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에릭 베치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에릭 베치그는 미국의 물리학자이자 초고해상도 형광 현미경 기술 개발에 기여한 인물이다. 1983년 캘리포니아 공과대학교에서 물리학 학사 학위를, 1988년 코넬 대학교에서 응용 물리학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벨 연구소에서 반도체 물리학 연구원으로 일하며 실온에서 개별 형광 분자를 이미지화하는 데 성공했고, 이후 앤아버 머신 컴퍼니에서 연구 개발 부사장으로 근무했다. 2002년 뉴 밀레니엄 리서치를 설립하여 광활성 국소화 현미경법(PALM)을 개발했으며, 하워드 휴즈 의학 연구소의 자넬리아 팜 연구 캠퍼스에서 초고해상도 현미경 기술 개발을 이끌었다. 2014년 슈테판 헬, 윌리엄 E. 모어너와 함께 노벨 화학상을 공동 수상했으며, 2016년 교황청 과학 아카데미의 학술 회원이 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앤아버 출신 - 앨빈 플랜팅가
    앨빈 플랜팅가는 형이상학과 인식론, 특히 종교 철학에 큰 영향을 미친 미국의 철학자로, 개혁주의 인식론, 자유 의지 옹호론, 자연주의에 대한 진화론적 논증 등으로 유명하며 미국 철학회와 기독교 철학자 학회 회장을 역임하고 템플턴 상을 수상했다.
  • 앤아버 출신 - 새뮤얼 차오 충 팅
    새뮤얼 차오 충 팅은 J/ψ 중간자 발견으로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한 미국의 물리학자이며, 알파 자기 분광기 프로젝트를 통해 암흑 물질 연구에 기여하고 있다.
  • 캘리포니아 공과대학교 동문 - 고든 무어
    고든 무어는 미국의 기업인이자 공학자로, 페어차일드 반도체를 거쳐 로버트 노이스와 함께 인텔을 공동 설립했으며, 집적 회로 집적도가 2년마다 2배씩 증가한다는 "무어의 법칙"으로 알려져 있고, 고든과 베티 무어 재단을 설립하여 자선 활동을 펼쳤다.
  • 캘리포니아 공과대학교 동문 - 존 매카시 (컴퓨터 과학자)
    존 매카시는 LISP 프로그래밍 언어를 개발하고 '인공지능'이라는 용어를 처음 사용하는 데 기여한 인공지능 분야의 선구적인 컴퓨터 과학자로서, 가비지 컬렉션 기법 발명, 유틸리티 컴퓨팅 개념 제시 등 컴퓨터 과학 발전에 혁신적인 공헌을 했다.
  • 노벨 화학상 수상자 - 아돌프 부테난트
    아돌프 부테난트는 여성 성호르몬을 발견한 공로로 노벨 화학상을 수상했으며, 나치 정권과의 연루 논란을 겪었고 막스 플랑크 연구소 소장과 막스 플랑크 협회 회장을 역임했다.
  • 노벨 화학상 수상자 - 피터 디바이
    피터 디바이는 분자 구조 및 물질의 물리적 성질 연구에 기여한 네덜란드 출신의 물리화학자로, 노벨 화학상 수상, 데바이 단위, 데바이 모델 등의 업적을 남겼으며, 나치 독일 시대 행적 논란 후 미국으로 이민하여 연구를 지속하며 현대 화학 및 물리학 발전에 영향을 미쳤다.
에릭 베치그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2015년
출생 이름로버트 에릭 베치그
출생일1960년 1월 13일
출생지미국 미시간주 앤아버
분야응용물리학
직장하워드 휴스 의학연구소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
모교캘리포니아 공과대학교(이학사)
코넬 대학교(이학 석사, 박사)
박사 지도교수마이클 아이작슨
박사 학위 논문 제목근접장 주사 광학 현미경
배우자나 지(두 번째 부인)
루비 고시(첫 번째 부인)
자녀케이든, 라비, 맥스, 미아, 조이
알려진 업적광활성화 국소화 현미경
격자 광 시트 현미경
수상미국 국립 과학 아카데미 회원(2015년)
노벨 화학상(2014년)
웹사이트하워드 휴스 의학연구소 에릭 베치그 페이지
학문
박사 학위 논문 제목 (원어)Near-field Scanning Optical Microscopy
박사 학위 논문 년도1988년
기타 정보
연구 캠퍼스자넬리아 팜 연구 캠퍼스

2. 초기 생애 및 교육

베치그는 1960년 미시간주 앤아버에서 엔지니어인 아버지 로버트 베치그와 어머니 헬렌 베치그 사이에서 태어났다. 어린 시절 항공우주 산업 분야에서 일하기를 희망했던 그는 캘리포니아 공과대학교(칼텍)에서 물리학을 공부하여 1983년 이학사 학위를 받았다.

