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르가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페르가나는 우즈베키스탄의 도시로, 고대부터 다양한 문화가 교차하며 역사를 이어왔다. 기원전에는 그리스-박트리아 왕국이 존재했고, 이후 돌궐, 압바스 왕조 등의 지배를 받았다. 페르가나 주는 우즈베키스탄의 고대 문화 중심지 중 하나로, 구석기 시대 유적부터 청동기 시대 유물까지 다양한 유물이 발견되었다. 조로아스터교의 발상지 중 하나로 여겨지며, 명마의 산지로도 유명했다. 19세기에는 러시아 제국에 점령되어 '스코벨레프'로 불리다가, 소비에트 연방 시기 '페르가나'로 개명되었다. 현재는 우즈베키스탄의 주요 도시 중 하나로, 석유 정제 산업이 발달했으며, 다양한 문화 유적과 스포츠 시설을 갖추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페르가나주 - 코칸트
코칸트는 우즈베키스탄 페르가나 계곡의 역사적인 도시로서 실크로드 무역 중심지였으며, 코칸트 칸국의 수도였으나 러시아 제국에 점령되었고, 현재는 역사적 건축물과 문화 유산을 보유한 교육 및 문화 중심지이다. - 서역 - 대당서역기
대당서역기는 당나라 승려 현장이 인도를 여행하고 돌아와 기록한 기행문으로, 중앙아시아와 인도 아대륙의 여러 국가들의 지리, 문화, 종교, 풍습 등을 기록하여 역사학, 고고학, 불교학 연구의 중요한 자료로 활용되고 서유기의 모티브가 되기도 하였다. - 서역 - 위구르 카간국
위구르 카간국은 744년부터 840년까지 몽골 고원을 지배한 튀르크계 유목 제국으로, 동돌궐을 멸망시키고 건국되었으며 당나라와 우호 관계를 유지, 마니교를 국교로 삼아 번성했으나 키르기스족의 침입으로 멸망하여 일부는 서쪽으로 이동했다. - 우즈베키스탄의 도시 - 나보이
나보이는 우즈베키스탄 나보이주에 위치한 도시로 알리셰르 나보이의 이름을 따 명명되었으며, 실크로드의 중요한 지점이었고, 나보이광산제련콤비나트와 나보이아조트 같은 산업 시설과 자유산업경제구역, 역사 유적지, 국제공항, 철도 역 등을 갖춘, 2024년 기준 약 161,300명이 거주하는 도시다. - 우즈베키스탄의 도시 - 나망간
나망간은 우즈베키스탄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로, 소금 광산 마을에서 시작되어 페르가나 계곡의 중심지로 발전, 여러 왕조와 제국을 거치며 면화 산업과 공업이 발전했고, 독립 후 이슬람 부흥주의 중심지로 부상했으며, 역사·문화 유적과 교육기관을 보유하고 있다.
페르가나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 | |
공식 명칭 | 페르가나 |
로마자 표기 | Fargʻona |
키릴 문자 표기 | Фарғона |
페르시아어 표기 | فرغانه |
설립 | 1876년 |
시장 | Vosiljon Nazarov |
면적 | 95.6km² |
해발고도 | 590m |
시간대 | UTC+5 |
우편번호 | 150100-150120 |
지역 번호 | (+998) 73 |
웹사이트 | 페르가나 공식 웹사이트 |
행정 구역 | |
국가 | 우즈베키스탄 |
주 | 페르가나 주 |
구 | 페르가나 구 |
인구 | |
2022년 | 299,200명 |
2012년 | 167,367명 |
인구 밀도 | auto |
추가 이미지 | |
![]() | |
![]() | |
![]() | |
![]() |
2. 역사
페르가나 지역은 중앙아시아의 유서 깊은 곳으로, 페르가나 계곡의 풍요로운 자연환경을 바탕으로 선사 시대부터 인류가 정착하여 문화를 발전시켜 왔다. 고대에는 그리스-박트리아 왕국과 같은 여러 세력의 영향을 받았으며, 실크로드의 중요한 거점으로서 동서 문화 교류에 기여했다. 특히 한나라 시대에는 명마 산지로 유명하여 '대완(大宛)'으로 알려지기도 했다.
