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르네스트 라비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에르네스트 라비스는 프랑스의 역사학자이자 교육자이다. 그는 1865년 역사학 펠로우십을 얻고 1875년 문학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고등사범학교에서 강의했으며, 소르본 대학교에서 근대사 교수를 역임했다. 1871년 이후 프랑스 고등 교육 발전에 기여했으며, 저서와 강연을 통해 학문적 영향력을 행사했다. 프랑스-프로이센 전쟁 이후 프로이센 연구에 몰두하여 관련 저술을 남겼으며, '프랑스사'와 '프랑스 현대사'를 편집했다. 그는 프랑스 아카데미 회원이었으며, 에콜 노르말의 파리 대학교 통합을 주도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엔주 출신 - 니콜라 드 콩도르세
니콜라 드 콩도르세는 프랑스의 수학자, 철학자, 정치인이자 계몽주의 사상가로서, 수학 분야에서 업적을 남기고 프랑스 혁명 기간 동안 진보적인 정치 사상을 펼쳤으며, 인류의 무한한 진보를 전망한 『인간 정신 진보의 역사적 개관 초고』와 선거 방법론을 다룬 『다수결의 결정 확률에 대한 분석의 적용에 관한 논문』 등의 저서를 남겼다. - 엔주 출신 - 알렉상드르 뒤마
알렉상드르 뒤마는 《삼총사》, 《몽테크리스토 백작》 등으로 유명한 프랑스의 소설가이자 극작가로, 아프리카계 혈통으로 인종차별에 맞섰으며 팡테옹에 안장될 정도로 프랑스 사회에 큰 영향을 미쳤다. - 프랑스의 저술가 - 피에르조제프 프루동
피에르조제프 프루동은 19세기 프랑스의 사회주의 사상가이자 무정부주의자로, 사유 재산 제도를 비판하고 노동자 협동조합에 기반한 자유로운 사회를 옹호했으며, 반유대주의와 여성 차별적인 견해로 비판받았다. - 프랑스의 저술가 - 에밀 졸라
에밀 졸라는 19세기 프랑스 자연주의 문학의 대표 작가이자 비평가, 사회 운동가로, 《루공마카르 총서》를 통해 제2제정 시대 프랑스 사회를 묘사했으며 드레퓌스 사건 당시 《나는 고발한다!》를 발표하여 사회적 반향을 일으켰다. - 파리 대학교 교수 - 질 들뢰즈
질 들뢰즈는 20세기 후반 프랑스의 철학자로, 스피노자, 니체, 베르그송 등의 사상을 재해석하고 차이, 반복, 탈영토화 등의 개념을 통해 포스트구조주의와 포스트모더니즘에 영향을 미쳤으며, 형이상학, 인식론, 윤리, 미학 등 다양한 분야에 걸쳐 현대 사상에 지속적인 영향을 주고 있다. - 파리 대학교 교수 - 자크 데리다
자크 데리다는 알제리 출신의 프랑스 철학자로, 탈구조주의의 주요 인물이며 서구 철학의 전제를 비판적으로 재검토하고, "현전의 형이상학"을 해체하려 했으며, 페르디낭 드 소쉬르의 기호학에 영향을 받아 "텍스트 바깥은 없다"라는 주장을 펼쳤다.
