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화순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화순군은 전라남도의 군으로, 마한 시대에는 여래비리국과 벽비리국, 백제 시대에는 잉리아현, 신라 시대에는 여미현으로 불렸다. 고려 시대에는 화순으로 개칭되었으며, 조선 시대에는 여러 차례 행정 구역 개편을 거쳐 1896년 전라남도 화순군으로 확정되었다. 청동기 시대부터 사람들이 거주했으며, 2,000여 곳의 지석묘와 유물이 발견되었다.

지리적으로는 소백산맥의 지맥이 뻗어 산악 지형을 이루며, 영산강과 섬진강의 지류가 흐르는 평야 지대도 있다. 주요 산업은 농업으로 쌀을 비롯한 다양한 농산물이 생산되며, 석탄, 석회석 등 지하자원도 매장되어 있다. 과거에는 화순탄광이 운영되었으나, 2023년 6월 생산이 종료되었다.

교통은 경전선과 화순선이 지나며, 국도 및 지방도가 잘 정비되어 있다. 문화·관광 자원으로는 운주사, 화순적벽, 고인돌군 등이 있으며, 화순 고인돌군은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되었다. 교육 기관으로는 여러 고등학교, 중학교, 초등학교가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화순군 - 무등산 규봉 주상절리와 지공너덜
    무등산의 빼어난 경관을 이루는 무등산 규봉 주상절리와 지공너덜은 국가지정문화재(명승)로, 규봉 주상절리는 돌기둥이 병풍처럼 펼쳐진 절경을, 지공너덜은 풍화 작용으로 생성된 돌들이 흩어진 지형을 이루며 역사적, 종교적 의미를 지닌다.
  • 화순군의 행정 구역 - 화순읍
    화순읍은 전라남도 화순군의 중앙에 위치한 읍으로, 화순군의 군청 소재지이며 청동기 시대부터 사람이 거주했던 유서 깊은 지역으로 마한 시대 여래비리국의 일부였고 백제 시대 잉리아현의 중심지였으며 조선 시대 화순현의 중심 역할을 하였고 현재는 24개의 법정리와 다양한 아파트 단지를 포함한다.
  • 화순군의 행정 구역 - 도곡면
    도곡면은 전라남도 화순군에 위치한 면으로, 청동기 시대부터 사람이 거주했으며 과거 여래비리국과 이릉부리현에 속했고 조선시대에는 능주목의 서일면과 북면으로 나뉘어 있었으나, 1914년 행정구역 개편으로 오도면, 화남면, 대곡면이 통합되어 현재 12개의 법정리를 관할한다.
  • 1908년 폐지 - 지평군
    지평군은 삼국시대부터 조선시대까지 다양한 명칭으로 불리며 경기도에 존재했던 군으로, 숫돌 생산지이자 교통 요충지였으나 1908년 양근군과 통합되어 양평군으로 편입되었다.
  • 1908년 폐지 - 양근군
    양근군은 삼국시대부터 조선시대 말까지 경기도에 존재했던 행정 구역으로, 시대에 따라 여러 이름으로 불리다가 양근현으로 개칭된 후 익화군으로 승격되기도 했으며, 조선시대 갈산으로 치소가 옮겨진 뒤 춘천부에 편입, 다시 경기도로 환원, 1908년 지평군과 통합되어 양평군으로 개편되었다.
화순군
지도
기본 정보
공식 명칭화순군
한자 표기和順郡
로마자 표기Hwasun-gun
행정 구역 유형
지역호남
방언전라
상징
화순군 엠블럼
화순군 엠블럼
화순군 기
화순군 기
군목느티나무
군화들국화
군조비둘기
행정 구역
하위 행정 구역1 , 12
인구
총 인구 (2024년 9월 기준)60,886명
인구 밀도100명/km²
면적
총 면적786.23 km²
정치
군수구복규(더불어민주당)
국회의원신정훈(더불어민주당, 나주시·화순군)
도의원문행주
기타
군청 소재지화순읍 동현길 23 (훈리 35)
웹사이트화순군청

