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어리석음에 뿌리박은 마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어리석음에 뿌리박은 마음은 불교 용어로, 평온, 의심, 들뜸의 세 가지 마음작용이 결합된 상태를 의미한다. 평온은 좋고 싫음에 휘둘리지 않는 무덤덤한 느낌을 뜻하며, 의심은 진리에 대한 의심으로 행동을 망설이게 하고, 들뜸은 마음이 안정되지 못하고 흔들리는 상태를 말한다. 이러한 마음 상태는 인과에 대한 판단을 흐리게 하여 도둑질과 같은 행동의 결과를 제대로 인지하지 못하게 하거나, 보시, 계율 준수, 수행과 같은 실천을 미루게 만든다. 또한 강의에 집중하지 못하거나, 시험 공부에 몰두하지 못하는 등 일상생활에도 영향을 미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비담마 - 희수
    희수는 정신적 대상과의 재회를 바라는 느낌으로, 불교에서는 과거의 선업으로 인한 과보로 설명하며, 마음과 기쁜 느낌이 상응할 때 5온 중 수온과 식온이 정신적 인식 대상과 화합하여 나타나는 경험이다.
  • 아비담마 - 보시
    보시는 인도에서 기원한 종교 및 철학에서 중요한 가치로 여겨지는 자선 행위를 의미하며, 힌두교에서는 이타심과 연민의 실천, 불교에서는 마음의 정화, 자이나교에서는 카르마 개선, 시크교에서는 수입 나눔의 의무로 강조된다.
  • 심법 - 결탁
  • 심법 - 신식 (불교)
    신식은 불교에서 믿음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개념으로 깨달음에 이르는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몸의 감각적 인식을 뜻하는 육식 중 하나로도 분류된다.
  • 심소법 - 마음작용 (현양성교론)
    마음작용은 《현양성교론》에서 마음과 상응하는 모든 법을 의미하며, 아뢰야식의 종자에서 생겨나 마음에 의지하여 함께 작용하는 대승불교의 교의에 따라 51가지로 분류된다.
  • 심소법 - 무치
어리석음에 뿌리박은 마음
불교 개념
종류불교 윤리학 개념
산스크리트어Moha
팔리어Moha
영어Delusion, ignorance, bewilderment
내용
설명어리석음, 무지, 미혹을 의미
불교 심리학에서 마음을 오염시키는 세 가지 근원 중 하나 (탐욕, 증오와 함께)
모든 고통과 윤회의 근본 원인
올바른 지혜와 이해의 결여 상태
세부 개념
특징진실을 보지 못하게 함
현실을 왜곡하여 인식하게 함
잘못된 행동과 사고를 유발
극복 방법명상과 수행을 통해 지혜를 개발
올바른 이해와 지식을 습득
자비심을 키우고 탐욕과 증오를 줄임
관련 개념
삼독탐욕, 증오, 무지
십이연기무명이 모든 고통의 시작
오염원마음을 더럽히는 요소

2. 용어 설명

'어리석음에 뿌리박은 마음'이라는 문서에서 사용되는 주요 용어인 '평온', '의심', '들뜸'에 대해 설명한다.


  • 평온(平穩, upekkhāpi, upekṣāpi): 사수(捨受)라고도 하며, 균형, 평형, 평정 등의 의미를 지닌다. 여기서는 수행을 통해 얻어지는 평온함이 아닌, 괴롭지도 즐겁지도 않은, 좋지도 싫지도 않은 무덤덤한 느낌을 의미한다.
  • 의심(疑): 인과, 연기법, 4성제 등의 진리에 대해 의심하고, 진리에 맞는 행동을 미루는 것을 의미한다.[4]
  • 들뜸(掉擧): 마음이 고요하지 않고, 흔들리고, 요동치고, 소란스러운 상태를 의미한다.[5]

2. 1. 평온

평온(upekkhāpi, upekṣāpi)은 5가지 느낌 중 사수(捨受)를 말한다. 사수에는 크게 두 가지 수준이 있다. 하나는 균형, 평형, 평정, 좌우로 치우치지 않음, 편견과 선호에 휩쓸리지 않음, 좋고 싫음에 휘둘리지 않는 뛰어난 상태 또는 선한 상태의 (捨) 마음작용이다. 이 마음작용은 수염, 4무량심 등의 수행을 통해 개발해야 한다. 다른 하나는 괴롭지도 즐겁지도 않은 느낌, 좋지도 싫지도 않은 느낌, 그저 그런 느낌, 무덤덤한 느낌이다. 이 마음작용은 자연히 존재하는 것으로, 수행 등의 별다른 노력이 없어도 지은 바 업에 따라 그 과보로서 자연히 느끼게 되는 느낌이다.[2] '어리석음에 뿌리박은 마음'에서의 평온은 후자의 무덤덤한 느낌을 뜻한다.