에르네스트 라비스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원어 이름 | Ernest Lavisse |
출생일 | 1842년 12월 17일 |
출생지 | 프랑스 엔주 르누비옹앙티에라슈 |
사망일 | 1922년 8월 18일 |
사망지 | 프랑스 파리 |
직업 | 역사가 |
인물 정보 | |
국적 | 프랑스 |
분야 | 역사 |
모교 | 고등사범학교 |
영향 받은 인물 | 미셸 브레알, 누마 드니 푸스텔 드 쿨랑주 |
영향 준 인물 | 마르크 블로크, 뤼시앵 페브르 |
경력 | |
소속 | 소르본 대학교 |
회원 | 아카데미 프랑세즈 |
수상 | |
수상 후보 | 노벨 문학상 (1902, 1903, 1904, 1905, 1906, 1907, 1908, 1909, 1910, 1911, 1912, 1913, 1919) |
참고 자료 | |
참고 문헌 | |
발음 |
2. 생애
에르네스트 라비스는 엔티에라슈의 르 누비옹에서 태어났다. 1865년 역사학 펠로우십을 얻었고, 1875년 문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퓌스텔 드 쿨랑주의 뒤를 이어 고등사범학교에서 ''마이트르 드 콩페랑스''(1876)로 임명되었고, 이후 앙리 알렉상드르 발롱의 자리를 이어받아 소르본 대학교에서 근대사 교수가 되었다(1888).[4]
신성 로마 제국 연구와 그 쇠퇴 원인에 관해 ''레뷔 데 되 몽드''에 여러 기사를 게재했으며, 근대 독일 제국과 그 강점의 근원을 연구하면서 ''독일의 세 황제''(1888), ''프리드리히 대왕의 청춘''(1891), ''그의 즉위 전의 프리드리히 2세''(1893)를 썼다. 친구 알프레드 랑보와 함께 ''4세기부터 현재까지의 일반 역사'' 계획을 세웠지만, 이 작업에는 아무런 기여를 하지 않았다.[4]
1892년 해군 제독 쥘리앵 드 라 그라비에르가 사망한 후 프랑스 아카데미에 입회했고, 제임스 다르메스테테르가 사망한 후 ''파리 리뷰''의 편집자가 되었다. 에콜 노르말이 파리 대학교에 합병되었을 때, 라비스는 이 통합에 누구보다도 많은 기여를 한 새로운 조직의 이사로 임명되었다.[4]
2. 1. 초기 생애와 교육
에르네스트 라비스는 엔티에라슈의 르 누비옹에서 태어났다.1865년 역사학 펠로우십을 얻었고, 1875년 문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퓌스텔 드 쿨랑주의 뒤를 이어 고등사범학교에서 ''마이트르 드 콩페랑스''(1876)로 임명되었고, 이후 앙리 알렉상드르 발롱의 자리를 이어받아 소르본 대학교에서 근대사 교수가 되었다(1888). 그는 웅변력이 뛰어난 교수였고 젊은이들을 매우 좋아했으며, 1871년 이후 프랑스의 고등 교육 부흥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그의 학식은 공개 강연과 연설, 소수의 학생들에게 역사적 방법을 가르치는 개인 수업, 그리고 책에서 드러났는데, 그는 적어도 "이야기하기 위해서"만큼 "증명하기 위해" 글을 썼다. 교과서, 기사 모음, 개인적인 회고록(''국가 교육 문제'', 1885; ''연구와 학생들'', 1890; ''우리 학교에 관하여'', 1895), 대략적인 역사적 개요(''유럽 정치사의 일반적 개요'', 1890) 등이 있다. ''브리태니커 백과사전'' 제11판에 따르면, 그의 학술 저작은 명료하고 생생하다.
프랑스-프로이센 전쟁 이후 라비스는 프로이센의 발전을 연구하여 박사 학위 논문인 ''아스카니아 왕조 시대의 브란덴부르크 변경백국, 또는 프로이센 군주제의 기원 연구''와 ''프로이센 역사 연구''(1879)를 썼다.