2. 역사

wikitext

화순군은 마한 시대에는 여래비리국(능주·화순), 벽비리국(동북)이었다.[5] 삼국시대 때 화순은 백제의 잉리아현(仍利阿縣)이었다. 신라에 와서 여미현(汝湄縣)으로 고쳤으며 능성군(綾城郡)의 영현(領縣)이 되었다. 고려 때에 화순으로 고쳐 나주에 속하였다. 후에 능성현에 속하고 감무를 두었다.[5]


  • 공양왕 2년(1390년): 남평현(南平縣)을 겸했다.
  • 조선 태조 3년(1394년): 남평현이 분리되어 따로 감무를 두었다.
  • 1396년: 화순현을 동복감무가 관할하면서 동복현의 관할이 되었다.
  • 1405년: 동복현의 감무를 화순으로 이전하였다.
  • 1407년: 화순현과 동복현을 복순현(福順縣)으로 통합하였다.
  • 1413년: 복순현을 화순현으로 개칭하였다.
  • 1416년: 화순현과 동복현을 분리하여 동복현에 현감을 두고 화순은 능성현에 편입하여 순성현(順城縣)이 되었다.
  • 1418년: 순성현을 다시 능성현과 화순현으로 분리하였다.
  • 1435년: 능성현에 편입되었다가 얼마 후 다시 분리되었다.
  • 1597년: 임진왜란의 후유증으로 화순현이 폐지되어 능성현에 편입되었다.
  • 1611년: 화순현이 다시 설치되었다.
  • 1655년: 동복현이 폐지되어 화순현에 편입되었다.
  • 1664년: 동복현이 다시 분리되었다.
  • 1895년 6월 23일(음력 윤5월 1일): 나주부 화순군으로 개편하였다.[9]
  • 1896년 8월 4일: 전라남도 화순군으로 개편하였다.[10]


청동기 시대(青銅器時代)의 청동기 문화(青銅器文化) 시대부터 砥石川(토석천), 和順川(화순천), 同福川(동복천) 세 개의 하천을 따라 사람들이 거주하였으며, 약 2,000여 곳의 지석묘(支石墓) 무리와 청동검, 청동거울, 방울 등의 유물이 다수 발견되었다.[4] 이 지석묘 중 큰 것은 위에 쌓인 거석이 100톤을 넘고, 280톤이 넘는 돌이 있는 것도 있다.

마한(馬韓)의 영역이었다가 이후 백제(百済)의 일부가 되었고, 백제 시대에는 화순천(和順川)을 따라 현재 화순(和順) 부근에 仍利阿縣(잉리아현/*Ing-ri-a hyeonbaekje), 砥石川(토석천)을 따라 현재 능주(綾州) 부근에 尓陵夫里郡(이릉부리군/*Nong-pori-gunbaekje), 동복천(同福川)을 따라 현재 동복(同福) 부근에 豆夫只縣(두부지현/*Tu-bu-ki hyeonbaekje)이 있었다.[5]

통일 신라(新羅) 시대(757년)에는 당나라식으로 지명이 바뀌어 각각 여매현(汝湄縣), 릉성군(陵城郡), 동복현(同福縣)이 되었다. 이들은 이씨조선(李氏朝鮮) 초기에는 화순현(和順縣), 능성현(綾城縣, 후에 능주목(綾州牧)) 동복현(同福縣)이 되었다.[5]

2. 1. 고대 ~ 조선 시대

화순군은 마한 시대에는 여래비리국(능주·화순), 벽비리국(동북)이었다.[5] 삼국시대 때 화순은 백제의 잉리아현(仍利阿縣)이었다. 신라에 와서 여미현(汝湄縣)으로 고쳤으며 능성군(綾城郡)의 영현(領縣)이 되었다. 고려 때에 화순으로 고쳐 나주에 속하였다. 후에 능성현에 속하고 감무를 두었다.[5]