중세 시기에는 튀르크계 민족의 유입과 이슬람의 전파를 겪으며 문화적 변화를 맞이했다. 사마니드 왕조, 카라한 왕조, 몽골 제국, 티무르 제국 등 여러 왕조의 지배를 거치면서 중앙아시아 역사의 중심 무대 중 하나가 되었다. 무굴 제국의 창시자 바부르가 이 지역 출신이라는 점은 페르가나의 역사적 중요성을 보여준다. 16세기 이후 우즈베크인의 정착은 오늘날 이 지역 민족 구성의 기반이 되었다.
근대에는 코칸트 칸국의 지배를 받다가 19세기 후반 러시아 제국에 편입되었다. 러시아 통치 하에서 근대적 도시 개발이 이루어졌으며, 이후 소비에트 연방 시대를 거치면서 사회주의 체제 하의 변화를 경험했다. 이러한 오랜 역사를 거치며 페르가나는 다양한 문화와 민족이 공존하는 중앙아시아의 중요한 도시로 자리매김하였다.
2. 1. 고대와 중세
페르가나주는 우즈베키스탄의 고대 문화 중심지 중 하나이다. 이 지역에서 발견된 구석기 시대 유적과 암각화는 선사 시대부터 석기가 사용되었음을 보여준다. 고고학적 증거에 따르면 구리석기 시대(Chalcolithic period)부터 도시가 형성되어 사람이 거주했으며, 대페르가나 운하 발굴 과정에서는 청동기 시대, 노예 제도, 토지 소유권 관련 유적이 발견되기도 했다. 페르가나 계곡에서는 정착 농업과 목축에 종사했던 추스트 문화 유적이 발견되어 이 지역 연구에 중요한 자료가 되고 있다. 이는 페르가나 지역에 오랫동안 사냥, 농업, 목축을 하는 사람들이 거주했으며, 사회의 후기 단계에서 문화가 발전했음을 시사한다.기원전 고대 시기에는 그리스-박트리아 왕국이 존재했으며, 코카서스계 아리아인(Aryans)의 국가가 성립되었다. 또한 이란계 유목민인 소그드인과 스키타이인들이 거주했다. 월지국 시대에는 불교가 유행하여 동아시아에 불교가 전파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예로부터 풍요로운 땅으로 알려졌다. 페르가나는 조로아스터교의 발상지 중 하나로 여겨지기도 한다.
페르가나 분지는 예로부터 좋은 말, 특히 천마(天馬)라 불리는 명마의 산지로 유명했다. 한나라의 한 무제는 이 명마를 얻기 위해 이곳을 정복하기도 했다. 한나라 시대에는 페르가나를 한자로 '대완(大宛)'이라고 불렀다. 일부 기록에는 대완국이라는 아리아계 국가가 있었다고 나오지만, 실제 존재 여부는 불확실하며, 학자들은 기록상의 대완국이 페르가나 지역이 아닌 더 동쪽에 있었을 것으로 보기도 한다. 서진 시대 이후로는 페르가나의 소리를 따 '파락나(破洛那)'라는 이름이 사용되기 시작했다.
페르가나라는 이름이 문헌 기록에 처음 등장하는 것은 5세기이다. 쿠바 마을에서는 기원전 5세기와 초기 중세 시대의 유물이 발견되었다. 6세기와 7세기에는 다른 많은 중앙아시아 지역과 마찬가지로 서투르크 칸국의 지배를 받았다. 당시 주민의 다수는 동이란계 민족이었지만, 많은 튀르크인들도 정착하기 시작했다. 7세기부터는 돌궐의 카라한 왕조가 이 지역에 영향을 미쳤다.
8세기에는 아랍 제국에 정복되어 압바스 왕조의 지배하에 들어가면서 이슬람 문화가 전파되기 시작했다. 이후 사마니드 왕조가 압바스 왕조의 종주권 아래 중앙아시아 지배를 확립하자 페르가나는 사마니드 왕조의 영토가 되었고, 이곳의 병사들이 칼리프에게 보내지기도 했다. 10세기부터 11세기까지의 역사 자료에 따르면, 페르가나는 악시카트 다음으로 계곡에서 가장 크고 번영한 도시였다. 고고학적 자료에 따르면 마르길란은 10세기에 큰 마을이었으나 11세기와 12세기에는 작은 마을의 모습을 갖추었다.
