Spring and Autumn Annals of the Ten Kingdoms
https://archive.org/[...]
[9]
서적
Zizhi Tongjian
https://zh.wikisourc[...]
[10]
서적
Zizhi Tongjian
https://zh.wikisourc[...]
[11]
서적
Zizhi Tongjian
https://zh.wikisourc[...]
[12]
서적
Zizhi Tongjian
https://zh.wikisourc[...]
[13]
문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