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양현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양현감은 수나라의 중신 양소의 아들로, 초국공을 세습하고 영주 자사, 예부상서를 역임했다. 그는 고구려 원정 당시 군량 수송을 감독하다가 수 양제에게 반기를 들고 10만여 명을 이끌고 낙양을 포위했지만, 함락에 실패했다. 이후 관중으로 진격하려 했으나 수나라 군대에 패배하여 자결했다. 양현감의 반란은 수나라 말기 민중 반란의 도화선이 되었다.

2. 생애

양현감은 수나라의 중신 양소의 아들로, 아버지의 작위를 이어받아 초국공(楚國公)이 되었다. 영주자사(靈州刺使)와 예부상서(禮部尙書)를 역임하였다. 613년 수 양제고구려를 정벌할 때, 여양(黎陽)에서 군량 운반을 감독하라는 명령을 받았으나, "천하를 위해 현이 기우는 위험을 제거하고 여원(黎元)의 운명을 구한다"라는 구호 아래 병사를 일으켜 수나라에 반기를 들었다.

10만여 명의 군사를 이끌고 낙양(洛陽)을 포위했으나 한 달이 넘도록 함락시키지 못했다. 이에 양현감은 서쪽으로 진격하여 관중 지역을 차지하려 했으나, 우문술, 위문승, 래호아, 굴돌통 등이 이끄는 수나라 군대의 추격을 받았다.[1] 결국 동두원 전투에서 크게 패하고, 남은 병사 열 명 남짓과 함께 상락으로 도망치려 했으나 가로수에 이르러 궁지에 몰리자 동생 양적선과 함께 자결했다.

양현감의 시체는 낙양 거리에서 3일 동안 효수된 채 방치되었다.

2. 1. 배경 및 초기 생애

양소의 아들로 태어났다. 수나라 황실과는 다른 계통의 양씨로, 홍농군 화음현을 본관으로 하는 명문 출신이었다.

양현감은 체격이 웅장하고 아름다운 수염을 가진 인물이었으며, 독서를 좋아하고 기마와 사격에도 능했다. 어릴 적에는 일부 사람들에게 발달 장애가 있는 것으로 여겨졌지만, 그의 아버지는 그렇지 않다고 믿었다. 성장하면서 그는 학구적이었고, 힘과 무술 실력으로 명성이 높았으며, 특히 기마 궁술과 창술에 능숙했다.[1] 아버지의 군공으로 주국의 지위를 받았고, 영주 자사에 임명되었다. 후에 송주 자사로 전임되었다. 아버지가 양제에게 의심을 받자, 관직을 떠났다. 아버지 사망 후 홍려경으로 복귀하여 아버지의 작위인 초국공을 계승했고, 예부상서로 진급했다. 그러나 양제에게 의심을 받아 진왕 양호를 옹립하려 했다.

수나라 말기의 주요 반란 및 봉기를 보여주는 지도


수 문제 재위 기간 동안 양현간은 영주(郢州, 대략 현대 후베이성 우한)의 지사를 지냈는데, 그의 부하 관리들을 효과적으로 감시하여 그들의 선행과 악행을 모두 파악하고 적절하게 보상하거나 처벌했다고 한다.[1] 602년, 양소가 돌궐과의 전투에서 승리한 후, 양현간은 주국(柱國, 2등급, 1부)으로 승진했는데, 이는 그의 아버지가 가지고 있던 것과 같은 직위였으며, 황실 회의에서 부자가 같은 자리에 서 있었다. 얼마 지나지 않아 문제는 양현간의 직위를 3등급으로 강등시켰다.[1]