페르가나 지방은 카슈가르에서 중앙아시아로 이어지는 중요한 길목이었기 때문에, 카라한 왕조, 서요, 몽골 제국 등이 차례로 이 지역을 통과하며 지배했다. 티무르 제국 시대에는 티무르의 아들인 미란 샤의 일족에게 영토가 주어졌다. 무굴 제국의 창건자인 바부르는 티무르의 5대손으로 바로 이 페르가나 출신이다.
16세기에는 샤이바니 왕조가 남하하여 중앙아시아에 침입하면서 티무르 제국을 멸망시켰다. 이 과정에서 우즈베크인들이 이 지역에 정착하게 되어 현재의 민족 구성의 기초가 형성되었다. 이후 18세기에는 코칸트 칸국이 이 지역을 지배했다.
2. 2. 러시아 제국과 소비에트 연방 시대

1875년, 러시아 제국은 코칸트 칸국을 점령하고 페르가나 지역을 병합하여 페르가나주를 설치하였다. 1876년, 러시아는 마르길란 북서쪽 약 21.7km 지점에 새로운 주둔지 도시이자 식민지 부속 도시를 건설하고 '신 마르길란'이라는 의미의 '''Новый Маргелан|노비 마르겔란ru'''이라고 명명했다. 이후 이 도시는 군사 도시로 발전했으며, 1907년에는 페르가나 계곡의 첫 러시아 군사 총독이었던 미하일 스코벨레프의 이름을 따서 '''Скобелев|스코벨레프ru'''로 개명되었다.
제1차 세계 대전 당시 스코벨레프에는 독일과 오스트리아-헝가리군 포로를 수용하는 러시아 제국의 포로 수용소가 있었으며, 특히 폴란드 출신 징집병들이 많았다. 이들 중 상당수가 티푸스로 사망하기도 했다.[4]
러시아 혁명 이후 볼셰비키 군대가 이 지역을 장악하고 바스마치 운동과 같은 지역 저항 세력을 진압한 뒤, 1924년 소비에트 연방은 도시의 이름을 이 지역의 중심지였던 주의 이름을 따서 현재의 '''페르가나'''로 다시 변경하였다.[3]
소비에트 시대에 페르가나의 산업 기반이 본격적으로 발전하기 시작했다. 섬유 제조업과 질산 비료 공장 등이 들어섰으며, 특히 제2차 세계 대전 중 소련의 대피 정책으로 인해 일부 산업 시설이 이전해 오면서 산업 발달이 가속화되었다.[11]
페르가나는 1908년 도시 인근에 지역 최초의 정유소가 건설된 이래 페르가나 계곡의 석유 생산 중심지로 부상했다. 이후 더 많은 정유소가 추가되어 우즈베키스탄의 주요 정유 중심지 중 하나가 되었다. 서부 우즈베키스탄에서 생산된 천연가스는 파이프라인을 통해 페르가나 계곡으로 운송되어 비료 제조 등에 활용된다. 또한, 1930년대에 대규모 인력을 동원하여 거의 수작업으로 건설된 대페르가나 운하가 1939년에 완공되어 도시 북부를 지나게 되었다. 이 운하 건설 당시 저명한 사진작가 맥스 펜슨이 관련 사진을 많이 남겼다. 현대에 들어 서방의 자금 지원을 통해 페르가나는 노후된 정유소를 현대화하고 대기 오염[5] 배출량을 줄이기 위한 노력을 진행하고 있다.
이 시기를 거치며 페르가나 지역의 주민 구성에도 변화가 있었는데, 전통적으로 사르트인으로 불리던 이들은 인종적으로 우즈베크계와 타지크계로 나뉘어 현재에 이르고 있다.