어리석음에 뿌리박은 마음이 일어날 때는 마음에 드는 대상을 만나도 마음에 드는 일로 경험되지 않아서 정신적인 기쁨 즉 희수(喜受)를 느낄 수 없다. 그리고 마음에 들지 않는 대상을 만나도 마음에 들지 않는 일로 경험되지 않아서 정신적인 불만족 즉 우수(憂受)를 느낄 수 없다. 이런 이유로 어리석음에 뿌리박은 마음 두 가지는 모두 사수(捨受) 즉 불고불락수와 함께한다.[3] 또한 의심 즉 결정하지 못하는 마음작용이나 들뜸 즉 날뛰며 안정되지 못한 마음작용과 함께하는 마음은 이 마음작용들로 인해 대상에 대해 그것이 (유익함)인지 불선(해로움)인지 무기(유익하지도 해롭지도 않음)인지 결정적인 판단을 못 내린다. 이 때문에 마음은 결정적으로 희수(기쁨)와 상응하지도 못하고 결정적으로 우수(불만족)와 상응하지도 못한다. 이런 이유에서도 어리석음에 뿌리박은 마음 두 가지는 모두 사수와 함께한다.[3]

2. 2. 의심

의심(疑)은 인과, 연기법, 4성제 등의 진리에 대해 의심하고 따라서 진리에 맞는 행동을 미루는 것을 말한다.[4]

2. 3. 들뜸

들뜸은 마음이 고요하지 않고, 담백하지 않고, 흔들리고, 요동하고, 나부끼고, 소란스럽고, 시끄러운 것을 말한다.[5]

3. 어리석음에 뿌리박은 마음의 예시

어리석음에 뿌리박은 마음은 크게 두 가지 유형으로 나타난다.

첫째, 평온이 함께한, 의심과 결합한 마음이다. 이는 인과를 의심하여 어떤 행동을 해야 할지 결정하지 못하고 망설이는 상태를 말한다.

둘째, 평온이 함께한, 들뜸과 결합한 마음이다. 이는 마음이 들떠 안정되지 않아 집중하지 못하는 상태를 의미한다.

3. 1. 평온이 함께한, 의심과 결합한 마음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은 경우가 있다.

  • 인과(업과 업의 과보)에 대해 의심하고 있어서 도둑질을 하는 것이 나쁜 과보를 가져올 것이니 그 물건을 훔치지 않아야 하는 것인지, 아니면 그 물건을 내가 가지게 되는 것이니 그냥 나의 이익이 될 것인지 판단을 못 내리고 있을 때
  • 인과(업과 업의 과보)에 대해 의심하고 있어서 10악 중 살생(殺生, 살아있는 중생을 죽이는 행동), 투도(偸盜, 도둑질, 사기, 횡령), 사음(邪婬, 애인·배우자 이외의 사람과 부정한 성교행위), 망어(妄語, 속일 목적으로 행해지는 거짓말), 양설(兩舌, 이간질, 고자질, 불필요한 참견), 악구(惡口, 괴롭힘·따돌림, 욕설·비방·모욕, 악성댓글), 기어(綺語, 진실과는 거리가 먼 교묘하게 날조된·꾸며진 말)와 10선 중 불살생, 불투도, 불사음, 불망어, 불양설, 불악구, 불기어 중 지금 어떤 행동을 취해야 할지 결정을 못 내리고 있을 때
  • 인과(업과 업의 과보)에 대해 의심하고 있어서 보시를 하고 를 지키고 수행을 하는 실제 행동을 행하지 못하고 있을 때

3. 2. 평온이 함께한, 들뜸과 결합한 마음

예를 들어,

  • 강의를 듣고 있지만 마음이 들떠 있어서 한 마디도 귀에 들어오지 않을 때
  • 오늘 미팅에서 만난 상대가 자꾸 생각나 마음이 들떠 곧 닥쳐올 시험 공부가 되지 않을 때
  • 오늘 있었던 괴로운 일 때문에 자꾸 생각나 마음이 안정되지 못해 매일 하던 고요명상 수행을 할 수 없을 때

4. 한국 사회에 대한 적용과 시사점

주어진 원본 소스가 없으므로 내용을 작성할 수 없습니다.

참조

[1] 서적 A Comprehensive Manual of Abhidhamma Charleston Buddhist Fellowship 2007
[2] 서적 A Comprehensive Manual of Abhidhamma Charleston Buddhist Fellowship 2007
[3] 서적 A Comprehensive Manual of Abhidhamma Charleston Buddhist Fellowship 2007
[4] 서적 A Comprehensive Manual of Abhidhamma Charleston Buddhist Fellowship 2007
[5] 서적 A Comprehensive Manual of Abhidhamma Charleston Buddhist Fellowship 200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