2. 2. 교육 및 학술 활동
그는 웅변력이 뛰어난 교수였고 젊은이들을 매우 좋아했으며, 1871년 이후 프랑스의 고등 교육 부흥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그의 학식은 공개 강연과 연설, 소수의 학생들에게 역사적 방법을 가르치는 개인 수업, 그리고 책에서 드러났는데, 그는 적어도 "이야기하기 위해서"만큼 "증명하기 위해" 글을 썼다. 교과서, 기사 모음, 개인적인 회고록(''국가 교육 문제'', 1885; ''연구와 학생들'', 1890; ''우리 학교에 관하여'', 1895)과 개략적인 역사적 개요(''유럽 정치사의 일반적 개요'', 1890) 등을 저술하였다. ''브리태니커 백과사전'' 제11판에 따르면, 그의 학술 저작은 명료하고 생생하다.[4]프랑스-프로이센 전쟁 이후 라비스는 프로이센의 발전을 연구하여 박사 학위 논문인 ''아스카니아 왕조 시대의 브란덴부르크 변경백국, 또는 프로이센 군주제의 기원 연구''와 ''프로이센 역사 연구''(1879)를 썼다. 그는 신성 로마 제국 연구와 그 쇠퇴 원인과 관련하여 ''레뷔 데 되 몽드''에 여러 편의 기사를 게재했으며, 근대 독일 제국과 그 강점의 근원을 연구하면서 ''독일의 세 황제''(1888), ''프리드리히 대왕의 청춘''(1891), ''그의 즉위 전의 프리드리히 2세''(1893)를 썼다. 그는 친구 알프레드 랑보와 함께 ''4세기부터 현재까지의 일반 역사'' 계획을 세웠지만, 이 작업에는 아무런 기여를 하지 않았다.[4]
그는 ''기원부터 혁명까지의 프랑스사''(1900–1912)를 편집했는데, 이 책에서 그는 수많은 조수들의 작업을 꼼꼼히 수정했으며, 프랑스의 루이 14세 통치 시기의 대부분을 직접 다루었다. 이 부분은 7권 전체를 차지한다. 라비스는 1892년 해군 제독 주리앵 드 라 그라비에르가 사망한 후 프랑스 아카데미에 입회했고, 제임스 다르메스테테르가 사망한 후 ''파리 리뷰''의 편집자가 되었다. 그러나 그는 주로 교육학의 대가였다. 에콜 노르말이 파리 대학교에 합병되었을 때, 라비스는 그가 누구보다도 이 통합을 이끌어내는 데 기여한 새로운 조직의 이사로 임명되었다.[4]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그는 ''프랑스 현대사''(1920–1922)를 편집했다.[4]
2. 3. 프로이센 연구
프랑스-프로이센 전쟁 이후 라비스는 프로이센의 발전을 연구하여 박사 학위 논문인 ''아스카니아 왕조 시대의 브란덴부르크 변경백국, 또는 프로이센 군주제의 기원 연구''와 ''프로이센 역사 연구''(1879)를 썼다.[4] 그는 신성 로마 제국 연구와 그 쇠퇴 원인과 관련하여 ''레뷔 데 되 몽드''에 여러 편의 기사를 게재했으며, 근대 독일 제국과 그 강점의 근원을 연구하면서 ''독일의 세 황제''(1888), ''프리드리히 대왕의 청춘''(1891), ''그의 즉위 전의 프리드리히 2세''(1893)를 썼다.[4]2. 4. 역사서 편집
그는 친구 알프레드 랑보와 함께 ''4세기부터 현재까지의 일반 역사'' 계획을 세웠지만, 이에 아무런 기여를 하지 않았다.[4]그는 ''기원부터 혁명까지의 프랑스사''(1900–1912)를 편집했는데, 이 책에서 그는 수많은 조수들의 작업을 꼼꼼히 수정했으며, 프랑스의 루이 14세 통치 시기의 대부분을 직접 다루었다. 이 부분은 7권 전체를 차지한다.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그는 ''프랑스 현대사''(1920–1922)를 편집했다.[4]
2. 5. 기타 활동
라비스는 1892년 해군 제독 쥘리앵 드 라 그라비에르가 사망한 후 프랑스 아카데미에 입회했고, 제임스 다르메스테테르가 사망한 후 ''파리 리뷰''의 편집자가 되었다. 그러나 그는 주로 교육학의 대가였다. 에콜 노르말이 파리 대학교에 합병되었을 때, 라비스는 이 통합에 누구보다도 많은 기여를 한 새로운 조직의 이사로 임명되었다.[4]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그는 ''프랑스 현대사''(1920–1922)를 편집했다.[4]참조
[1]
간행물
Lavisse, Ernest
https://books.google[...]
[2]
웹사이트
Nomination Database
https://www.nobelpri[...]
2017-04-19
[3]
웹사이트
2000 ans que ça dure - le roman national : Plus que jamais nécessaire - Herodote.net
https://www.herodote[...]
[4]
서적
Empire of Meaning: The Humanization of the Social Sciences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Minnesota Press
2024-06-1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