2. 3. 독립 이후
러시아 혁명에서 볼셰비키군이 이 지역을 점령한 후, 1924년에 도시 이름은 주의 이름을 따서 '''페르가나'''로 개명되었다.[3]페르가나의 산업 기반은 20세기에 발전하였다. 주요 산업으로는 섬유 제조업과 질산 비료 공장이 있으며, 일부 산업 개발은 제2차 세계 대전 중 소련의 대피의 결과이기도 했다.[11]
페르가나는 1908년 도시 근처에 이 지역 최초의 정유소가 건설된 이후 페르가나 계곡의 석유 생산 중심지가 되었다. 이후 더 많은 정유소가 추가되었고, 페르가나는 우즈베키스탄의 중요한 정유 중심지 중 하나로 자리 잡았다. 서부 우즈베키스탄의 천연가스는 파이프라인을 통해 계곡으로 수송되어 비료를 제조하는 데 사용된다. 서방의 자금 지원으로 페르가나는 정유소를 현대화하고 대기 오염[5] 배출량을 줄이기 위한 노력을 하고 있다.
1930년대에 거의 전적으로 수작업으로 건설된 대페르가나 운하는 도시 북부를 통과하며 1939년에 완공되었다. 건설 당시 운하와 도시는 저명한 사진작가 맥스 펜슨에 의해 널리 사진으로 기록되었다.
페르가나에 거주하는 주민들은 사르트인이라고도 불리며, 인종적으로는 우즈베크계와 타지크계로 나뉜다.
3. 기후
페르가나는 쾨펜 기후 구분에 따르면 냉량 건조 기후(BWk)를 나타낸다.[18][19] 대륙성 기후의 특징을 보이며, 겨울은 춥고 짧고 여름은 덥다. 1월 평균 최저 기온은 -2.6°C, 평균 최고 기온은 4.8°C이다. 7월 평균 최저 기온은 20.6°C, 평균 최고 기온은 35.1°C이다. 겨울에는 기온이 영하로 자주 내려가 추우며, 때때로 -15°C 이하로 떨어지기도 한다.
연평균 강수량은 190mm 정도로 적으며, 주로 겨울과 봄에 집중된다. 40°C를 넘는 페르가나 분지 주변 지역에 비해, 페르가나는 해발 590m 고도에 위치하여 더위가 다소 완화되는 경향이 있다.[18][19]
월 |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연간 |
---|---|---|---|---|---|---|---|---|---|---|---|---|---|
역대 최고 기온(°C) | 16.3°C | 23.1°C | 29°C | 34.4°C | 39.2°C | 41.3°C | 42.2°C | 41.4°C | 37.1°C | 32.6°C | 29°C | 17.6°C | 42.2°C |
평균 최고 기온(°C) | 4.8°C | 8°C | 15.4°C | 22.5°C | 28.1°C | 33.2°C | 35.1°C | 33.9°C | 29.2°C | 21.4°C | 12.9°C | 6.3°C | 20.9°C |
일평균 기온(°C) | 0.5°C | 3.2°C | 9.9°C | 16.3°C | 21.4°C | 25.9°C | 27.8°C | 26.3°C | 21.2°C | 14.1°C | 7.1°C | 1.9°C | 14.6°C |
평균 최저 기온(°C) | -2.6°C | -0.5°C | 5.3°C | 10.6°C | 15°C | 18.7°C | 20.6°C | 19.1°C | 14.3°C | 8.4°C | 2.8°C | -1.2°C | 9.2°C |
역대 최저 기온(°C) | -25.8°C | -25.5°C | -17.9°C | -4.8°C | 1.2°C | 7.4°C | 10.1°C | 7.8°C | 0.5°C | -7.4°C | -22.8°C | -27°C | -27°C |
평균 강수량(mm) | 16mm | 22mm | 25mm | 23mm | 22mm | 14mm | 5mm | 4mm | 4mm | 14mm | 19mm | 22mm | 190mm |
평균 강수일수 (≥ 0.1 mm) | 4 | 7 | 10 | 10 | 13 | 10 | 8 | 5 | 4 | 6 | 7 | 6 | 90 |
평균 강설일수 | 7 | 5 | 1 | 0.1 | 0.03 | 0.03 | 0.03 | 0 | 0 | 0.3 | 1 | 5 | 19 |
