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에노 백작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에노 백작은 9세기부터 18세기까지 존재했던 에노 백작령의 통치자에게 주어진 작위이다. 초기에는 레기나르 가문이, 이후 레니에 가문이 에노 백작을 배출했다. 10세기에는 몽스와 발랑시엔으로 분할되어 각기 다른 백작이 통치했으며, 플랑드르 가문, 아베느 가문, 바이에른 가문, 부르고뉴 가문을 거쳐 합스부르크 가문이 에노 백작위를 계승했다. 프랑스 혁명 이후 작위는 폐지되었지만, 벨기에 왕위 계승자에게 "에노 백작" 작위가 주어졌으며, 2001년에는 엘리자베트 공주에게 "에노 여백작" 작위가 수여되었다가 폐지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에노 백작 - 보두앵 6세 드 에노
    보두앵 6세 드 에노는 에노 백작이자 플랑드르 백작 보두앵 9세로, 제4차 십자군 원정 후 라틴 제국의 초대 황제가 되었으나 아드리아노플 전투에서 포로로 잡혀 사망 후 가짜 보두앵 사건이 발생하기도 했다.
  • 에노 백작 - 에노 백국
    에노 백국은 9세기 로타링기아 왕국에서 유래하여 하인 강 유역의 현재 벨기에-프랑스 국경 지역에 걸쳐 존재했던 신성 로마 제국의 봉건 영토로, 플랑드르, 홀란트 백작들과 동군 연합을 이루다 합스부르크 가문의 통치를 거쳐 프랑스 혁명 이후 프랑스와 벨기에로 분할되었으며 현재 벨기에 에노주 북부 지역에 해당한다.
  • 백작 목록 - 아르투아 백작
    아르투아 백작은 아르투아 지역을 다스린 백작의 작위이며, 다양한 가문을 거쳐 프랑스에 양도되었으나 명목상으로 작위가 유지되었다.
  • 백작 목록 - 룩셈부르크의 군주
    룩셈부르크의 군주는 963년부터 백작, 공작, 대공으로 이어져 왔으며, 룩셈부르크 가문에서 시작하여 여러 가문을 거쳐 나사우-바일부르크 가문이 통치하고 있고 현재는 앙리 대공이 재위 중이다.
에노 백작
기본 정보
에노 백작 문장
에노 백작 문장
칭호에노 백작
국가신성 로마 제국
존속 기간1071년 ~ 1795년
수도몽스
역사
설립1071년
소멸1795년
주요 사건1071년: 카셀 전투로 인해 설립
1795년: 프랑스에 합병
정치
정치 체제백작령
역대 백작
초대 백작보두앵 1세
마지막 백작프란츠 2세
기타
현재 영토에노주

2. 역대 에노 백작

레니에 가문 출신의 레니에 1세가 870년부터 에노 백작령을 통치했다. 조프루아 1세 사후 에노 백작령은 몽스와 발렝시엔으로 분할되었다가, 에르망과 리실드의 결혼으로 1045년 또는 1049년경에 다시 통합되었다. 이후 플랑드르, 아베느, 바이에른, 부르고뉴, 합스부르크 가문이 에노 백작령을 통치했다.