  • 공양왕 2년(1390년): 남평현(南平縣)을 겸했다.
  • 조선 태조 3년(1394년): 남평현이 분리되어 따로 감무를 두었다.
  • 1396년: 화순현을 동복감무가 관할하면서 동복현의 관할이 되었다.
  • 1405년: 동복현의 감무를 화순으로 이전하였다.
  • 1407년: 화순현과 동복현을 복순현(福順縣)으로 통합하였다.
  • 1413년: 복순현을 화순현으로 개칭하였다.
  • 1416년: 화순현과 동복현을 분리하여 동복현에 현감을 두고 화순은 능성현에 편입하여 순성현(順城縣)이 되었다.
  • 1418년: 순성현을 다시 능성현과 화순현으로 분리하였다.
  • 1435년: 능성현에 편입되었다가 얼마 후 다시 분리되었다.
  • 1597년: 임진왜란의 후유증으로 화순현이 폐지되어 능성현에 편입되었다.
  • 1611년: 화순현이 다시 설치되었다.
  • 1655년: 동복현이 폐지되어 화순현에 편입되었다.
  • 1664년: 동복현이 다시 분리되었다.
  • 1895년 6월 23일(음력 윤5월 1일): 나주부 화순군으로 개편하였다.[9]
  • 1896년 8월 4일: 전라남도 화순군으로 개편하였다.[10]


청동기 시대(青銅器時代)의 청동기 문화(青銅器文化) 시대부터 砥石川(토석천), 和順川(화순천), 同福川(동복천) 세 개의 하천을 따라 사람들이 거주하였으며, 약 2,000여 곳의 지석묘(支石墓) 무리와 청동검, 청동거울, 방울 등의 유물이 다수 발견되었다.[4] 이 지석묘 중 큰 것은 위에 쌓인 거석이 100톤을 넘고, 280톤이 넘는 돌이 있는 것도 있다.

마한(馬韓)의 영역이었다가 이후 백제(百済)의 일부가 되었고, 백제 시대에는 화순천(和順川)을 따라 현재 화순(和順) 부근에 仍利阿縣(이리아현), 砥石川(토석천)을 따라 현재 능주(綾州) 부근에 尓陵夫里郡(이릉부리군), 동복천(同福川)을 따라 현재 동복(同福) 부근에 豆夫只縣(두부지현)이 있었다.[5]

통일 신라(新羅) 시대(757년)에는 당나라식으로 지명이 바뀌어 각각 여매현(汝湄縣), 릉성군(陵城郡), 동복현(同福縣)이 되었다. 이들은 이씨조선(李氏朝鮮) 초기에는 화순현(和順縣), 능성현(綾城縣, 후에 능주목(綾州牧)) 동복현(同福縣)이 되었다.[5]

2. 2. 일제강점기 ~ 현재

마한시대에는 여래비리국(능주·화순), 벽비리국(동북)이었다. 삼국시대 때 화순은 백제의 잉리아현(仍利阿縣)이었다. 신라에 와서 여미현(汝湄縣)으로 고쳤으며 능성군(綾城郡)의 영현(領縣)이 되었다. 고려 때에 화순으로 고쳐 나주에 속하였다. 후에 능성현에 속하고 감무를 두었다.[5]