평균 상대 습도(%) | 81 | 76 | 67 | 61 | 56 | 48 | 48 | 52 | 56 | 66 | 74 | 82 | 64 |
월평균 일조시간 | 90.0 | 105.3 | 162.3 | 214.6 | 269.9 | 314.3 | 340.4 | 315.6 | 276.2 | 206.5 | 128.4 | 89.7 | 2,513.2 |
출처 1: Pogoda.ru.net (평년값: 1991년~2020년, 극값: 1881년~현재)[18] | |||||||||||||
출처 2: 미국 해양대기청[19] |
4. 인구
페르가나 시는 건설 초기에는 주로 러시아어 사용자들이 거주했다. 1911년 당시 인구는 11,892명이었으며, 이 중 러시아인이 7,534명으로 전체의 63%를 차지했고, 사르트인은 2,590명(22%)이었다.[9] 1926년 인구 조사에서는 도시 인구가 14,275명으로 증가했으며, 민족 구성은 러시아인 7,942명(55%), 우크라이나인 667명(4.6%), 유대인 514명(3.6%) 순이었고, 우즈베키스탄인은 3,011명으로 21.0%에 불과했다.[10]
시간이 흐르면서 민족 구성에 큰 변화가 나타났다. 2013년 기준 페르가나의 인구는 350,600명이었으며, 이 중 우즈베크인이 316,268명으로 90.0%를 차지하여 사실상 단일민족 도시에 가까워졌다.
이 외에도 아제르바이잔인, 아르메니아인, 유대인, 독일인 등 다양한 민족이 거주하고 있다.
2014년 1월 1일 기준으로 도시 인구는 340,600명으로 집계되었으며[8], 이는 페르가나 계곡에서 세 번째로 인구가 많은 도시이다. 최근 인구 변화는 다음과 같다.
2024년 기준으로 우즈베크인이 가장 큰 민족 집단을 이루고 있으며, 러시아어를 사용하는 인구는 전체 도시 인구의 약 25%를 차지하는 것으로 추정된다.[11]
5. 교통
시 외곽에는 페르가나 국제공항이 있다. 이 공항에서는 매일 타슈켄트로 가는 국내선이 운항하며, 카잔, 누쿠스, 모스크바, 상트페테르부르크 등으로 가는 노선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코칸트와 안디잔으로 향하는 우즈베키스탄 철도 역이 있다.
6. 문화
페르가나의 문화는 러시아 제국과 소련 시대의 영향을 받아 형성된 독특한 특징을 보인다. 도시의 건축 양식과 다민족적 구성은 이러한 역사적 배경을 반영한다. 또한, 지역의 역사와 예술을 접할 수 있는 다양한 문화 시설들이 자리 잡고 있다.
6. 1. 건축
페르가나의 도시 경관은 넓고 나무가 늘어선 대로와 19세기 러시아 제국풍 건축물로 특징지어진다. 특히 푸른색을 많이 사용하고 질서정연하게 구획된 거리는 근대 이전, 지진을 겪기 전 타슈켄트의 모습과 유사하다고 알려져 있다.[12] 이러한 건축적 특징과 더불어, 페르가나 계곡의 다른 도시에 비해 러시아인, 고려인, 타타르인의 거주 비율이 높아 다민족적인 분위기를 형성한다. 거리에서 러시아어가 자주 들리는 등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연방 시절의 영향이 남아 있어, 우즈베키스탄 내 다른 도시와는 구별되는 독특한 분위기를 느낄 수 있다.[12]6. 2. 주요 명소
7. 스포츠
우즈베키스탄 독립 이후 우즈베크 스포츠는 꾸준히 발전하고 있으며, 전국적으로 인기를 얻고 있다. 특히 페르가나주에서는 최근 몇 년간 다양한 종목에서 세계 및 아시아 챔피언들이 배출되었는데, 이는 체육과 스포츠에 대한 페르가나 주민들, 특히 청소년들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음을 보여준다.
스포츠 인프라도 크게 확충되었다. 1991년 페르가나주에는 경기장이 17개에 불과했지만, 현재는 축구장 46,759개와 현대식 테니스장 33개를 보유하고 있다. 페르가나에는 이스티클롤 테니스 콤플렉스, 키묘가르 콤플렉스, 수영장, 이스티클롤 경기장 등 국제 기준을 충족하는 여러 스포츠 시설이 건설되었다.