2. 2. 양제의 의심과 반란 결심

양제양소가 살아있을 때 그의 권력을 매우 두려워했고, 양소의 오만함에 분노했다. 양소 사후 양제는 "만약 양소가 죽지 않았다면, 그의 일족은 결국 멸족되었을 것이다."라고 말했는데, 양현감은 이 말을 전해 듣고 양제를 두려워했다. 양현감은 양제가 통치를 소홀히 하는 것을 보고, 과거 아버지 양소의 부하였던 많은 관리들이 자신을 지지할 것이라고 믿었다. 그래서 양제를 폐위시키고 양제의 조카 양호를 진왕으로 옹립할 계획을 세웠다. 609년, 양현감은 양제를 따라 토욕혼 정벌에 참여하면서 황제의 행렬이 무질서한 것을 보고 그 자리에서 매복할 생각을 했지만, 삼촌 양신(楊慎)이 만류했다. 이후 양제가 고구려와의 전쟁을 준비하는 동안, 양현감은 자원하여 봉사했고, 양제는 그의 자원을 매우 기쁘게 여겨 그를 더욱 신뢰하고 중요한 정부 문제에 대해 의견을 구했다.

2. 3. 613년 반란

양소의 아들로 그의 작위를 세습받아 초국공(楚國公)이 되었으며, 수 양제고구려를 정벌할 때 여양(黎陽)에서 군량 운반을 감독하라는 명령을 받았다. 그러나 그는 "천하를 위해 현이 기우는 위험을 제거하고 여원(黎元)의 운명을 구한다"는 구호 아래 병사를 일으켜 수나라에 모반을 일으켰다.

613년, 수 양제가 고구려에 대한 두 번째 원정을 시작했을 때, 양현감은 중요한 수로 요충지인 려양(黎陽, 현대 허비시 허난성)에서 식량 보급을 담당하게 되었다. 양현감은 식량 수송선을 억류한 후, 613년 여름 려양을 점령하고 반란을 선포했다. 처음에는 장군 래호아가 반란을 일으켰다고 선언하며 래호를 공격하겠다고 했지만, 곧 양제에 대한 거부감을 나타내며 문제의 시대 법을 회복하겠다고 선언했다. 그는 곧 양제의 실정과 폭정을 공개적으로 비난했고, 즉시 지역 주민들과 최고의 수송 노동자 및 뱃사람들의 지지를 얻었다.[1] 그는 수도 장안에서 이밀과 그의 형 양현정을 불렀고, 고구려 전선에서 그의 형제 양현종과 양만석을 불렀으나, 양만석은 체포되어 처형되었다.[1] 양현감은 이밀을 자신의 수석 책략가로 삼았고, 이밀은 그에게 세 가지 선택지를 제시했는데, 이는 이밀이 생각하는 실현 가능성의 순서였다.[1]

  • 이밀의 "상책"은 계성(현대 베이징)과 임유(臨榆, 현대 친황다오 허베이성)을 기습 공격하여 이 중요한 지역들을 점령해 고구려 전선에 있던 양제를 포위하는 것이었다. 이밀은 고구려가 양제에게 치명적인 공격을 가할 것이고, 양제의 군대는 스스로 붕괴되거나 항복할 것이라고 믿었다.[1]
  • 이밀의 "중책"은 장안을 기습 공격하여 주변의 관중 지역을 점령한 다음 그 지역을 유지하고 양제와의 대결을 준비하는 것이었다.[1]
  • 이밀의 "하책"은 동쪽 수도 낙양을 기습 공격하여 신속하게 점령하고 지휘 센터로 유지하는 것이었다. 그러나 그는 양현감에게 처음 항복했지만 그 후 낙양으로 도망간 당휘(唐褘)가 이미 도시에 경고하여 방어를 강화했을 수 있으며, 양현감이 낙양을 포위하고 신속하게 점령하지 못하면 곧 수나라 군대에 의해 포위될 것이라고 경고했다.[1]


