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에센부카 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에센 부카 칸은 두아의 아들로, 1309년 차가타이 칸국의 칸으로 즉위했다. 그의 치세 동안 차가타이 칸국은 원나라 및 일 칸국과의 관계가 악화되었으며, 특히 원나라와의 갈등으로 인해 영토 감소를 겪었다. 그는 일 칸국의 호라산 지방을 침공하기도 했지만, 결국 1320년에 사망하고 동생 케베크가 뒤를 이었다.

2. 생애

에센부카는 두아의 아들이며, 곤체크, 케베크, 일지기데이, 도레 테무르, 탈마실린 등과 형제이다.[3] 1305년/1306년아프가니스탄 방면으로 파견되었으며,[3] 1309년 나리크가 암살된 후 쿠릴타이를 통해 칸으로 선출되었다. 이후 동생 케베크에게 마 와라 알 나흐르와 페르가나 지방의 통치를 맡겼다.[4]

에센부카의 통치 시기, 차가타이 칸국은 원나라 및 일 칸국과의 관계가 악화되었다.[5] 아프가니스탄 방면의 다우드 호자가 일 칸국의 공격을 받았고, 일 칸국의 올제이투가 원나라에 보낸 사절 아비슈카가 두 국가의 협공을 언급하면서 갈등이 심화되었다.[5] 원나라 장군 토가치와의 영토 획정 협상이 결렬되자 에센부카는 양국 사절을 구속하기도 했다.[5]

1315년 차가타이군은 원나라 군대와 교전, 원나라의 킵차크 군인 총얼에게 두 차례 패배하고 일리 계곡 동부 테무르 카갈가(철문)까지 진군 당했다.[6] 에센부카는 영토 축소와 다우드 호자의 복수를 위해 호라산 침공을 결정,[7] 1315년 케베크 등이 이끄는 군대가 호라산에서 일 칸국 군대를 격파하고 약탈했다. 원나라의 재공격 대비와 야사울의 망명 계획 발각으로 원정군은 귀환했다.[4] 1316년/1317년 야사울 일파의 망명은 중앙 권력 강화에 기여했다.[4]

1320년 에센부카는 사망했고, 동생 케베크가 칸위를 계승했다.[4]

2. 1. 초기 생애

두아의 아들이다. 차가타이 칸국의 군주가 된 곤체크, 케베크, 일지기데이, 도레 테무르, 탈마실린 등은 형제이다.

1305년/1306년에 두아에 의해 아프가니스탄 방면으로 파견되었다.[3] 1309년에 차가타이 가문의 당주 나리크가 암살된 후 쿠릴타이에 의해 칸으로 선출되었고, 동생 케베크에게 마 와라 알 나흐르 지방과 페르가나 지방의 통치를 위임했다.[4]

2. 2. 차가타이 칸국 칸 즉위

두아의 아들이다. 곤체크, 케베크, 일지기데이, 도레 테무르, 탈마실린 등은 그의 형제이다.[3]

1309년 차가타이 가문의 당주 나리크가 암살된 후 에센 부카가 쿠릴타이에서 칸으로 선출되었다. 에센 부카는 동생 케베크에게 마 와라 알 나흐르 지방과 페르가나 지방의 통치를 위임했다.[4]

2. 3. 원나라 및 일 칸국과의 갈등

에센 부카는 두아의 아들로, 곤체크, 케베크, 일지기데이, 도레 테무르, 탈마실린 등과 형제 관계이다.[3] 1309년 나리크가 암살된 후 쿠릴타이에서 칸으로 선출되었으며, 동생 케베크에게 마 와라 알 나흐르와 페르가나 지방 통치를 위임했다.[4]

에센 부카의 통치 기간 동안 차가타이 칸국은 원나라, 일 칸국과의 관계가 다시 악화되었다.[5] 아프가니스탄 방면으로 파견되었던 다우드 호자가 일 칸국의 공격을 받아 쫓겨났고, 일 칸국의 올제이투가 원나라에 파견한 사절 아비슈카가 원과 일 칸국이 연합하여 차가타이 칸국을 공격할 것이라고 언급하면서 문제가 발생했다.[5] 에센 부카는 원나라 장군 토가치와의 영토 획정 협상이 결렬되자, 원나라와 일 칸국에 대한 불신이 커져 양국 사절을 구속하기도 했다.[5]

