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호라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호라산은 고대부터 이슬람 시대를 거쳐 근대에 이르기까지 여러 왕조의 지배를 받았던 이란 동부, 중앙아시아 일대의 역사적 지역이다. 고대에는 마르기아나가 있었고, 이란계 민족과 페르시아의 영향 아래 있었으며, 아랍 제국의 점령 이후 이슬람교를 받아들였다. 타히르 왕조, 사파르 왕조, 사만 왕조, 가즈나 왕조 등 이슬람화된 페르시아 왕조들이 이곳을 지배했으며, 셀주크 투르크, 호라즘 제국, 몽골 제국, 티무르 제국 등의 지배를 거쳤다. 16세기부터 사파비 왕조와 우즈베크족 간의 분쟁이 있었고, 아프샤르 왕조 시기에는 통합을 이루었으나, 두라니 왕조, 카자르 왕조, 러시아 제국 등으로 분할되었다. 현재는 이란, 아프가니스탄, 투르크메니스탄, 우즈베키스탄, 타지키스탄의 일부 지역을 포함한다. 호라산은 페르시아 문학의 발상지이자, 아비케나, 알콰리즈미 등 다양한 분야의 학자들을 배출하며 문화적으로 중요한 역할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호라산 - [지명]에 관한 문서
개요
이름호라산
로마자 표기Xorâsân
별칭(동쪽 땅)
유형지역
지리
위치현재의 이란 북동부, 투르크메니스탄 남부, 아프가니스탄 북부
설명역사적 지역은 북쪽으로 아무다리야에서 서쪽으로 카스피해까지, 남쪽으로 이란 중부 사막 가장자리에서 동쪽으로 아프가니스탄 중부의 힌두쿠시 산맥까지 뻗어 있었다. 아랍 지리학자들은 심지어 이 지역이 인도의 경계까지 확장되었다고 말했다.
범위초기 이슬람 시대에는 다슈트-에 카비르 (대사막) 동쪽의 모든 무슬림 지방을 포함했다. 중앙아시아 국경은 타클라마칸 사막과 파미르 고원이었고, 인도 국경은 힌두쿠시 산맥을 따라 인도 방향으로 놓여 있었다.
포함 국가아프가니스탄, 이란, 투르크메니스탄. 타지키스탄, 우즈베키스탄, 키르기스스탄, 카자흐스탄의 여러 지역도 포함된다.
인구 통계
민족이란 민족
호라산 민족
타지크족
쿠르만지 쿠르드족
호라산 터키족
하자라족
투르크멘족
발루치족
조로아스터교도
파슈툰족
역사
기원사산 제국 시대에 동부 지역을 지칭하는 용어로 사용됨.
카와드 1세 (488-496, 498/9-531 재위) 시기에 동부 지역의 중요성이 부각됨.
호스로 1세 (531-579 재위) 시대에 제국의 4개 구역 중 하나로 공식화됨.
어원페르시아어로 "태양이 떠오르는 곳", "동쪽"을 의미

2. 역사



호라산은 역사적으로 파르티아, 박트리아, 페르시아 등 이란계 민족들의 영역이었다. 아랍 제국에 점령되면서 이슬람교를 받아들였고, 이후 이슬람화된 페르시아인들은 타히르 왕조를 세웠다. 사파르 왕조, 사만 왕조, 가즈나 왕조도 이 지역을 차지했다.

사만 왕조 이후 호라산으로 온 페르시아인들은 타지크인이 되었고, 서돌궐 붕괴 후 서진했던 투르크족(카라 키타이)들도 이곳에 정착했다. 셀주크 투르크족들은 메르브에서 셀주크 제국을 세웠고, 여기서 갈라진 셀주크의 제후는 화레즘 제국을 세웠다. 몽골의 침략으로 쇠퇴했다가 티무르 제국 때 다시 부흥했다.