이후 코넬 대학교로 진학하여 마이클 아이작슨과 아론 루이스의 지도를 받으며 응용 물리학 및 공학 물리학을 연구했다. 1985년에 이학 석사 학위를, 1988년에 철학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27]。 박사 과정 동안에는 기존 광학 현미경의 이론적 해상도 한계인 0.2 마이크로미터를 넘어서는 고해상도 광학 현미경 개발에 집중했다.

3. 경력

캘리포니아 공과대학교에서 물리학을 전공하여 1983년에 학사 학위를 받았고, 이후 코넬 대학교에서 응용 물리학과 기초 공학을 공부해 1985년 석사 학위와 1988년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27]

박사 학위 취득 후에는 벨 연구소반도체 물리학 연구 부서에서 경력을 시작했다. 1996년에는 학계를 떠나 아버지 로버트 베치그가 소유한 Ann Arbor Machine Company의 연구 개발 부소장으로 합류했다.[24] 이곳에서 유연 적응 서보 유압 기술(Flexible Adaptive Servohydraulic Technology, FAST)을 개발했으나 상업적으로 성공하지는 못했다.[27][25]

이후 현미경 연구 분야로 돌아와 광활성 국소화 현미경법(photoactivated localization microscopy, PALM) 개발에 성공했다. PALM 개발은 친구와 각각 5만달러씩 출자하여 친구의 차고에서 진행되었다.[26] 2006년에는 하워드 휴즈 의학 연구소의 자넬리아 팜 연구 캠퍼스에 그룹 리더로 합류하여 초고해상도 형광 현미경 기술 개발에 참여했다.[24]

3. 1. 벨 연구소

1988년 코넬 대학교에서 박사 학위를 취득한 후, 1989년 벨 연구소반도체 물리학 연구 부서에 합류했다. 1992년에는 윌리엄 L. 맥밀런 상을 수상했다.[11]

당시 벨 연구소의 동료였던 윌리엄 E. 모어너는 애베 회절 한계로 알려진 0.2μm의 한계를 넘어서는 광학 현미경을 개발했으나, 이 현미경은 절대 영도에 가까운 극저온에서만 작동한다는 한계가 있었다. 모어너의 연구에 영감을 받은 베치그는 1993년 상온에서 개별 형광 분자를 이미지화하고 0.2μm 미만의 해상도로 위치를 결정하는 데 최초로 성공했다. 이 성과로 그는 윌리엄 O. 베이커 연구 혁신상(이전 명칭: 미국 국립 과학 아카데미 연구 혁신상)을 받았다.[10]

1996년 베치그는 학계를 떠나 부친 로버트 베치그가 소유한 Ann Arbor Machine Company의 연구 개발 부소장으로 자리를 옮겼다.[24]

3. 2. 앤아버 머신 컴퍼니

1994년, 베치그는 학계와 벨 연구소의 기업 구조 불확실성에 실망하여 두 곳을 모두 떠났다. 그는 1996년까지 몇 년간 전업 주부로 지내다가, 그의 아버지 로버트 베치그가 당시 소유주였던[24] 앤아버 머신 컴퍼니(Ann Arbor Machine Company)의 연구 개발 부사장(부소장[24])으로 합류하며 다시 일하기 시작했다.[7][12] 이 회사에서 그는 유연 적응형 서보유압 기술(Flexible Adaptive Servohydraulic Technology, FAST)을 개발했지만, 수백만 달러를 투자했음에도 불구하고 상업적으로는 성공하지 못하고 단 두 대의 장치만을 판매하는 데 그쳤다.[8][10][12][13][25][27]

3. 3. 학계 복귀

1996년 벨 연구소를 떠나 아버지의 회사인 Ann Arbor Machine Company에서 연구 개발 부문 부소장으로 일하며 유연 적응 서보 유압 기술(Flexible Adaptive Servohydraulic Technology, FAST)을 개발했지만 상업적으로는 성공하지 못했다.[27][25][24]

