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어린이대공원역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어린이대공원역은 1996년 10월 11일 서울 지하철 7호선 개통과 함께 영업을 시작한 지하철역이다.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과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으며, 출구는 6개가 있다. 주변에는 어린이대공원, 능동 어린이회관, 세종대학교 등이 위치해 있다. 군자역과 건대입구역 사이에 위치하며, 7호선 노선을 통해 서울 시내 주요 지역으로 이동할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서울 광진구의 전철역 - 군자역
    군자역은 서울 지하철 5호선과 7호선 환승역으로, 1995년 5호선 개통과 함께 영업을 시작했으며, 5호선은 섬식, 7호선은 상대식 승강장 구조를 갖추고 있다.
  • 서울 광진구의 전철역 - 아차산역
    아차산역은 1995년 개통한 서울 지하철 5호선의 역으로,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과 스크린도어를 갖추고 있으며, 어린이대공원, 아차산 등과 인접하여 이용객이 많다.
  • 서울 지하철 7호선의 역 - 보라매역
    보라매역은 서울특별시 동작구에 있는 지하철역으로, 서울 지하철 7호선과 서울 경전철 신림선이 지나며, 2000년에 7호선이 개통되어 영업을 시작했고 2022년 신림선 개통으로 환승역이 되었다.
  • 서울 지하철 7호선의 역 - 논현역
    논현역은 서울 지하철 7호선과 신분당선이 지나는 강남구의 지하철역으로, 2000년에 7호선이 개통되었고 2022년 신분당선 연장으로 환승역이 되었으며, 다양한 시설이 주변에 위치해 있다.
  • 1996년 개업한 철도역 - 행신역
    행신역은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행신동에 있는 경의·중앙선과 KTX가 정차하는 지상역으로, 수도권 서부 지역의 중요한 KTX 환승 거점 역할을 수행하며 이용객 수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 1996년 개업한 철도역 - 신길역
    신길역은 서울 영등포구에 있는 수도권 전철 1호선과 5호선의 환승역으로, 각 노선은 지상/지하에, 쌍상대식/상대식 승강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역 주변에는 여러 교육기관과 공공시설이 자리 잡고 있다.
어린이대공원역
위치 정보
기본 정보
역명어린이대공원역
부역명세종대
로마자 표기Eorinidaegongwon-yeok
한자 표기어린이大公園驛
역 번호726
주소서울특별시 광진구 화양동 3
운영 정보
운영 기관서울교통공사
노선서울 지하철 7호선
역 구조지하역
승강장2면 2선 상대식 승강장
개업일1996년 10월 11일
역사 정보
개통일1996년 10월 11일
이전 역군자역 725
다음 역건대입구역 727
역 간 거리
군자역 방면1.1 km
건대입구역 방면0.8 km
기타 정보
승객수 (2015년)17,139명
승하차 인원 (2015년)34,443명
시설 관리서울시설공단
이미지
역 표지판
4번 출입구
역명판
승강장

2. 역사

1996년 10월 11일 : 서울 지하철 7호선 장암역~건대입구역 구간 개통과 함께 영업을 시작하였다.[1] 7호선은 2000년 8월 1일에 완전 개통되었다.

3. 역 구조

어린이대공원역은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을 갖춘 지하역으로,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반대 방향으로 횡단할 수 없다. 한때 건대입구역과 마찬가지로 안전펜스에 적외선 감지 방식 설비가 있었으나, 실효성이 없어 스크린도어로 대체되었다.[2] 출구는 6개가 있다. 개찰구는 상하행 승강장별로 각각 설치되어 있으며, 개찰구 안에서는 승강장 간 이동이 불가능하다. 화장실은 개찰구 밖에 있다.

3. 1. 승강장

어린이대공원역은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을 갖춘 지하역이며,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이 역은 반대 방향으로 횡단이 불가능하다. 과거에는 건대입구역과 마찬가지로 안전펜스에 적외선 감지 방식 설비가 있었으나, 실효성이 없어 스크린도어로 대체되었다.[2]

상행군자 방면
하행건대입구 · 석남 방면


4. 역 주변



어린이대공원역은 6개의 출구를 통해 10개의 버스 노선과 연결된다.[2] 군자동, 화양동, 능동 및 모진동에 서비스를 제공한다. 역의 북쪽 출구는 세종대학교, 어린이대공원 및 소규모 상업 시설과 인접해 있으며, 남쪽 출구는 화양동의 복합 상업 및 주거 지역으로 연결된다.

5. 이용객 변동

연도7호선 승차 (명/일)7호선 하차 (명/일)7호선 승하차 (명/일)각주
2000년12,82113,14625,968[6]
2001년16,67816,73033,407[6]
2002년17,35417,40034,755[6]
2003년18,06318,04736,110[6]
2004년17,90417,66835,572[6]
2005년17,13916,99734,136[6]
2006년16,21815,91632,135[6]
2007년16,34815,98232,330[6]
2008년15,91115,60831,518[6]
2009년15,83815,82331,661[6]
2010년15,63415,82831,462[6]
2011년16,27716,63232,909[6]
2012년16,67217,00733,679[6]
2013년17,08217,27034,352[6]
2014년17,42817,63335,061[6]
2015년17,13917,30434,443[6]
2016년16,81316,89633,709[6]
2017년16,38616,65733,043[6]


6. 인접한 역


참조

[1] 웹사이트 교통정보 http://www.sisul.or.[...] Seoul Metropolitan Facilities Management Corporation 2009-08-10
[2] 웹사이트 네이버 :: 교통 http://traffic.local[...] Naver 2009-08-10
[3] 웹사이트 수송수입현황_월별 http://www.smrt.co.k[...] smrt.co.kr 2009-08-27
[4] 웹사이트 서울도시철도공사 > 알림정보 > 자료실 http://smrt.co.kr/pr[...]
[5] 문서 서울교통공사, 서울시메트로9호선 소속의 모든 역의 괄호 안에 쓰는 부분 역시 서울시 고시로 정한 공식 역명이다. 한국철도공사|코레일의 부역명 제도와는 다르다.
[6] 웹사이트 서울교통공사 > 알림마당 > 자료실 http://www.seoulmet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