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언트 메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언트 메리는 블루스 풍의 프로그레시브 록 밴드로, "Jimi, Janis And Brian"을 히트시켰다. 이 곡은 지미 헨드릭스, 제니스 조플린, 브라이언 존스를 추모하는 곡이었다. 덴마크 폴리도어와 계약 후 세 장의 앨범을 발매하고 해체했으며, 이후 멤버들은 솔로 활동과 라이브 공연을 이어갔다. 보컬 얀 그로쓰는 2014년 사망했다. 언트 메리는 5개의 정규 앨범, 3개의 컴필레이션 앨범, 2개의 라이브 앨범과 다수의 싱글을 발매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노르웨이의 록 밴드 - 사보이 (밴드)
    노르웨이 밴드 사보이는 a-ha 멤버 폴 왁타를 중심으로 1990년 결성되어 멜랑콜리하고 몽환적인 사운드와 팝적인 감성이 조화를 이루는 음악을 선보이며, 폴 왁타와 로렌 사보이의 작곡 하에 여러 앨범을 발매하고 노르웨이 스포르토프토엔 상을 두 차례 수상했다.
  • 노르웨이의 록 밴드 - 슬럿페이스
    2012년 결성된 노르웨이 밴드 슬럿페이스(Sløtface)는 여성의 권리와 페미니즘을 지지하는 사회적 메시지를 담은 음악 활동을 펼치며 2017년 데뷔 앨범을 발매, 스펠레만프리센에서 수상하고 SXSW에 참여하는 등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다.
  • 1973년 해체된 음악 그룹 - 도어스
    1965년 로스앤젤레스에서 결성된 록 밴드 도어스는 짐 모리슨, 레이 만자렉, 로비 크리거, 존 덴스모어로 구성되어 사이키델릭 록과 하드 록을 선도하며 "Light My Fire" 등의 히트곡과 실험적인 사운드로 록 음악사에 중요한 족적을 남겼다.
  • 1973년 해체된 음악 그룹 - 프리 (밴드)
    프리는 폴 로저스의 보컬과 폴 코소프의 기타 연주를 중심으로 1968년부터 1973년까지 활동하며 "All Right Now"로 세계적인 성공을 거둔 영국의 록 밴드이며, 블루스와 소울에 기반한 사운드로 초기 하드 록 형성에 기여했다.
  • 프로그레시브 록 - 로저 워터스
    로저 워터스는 핑크 플로이드의 핵심 멤버로서 전쟁과 사회 불의를 주제로 음악을 만들고 솔로 아티스트로도 활동하며 사회·정치적 이슈에 대해 발언하는 영국의 뮤지션, 작사가, 영화 제작자, 사회 운동가이다.
  • 프로그레시브 록 - 스페이스 록
    스페이스 록은 우주를 주제로 삼거나 몽환적이고 사이키델릭한 사운드를 특징으로 하는 록 음악의 하위 장르이며, 1950년대 후반부터 시작되어 핑크 플로이드, 호크윈드 등 다양한 밴드들에 의해 발전해왔다.
언트 메리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출신지Fredrikstad, Østfold, 노르웨이
장르프로그레시브 록
활동 기간1970–1973, 1978년 이후 여러 차례 재결합
레이블폴리도르

2. 역사

언트 메리는 블루스가 가미된 프로그레시브 곡인 "Jimi, Janis And Brian"을 히트시켰다. 이 곡은 요절한 지미 헨드릭스, 제니스 조플린, 브라이언 존스를 추모하는 곡이었다. 덴마크 폴리도어와 계약한 이들은 세 장의 앨범을 내고 해산하였다. 이후 각자 솔로 활동을 이어갔으며, 종종 라이브 공연을 함께 하기도 했다. 보컬 얀 그로쓰는 2014년 암으로 사망했다.

2. 1. 결성 및 초기 활동 (1967-1970)

언트 메리는 블루스가 가미된 프로그레시브 곡인 "Jimi, Janis And Brian"을 히트시켰다. 이 곡은 요절한 세 명의 음악가를 추모하는 곡이었다. 덴마크 폴리도어와 계약한 이들은 석 장의 앨범을 내고 해산하였다. 이후 각자 솔로 활동을 이어갔으며, 종종 라이브 공연을 함께하기도 했다. 보컬 얀 그로쓰는 2014년 암으로 사망했다.

2. 2. 전성기 (1970-1973)

언트 메리는 블루스가 가미된 프로그레시브 곡인 "Jimi, Janis And Brian"을 히트시켰다. 이 곡은 요절한 지미 헨드릭스, 제니스 조플린, 브라이언 존스를 추모하는 곡이었다. 덴마크 폴리도어와 계약한 이들은 세 장의 앨범을 내고 해산하였다. 이후 각자 솔로 활동을 이어갔으며, 종종 라이브 공연을 함께 하기도 했다. 보컬 얀 그로쓰는 2014년 암으로 사망했다.

2. 3. 해체 및 재결합 (1973-현재)

언트 메리는 블루스 풍의 프로그레시브 록 곡인 "Jimi, Janis And Brian"을 히트시켰다. 이 곡은 젊은 나이에 요절한 지미 헨드릭스, 재니스 조플린, 브라이언 존스를 추모하는 곡이었다.

덴마크 폴리도어와 계약한 언트 메리는 3장의 앨범을 발매하고 해체했다. 이후 멤버들은 각자 솔로 활동을 이어갔으며, 종종 함께 라이브 공연을 하기도 했다. 보컬 얀 그로쓰는 2014년 암으로 사망했다.

3. 구성원

얀 그로트는 보컬, 키보드, 기타를 담당했다.

비에른 크리스티안센은 기타와 보컬을 담당했다.

스베인 군데르센은 베이스, 피아노, 보컬을 담당했다.