가문이름재위 기간비고
레니에 가문레니에 1세870년-898년로타르 1세의 손자, 몽스 백작 (870년부터) 겸 리에주 백작
시가르898년-908년, 920년리에주 백작 겸임
레니에 1세908년-915년두 번째 통치
레니에 2세915년-932년 이후
레니에 3세940년 이전-958년
조프루아 1세958년 이전-964년
몽스와 발렝시엔 백작령으로 분할
레니에 가문리샤르964년-973년리에주 백작 겸임
르노973년
레니에 4세973년-974년
조프루아 2세974년-998년
레니에 4세998년-1013년두 번째 통치
레니에 5세1013년-1039년1024년 경 브라반트 남쪽 지역 획득
에르망1039년-1051년리실드와 혼인, 1045년이나 1049년 경 발렝시엔 획득
플랑드르 가문보두앵 1세1051년-1070년플랑드르 백작 겸임
아르눌 1세1070년-1071년보두앵 6세의 아들, 플랑드르 백작 겸임
보두앵 2세1071년-1098년보두앵 1세의 아들
보두앵 3세1098년-1120년보두앵 2세의 아들
보두앵 4세1120년-1171년보두앵 3세의 아들
보두앵 5세1171년-1195년보두앵 4세의 아들, 1191년부터 플랑드르 백작 겸임
보두앵 6세1195년-1205년보두앵 5세의 아들, 플랑드르 백작 및 라틴 제국 황제 겸임
1205년-1244년보두앵 6세의 딸, 플랑드르 여백작 겸임
마르그리트 1세1244년-1253년보두앵 6세의 딸, 플랑드르 여백작 겸임, 아베느의 부샤르 4세와 초혼, 기욤 드 당피에르와 재혼
1257년-1280년장 1세 사망 후 통치 복귀
플랑드르와 에노 계승 전쟁 발발, 아베느의 장 1세와 기욤 3세 드 당피에르가 대립. 1246년 루이 9세가 장에게 에노 수여, 1254년 장과 독일의 대립왕 빌럼 2세 판 홀란트가 마르그리트에게 에노 양위 강요.
아베느 가문장 1세1253년-1257년마르그리트 1세와 아베느의 부샤르 4세의 아들
장 2세1280년-1304년장 1세의 아들, 홀란트 백작 겸임
기욤 1세1304년-1337년장 2세의 아들, 홀란트 백작 겸임
기욤 2세1337년-1345년기욤 1세의 아들, 홀란트 백작 겸임
바이에른 가문마르그리트 2세1345년-1356년기욤 1세의 딸, 신성 로마 황제 루트비히 4세 (1347년 사망)와 아들 기욤 3세와 공동 통치
기욤 3세1345년-1388년마르그리트 2세와 루트비히 4세의 아들, 형제들과 공동 통치 (1347년-1353년)
바이에른 가문알브레 1세1358년-1404년1358년부터 섭정, 1388년부터 백작
기욤 4세1404년-1417년알브레 1세의 아들
자클린1417년-1432년기욤 4세의 딸, 숙부 바이에른슈트라우빙 공작 요한과 상속 전쟁
부르고뉴 가문필리프 1세 선량공1433년–1467년
샤를 1세 용담공1467년–1477년선량공 필리프의 아들
마리 1세1477년–1482년용담공 샤를의 딸, 남편 신성 로마 황제 막시밀리안 1세와 공동 통치
합스부르크 가문미남공 필리프 2세1482년-1506년마리 1세와 신성 로마 황제 막시밀리안 1세의 아들
샤를 2세1506년-1555년필리프의 아들, 신성 로마 황제 겸임 (카를 5세)
필리프 3세1555년-1598년샤를 2세의 아들, 스페인 왕 겸임
이사벨 클라라 에우헤니아1598년-1621년펠리페 2세의 딸, 남편 오스트리아 대공 알브레히트 7세와 공동 통치
필리프 4세1621년-1665년필리프 3세의 손자, 스페인 왕 겸임
샤를 3세1665년-1700년필리프 4세의 아들, 스페인 왕 겸임
1706년-1714년 스페인 왕위 계승 전쟁 발발, 저지대 영지는 합스부르크 가문과 부르봉 왕가 분할, 1714년 라슈타트 조약으로 에노 백작령은 합스부르크 가문 오스트리아 계열로
샤를 4세1714년-1740년필리프 3세의 증손자, 신성 로마 황제 겸임
마리 테레즈1740년-1780년샤를 4세의 딸, 신성 로마 황제 프란츠 1세와 혼인
합스부르크로트링겐 가문조제프 1세1780년-1790년마리아 테레지아와 프란츠 1세의 아들, 신성 로마 황제 겸임
레오폴트1790년-1792년마리아 테레지아와 프란츠 1세의 아들, 신성 로마 황제 겸임
프란츠 2세1792년-1835년레오폴트 2세의 아들, 신성 로마 황제 겸임



에노 백작 작위는 오스트리아의 카를 1세 통치 때까지 레오폴트 2세 후손들에게 공식적으로 주장되었다.