우즈베크인들의 히바 칸국, 부하라 칸국이 호라산 북부를 차지했고, 페르시아에서는 사파비 왕조가 흥기하여 현재의 이란 동부와 투르크메니스탄 남부를 차지하면서 호라산 지역은 이때부터 분단되기 시작했다. 아프간족 남부에서 일어난 호타키 왕조에 의해 사파비 왕조가 멸망했으나, 니샤푸르의 아프샤르 왕조가 부흥하면서 호라산 지역을 다시 통합했다.

아프샤르 왕조 멸망 후, 아프가니스탄에서는 두라니 왕조가 세워져 현재의 아프가니스탄 지역을 중심으로 독립했고, 페르시아에서는 카자르 왕조가 건국되어 현재의 투르크메니스탄 남부와 이란 동북부를 차지하였다. 그러나 러시아 제국의 남하 정책으로 1881년 아할 조약을 통해 아슈하바트 등 현재의 중앙아시아 국가는 러시아 제국의 영토가 되었고, 현재의 이란 북부 국경선이 형성되었다.

카자르 왕조가 무너지고 팔레비 왕조가 들어섰다가 이란 이슬람 혁명으로 팔레비 왕조가 물러나면서 현재 이란 이슬람 공화국이 호라산 동북부를 통치하고 있다.

아프가니스탄에서는 두라니 왕조 멸망 이후 토후국이 세워지다가 아프가니스탄 왕국이 되었지만 러시아와 영국의 침략과 간섭에 시달렸다. 1901년 양국 간섭에서 벗어났지만 1905년 영국의 보호국으로 전락되었다. 1919년 제3차 영국-아프가니스탄 전쟁에서 승리하여 독립을 인정받았다. 1973년 쿠데타로 왕국이 사라지고 아프가니스탄 공화국이 나타났다. 1978년 친소 공산주의 아프가니스탄 민주공화국이 들어섰고, 소련-아프가니스탄 전쟁으로 10년간 전쟁이 이어지고 소련의 위성국이 되었다. 전쟁 및 냉전 종식, 소련 붕괴의 영향으로 아프가니스탄에서는 공산주의 체제가 종식되었다. 1992년 아프가니스탄 이슬람국이 들어섰지만 탈레반 정권의 독재가 나타났으며, 북부 지방을 중심으로 북부동맹을 세워 탈레반에 저항했고, 2001년 미국의 도움으로 탈레반 정권을 종식시켰다.

히바 칸국부하라 칸국은 아프샤르 왕조에 잠시 점령되었으나 다시 페르시아로부터 벗어났고, 부하라 칸국은 부하라 토후국으로 바뀌었다. 1870년대부터 러시아 제국에 복속되었고 1867년 러시아가 호라산 점령지역을 포함시켜 러시아령 튀르케스탄을 건설한다. 러시아 혁명 이후 러시아 내전으로 혼란스러워지자 1916년 러시아령 튀르케스탄에서 바스마시 운동이 일어나 분리독립운동이 나타났다. 그러나 적백 내전에서 적군이 승리해 소비에트 연방이 설립된 이후 호라산은 소련 영토가 되었다. 1989년 혁명의 영향으로 소련이 해체되고, 우즈베키스탄, 투르크메니스탄, 타지키스탄으로 독립한다.

2. 1. 고대

고대에는 마르기아나가 있었고, 훗날 메르브가 된다. 메르브를 비롯하여 마슈하드, 투스, 니샤푸르, 헤라트, 발흐, 가즈니 등의 도시들과 지명들이 있다.

역사적으로 이란계 민족들 또는 파르티아, 박트리아, 페르시아의 영역이었다.[27] 사산 왕조 시대에 페르시아는 네 개의 지역으로 나뉘었는데, 그 중 동쪽 지역이 호라산이었다. 당시 호라산은 남쪽으로는 시스탄과 케르만, 서쪽으로는 현재 이란의 중앙 사막, 동쪽으로는 중국 및 인도와 국경을 맞닿고 있었다.[27]

사산 왕조 시대 호라산은 다시 니샤푸르, 마르브, 헤라트, 발흐의 네 개 지역으로 나뉘었고, 각 지역은 마르즈반이 통치하였다.[27] 동쪽의 호라산은 에프탈족과 충돌을 겪기도 했지만, 국경은 안정적으로 유지되었다.