케틸 스텐스비크는 드럼, 보컬을 담당했다.

벵트 옌센은 키보드를 담당했다.

에이리쿠르 호욱손은 베이스를 담당했다.

페르 이바르 푸레는 플루트, 색소폰, 보컬을 담당했다.

이반 로리첸은 드럼을 담당했다.

외스테인 셀레니우스 올센은 베이스를 담당했다.

3. 1. 정규 구성원


  • 얀 그로트는 보컬, 키보드, 기타를 담당했다.
  • 비에른 크리스티안센은 기타와 보컬을 담당했다.
  • 스베인 군데르센은 베이스, 피아노, 보컬을 담당했다.
  • 케틸 스텐스비크는 드럼, 보컬을 담당했다.
  • 벵트 옌센은 키보드를 담당했다.
  • 에이리쿠르 호욱손은 베이스를 담당했다.
  • 페르 이바르 푸레는 플루트, 색소폰, 보컬을 담당했다.
  • 이반 로리첸은 드럼을 담당했다.
  • 외스테인 셀레니우스 올센은 베이스를 담당했다.

3. 2. 세션 구성원


  • 얀 그로트는 보컬, 키보드, 기타를 담당했다.
  • 비에른 크리스티안센은 기타와 보컬을 담당했다.
  • 스베인 군데르센은 베이스, 피아노, 보컬을 담당했다.
  • 케틸 스텐스비크는 드럼, 보컬을 담당했다.
  • 벵트 옌센은 키보드를 담당했다.
  • 에이리쿠르 호욱손은 베이스를 담당했다.
  • 페르 이바르 푸레는 플루트, 색소폰, 보컬을 담당했다.
  • 이반 로리첸은 드럼을 담당했다.
  • 외스테인 셀레니우스 올센은 베이스를 담당했다.

4. 음반 목록

wikitext

;정규 음반


  • 1970: ''언트 메리''(Aunt Mary) (폴리도르 레코드) - 1974년 카루셀 레코드에서 Whispering Farewell로 재발매
  • 1972: ''Loaded'' (필립스 레코드)
  • 1973: ''야누스''(Janus) (버티고 레코드)
  • 1992: ''블루프린트''(Bluesprints) (소넷 레코드)
  • 2016: ''뉴 던''(New Dawn) (플레이그라운드)


;컴필레이션 음반

  • 1974: ''언트 메리 베스트''(The Best of Aunt Mary) (필립스)
  • 1975: ''언트 메리 베스트 Vol. 2''(The Best of Aunt Mary Volume 2) (필립스)
  • 2007: ''우리가 지지했던 것들''(The Things We Stood For)


;라이브 음반

  • 1981: ''라이브 리유니언''(Live Reunion) (필립스)
  • 2009: ''바브드 와이어 웨이브즈''(Barbed Wire Waves) (판) - 1971년에 녹음된 라디오 콘서트


;싱글

  • 1970: "Did You Notice?" / "The Ball"
  • 1971: "Jimi, Janis and Brian" / "Stop Your Wishful Thinking"
  • 1971: "Whispering Farewell" / "All My Sympathy for Lily"
  • 1972: "G Flat Road" / "Joinin' the Crowd"
  • 1972: "Rosalind" / "In the Hall of the Mountain King"
  • 1973: "Nocturnal Voice" / "Mr. Kaye"
  • 2016: "Slave Parade"

4. 1. 정규 음반

언트 메리는 1970년에 폴리도르 레코드를 통해 데뷔 음반 《언트 메리》(Aunt Mary)를 발매했으며, 이 음반은 1974년 카루셀 레코드에서 Whispering Farewell이라는 제목으로 재발매되었다. 1972년에는 필립스 레코드에서 《Loaded》를, 1973년에는 버티고 레코드에서 《야누스》(Janus)를 발매했다. 1992년에는 소넷 레코드를 통해 《블루프린트》(Bluesprints)를 발매했고, 2016년에는 플레이그라운드를 통해 《뉴 던》(New Dawn)을 발매했다.

4. 2. 컴필레이션 음반


  • 1974년: ''언트 메리 베스트''(The Best of Aunt Mary) (필립스)
  • 1975년: ''언트 메리 베스트 Vol. 2''(The Best of Aunt Mary Volume 2) (필립스)
  • 2007년: ''우리가 지지했던 것들''(The Things We Stood For)

4. 3. 라이브 음반

언트 메리는 2개의 라이브 음반을 발매하였다. 1981년에는 《라이브 리유니언》(Live Reunion)을 필립스(Philips)에서 발매하였고, 2009년에는 1971년에 녹음된 라디오 콘서트 음반인 《바브드 와이어 웨이브즈》(Barbed Wire Waves)를 판(Pan)에서 발매하였다.

4. 4. 싱글

언트 메리는 1970년 "Did You Notice?"와 "The Ball"을, 1971년 "Jimi, Janis and Brian"과 "Stop Your Wishful Thinking"을 싱글로 발매했다. 1971년에는 "Whispering Farewell"과 "All My Sympathy for Lily"를, 1972년에는 "G Flat Road"와 "Joinin' the Crowd"를 싱글로 발매했다. 또한 1972년에 "Rosalind"와 "In the Hall of the Mountain King"을, 1973년에는 "Nocturnal Voice"와 "Mr. Kaye"를 싱글로 발매했다. 2016년에는 "Slave Parade"를 발매했다.

참조

[1] 웹사이트 Aunt Mary mini biography and discography http://www.rockipedi[...] Rockipedia.no 2014-08-28
[2] 웹사이트 Aunt Mary Discography http://www.allmusic.[...] Allmusic 2014-08-28
[3] 웹사이트 Sangeren Jan Groth er død http://www.vg.no/ram[...] Vg.no 2014-08-2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