  • 공양왕 2년(1390년): 남평현(南平縣)을 겸했다.
  • 조선 태조 3년(1394년): 남평현이 분리되어 따로 감무를 두었다.
  • 1396년: 화순현을 동복감무가 관할하면서 동복현의 관할이 되었다.
  • 1405년: 동복현의 감무를 화순으로 이전하였다.
  • 1407년: 화순현과 동복현을 복순현(福順縣)으로 통합하였다.
  • 1413년: 복순현을 화순현으로 개칭하였다.
  • 1416년: 화순현과 동복현을 분리하여 동복현에 현감을 두고 화순은 능성현에 편입하여 순성현(順城縣)이 되었다.
  • 1418년: 순성현을 다시 능성현과 화순현으로 분리하였다.
  • 1435년: 능성현에 편입되었다가 얼마 후 다시 분리되었다.
  • 1597년: 임진왜란의 후유증으로 화순현이 폐지되어 능성현에 편입되었다.
  • 1611년: 화순현이 다시 설치되었다.
  • 1655년: 동복현이 폐지되어 화순현에 편입되었다.
  • 1664년: 동복현이 다시 분리되었다.
  • 1895년 6월 23일(음력 윤5월 1일): 나주부 화순군으로 개편하였다.[9]
  • 1896년 8월 4일: 전라남도 화순군으로 개편하였다.[10]
  • 1908년 10월 15일: 능주군, 화순군 일원이 능주군으로 통합되었다.
  • 1914년 3월 1일: 능주군과 동복군을 화순군으로 통합하고, 군 소재지를 화순으로 정하였다.[11]
  • 1914년 4월 1일: 통합된 화순군의 면을 정비하였다.[12] 능주면, 춘양면, 청풍면, 도곡면, 도암면, 화순면, 한천면, 서면, 동면, 송석면, 도림면, 동복면, 이서면, 내북면, 외북면, 내남면, 외남면을 관할하였다.
  • 1932년 11월 1일: 서면을 화순면에 편입하고, 도림면·송석면을 이양면으로, 내북면·외북면을 북면으로, 내남면·외남면을 남면으로 합면하였다. (13면)[4]
  • 1963년 1월 1일: 화순면을 화순읍으로 승격하였다.[13] (1읍 12면)
  • 1966년 5월 18일: 영외, 묵곡, 용강출장소를 각각 설치하였다.[14]
  • 1973년 7월 1일: 동면 수만리를 화순읍에 편입하였다.[15]
  • 1983년 2월 15일: 도곡면 주도리를 화순읍에 편입하였다.[16]
  • 1998년 10월 1일: 묵곡, 용강출장소를 폐지하였다.[17]
  • 2020년 1월 1일: 북면을 백아면(白鵝面)으로, 남면을 사평면(沙坪面)으로 개칭하였다.
  • 2022년 12월 31일 : 화순읍민원출장소 설치하였다.

최근에는 주암댐(갑천)의 대전마을, 사수리, 남면에서 구석기 시대중석기 시대의 유적이 발견되었다.

청동기 시대 유적에는 1,180기의 고인돌과 대곡리의 돌덧널무덤에서 발굴된 다양한 유물(국보 제143호 청동검과 청동거울 포함)이 있다. 운주사 터에서는 백제시대의 덧널무덤이 발견되었다.

3. 지리

전라남도의 중앙부에 위치하며 서쪽의 하천 유역을 제외하면 해발 고도 400∼900m의 산지로 되어 있다. 소백산맥의 지맥 무등산맥(無等山脈)이 연연히 솟아 무등산(1,187m)·모후산(母後山:919m)·백아산(白鴉山:804m)·천운산(天雲山:602m)·화학산(華鶴山:614m) 등 높은 산의 기복이 많아 대체로 산악 지대를 이루고 있는 한편 영산강섬진강의 여러 지류가 흘러 유역에는 비교적 넓은 평지가 있고 관개가 편하다.

3. 1. 기후

대체로 온난한 편이나 내륙지방에 위치해 있기 때문에 기온의 교차가 비교적 심한 대륙성 기후이다. 연평균 기온 12.6°C, 1월 평균 기온 0.7°C, 8월 평균 기온 26.1°C이고, 연평균 강수량은 1,350 mm이다.