2002년, 베치그는 현미경 분야로 돌아와 미국 미시간주 오케모스에 뉴 밀레니엄 리서치(New Millennium Research)를 설립했다. 마이클 W. 데이비슨(Michael W. Davidson)의 형광 단백질 연구에서 영감을 받아, 그는 빛 펄스를 사용하여 이전에는 불가능하다고 여겨졌던 해상도보다 더 높은 해상도의 이미지를 생성하는 형광 단백질 제어 방법인 광활성 국소화 현미경(photoactivated localization microscopy, PALM)을 개발했다. 그는 옛 벨 연구소 동료인 하랄트 헤스(Harald Hess)와 함께 헤스의 거실에서 이 기술을 연구했으며, 친구와 각각 5만달러씩 출자하여 개발을 진행했다.[26] 그들은 두 달도 채 안 되어 PALM 기술을 기반으로 한 최초의 광학 현미경 프로토타입을 제작하여 광범위한 주목을 받았다. 그해 10월, 하워드 휴즈 의학 연구소(HHMI)의 자넬리아 팜 연구 캠퍼스가 그를 고용했지만, 당시 그의 연구실은 아직 건설 중이었다.[8]

2006년 초, 그는 자넬리아 팜 연구 캠퍼스에 정식으로 그룹 리더로 합류하여 초고해상도 현미경 기술 개발에 전념했다.[24] 그는 이 기술을 사용하여 인간 배아의 세포 분열을 연구하는 등 중요한 연구를 수행했다.[7][14] 2010년에는 막스 델브뤽 상 수상을 제안받았으나 이를 거절했고, 상은 샤오웨이 좡(Xiaowei Zhuang)에게 돌아갔다.

2018년 11월 14일, 교황청 과학 아카데미에서의 에릭 베치그


2014년, 베치그는 PALM 개발 공로를 인정받아 슈테판 헬(Stefan Hell), 윌리엄 E. 모어너(William E. Moerner)와 함께 노벨 화학상을 공동 수상했다.[6][8][15]

2016년 5월 31일, 그는 교황 프란치스코에 의해 교황청 과학 아카데미의 학술 회원으로 임명되었다.

2017년 여름, 베치그는 UC 버클리의 교수로 합류했으며, 로렌스 버클리 국립 연구소에서도 공동 임명을 받았다.[16]

4. 주요 연구 업적

에릭 베치그는 광학현미경 분야, 특히 기존의 회절 한계를 극복하는 초고해상도 현미경 기술 개발에 크게 기여했다. 그의 연구는 근접장 주사 광학 현미경(NSOM)을 이용한 단일 분자 관찰에서 시작하여, 광활성 국소화 현미경(PALM) 기술 개발로 이어졌다. PALM 기술은 형광 단백질을 이용하여 세포 내부 구조를 나노미터 수준의 해상도로 관찰하는 것을 가능하게 했다. 또한, 격자 광시트 현미경 개발을 통해 살아있는 세포나 배아를 장시간 동안 고해상도로 관찰하는 새로운 길을 열었다.

이러한 혁신적인 현미경 기술 개발 공로를 인정받아, 베치그는 슈테판 헬, 윌리엄 머너와 함께 2014년 노벨 화학상을 수상했다. 그의 연구는 생물학, 의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미시 세계를 탐구하는 데 중요한 도구를 제공하고 있다.

4. 1. 주요 논문


  • 1992: 근접장 광학: 회절 한계를 넘어서는 현미경, 분광법 및 표면 변형, 에릭 베치그, J.K. 트라우트만 - 사이언스[18]
  • 1993: 근접장 주사 광학 현미경을 이용한 단일 분자 관찰, 에릭 베치그, R.J. 치체스터 - 사이언스[17]
  • 2006: 나노미터 해상도로 세포 내 형광 단백질 영상화, 에릭 베치그, G.H. 패터슨, R. 수그랏 - 사이언스[19]
  • 2014: 격자 광시트 현미경: 고해상도 시공간 해상도로 분자에서 배아까지 영상화, G. 세이두, U.S. 툴루, D.P. 키에하트, 에릭 베치그 - 사이언스[20]