20세기 초 호라산의 마단 마을(Madan-e Olya)의 초기 터키옥 광산


호라산 지역은 아라비아에서 멀리 떨어져 있었기 때문에 페르시아의 다른 지역보다 늦게 정복되었다. 마지막 사산 왕조의 페르시아 국왕 예즈드게르드 3세는 서부 지역에 대한 아랍의 침략 이후 왕좌를 호라산으로 옮겼다. 국왕이 암살된 후, 호라산은 647년 아랍 무슬림에 의해 정복되었고, 우마이야 칼리파의 속주가 되었다.[28]

2. 2. 중세

아랍 제국의 정복으로 이슬람교가 전파되었다. 이슬람화된 페르시아인들은 타히르 왕조를 세웠고, 그 후 사파르 왕조, 사만 왕조, 가즈나 왕조도 이 지역을 차지하게 된다.[30][31]

사만 왕조 이후 호라산으로 온 페르시아인들은 타지크인이 되고, 서돌궐 붕괴 이후 서진했던 투르크족(카라 키타이)들도 이곳에 이주하여 정착한다.

셀주크 투르크족들은 메르브에서 셀주크 제국을 세우고, 여기서 갈라진 셀주크의 제후는 화레즘 제국을 세웠다. 몽골의 침략으로 쇠퇴해지다가 티무르 제국 때 다시 부흥했다.[31]

2. 3. 근세

우즈베크인들의 히바 칸국, 부하라 칸국이 호라산 북부를 차지했고, 페르시아에서는 사파비 왕조가 흥기하여 현재의 이란 동부와 투르크메니스탄 남부를 차지하면서 호라산 지역은 이때부터 분단되기 시작했다.[34] 아프간족 남부에서 일어난 호타키 왕조에 의해 사파비 왕조가 쇠퇴하여 멸망했으나, 니샤푸르를 중심으로 아프샤르 왕조가 다시 부흥하면서 호라산 지역을 다시 통합했다.[35][36]

아프샤르 왕조 멸망 후, 아프가니스탄에서는 아프간족(파슈툰족)의 첫 왕조인 두라니 왕조가 세워져 현재의 아프가니스탄 지역을 중심으로 독립했고, 페르시아에서는 카자르 왕조가 건국되어 현재의 투르크메니스탄 남부와 이란 동북부를 차지하였다. 그러나 러시아 제국이 남하 정책을 펼치면서 1881년 아할 조약을 통해 아슈하바트 등 현재의 중앙아시아 국가는 러시아 제국의 영토가 되었고, 현재의 이란 북부 국경선이 형성되었다.[38]

2. 4. 현대

러시아 혁명 이후 러시아 제국러시아 내전으로 혼란스러워지자 1916년에 러시아령 튀르케스탄에서 바스마시 운동이 일어나면서 분리독립운동이 나타났다. 그러나 적백 내전에서 적군이 승리해 소비에트 연방이 설립된 이후 호라산은 소련 영토가 되었다. 1989년 혁명의 영향으로 소련이 해체되고, 우즈베키스탄, 투르크메니스탄, 타지키스탄으로 독립한다.

아프가니스탄에서는 두라니 왕조 멸망 이후 토후국이 세워지다가 아프가니스탄 왕국이 되었지만 러시아와 영국의 침략과 간섭에 시달렸다. 1901년에는 양국의 간섭을 벗어났지만 1905년 영국의 보호국으로 전락되었다. 1919년 제3차 영국-아프가니스탄 전쟁에서 승리한 이후 다시 독립을 인정받았다. 1973년에는 쿠데타로 왕국이 사라지고 아프가니스탄 공화국이 나타났다. 1978년 친소 성향의 공산주의 공화국인 아프가니스탄 민주공화국이 들어섰고, 소련-아프가니스탄 전쟁 때는 10년간의 전쟁이 이어지고 소련의 위성국이 되었다. 전쟁 종식 및 냉전 종식과 소련 붕괴의 영향으로 아프가니스탄에서는 공산주의 체제가 종식되었다. 1992년에는 아프가니스탄 이슬람국이 들어섰지만 탈레반 정권의 억압적 독재가 나타났으며, 북부 지방을 중심으로 북부동맹을 세워 탈레반에 반대하는 저항을 했고, 2001년 미국의 도움으로 탈레반 정권을 종식시켰다.

