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호 (진왕)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양호는 수나라 문제의 손자이자 진왕 양준의 아들로, 수나라 말기에 우문화급에게 옹립되어 황제가 되었으나 실권을 잡지 못했다. 606년 진왕에 봉해졌으며, 613년에는 양현감의 반란 진압에 참여했다. 618년 수 양제가 살해된 후 황제로 옹립되었지만, 우문화급에게 옹립되어 허수아비 황제 역할을 했다. 이후 우문화급이 이밀과의 전투에서 패배하자 양호를 독살하고 스스로 황제가 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586년 출생 - 에아드위네
에아드위네는 7세기 초 노섬브리아 왕국의 왕으로, 데이라와 버니시아를 통치하며 영토 확장과 기독교 개종을 추진했으나, 해트필드 체이스 전투에서 패배하여 사망하고 왕국은 분열되었으며 기독교 개종 또한 부정되었지만 일부에서는 성인으로 추앙받는다. - 586년 출생 - 이대량
이대량은 수나라와 당나라 시대를 거치며 군사적, 행정적 능력을 발휘하여 당나라 건국에 기여하고, 돌궐족 항복과 토욕혼 정벌에 참여했으며, 당 태종 이세민에게 충성심과 정직함을 인정받아 태자 이치의 우위솔과 공부상서를 겸임했다. - 수나라의 황제 - 수 공제
수 공제는 수나라의 마지막 황제이며, 이연에게 선양하여 당나라가 건국되었고, 이듬해 살해되었다. - 수나라의 황제 - 수 문제
양견이라는 본명을 가진 수 문제는 남북조 시대의 혼란을 끝내고 중국을 재통일한 수나라의 초대 황제로서, 중앙집권 체제를 강화하여 수나라의 기틀을 다졌으나, 말년에는 여러 문제로 비판받기도 했다. - 618년 사망 - 영양왕
영양왕은 590년부터 618년까지 고구려를 통치하며 수나라의 침략을 막아내고 살수대첩에서 승리했으며 백제와 신라를 공격하고 역사서 편찬을 장려하다가 사망했다. - 618년 사망 - 내호아
내호아는 남북조 시대 후기 수나라 장군으로, 첩자 활동과 반란 진압에 기여하여 대장군으로 승진했으며, 수 양제를 보호하려다 함께 사망했다.
양호 (진왕) | |
---|---|
기본 정보 | |
이름 | 양호 |
한자 표기 | 楊浩 |
가문 | 양 (楊) |
로마자 표기 | Yáng |
생년월일 | 586년 11월 22일? |
사망일 | 618년 10월 23일 |
시대 | 수나라 |
직위 | |
칭호 | 황제 (괴뢰) |
재위 기간 | 618년 4월 10일 - 618년 |
수도 | 강도 |
가족 관계 | |
아버지 | 진왕 양준 |
어머니 | 최씨 |
배우자 | 기록 없음 |
기타 | |
연호 | 대업 (연용) |
2. 생애
개황 20년 6월 25일(600년 8월 4일), 아버지 진왕 양준이 사망했다. 대업 2년 9월 14일(606년 10월 20일), 양제가 즉위하자 양호는 양준의 뒤를 이어 진왕으로 봉해졌다.
대업 14년 3월 11일(618년 4월 11일), 양제가 강도에서 사마덕감 등에게 살해되자 양호는 황제로 옹립되었으나, 실권은 우문화급이 장악했다.[1]
같은 해 9월 29일(10월 23일), 우문화급은 양호에게 강요하여 제위를 선양받고 허나라를 건국했다. 폐위된 양호는 우문화급의 명령에 의해 독살되었다.[4]
2. 1. 배경
문제의 손자이자, 양준의 아들이다. 어머니는 양준의 아내 최씨 부인이다. 양호에게는 양찬(楊湛)이라는 형제가 있었는데, 그는 후궁의 아들이었다. 597년, 최씨 부인은 남편 양준이 후궁들을 총애하는 것에 질투를 느껴 멜론에 독을 타는 사건을 일으켰다. 이로 인해 양준은 병을 얻었고, 치료를 위해 수도 장안으로 돌아갔다. 최씨 부인의 독살 시도는 곧 밝혀졌고, 문제는 그녀에게 자결을 명했다.600년, 양준은 병에서 회복하지 못하고 사망했다. 문제는 최씨 부인의 범죄가 양호에게 영향을 미쳤다고 판단, 양호와 그의 형제 양찬 모두 진왕 작위를 계승받지 못하게 했다. 이는 양준의 장례를 그의 측근들이 치르도록 명령한 것에서도 드러났는데, 양호와 양찬은 장례 절차에서 제외되었다.