5. 수상 경력

연도수상 내역
1992년윌리엄 L. 맥밀란 상
1993년국립 과학 아카데미 연구 혁신상[27]
2010년막스 델브뤼크 상
2014년노벨 화학상 (슈테판 헬, 윌리엄 뫼르너와 공동 수상)[23]
2015년뉴컴 클리블랜드 상
2024년전미 발명가 명예의 전당 헌액


6. 개인사

베치그는 두 번 결혼했다. 그의 첫 번째 아내는 응집 물질 물리학자 루비 고쉬였으며, 그와의 사이에 두 아들 케이든과 라비가 있다.[21] 그의 두 번째 아내는 생물물리학자 나 지[16]이며, 그와의 사이에 세 자녀 맥스, 미아, 조이가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Eighty-Ninth Annual Commencement – California Institute of Technology http://caltechcampus[...] California Institute of Technology 1983-06-10
[2] 웹사이트 Eric Betzig {{!}} UC Berkeley Physics https://physics.berk[...] 2019-07-18
[3] 웹사이트 Eric Betzig {{!}} Research UC Berkeley https://vcresearch.b[...] 2019-07-18
[4] 웹사이트 Eric Betzig https://www.hhmi.org[...] 2019-07-18
[5] 웹사이트 Eric Betzig, PhD http://www.hhmi.org/[...] Howard Hughes Medical Institute 2014-10-08
[6] 뉴스 The Nobel Prize in Chemistry 2014 https://www.nobelpri[...] Nobel Media AB 2014-10-08
[7] 웹사이트 Eric Betzig Wins 2014 Nobel Prize in Chemistry http://www.hhmi.org/[...] hhmi.org 2014-10-08
[8] 뉴스 Nobel chemistry laureate's twisting path to molecular microscope breakthrough https://www.washingt[...] 2014-10-08
[9] 학위논문 Nondestructive optical imaging of surfaces with 500 angstrom resolution https://www.proquest[...] Cornell University 1988
[10] 웹사이트 Eric Betzig http://www.janelia.o[...] Janelia Farm Research Campus 2014-10-08
[11] 웹사이트 McMillan Award https://physics.illi[...] 2023-12-08
[12] 뉴스 Quitting + failures + a microscope in the living room = Nobel Prize https://arstechnica.[...] 2015-04-10
[13] 학술지 Eric Betzig, group leader, Janelia Farm Research Campus, Howard Hughes Medical Institute, Leesburg, Virginia
[14] 뉴스 The Nobel Prize in chemistry goes to three men who revolutionized microscopy https://www.washingt[...] 2014-10-08
[15] 웹사이트 EricBetzig: Chemist and Nobel Prize http://www.starmus.c[...] Starmus 2015-08-19
[16] 뉴스 Nobel Prize winner to join UC Berkeley faculty http://news.berkeley[...] Berkeley News 2016-09-27
[17] 학술지 Single Molecules Observed by Near-Field Scanning Optical Microscopy 1993-11-26
[18] 학술지 Near-Field Optics: Microscopy, Spectroscopy, and Surface Modification Beyond the Diffraction Limit https://www.science.[...] 1992-07-10
[19] 학술지 Imaging Intracellular Fluorescent Proteins at Nanometer Resolution 2006-09-15
[20] 학술지 Lattice light-sheet microscopy: Imaging molecules to embryos at high spatiotemporal resolution 2014-10-24
[21] 학술지 Single Molecules, Cells, and Super‐Resolution Optics (Nobel Lecture) 2015-07-06
[22] 웹사이트 Eric Betzig, PhD http://www.hhmi.org/[...] Howard Hughes Medical Institute 2014-10-08
[23] 뉴스 The Nobel Prize in Chemistry 2014 http://www.nobelpriz[...] Nobel Media AB 2014-10-08
[24] 웹사이트 Eric Betzig Wins 2014 Nobel Prize in Chemistry http://www.hhmi.org/[...] hhmi.org 2014-10-08
[25] 학술지 Eric Betzig, group leader, Janelia Farm Research Campus, Howard Hughes Medical Institute, Leesburg, Virginia http://www.nature.co[...]
[26] 방송 サイエンスZERO 2014-11-30
[27] 웹사이트 Eric Betzig http://www.janelia.o[...] Janelia Farm Research Campus 2014-10-0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