카자르 왕조가 무너지고 팔레비 왕조가 들어섰다가 이란 이슬람 혁명으로 팔레비 왕조가 물러나면서 현재 이란 이슬람 공화국이 호라산 동북부를 통치하고 있다.

3. 지리

6세기 사산 왕조는 호라산을 4개의 행정(군사) 구역 중 하나로 처음 설립했으며,[22] 이 지역의 범위는 거의 1,500년의 역사 동안 상당히 변화했다. 초기 사산 왕조의 호라산 지역은 제국 동북부의 군사적 확장 지역을 포함했으며, 전성기에는 니샤푸르, 헤라트, 메르브, 파리아브, 탈로칸, 발흐, 부하라, 바드기스, 아비바르드, 가르지스탄, 투스, 사라크스 등의 도시가 포함되었다.[5]

우마이야 칼리파의 등장과 함께 이 명칭은 계승되었고, 동쪽으로의 군사적 확장 지역만큼이나 넓어졌다. 니샤푸르메르브의 군사 시설을 시작으로 점차 동쪽으로 토하리스탄과 소그디아나로 확장되었다. 칼리파 통치하에 호라산은 그들의 지배하에 있는 세 개의 정치 구역 중 하나의 이름이었다(다른 두 구역은 ''에라크-에 아랍'' "아랍 이라크"와 ''에라크-에 아잠'' "비아랍 이라크 또는 페르시아 이라크"). 우마이야와 압바스 칼리파 통치하에 호라산은 네 개의 주요 구역(rub′)으로 나뉘었으며, 각 구역은 니샤푸르, 메르브, 헤라트, 발흐의 주요 도시 하나를 기반으로 했다.[23] 10세기에는 이븐 호르다드베와 후두드 알-알람이 이전의 아바르샤르, 토하리스탄, 소그디아나 지역을 ''호라산'' 자체로 언급하고 있다. 또한 힌두쿠시 남부 지역, 즉 시스탄, 룩크후드, 자불리สถาน, 카불 등의 지역이 호라산과 힌두스탄 사이의 국경 지역인 ''호라산'' ''국경지대''를 구성한다고 보고하고 있다.[27][21][4]

에마누엘 보웬이 그린 페르시아 지도. 페르시아 사파비 왕조와 인도의 무굴 제국 시대(약 1500~1747년)의 영토 이름을 보여준다.


중세 후기에는 서쪽에서 이 용어는 현대 이란의 투르크-페르시아 왕조들 사이에서 다슈트-에 카비르 사막의 동쪽과 북동쪽에 있는 모든 영토에 느슨하게 적용되는 것 외에는 행정적 중요성을 잃었다. 따라서 제국의 크기가 변함에 따라 끊임없이 변화했다. 동쪽에서는 ''호라산''이 중앙아시아의 대도시들과 관련된 용어가 되었다.

현대에 이 용어는 특히 중앙아시아의 타지크족 사이에서 큰 향수와 민족주의의 원천이 되었다. 많은 타지크족은 호라산을 자신들의 국가 정체성의 필수적인 부분으로 여기며, 이 지역에서 정치적 용도가 사라졌음에도 불구하고 일반적인 논의와 학계 모두에서 그 의미와 문화적 중요성을 포함하여 이 용어에 대한 관심을 유지해 왔다.[25]