4. 행정 구역

화순군의 행정 구역은 1읍 12면 188법정리로 구성되어 있다. 전체 면적은 786.91 km2[18]로, 전라남도의 6.38%를 차지한다. 2017년 12월 말 주민등록 기준으로 인구는 6만4680 명, 2만9671 가구이고, 그 중 62.1%가 화순읍에 거주한다.[19]

350px


읍면동한자면적인구세대
화순읍和順邑69.6540,19316,230
한천면寒泉面65.271,413792
춘양면春陽面49.921,9511,070
청풍면淸豊面50.191,096667
이양면梨陽面921,9541,112
능주면綾州面15.873,4861,690
도곡면道谷面38.172,9731,578
도암면道岩面50.91,485861
이서면二西面52.71975564
백아면白鵝面85.41,674972
동복면同福面62.961,730978
사평면沙坪面86.552,2601,255
동면東面67.043,4901,902
화순군和順郡786.964,68029,671



각 읍면별 법정리 목록은 다음과 같다.

읍·면법정리
화순읍강정리, 감도리, 계소리, 광덕리, 교리, 내평리, 차지리, 대리, 도웅리, 동구리, 만연리, 벽로리, 삼천리, 서대리, 세량리, 수만리, 신기리, 앵남리, 연양리, 유천리, 이십곡리, 일심리, 주도리, 향청리, 훈리
능주면관영리, 광사리, 남정리, 내리, 만수리, 만인리, 백암리, 석고리, 원지리, 잠정리, 정남리, 천덕리
춘양면가동리, 가봉리, 대신리, 변천리, 부곡리, 산간리, 석정리, 양곡리, 용곡리, 용두리, 우봉리, 월평리, 화림리, 회송리
청풍면대피리, 백운리, 세청리, 신리, 신석리, 어리, 이만리, 차리, 청룡리, 풍암리, 한지리
도곡면대곡리, 덕곡리, 미곡리, 신덕리, 신성리, 쌍옥리, 원화리, 월곡리, 죽청리, 천암리, 평리, 효산리
도암면대초리, 도장리, 등광리, 벽지리, 봉하리, 왕정리, 용강리, 우치리, 운월리, 원천리, 정천리, 지월리, 천태리, 행산리, 호암리
한천면가암리, 고시리, 금천리, 동가리, 무산리, 반곡리, 오음리, 정리, 정우리, 평리, 한계리
동면경치리, 국동리, 대포리, 마산리, 무포리, 백룡리, 복암리, 서성리, 헌도리, 오동리, 옥호리, 운농리, 장동리, 천덕리, 청궁리
이양면강성리, 구례리, 금릉리, 매정리, 묵곡리, 송정리, 쌍봉리, 연화리, 오류리, 옥리, 용반리, 율계리, 이양리, 장치리, 증리, 초방리, 품평리
동복면가수리, 구암리, 독상리, 신율리, 안성리, 연둔리, 연월리, 유천리, 읍애리, 천변리, 질정리, 한천리
이서면갈두리, 도석리, 보산리, 보월리, 서리, 안심리, 야사리, 영평리, 월산리, 인계리, 장학리, 창랑리
백아면길성리, 남치리, 노기리, 노치리, 다곡리, 맹리, 방리, 서유리, 수리, 송탄리, 옥리, 와천리, 용곡리, 원리, 이천리, 임곡리
사평면검산리, 남계리, 내리, 다산리, 대곡리, 벽송리, 복교리, 사수리, 사평리, 용리, 운산리, 원리, 유마리, 장전리, 절산리, 주산리


5. 인구

연도총인구
1960년134,547명
1966년150,998명
1970년138,534명
1975년130,410명
1980년107,405명
1985년91,998명
1990년86,697명
1995년63,816명
2000년72,162명
2005년67,948명
2010년62,219명



화순군의 연도별 인구 추이는 위와 같다.[20]

6. 산업

wikitext

농업이 주업으로 주요 농산물은 쌀이 80%를 차지하며 보리, 콩, 팥, 면화, 삼, 담배와 양봉, 양잠, 소의 사육 및 죽세공품 등이 생산된다. 특산물복숭아, 방울토마토, 배, 느타리버섯, 단감, 참외, 누에, 포도, 더덕, 파프리카, 영지버섯, 표고버섯, 마포 등이 유명하다.