2. 1. 초기 에노 백작 (9세기-10세기)

레니에 가문 출신의 레니에 1세는 870년부터 898년까지 에노 백작이자 몽스 백작, 리에주 백작을 겸했다. 그는 로타르 1세의 손자이기도 하다.

시가르는 898년부터 920년까지 에노 백작과 리에주 백작을 겸했다.

레니에 1세는 908년부터 915년까지 다시 에노 백작으로 통치했다.

레니에 2세는 915년부터 932년 이후까지 에노 백작을 지냈다.

레니에 3세는 940년 이전부터 958년까지 에노 백작이었다.

조프루아 1세는 958년 이전부터 964년까지 에노 백작을 지냈다.

이후 에노 백작령은 몽스와 발렝시엔 백작령으로 나뉘었다.

2. 2. 레니에 가문 (10세기-11세기)

레니에 가문은 9세기부터 11세기까지 에노 백작령을 통치한 가문이다.

이름재위 기간비고
레니에 1세870년-898년로타르 1세의 손자이며, 동시에 몽스 백작 (870년부터)이자 리에주 백작이었다.
시가르898년-908년, 920년동시에 리에주 백작이었다.
레니에 1세908년-915년두 번째 통치.
레니에 2세915년-932년 이후
레니에 3세940년 이전-958년
조프루아 1세958년 이전-964년



그 후 에노 백작령은 몽스와 발렝시엔 백작령으로 나뉘었다.

'''몽스 백작'''

이름재위 기간비고
리샤르964년-973년동시에 리에주 백작이었다.
르노973년
레니에 4세973년-974년
조프루아 2세974년-998년
레니에 4세998년-1013년두 번째 통치.
레니에 5세1013년-1039년1024년 경에 브라반트 지방의 남쪽 지역을 획득했다.
에르망1039년-1051년리실드와 혼인하였으며, 1045년이나 1049년 경에 발렝시엔을 획득했다.



'''발렝시엔 백작 및 변경백'''

이름재위 기간비고
아모리953년-973년
가르니에973년
레니에 4세973년-974년
아르눌974년-988년
보두앵 4세988년-1035년
보두앵 5세1035년-1045년



발렝시엔과 몽스는 다시 한번 에노 백작령으로 합쳐졌다.

2. 3. 몽스와 발렝시엔 분할 통치 시대 (10세기-11세기)

조프루아 1세가 958년 사망한 후, 에노 백작령은 몽스와 발렝시엔 백작령으로 분할되었다. 이후 몽스 백작 에르망이 리실드와 결혼하여 1045년이나 1049년 경 발렝시엔을 획득하면서 두 지역은 다시 통합되었다.

2. 3. 1. 몽스 백작

이름재위 기간비고
레니에 1세870년-898년로타르 1세의 손자, 몽스 백작 (870년부터) 겸 리에주 백작
시가르898년-908년, 920년리에주 백작 겸임
레니에 1세908년-915년두 번째 통치
레니에 2세915년-932년 이후
레니에 3세940년 이전-958년
조프루아 1세958년 이전-964년
에노 백작령이 몽스와 발렝시엔 백작령으로 분할됨
이름재위 기간비고
리샤르964년-973년리에주 백작 겸임
르노973년
레니에 4세973년-974년
조프루아 2세974년-998년
레니에 4세998년-1013년두 번째 통치
레니에 5세1013년-1039년1024년 경 브라반트 남쪽 지역 획득
에르망1039년-1051년리실드와 혼인, 1045년이나 1049년 경 발렝시엔 획득