아프가니스탄 역사가 굴람 모하마드 고바르(1897~1978)에 따르면, 아프가니스탄의 현재 페르시아어 사용 지역이 호라산의 주요 부분을 형성했다.[26] 호라산의 4개 주요 수도 중 2개(헤라트와 발흐)가 현재 아프가니스탄에 위치하기 때문이다. 고바르는 그의 책에서 호라산의 엄격한 의미에서의 용법과 느슨한 의미에서의 용법을 구분하기 위해 ''"진정한 호라산"''과 "''비진정한 호라산"''이라는 용어를 사용한다. 그에 따르면, 진정한 호라산은 동쪽의 발흐, 북쪽의 메르브, 남쪽의 시스탄, 서쪽의 니샤푸르, 중앙의 헤라트("호라산의 진주"로 알려짐) 사이에 있는 지역을 포함했다. 비진정한 호라산의 경계는 동쪽의 하자라자트와 카불, 남쪽의 발루치스탄, 북쪽의 트란스옥시아나와 호라즘, 서쪽의 담가한과 고르간까지 확장되었다.[26]

750년 칼리파 시대의 영토 이름


10세기 근동 지도(1886년 제작). 지발 주 동쪽에 호라산이 표시되어 있다.


사산조 시대, 아마도 호스로 1세 치세에 페르시아는 네 개의 지역(중페르시아어로 ''kust''라 함)으로 나뉘었는데, 서쪽에는 쿠르바란, 북쪽에는 아팍타르, 남쪽에는 니므루즈, 동쪽에는 호라산이었다. 사산 왕조의 영토는 이슬람 정복까지 거의 안정적으로 유지되었으므로, 사산조 시대 호라산은 남쪽으로는 시스탄과 케르만, 서쪽으로는 현재 이란의 중앙 사막, 동쪽으로는 중국과 인도와 국경을 맞대고 있었던 것으로 추정된다.[27]

사산조 시대 호라산은 다시 네 개의 작은 지역으로 나뉘었고, 각 지역은 마르즈반이 통치하였다. 이 네 개의 지역은 니샤푸르, 마르브, 헤라트, 발흐였다.[27]

동쪽의 호라산은 이 지역의 새로운 지배자가 된 에프탈족과 일부 충돌을 겪었지만, 국경은 안정적으로 유지되었다. 사산 왕조의 동부 지역이자 아라비아에서 더 멀리 떨어져 있었던 호라산 지역은 페르시아의 다른 지역보다 늦게 정복되었다. 마지막 사산 왕조의 페르시아 국왕 예즈드게르드 3세는 서부 지역에 대한 아랍의 침략 이후 왕좌를 호라산으로 옮겼다. 국왕이 암살된 후, 호라산은 647년 아랍 무슬림에 의해 정복되었다. 페르시아의 다른 주들과 마찬가지로 우마이야 칼리파의 속주가 되었다.[28]

4. 문화적 중요성

호라산은 대이란 지역에서 뛰어난 문화적 중요성을 지닌 곳이었다. 문학적 신페르시아어는 호라산과 트란스옥시아나에서 발전하여 점차 파르티아어를 대체하였다.[39] 신페르시아 문학은 호라산과 트란스옥시아나에서 발생하여 번영하였는데,[40] 타히르 왕조, 사마니드 왕조, 사파르 왕조와 같은 초기 이란 왕조들이 이 지역을 기반으로 하였다.

13세기 파괴적인 몽골 침략 이전까지, 호라산은 페르시아의 문화 수도로 남아 있었다.[41] 이 지역에서는 아비케나, 알파라비, 알비루니, 오마르 카이얌, 알콰리즈미, 아부 마샤르 알 발키(서구에서는 알부마사르 또는 알부크사르로 알려짐), 알프라가누스, 아부 와파, 나시르 앗딘 앗투시, 샤라프 알딘 알투시 등 수학, 천문학, 의학, 물리학, 지리학, 지질학 등 다양한 분야에 중요한 공헌으로 널리 알려진 많은 과학자들을 배출하였다.[42]

호라산 전역에는 많은 고고학 유적지가 있지만, 이러한 발굴 조사 중 상당수는 불법이거나 이익 추구만을 목적으로 이루어져 많은 유적지가 기록이나 문서화 없이 남아 있다.[43]