그러나 양현감은 자신의 반란의 심각성을 보여주기 위해서는 낙양을 점령해야 한다고 믿고, 이밀의 "하책"이 사실은 "상책"이라고 언급하며 낙양으로 향했다.[1] 그러나 이밀이 예측한 바와 같이 당휘는 양제의 손자 양통, 월왕 및 양제가 낙양을 담당하도록 남겨둔 관리 번자개에게 경고했고, 낙양의 방어는 준비되어 있었다.[1] 양현감과 그의 형제들이 몇 번의 승리를 거두었지만 낙양을 신속하게 점령할 수 없었다.[1] 한편 많은 젊은 귀족들이 그의 대열에 합류하고 있었다.[1] 그는 존경받는 관리 위복사(韋福嗣)를 포획한 후 그를 신뢰했고, 이밀만 신뢰하지 않고 위복사가 제출한 전략은 반란을 전적으로 지지하지 않았다.[1] 이밀은 양현감에게 위를 죽이라고 요청했지만 양현감은 거절했다. 이밀은 그의 친척들에게 "초나라 공작은 반란을 일으키고 싶어하지만 최종 승리를 얻는 방법을 모른다. 우리는 이제 항아리에 갇힌 거북이와 같다"라고 말했다.[1]

이때, 양제는 요동(遼東, 현대 랴오양 랴오닝성)을 포위하고 있었고, 양현감의 반란 소식이 전해지면서 고구려군으로부터 거의 점령할 뻔했다.[1] 양현감의 동료 후시정(斛斯政)이 고구려에 항복했고, 양제는 밤에 퇴각했다.[1] 또한 같은 시기에 양제가 장안을 담당하도록 남겨둔 관리 위문승(衛文昇)이 낙양을 지원하기 위해 그의 군대와 함께 도착했고, 래호아도 도착했다.[1] 또한, 고구려 전선에서 귀환하는 선발대 병력은 우문술과 구돌통의 지휘 하에 곧 도착했고, 양현감이 그들이 황하를 건너는 것을 막으려 했지만, 번자개의 공격으로 인해 양현감은 구돌통과 우문술을 황하에서 차단할 수 없었고, 그들이 건너는 것을 허용했다.[1] 양현감은 곧 전투에서 패배했고, 이자웅(李子雄)과 이밀의 제안에 따라 그는 홍화(弘化, 현대 칭양시 간쑤성)의 지휘관 원홍사(元弘嗣)가 그의 대열에 합류하고 그와 만날 것이라고 거짓으로 선언하기로 결정했다.[1]

613년 가을, 양현감은 낙양 포위를 풀고 서쪽으로 향했다.[1] 그러나 가는 길에 그는 홍농군(弘農, 현대 산먼샤시 허난성)의 사람들에게 유혹을 받았는데, 그들은 홍농을 쉽게 점령할 수 있고 유지할 수 있다고 말했다.[1] 또한 홍농군 태수인 양제의 사촌 양지적(楊智積)인 채왕은 양현감을 화나게 하려고 의도적으로 모욕했다.[1] 화가 난 양현감은 이밀이 그의 캠페인을 늦추는 것은 위험하다고 간청했음에도 불구하고 홍농을 포위했다.[1] 양현감은 홍농을 3일 동안 포위했지만 점령할 수 없었고, 따라서 서쪽으로 계속 향해야 했다.[1] 이 시점에서 우문, 위, 래, 구돌통이 지휘하는 수나라 군대가 그를 따라잡았고, 그에게 패배를 안겨주었고, 그의 군대는 붕괴되었다.[1] 양현감과 그의 형제 양지산은 걸어서 가로롱(葭蘆戎, 또한 현대 산먼샤)으로 도망쳤고, 양현감은 그들이 체포될 것이고 체포되기를 원하지 않았기 때문에 양지산에게 자신을 죽여 달라고 요청했다. 양지산은 그렇게 했고, 자살을 시도했지만 죽기 전에 체포되어 양현간의 머리와 함께 양제에게 전달되었다.[1] 양제는 양현간의 시신을 조각내어 갈아서 태우라고 명령했다. 양현간의 모든 형제는 처형되었다.[1]

그는 10만여 명을 이끌고 낙양(洛陽)을 포위하였으나 한 달이 지나도록 함락시키지 못하였다. 그는 서진하여 관중을 취하려고 하였으나 수나라 병사들의 추격을 받고 실의에 빠져 자살하였고 그의 시체는 낙양 거리에서 3일 동안 효수된 채로 방치되었다.