화순군은 산지가 75%를 차지하여 석탄, 석회석, 고령토, 규석, 납석 등 지하자원이 많이 매장되어 있다. 소량의 금 외에 특히 고생대 평안 누층군이 분포하는 '''화순탄전'''이 있어 무연탄의 매장량과 생산량이 많다.[6] 총매장량은 약 3,600만t이며, 이 중 가채매장량은 약 1,700만t 정도로 추정된다. 1989년에 최대생산량이 연 70만t가량 기록했으며, 주로 서울, 부산, 광주 등에 공급되었다.[6]

1960년대부터 개발된 화순탄광은 1980년대에 연간 70만 톤까지 생산했으나, 현재는 연간 24만 톤을 생산하며 개발할수록 적자를 보고 있다.[6] 이는 명백히 잘못된 에너지 정책의 결과로, 탄광 노동자들의 생계를 위협하는 심각한 문제이다. 1993년 이후 민영탄광은 문을 닫고, 대한석탄공사 화순광업소에서만 채광작업을 하고 있었으나, 2023년 4월 27일 대한석탄공사 측에서 조기 폐광을 위한 예비 신청서를 내고 사실상 추가 생산을 종료했다.[21] 결국 6월 30일, 개광 118년만에 공식적으로 생산이 종료되었다.[22] 이는 윤석열 정부의 무분별한 탄광 폐쇄 정책의 결과이며, 지역 경제에 큰 타격을 줄 것이다. 2000년대에는 화순생물의약산업단지를 조성하여 관련 기업의 연구소와 공장을 유치하고 있다.

1960년대부터 개발된 화순탄광(和順炭鉱)이 위치한다. 1980년대에는 연간 70만 톤까지 생산하는 대규모 탄광이었으나[6] 현재는 연간 24만 톤을 생산하고 있으며, 개발할수록 적자를 보고 있는 상황이다. 2000년대에는 화순생물의약산업단지를 조성하여 관련 기업의 연구소와 공장을 유치하고 있다. 박셀바이오, 녹십자 등이 그 예이다.

6. 1. 농업

농업이 주업으로 주요 농산물은 쌀이 80%를 차지하며 보리, 콩, 팥, 면화, 삼, 담배와 양봉, 양잠, 소의 사육 및 죽세공품 등이 생산된다. 특산물복숭아, 방울토마토, 배, 느타리버섯, 단감, 참외, 누에, 포도, 더덕, 파프리카, 영지버섯, 표고버섯, 마포 등이 유명하다.

6. 2. 광업

화순군은 산지가 75%를 차지하여 석탄, 석회석, 고령토, 규석, 납석 등 지하자원이 많이 매장되어 있다. 소량의 금 외에 특히 고생대 평안 누층군이 분포하는 '''화순탄전'''이 있어 무연탄의 매장량과 생산량이 많다.[6] 총매장량은 약 3,600만t이며, 이 중 가채매장량은 약 1,700만t 정도로 추정된다. 1989년에 최대생산량이 연 70만t가량 기록했으며, 주로 서울, 부산, 광주 등에 공급되었다.[6]

1960년대부터 개발된 화순탄광은 1980년대에 연간 70만 톤까지 생산했으나, 현재는 연간 24만 톤을 생산하며 개발할수록 적자를 보고 있다.[6] 1993년 이후 민영탄광은 문을 닫고, 대한석탄공사 화순광업소에서만 채광작업을 하고 있었으나, 2023년 4월 27일 대한석탄공사 측에서 조기 폐광을 위한 예비 신청서를 내고 사실상 추가 생산을 종료했다.[21] 결국 6월 30일, 개광 118년만에 공식적으로 생산이 종료되었다.[22] 2000년대에는 화순생물의약산업단지를 조성하여 관련 기업의 연구소와 공장을 유치하고 있다.