참조

[1] 문서 Sistan and Khorasan Travelogue Page 48
[2] 서적 Commentary on Safarnâma-e Nâsir Khusraw Zavvâr 1375
[3] 백과사전 Khorasan https://www.britanni[...] 2010-10-21
[4] 서적 Continuity and Change in Medieval Persia: Aspects of Administrative, Economic and Social History, 11th–14th Century Bibliotheca Persica
[5] 서적 Encyclopedia of Islam, Vol. 5, Khe – Mahi Brill [u.a.] 1986
[6] 간행물 Khorasan: The Eastern Province of Persia 1914
[7] 웹사이트 Nāmé Xorāsān http://www.ilssw.com[...]
[8] 웹사이트 Khorāsān https://www.britanni[...] Encyclopædia Britannica, Inc. 2018-12-08
[9] 서적 A History of Inner Asia Cambridge University Press
[10] 웹사이트 Central Asia iv. In the Islamic Period up to the Mongols http://www.iranicaon[...]
[11] 웹사이트 Mā Warāʾ Al-Nahr http://www.iranicaon[...]
[12] 간행물 Miirosan to Khurasan: Huns, Alkhans, and the Creation of East Iran https://www.academia[...] 2019-01-01
[13] 논문 Selected Features of Bactrian Grammar University of Göttingen
[14] 웹사이트 Bactrian Language
[15] 간행물 Geographical Factors in Persian Art 1938
[16] 백과사전 Kawād I i. Reign http://www.iranicaon[...]
[17] 간행물 Miirosan to Khurasan: Huns, Alkhans, and the Creation of East Iran https://www.academia[...] 2019-01-01
[18] 서적 ReOrienting the Sasanians: East Iran in Late Antiquity https://books.google[...] Edinburgh University Press 2017-03-15
[19] 서적 Coinage of the Iranian Huns and their Successors from Bactria to Ganhara (4th to 8th century CE) https://www.academia[...] 2014
[20] 간행물 A Fifth Journey in Persia (Continued) 1906
[21] 서적 Hudud al-'Alam, The Regions of the World: A Persian Geography, 372 A.H. – 982 A.D. Oxford UP
[22] 서적 Reorienting the Sassanians: East Iran in Late Antiquity Edinburgh University Press
[23] 웹사이트 Lughat Nameh DehKhoda http://www.loghatnaa[...]
[24] 웹사이트 Events of the Year 910 http://persian.packh[...] Packard Humanities Institute 2010-08-22
[25] 서적 Хуросон аст инҷо / Khurāsān ast īn jā Dushanbe, Tehran: Fartāb
[26] 서적 Khorasan Kabul Printing House
[27] 웹사이트 Khurasan http://www.cgie.org.[...] CGIE 2017-03-09
[28] 서적 The Muslim Conquest of Persia
[29] 서적 The new encyclopedia of Islam https://books.google[...] Rowman & Littlefield
[30] 서적 Greater Khorasan History, Geography, Archaeology and Material Culture https://www.degruyte[...] De Gruyter 2020-01-22
[31] 서적 Cambridge History of Iran, Vol. V, Ch. 4, "Dynastic and Political History of the Il-Khans" https://archive.org/[...] Cambridge University Press
[32] 서적 The Muslim Conquest of Persia
[33]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Islam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34] 서적 The Islamic World Routledge
[35] 백과사전 Last Afghan empire https://www.britanni[...] 2010-09-24
[36] 서적 The Sword of Persia: Nader Shah, from Tribal Warrior to Conquering Tyrant https://books.google[...] I.B. Tauris 2010-09-27
[37]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Iran (Vol. 7): From Nadir Shah to the Islamic Republic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1-10-10
[38] 서적 The Bear and the Lion: Soviet Imperialism and Iran Praeger 1988
[39] 웹사이트 DARĪ – Encyclopaedia Iranica http://www.iranicaon[...] 2018-06-13
[40] 간행물 Dari
[41]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Iran, Хорасан. Территория искусства
[42] 서적 Lost Enlightenment. Central Asia's golden age from the Arab conquest to Tamerlane Princeton University Press
[43] 간행물 Islamic Archaeology Springer, New York, NY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