2. 4. 최후

양소의 아들로 그의 작위를 세습받아 초국공(楚國公)이 되었으며, 영주자사(靈州刺使), 예부상서(禮部尙書)를 역임하였다. 613년 수 양제고구려를 정벌할 때 려양(黎陽)에서 군량 운반을 감독하라는 명령을 받았으나, "천하를 위해 현이 기우는 위험을 제거하고 여원(黎元)의 운명을 구한다"는 구호 아래 병사를 일으켜 수나라에 모반을 일으켰다. 10만여 명을 이끌고 낙양(洛陽)을 포위하였으나 한 달이 지나도록 함락시키지 못하였다.[1]

613년 가을, 양현감은 낙양 포위를 풀고 서쪽으로 향했다. 그러나 가는 길에 홍농군(弘農, 현대 산먼샤시 허난성) 사람들에게 유혹을 받아 홍농을 포위했지만, 3일 동안 점령할 수 없었다. 이 시점에서 우문술, 위문승, 래호아, 굴돌통이 지휘하는 수나라 군대가 그를 따라잡아 패배시켰고, 그의 군대는 붕괴되었다. 양현감과 그의 형제 양지산은 걸어서 가로롱(葭蘆戎, 현대 산먼샤)으로 도망쳤고, 양현간은 자신이 체포될 것이므로 양지산에게 자신을 죽여 달라고 요청했다. 양지산은 그렇게 했고, 자살을 시도했지만 죽기 전에 체포되어 양현간의 머리와 함께 양제에게 전달되었다. 양제는 양현간의 시신을 조각내어 갈아서 태우라고 명령했다. 양현간의 모든 형제는 처형되었다.

양현감은 서진하여 관중을 취하려고 하였으나 수나라 병사들의 추격을 받고 실의에 빠져 자결하였고, 그의 시체는 낙양 거리에서 3일동안 효수된 채로 방치되었다.[1]

3. 가계


  • 아버지: 양소
  • 어머니: 정기야
  • * 본인: '''양현감'''
  • * 동생: 양현종(楊玄縱, ? ~ 613년) - 낙양에서 거병하였으나, 실패한 후에 참수되었다.
  • * 동생: 양현정(楊玄挺, ? ~ 613년) - 숙부 양약(楊約)의 양자가 되었다. 낙양에서 거병하였으나, 실패하여 전사하였다.
  • * 동생: 양현장(楊玄奬, 571년 ~ 613년) - 낙양에서 거병하였으나, 실패한 후에 참수되었다.
  • ** 조카: 양대(楊臺) - 혹은 양숭본(楊崇本). 당나라에서 송주(宋州)자사를 지냈다.
  • ** 조카딸: 양(楊)씨 - 이름 미상. 후에 당 태종후궁이 되었다.
  • * 동생: 양만석(楊萬石, ? ~ 613년) - 혹은 양만석(楊萬碩). 낙양에서 거병하였으나, 실패한 후에 참수되었다.
  • * 동생: 양인행(楊仁行, ? ~ 613년) - 혹은 양민행(楊民行). 낙양에서 거병하였으나, 실패한 후에 참수되었다.
  • * 동생: 양적선(楊積善, ? ~ 614년) - 낙양에서 거병에 실패한 후에 자결을 시도하였으나, 미수에 그쳤고, 후에 거열에 처해졌다.
  • 생모 불명
  • * 여동생: 양(楊)씨 - 이름 미상. 후에 당 고조후궁()이 되어 왕 이원상을 낳았다.
  • * 여동생: 양(楊)씨 - 이름 미상. 당나라통시사인 최민령(崔民令)의 처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