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동중서문하평장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동중서문하평장사는 중국 당나라에서 시작되어 송나라, 요나라, 금나라, 원나라를 거쳐 명나라에 이르기까지 존재했던 관직이다. 당 고종 시기 정식 재상직으로 시작되었으며, 중당 이후에는 사실상의 재상직으로 권한이 강화되었다. 송나라에서는 유일한 재상직으로, 요나라에서는 남면관으로 존재했다. 원나라에서는 중서성의 보좌, 명나라에서는 폐지되었다. 고려 시대에도 이와 유사한 관직이 존재했다.

2. 역사

동중서문하평장사는 원래 '''동중서문하 3품'''(同中書門下三品)이라 불렸다. 당나라 초기에는 중서령(中書令), 문하시중(門下侍中), 상서복야(尚書僕射)가 재상직으로 알려져 있었으나, 그보다 낮은 관직(주로 상서성 관료)이 재상을 맡는 경우도 있었다. 이때문에 임시로 동중서문하 3품을 하사하여 정3품관으로 삼았던 것이다.

2. 1. 당나라

고종650년에 동중서문하평장사로 이름을 바꾸고, 중서령 등과 더불어 정식 재상직으로 삼았다. 측천무후는 이것을 잠시 동봉각란대평장사(同鳳閣鸞台平章事)로 바꾸기도 했다.

중당(中唐) 이후 본래의 재상직이던 중서령・문하시중상서복야가 각각 명예직화되고, 이를 대신해 동평장사가 사실상의 재상직으로써 권한을 키웠다. 동평장사로 임명되는 자는 원래는 각 성의 차관에 해당하던 중서시랑(中書侍郎)이나 문하시랑(門下侍郎), 6부 가운데 한 곳의 상서 등으로 모두 반드시 본래의 관직(本官)을 겸임했다. 절도사들에게도 명예 칭호로써 동평장사가 수여되었는데, 염철(鹽鐵), 전운(轉運) 등의 사(使)직에게도 동평장사가 주어지기도 하였다. 오대에서도 동중서문하평장사의 직은 그대로 재상직으로 유지되었지만, 당시에는 추밀사(樞密使)에 권력이 집중되어 동중서문하평장사는 실권을 잃고 껍데기만 남게 된다.

2. 2. 5대 10국 시대

오대에서도 동중서문하평장사는 재상직으로 유지되었지만, 당시에는 추밀사에 권력이 집중되어 실권을 잃고 껍데기만 남게 되었다.

2. 3. 송나라

(宋) 왕조에서는 유일한 재상직으로써 통상 2~3명이 임명되었다. 병권을 맡은 지추밀원사(知樞密院事, 추밀사)와 함께 이부(二府) 또는 양지(兩地)라 불렸으며, 탁지(度支), 염철(鹽鐵), 호부(戶部)의 삼사(三司)가 재물 관련 업무를 맡고, 상서(尚書), 문하(門下) 2성은 상대적으로 그 지위가 유명무실해지면서 재상의 권력은 당나라에 비해 훨씬 줄어들었다. 신종 원풍 5년(1082년)의 이른바 원풍개혁(元豊改革) 때에 동평장사는 폐지되고 대신 중서시랑을 겸임하는 상서우복야(尚書右僕射)와 문하시랑을 역임하는 상서좌복야(尚書左僕射) 두 사람이 재상을 맡았다. 남송(南宋)에서 효종 시기에 일시 부활하지만 곧 사라졌다.

2. 4. 요, 금, 원, 명

왕조에서는 남면관(南面官)으로써 동평장사가 존재했으나 재상직은 아니었다. 나라에서는 상서성이 없고 평장정사(平章政事) 하나가 있어서 부상(副相)에 해당했다. 왕조는 상서성을 없애고 중서성으로 고쳤으며, 중서령이 재상이 되고 그 아래의 좌우 승상(丞相)직의 보좌로서 평장정사(平章政事)직이 설치되었으며, 이와 별도로 행중서성(行中書省) 장관인 승상(丞相)의 보좌로써 평장정사가 설치되었다. 왕조가 성립된 이후 중서령과 함께 평장정사도 폐지되었고, 이후 다시는 부활하지 못했다.

3. 고려의 동중서문하평장사

同中書門下平章事|동중서문하평장사중국어는 고려 시대에 정2품 재신(宰臣)의 관직으로, 실질적인 권한은 없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