2. 3. 1. 원나라와의 갈등

에센 부카는 재위 기간 대부분을 중국원나라페르시아일 칸국과의 갈등으로 보냈다. 차가타이 한국은 원나라-일 칸국 동맹이 자국을 공격할 것을 두려워했는데, 이 두려움은 원나라의 일 칸국 사절 아비슈카의 증언에서 비롯되었다. 중앙아시아를 여행하던 이 외교관은 차가타이 한국의 지휘관에게 그러한 동맹이 맺어졌고, 원나라와 일 칸국 군대가 한국을 공격하기 위해 동원되고 있다고 밝혔다.[5] 아비슈카의 증언은 어떠한 증거로도 뒷받침되지 않았지만, 에센 부카는 그의 진술이 사실이라고 확신했다. 그러나 원나라 군대는 1314년에 그의 군대를 두 번이나 격퇴했다. 에센 부카가 1318년에 사망하고 그의 형제 케베크가 다시 차가타이 한국의 왕위에 오른 후에야 이 지역에 평화가 다시 번성할 수 있었다.

1315년에 차가타이군은 원나라 군대와 교전했다. 원나라의 킵차크 군인 총얼은 차가타이군에게 두 번 승리하고, 일리 계곡 동부의 테무르 카갈가(철문)로 진군했다.[6]

에센 부카는 원나라의 공격으로 인해 영토가 감소하는 것을 두려워했고, 또한 다우드 호자의 보복을 위해 일 칸국의 지배하에 있던 이란의 호라산 지방으로 침입을 결정했다고 전해진다.[7] 같은 해 1315년에 케베크를 비롯한 왕족이 이끄는 군대는 호라산 지방의 일 칸국 군대를 격파하고 4개월 동안 약탈을 했다. 원나라의 재차 공격에 대비하여 원정군은 귀환하지 않을 수 없게 되었지만, 귀로에서 원정에 종군했던 왕족 야사울의 일 칸국 망명 계획이 발각되었고, 케베크는 그의 처벌을 요구했다.[4] 1316년/1317년에 야사울과 그를 따르는 일파는 일 칸국으로 망명했지만, 야사울과 그를 추종하는 왕후귀족의 망명 결과 칸에게 반항적인 세력이 국내에서 일소되어 중앙 권력의 강화에 기여하는 바가 되었다.[4]

2. 3. 2. 일 칸국과의 갈등

에센 부카는 재위 기간 대부분을 원나라일 칸국과의 갈등 속에서 보냈다. 차가타이 한국은 원-일 칸국 동맹이 자국을 공격할 것이라는 두려움을 가지고 있었는데, 이는 원나라의 일 칸국 사절 아비슈카의 증언 때문이었다.[5] 중앙아시아를 여행하던 이 외교관은 차가타이 한국의 지휘관에게 그러한 동맹이 맺어졌고, 원나라와 일 칸국 군대가 한국을 공격하기 위해 동원되고 있다고 밝혔다. 아비슈카의 증언은 어떠한 증거로도 뒷받침되지 않았지만, 에센 부카는 그의 진술이 사실이라고 확신했다.[5]

1314년 에센 부카의 군대는 원나라 군대에게 두번 격퇴 당했다. 1315년에는 차가타이군이 원군과 교전하여 원나라의 킵차크 군인 총얼은 차가타이군에게 두 번의 승리를 거두고, 일리 계곡 동부의 테무르 카갈가(철문)로 진군했다.[6]