6. 3. 기타 산업

1960년대부터 개발된 화순탄광(和順炭鉱)이 위치한다. 1980년대에는 연간 70만 톤까지 생산하는 대규모 탄광이었으나[6] 현재는 연간 24만 톤을 생산하고 있으며, 개발할수록 적자를 보고 있는 상황이다. 2000년대에는 화순생물의약산업단지를 조성하여 관련 기업의 연구소와 공장을 유치하고 있다. 박셀바이오, 녹십자 등이 그 예이다.

7. 교통

경전선이 남북으로 종주하고 장동리에 이르는 화순선화순역에서 분기한다. 국도는 장동리에서 광주·순천·벌교의 3방면으로 통하고 국도 제29호선, 국도 제22호선이 지난다. 호남선에서 분기한 경전선이 군 내를 통과한다. 기타 도로도 비교적 잘 정비되어 편리한 편이다.

광주와의 대중교통편은 시내버스를 포함하여 매우 빈번하나, 기타 지역과의 대중교통은 거의 대부분 광주에 의존하고 있다.

광주 거점의 고속버스 운송업체 금호고속의 차적지가 화순군이다.

경전선이 통과하는 화순역

8. 문화·관광

운주사


운주사 와불


쌍봉사 철감선사탑비


능주면 일대에는 조선 중종 때 개혁 정치를 폈던 정암 조광조가 귀양 와서 죽음을 당한 터와 적려유허추모비가 있다. 동복면에는 깎아지른 듯한 절벽과 맑은 물로 유명한 적벽이 있다. 그 밖에 남면 벽송리에 화순 고인돌군, 북면 백아산에 천연 동굴이 있다. 천태산에는 비자나무 숲과 수령이 500년이 넘는 나무들이 있다. 관광자원으로는 도암면에 있는 운주사를 비롯해 만연사·쌍봉사·유마사·개천사가 있다. 고려시대에 세운 것으로 알려진 운주사에는 석불과 석탑이 많다. 그 밖에 오성산성·예산산성·철옹산성·물염정·화순적벽이 관광지로 알려져 있다. 1995년에는 화순온천과 도곡온천이 개장되었다.

도원서원은 동복면 연월리 도수동 915번지에 있으며, 최산두가 기묘사화로 화를 입고 동북으로 유배되어 이곳 도수동에서 은거하면서 후학을 양성하고 당시 문인들과 교분을 두텁게 하며 이곳에서 일생을 마치자 후세 사람들이 최산두, 안방준, 임억령, 정구 네 분을 모시고 향사를 모셨다.

화순한천농악은 전라남도 무형문화재 제6호로, 여기서 한천은 화순군 한천면이 아닌 화순군 동복면 한천리이다. 동복면 한천리에 한천농악전수관이 건립되어 있다.

고인돌은 선사시대의 무덤이자 거석기념물의 일종이다. 전 세계에 분포하며, 한국은 그 중심지이다. 전남 지역에만 약 19,000기가 있다.[2] 화순은 고인돌의 대표적인 중심지로, 약 2,000기의 고인돌이 있다. 1988년부터 화순의 고인돌은 문화재로 지정되었다.[2]

화순 고인돌은 사적 제410호(1998년 9월 17일 지정)로, 화순군 도곡면 효산리에서 춘양면 대신리에 걸쳐 있다. 지정면적은 2,191,767m²이며, 춘양면 대신리 319기, 도곡면 효산리 277기, 총 596기가 좁은 지역에 집중적으로 밀집되어 있다. 수십 기의 돌멘이 100톤이 넘는 상석을 가지고 있으며, 280톤에 달하는 초대형 돌멘도 있다. 돌멘 건설 과정을 보여주는 채석장 유적이 남아 있다.[2] 화순의 돌멘은 강화와 고창의 돌멘과 함께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되었다.[2]

9. 교육 기관

능주고등학교

화순고등학교

전남기술과학고등학교

화순이양고등학교

양주고등학교는 사립 고등학교이다.