2. 2. 수 양제 연간
양광이 수 양제로 즉위한 후, 606년에 양호는 진왕(秦王)으로 봉해졌다. 613년, 양호는 하양군(河陽, 대략 현재의 자오쭤, 허난성) 민병대 사령관으로 복무하던 중, 근처에서 장군 양현감이 반란을 일으켰다. 당시 고구려를 공격하기 위해 원정 중이던 수 양제는 장군 우문술을 보내 양현감을 공격하게 했고, 우문술과 양호는 서신을 교환하고 만나 양현감에 대항하기 위해 힘을 합쳤다. 그러나 양현감의 반란이 진압된 후, 양호는 황실 관리와 소통한 혐의로 기소되어 직위에서 해임되었다.2. 3. 즉위
楊浩|양호중국어는 대업 14년 3월 11일(618년 4월 11일), 양제가 강도에서 사마덕감 등에게 살해되자 황제로 옹립되었다.[1] 그러나 실권은 우문화급이 장악했다.[1]2. 4. 허수아비 황제
우문화급은 양호에게 실제 황제의 권한을 행사하도록 허용하지 않았다. 그는 곧 강도를 포기하고 남은 수나라 조정과 정예군인 효과군(驍果)을 이끌고 북쪽으로 향했다. 행렬 중에 양호는 사실상 이동 집행부(尙書省, 상서성)에 가택 연금되었으며, 삼엄한 경비를 받았다. 칙령은 양호의 이름으로 서명되었지만, 그는 관리들을 만나는 것조차 허락되지 않았다.[1] 우문화급은 곧 반군 지도자 이밀과 교전했지만 이밀에게 여러 차례 패배하여 결국 위현(魏縣, 현재 한단시, 허베이성)으로 후퇴해야 했다. 그는 자신의 군사력이 쇠퇴하는 것을 보고 우울해졌고, 살아있는 동안 황제가 되기로 결심하여 양호를 독살한 후 스스로 허(許)나라의 황제로 선포했다.[1]2. 5. 최후
우문화급은 양호에게 실제 황제의 권한을 행사하도록 허용하지 않았다. 그는 곧 강도를 포기하고 남은 수나라 조정과 정예군인 효과군(驍果)을 이끌고 북쪽으로 향했다. 행렬 중에 양호는 사실상 이동 집행부(尙書省, 상서성)에 가택 연금되었으며, 삼엄한 경비를 받았다. 칙령은 양호의 이름으로 서명되었지만, 그는 관리들을 만나는 것조차 허락되지 않았다. 우문화급은 곧 반군 지도자 이밀과 교전했지만 여러 차례 패배하여 결국 위현(魏縣, 현재 한단시, 허베이성)으로 후퇴해야 했다. 그는 자신의 군사력이 쇠퇴하는 것을 보고 우울해졌다.[1] 그러던 중 그는 살아있는 동안 황제가 되기로 결심하고, 양호를 독살한 후 스스로를 허(許)나라의 황제로 선포했다.[1]대업 14년 3월 11일(618년 4월 11일), 수 양제가 강도에서 사마덕감 등에 의해 살해되자 양호는 황제로 옹립되었다. 그러나 실권은 우문화급이 장악했다.[3]
같은 해 9월 29일(10월 23일), 우문화급은 양호에게 강요하여 제위를 선양받고 허를 건국했다. 폐위된 양호는 우문화급의 명령에 의해 독살되었다.[4]
3. 가계
양호는 문제의 손자이자 양준의 아들이었다. 그의 어머니는 양준의 아내 최씨 부인이었다. 597년, 최씨 부인은 양준이 후궁들을 총애하는 것에 질투하여 멜론에 독을 탔고, 이로 인해 양준은 병을 얻었다. 최씨 부인은 이혼당하고 자결했다. 600년 양준이 사망하자, 문제 황제는 최씨의 죄가 양호에게 영향을 미쳤다고 판단하여 그의 형제 양찬이 왕위를 계승하도록 하였다.[1]
3. 1. 아버지
양준, 진나라 소왕3. 2. 어머니
최씨 부인은 진왕 양준의 아내이자 최홍도(崔弘度중국어)의 누이였다. 597년, 양준이 후궁들을 총애하는 것에 질투심을 느낀 최씨 부인은 양준이 먹던 멜론에 독을 탔다. 이 사실이 밝혀지자 문제는 최씨 부인에게 자결을 명했다.[1]참조
[1]
서적
Zizhi Tongjian
https://zh.wikisourc[...]
[2]
웹사이트
中央研究院
http://www.sinica.ed[...]
[3]
서적
Zizhi Tongjian
https://zh.wikisourc[...]
[4]
서적
『隋書』巻三・帝紀第三・煬帝上
[5]
서적
『隋書』巻五・帝紀第五・恭帝
[6]
서적
『舊唐書』巻一・本紀第一・高祖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