2. 3. 2. 발렝시엔 백작 및 변경백

아모리 (953년-973년)

가르니에 (973년)

레니에 4세 (973년-974년)

아르눌 (974년-988년)

보두앵 4세 (988년-1035년)

보두앵 5세 (1035년-1045년)

베르너 (973년)

아르눌프 드 발랑시엔 (1011/1012년 사망), 캉브레 백작이었을 가능성 있음

하스농의 레기나르 (1049년경 사망), 릴드의 아버지 (1045-1048/49)

헤르만 (1039년–1051년), 릴드의 남편 (1048/49-1051)

발렝시엔과 몽스는 다시 한번 통합된 에노 백작령으로 재결합되었다.

2. 4. 플랑드르 가문 (11세기-13세기)


  • 보두앵 1세 (재위 1051년-1070년) : 동시에 플랑드르 백작이었다.
  • 아르눌 1세 (재위 1070년-1071년) : 보두앵 6세의 아들이자, 플랑드르 백작이었다.
  • 보두앵 2세 (재위 1071년-1098년) : 보두앵 1세의 아들이다.
  • 보두앵 3세 (재위 1098년-1120년) : 보두앵 2세의 아들이다.
  • 보두앵 4세 (재위 1120년-1171년) : 보두앵 3세의 아들이다.
  • 보두앵 5세 (재위 1171년-1195년) : 보두앵 4세의 아들이자, 1191년부터 플랑드르 백작이었다.
  • 보두앵 6세 (재위 1195년-1205년) : 보두앵 5세의 아들이자, 플랑드르 백작 및 라틴 제국 황제였다.
  • 잔 (재위 1205년-1244년) : 보두앵 6세의 딸이자, 동시에 플랑드르 여백작이었다.
  • 마르그리트 1세 (재위 1244년-1253년) : 보두앵 6세의 딸이자, 동시에 플랑드르 여백작이었다. 아베느의 부샤르 4세와 초혼을 한 후, 기욤 드 당피에르와 재혼했다.
  • 마르그리트 1세 (재위 1257년-1280년) : 장 1세의 사망 후, 통치를 다시 맡았다.


플랑드르와 에노 백작령들은 플랑드르와 에노 계승 전쟁에서 아베느의 장 1세와 기욤 3세 드 당피에르의 배다른 형제인 마르그리트의 아들들이 차지했다. 1246년에 루이 9세가 장에게 에노를 수여했지만, 마르그리트는 에노를 넘기기를 거부했으나 1254년에 장과 독일의 대립왕 빌럼 2세 판 홀란트에 의해 강제로 넘겨졌다.

2. 5. 아베느 가문 (13세기-14세기)


  • 장 1세 (재위 1253년-1257년) : 마르그리트 1세와 아베느의 부샤르 4세의 아들


  • 장 2세 (재위 1280년-1304년) : 장 1세의 아들이자, 동시에 홀란트 백작
  • 기욤 1세 (재위 1304년-1337년) : 장 2세의 아들이자, 동시에 홀란트 백작
  • 기욤 2세 (재위 1337년-1345년) : 기욤 1세의 아들이자, 동시에 홀란트 백작
  • 마르그리트 2세 (재위 1345년-1356년) : 기욤 1세의 딸이자, 남편 신성 로마 황제 루트비히 4세 (1347년 사망)와 아들 기욤 3세와 공동 통치

2. 6. 바이에른 가문 (14세기-15세기)


  • 기욤 3세 (재위 1345년-1388년) : 마르그리트 2세와 루트비히 4세의 아들.
  • * 그의 형제들인 루트비히 5세, 루트비히 6세, 오토 5세 (1347년-1349년), 슈테판 2세 (1347년-1353년) 및 알브레히트 1세와 공동 통치했다.
  • * 1350년 마르그리트는 아들에 반대하여 통치권을 되찾아 1356년까지 에노를 다스렸다.
  • 알브레 1세 (1358년부터 섭정, 1388년-1404년 백작으로 통치)
  • 기욤 4세 (재위 1404년-1417년) : 알브레 1세의 아들.
  • 자클린 (재위 1417년-1432년) : 기욤 4세의 딸.


