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양팽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본문

양팽손(梁彭孫, 1488년(성종 19년) ~ 1545년(인종 1년))은 조선 전기의 문신, 학자, 화가입니다. 본관은 제주(濟州), 자는 대춘(大春), 호는 학포(學圃)입니다.
생애 및 활동:


  • 1488년 전남 능성현(현 능주) 월곡리에서 태어났습니다.
  • 1510년(중종 5년) 조광조와 함께 생원시에 합격했습니다.
  • 1516년(중종 11년) 식년문과에 갑과로 급제했고, 현량과에도 발탁되었습니다.
  • 정언, 전랑, 수찬, 교리 등의 관직을 역임했으며, 호당에 뽑혀 사가독서를 하기도 했습니다.
  • 1519년 기묘사화 때 조광조 등을 위해 항소하다 삭직되어 고향으로 돌아갔습니다.
  • 능주 중조산 아래 쌍봉리에 학포당을 짓고 독서와 서화로 소일하며, 기준, 박세희, 최산두 등 기묘명현들과 교류했습니다.
  • 1539년에 다시 관직을 제수받았으나 사양했습니다.
  • 1544년 김안로 사사 후 용담현령에 잠시 부임했다가 곧 사임하고, 1545년에 58세로 세상을 떠났습니다.
  • 1863년(철종 14년) 혜강(惠康)이라는 시호를 받았습니다.

사상 및 평가:

  • 송흠의 문인으로, 송순, 나세찬 등과 동문수학하며 학문을 연마했습니다.
  • 《소학》, 《근사록》 등을 중시하며 처신의 지침으로 삼았습니다.
  • 신진 사류의 한 사람으로 활약했으며, 조광조와 평생 뜻을 같이한 지인이었습니다.
  • 조광조는 양팽손에 대해 "지초나 난초의 향기가 사람에게서 풍기는 것 같고, 기상은 비 개인 뒤의 가을 하늘, 얕은 구름이 막 걷힌 뒤의 밝은 달과 같아 인욕을 초월한 사람"이라고 묘사했습니다.

예술 활동:

  • 글씨와 산수화에 뛰어났으며, 특히 산수화는 중종 때의 산수화풍을 대표하는 것으로 추정됩니다.
  • 안견의 산수화풍을 계승한 대표적인 선비화가로 알려져 있습니다.
  • 작품으로는 국립중앙박물관 소장의 〈산수도〉, 개인 소장의 〈춘강계칙도〉, 일본 다이겐사에 있는 〈소상팔경〉(추정) 등이 있습니다.

기타:

  • 능주의 죽수서원에 조광조와 함께 배향되었습니다.
  • 저서로는 《학포유집》이 있습니다.
  • 2020년 5월 1일, 광주MBC에서 방영된 "[이슈인 관광*레저] 개혁가 조광조와 양팽손의 우정"에서 양팽손과 조광조의 우정에 대해 다루었습니다.


양팽손
기본 정보
양팽손의 초상
양팽손의 초상
본관남원(南原)
순부(舜夫)
겸선(謙善)
눌옹(訥翁)
추파(秋波)
동강(東岡)
송계(松溪)
생애
출생1488년
사망1545년
묘소전라남도 화순군 한천면 동가리 송정동
가족 관계
아버지양효언(楊孝彦)
어머니정부인(貞夫人) 광주 이씨(廣州李氏)
배우자정부인(貞夫人) 문화 유씨(文化柳氏)
학문과 예술
분야문신
학자
서예가
화가
스승김굉필
대표작고자사(高子祠) 기(記)
죽실시서(竹室詩序)
특징조선 전기 문인화의 독자적인 경지 개척
관력
과거 급제1519년 기묘사화 이후 관직 포기
주요 관직사헌부 감찰(司憲府監察)
형조 좌랑(刑曹佐郞)
전라도 능주현 현감(綾州縣監)
기타 정보
이달의 문화 인물문화체육관광부 선정, 2003년 4월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