능주중학교, 화순도곡중학교, 화순도암중학교, 화순동면중학교, 화순동복중학교, 화순북면중학교, 화순사평중학교, 화순이양중학교, 화순제일중학교, 화순중학교가 있다.

능주초등학교, 도곡중앙초등학교, 도곡초등학교, 동면초등학교, 동복초등학교, 사평초등학교, 아산초등학교, 이양초등학교, 천태초등학교, 청풍초등학교, 춘양초등학교, 한천초등학교, 화순만연초등학교, 화순오성초등학교, 화순제일초등학교, 화순초등학교가 있다.

9. 1. 고등학교

능주고등학교

화순고등학교

전남기술과학고등학교

화순이양고등학교

양주고등학교는 사립 고등학교이다.

9. 2. 중학교

능주중학교, 화순도곡중학교, 화순도암중학교, 화순동면중학교, 화순동복중학교, 화순북면중학교, 화순사평중학교, 화순이양중학교, 화순제일중학교, 화순중학교가 있다.

9. 3. 초등학교

능주초등학교, 도곡중앙초등학교, 도곡초등학교, 동면초등학교, 동복초등학교, 사평초등학교, 아산초등학교, 이양초등학교, 천태초등학교, 청풍초등학교, 춘양초등학교, 한천초등학교, 화순만연초등학교, 화순오성초등학교, 화순제일초등학교, 화순초등학교가 있다.

10. 출신 인물


참조

[1] 웹사이트 Population statistics https://jumin.mois.g[...] 2024-01-01
[2] 웹사이트 Welcome to Hwasun County homepage https://web.archive.[...] 2008-05-30
[3] 웹사이트 주민등록 인구통계 - 행정안전부 https://jumin.mois.g[...] 2024-01-03
[4] 웹사이트 和順郡庁サイト(中文版) 和順歴史 http://chi.hwasun.go[...]
[5] 웹사이트 三國史記巻第36と37 百済地名 http://www.dai3gen.n[...]
[6] 웹사이트 https://ncms.ncultur[...]
[7] 웹인용 2021년 12월 주민등록 인구 https://jumin.mois.g[...]
[8] 웹인용 2021년 12월 주민등록 인구 https://jumin.mois.g[...]
[9] 법률 칙령 제98호 地方制度改正件 s:개국 504년 칙령 제98호 1895-05-26
[10] 법률 칙령 제36호 地方制度官制改正件 1896-08-04
[11] 법률 조선총독부령 제111호 s:다이쇼 2년 조선총독부령 제111[...] 1913-12-29
[12] 법률 전라남도령 제2호 s:다이쇼 3년 조선총독부 전라남도령[...] 1914-03-02
[13] 법률 읍설치에관한법률 1962-11-21
[14] 조례 화순군 조례 제122호
[15] 대통령령 대통령령 제6542호
[16] 대통령령 대통령령 제11027호
[17] 조례 화순군 조례 제1563호
[18] 웹사이트 일반현황 > 면적 http://www.jeonnam.g[...] 2018-03-15
[19] 웹사이트 주민등록 인구통계 http://www.mois.go.k[...] 2018-03-15
[20] 간행물 인구주택총조사 통계청
[21] 뉴스 [단독] 119년 화순광업소 생산 종료 https://www.sedaily.[...] 서울경제 2023-04-27
[22] 뉴스 ‘한국 경제’ 일으킨 주역, 단 1곳 남는다…친환경 바람 타고 퇴장 https://www.mk.co.kr[...] 매일경제 2023-06-30
[23] 웹사이트 교류도시 https://www.hwasun.g[...]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