에센 부카는 원나라의 공격으로 영토가 감소하는 것을 두려워했고, 다우드 호자의 보복을 위해 일 칸국의 지배하에 있던 이란의 호라산 지방으로 침입을 결정했다.[7] 1315년에 케베크를 비롯한 왕족이 이끄는 군대는 호라산 지방의 일 칸국 군대를 격파하고 4개월 동안 약탈을 했다. 그러나 원나라의 재차 공격에 대비하여 원정군은 귀환해야 했고, 귀로에서 원정에 종군했던 왕족 야사울의 일 칸국 망명 계획이 발각되었다.[4] 1316년/1317년에 야사울과 그를 따르는 일파는 일 칸국으로 망명했지만, 이는 오히려 칸에게 반항적인 세력이 제거되어 중앙 권력 강화에 기여했다.[4]

에센 부카가 1318년에 사망하고 그의 형제 케베크가 다시 차가타이 한국의 왕위에 오른 후에야 이 지역에 평화가 다시 번성할 수 있었다.

2. 4. 죽음

1320년에 에센 부카는 사망했고, 그의 동생 케베크가 뒤를 이었다.[4]

3. 가계

에센부카 칸은 칭기즈 칸의 차남 차가타이 칸의 후손으로, 두와의 아들이자 케베크의 형제이다.[1][2]

에센부카 칸의 차가타이 칸국 칸위 계승
전임후임
케베크차가타이 칸국
1310년 – c. 1318년
케베크


3. 1. 바부르의 회상록

바부르의 회상록 19페이지 1장에는 유누스 칸의 계보가 다음과 같이 묘사되어 있다.[1]

유누스 칸은 칭기즈 칸의 차남인 차가타이 칸의 후손이다. 유누스 칸은 와이스 칸의 아들이고, 와이스 칸은 셰르-알리 아울론의 아들이며, 셰르-알리 아울론은 무함마드 칸의 아들이고, 무함마드 칸은 히지르 호자 칸의 아들이며, 히지르 호자 칸은 투글루크 티무르 칸의 아들이고, 투글루크 티무르 칸은 아이산 부가 칸의 아들이며, 아이산 부가 칸은 다와 칸의 아들이고, 다와 칸은 바라크 칸의 아들이며, 바라크 칸은 예순타와 칸의 아들이고, 예순타와 칸은 무투칸의 아들이며, 무투칸은 차가타이 칸의 아들이고, 차가타이 칸은 칭기즈 칸의 아들이다.

'''미르자 무함마드 하이다르 두글라트에 따른 압둘 카림 칸의 계보'''[2]
순서이름
1칭기즈 칸
2차가타이 칸
3무투칸
4예수 노토아
5기가스 웃 딘 바라크
6두와
7에센 부가 1세
8투글루크 티무르
9히지르 호자
10무함마드 칸 (모굴리스탄 칸)
11시르 알리 오글란
12우와이스 칸(와이스 칸)
13유누스 칸
14아마드 알라크
15술탄 사이드 칸
16압두라시드 칸
17압둘 카림 칸 (야르칸드)


3. 2. 미르자 무함마드 하이다르 두글라트

미르자 무함마드 하이다르 두글라트가 기록한 에센부카 칸의 가계는 다음과 같다.[2]

'''미르자 무함마드 하이다르 두글라트에 따른 압둘 카림 칸의 계보'''
123
칭기즈 칸투글루크 티무르술탄 사이드 칸
차가타이 칸히지르 호자압두라시드 칸
무투칸무함마드 칸 (모굴리스탄 칸)압둘 카림 칸 (야르칸드)
예수 노토아시르 알리 오글란
기가스 웃 딘 바라크우와이스 칸(와이스 칸)
두와유누스 칸
에센 부가 1세아마드 알라크


참조

[1] 서적 The Babur Nama in English
[2] 서적 The Tarikh-i-Rashidi: a history of the Moghuls of central Asia S. Low, Marston and co. 1895
[3] 서적 ティームール朝成立史の研究
[4] 간행물 「モンゴル帝国」と「チャガタイ・ハーン国」
[5] 서적 ティームール朝成立史の研究
[6] 서적 モンゴル帝国史
[7] 서적 ティームール朝成立史の研究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