:''자클린은 알브레 1세의 아들이자 그녀의 숙부인 바이에른슈트라우빙 공작 요한과의 상속 전쟁을 벌였다. 바이에른슈트라우빙 공작 요한의 권리는 기욤 3세의 조카이자, 어머니가 기욤 3세의 자매였던 부르고뉴 공작 필리프 3세에게 양도되었다. 1432년 필리프 3세는 자클린에게 에노와 홀란트를 양위하도록 강요했다.''

2. 7. 부르고뉴 가문 (15세기)


  • 필리프 1세 선량공 (재위 1433년–1467년)
  • 샤를 1세 용담공 (재위 1467년–1477년), 선량공 필리프의 아들
  • 마리 1세 (재위 1477년–1482년), 용담공 샤를의 딸, 남편인 신성 로마 황제 막시밀리안 1세와 공동 통치

2. 8. 합스부르크 가문 (15세기-18세기)





샤를 2세는 1549년 국사조칙을 발표하여 에노를 저지대의 다른 영지들과 영구적으로 통합하였다. 합스부르크 제국이 카를 5세의 후계자들에게 분할되었을 때, 에노를 포함한 저지대는 합스부르크 가문의 스페인 계열 펠리페 2세에게 넘어갔다.

  • 필리프 3세 (재위 1555년-1598년) : 샤를 2세의 아들이자, 동시에 스페인의 왕
  • 이사벨 클라라 에우헤니아 (재위 1598년-1621년) : 펠리페 2세의 딸
  • * 남편인 오스트리아 대공 알브레히트 7세와 공동 통치
  • 필리프 4세 (재위 1621년-1665년) : 필리프 3세의 손자이자, 동시에 스페인의 왕
  • 샤를 3세 (재위 1665년-1700년) : 필리프 4세의 아들이자, 스페인의 왕


1706년과 1714년 사이에 저지대는 스페인 왕위 계승 전쟁 기간 잉글랜드와 네덜란드의 침입을 받았다. 저지대의 영지는 합스부르크 가문과 부르봉 왕가가 차지하였다. 1714년에 라슈타트 조약으로 계승이 확정됐고 에노 백작령은 합스부르크 가문의 오스트리아 계열로 넘어갔다.

에노 백작의 작위는 프랑스 혁명의 여파로 사실상 폐지되었고 1795년 프랑스에 의해 플랑드르에 합병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에노 백작 작위는 오스트리아의 카를 1세 통치때까지 레오폴트 2세의 후손들에게 공식적으로 주장되었다.

3. 에노 백작령의 폐지와 현대의 사용

에노 백작령은 역사 속에서 여러 변화를 겪었다. 현대에는 벨기에 왕가에서 왕위 계승자를 나타내는 칭호 중 하나로 '에노 백작' 작위를 사용하기도 했다. 작센코부르크고타 가문은 왕가의 장자에게 이 작위를 부여했지만, 2001년에 엘리자베트 공주가 태어나면서 여성형으로 바꾸는 대신 폐지되었다.

3. 1. 작센코부르크고타 가문

작센코부르크고타 가문은 오늘날 벨기에 왕국에서 "에노 백작" 작위를 왕가의 장자에게 주던 가문이었다. 왕가의 장자는 "브라반트 공작"이라고 불렸다. 2001년에 왕위 계승자이자 브라반트 공작인 벨기에 국왕 필리프의 장녀 벨기에의 엘리자베스 공주가 태어나면서, 이 작위를 여성형으로 바꾸는 대신 폐지하기로 결정하였다.

에노 백작 작위를 받은 인물은 다음과 같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