페르가나를 연고지로 하는 주요 축구팀은 다음과 같다.
- 네프치 페르가나 FC (FC Neftchi Fergana)
- 이스티끌롤 페르가나 FK (FK Istiqlol Fergana)
이 중 네프치 페르가나는 우즈베키스탄 최상위 축구 리그인 우즈베키스탄 슈퍼리그에 소속되어 있다.
8. 산업
페르가나의 산업은 20세기에 들어 본격적으로 발전하기 시작했다. 주요 산업으로는 섬유 제조업과 질산 비료 공장이 있다.[11] 제2차 세계 대전 중 소련의 대피의 결과로 일부 산업 시설이 이전해 오면서 산업 발전에 영향을 미치기도 했다.[11]
1908년 페르가나 인근에 지역 최초의 정유소가 세워지면서, 이 도시는 페르가나 계곡의 석유 생산 중심지로 떠올랐다. 이후 여러 정유소가 추가로 건설되어, 페르가나는 우즈베키스탄에서 가장 중요한 정유 산업 중심지 중 하나가 되었다. 우즈베키스탄 서부에서 생산된 천연가스는 파이프라인을 통해 페르가나 계곡으로 운반되어 비료 생산에 사용된다.
1930년대에는 주로 사람의 힘으로 대페르가나 운하가 건설되었는데, 이 운하는 도시 북부를 지나며 1939년에 완공되었다. 운하 건설 과정과 당시 도시 모습은 유명 사진작가 Max Penson|맥스 펜슨영어에 의해 사진으로 기록되었다. 서방 국가들의 자금 지원을 통해 정유 시설을 현대화하고 대기 오염 배출량을 줄이기 위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5][17]
9. 저명한 출신 인물
- 샴샤드 압둘라예프 — 소비에트 연방 및 소비에트 연방 붕괴 이후 우즈베키스탄의 남성 작가이자 시인
- 아나스타시야 미로슈니첸코 — 여성 기계체조 선수
- 후도이베르디 톡타보예프 — 소비에트 연방 및 소비에트 연방 붕괴 이후 우즈베키스탄의 남성 작가
- 지로앗 미르지요예바 — 우즈베키스탄의 영부인
- 피터 미하일로비치 쿨라코프 — 제칠일안식교 소속으로, 소비에트 연방 및 소비에트 연방 붕괴 이후 우즈베키스탄에서 활동한 남성 텔레비전 복음 전도자
- 이다 메이린 — 우즈베키스탄-이스라엘 출신 올림픽 리듬체조 선수
- 야드가르 나스리디노바 — 소비에트 연방 시대 우즈베키스탄의 여성 기술자이자 소비에트 연방 최고회의 의원
- 압둘라 카호르 — 소비에트 연방 시대 우즈베키스탄 작가
- 함자 하킴자데 니야지 — 러시아 제국 및 소비에트 연방 시대의 시인이자 극작가
- 사이다 미르지요예바 — 정치인, 우즈베키스탄 대통령의 장녀
- 푸르카트 — 러시아 제국 시대 시인, 중화인민공화국 신장 위구르 자치구로 유배됨
참조
[1]
PDF
Hududlar bo'yicha shahar va qishloq aholisi soni
https://www.farstat.[...]
Fergana regional department of statistics
[2]
웹사이트
Classification system of territorial units of the Republic of Uzbekistan
https://stat.uz/uplo[...]
The State Committee of the Republic of Uzbekistan on statistics
2020-07-01
[3]
서적
Placenames of the World: Origins and Meanings of the Names for Over 5000 Natural Features, Countries, Capitals, Territories, Cities and Historical Sites
McFarland
1997
[4]
논문
Pomoc Polakom – jeńcom w Imperium Rosyjskim w okresie I wojny światowej
[5]
웹사이트
Uzbekistan's Fergana Refinery is upgraded with EBRD finance 1997
http://www.ebrd.com/[...]
[6]
웹사이트
http://www.pogodaikl[...]
Pogoda.ru.net
2015-01-04
[7]
웹사이트
Climate Normals for Fergana
https://www.nodc.noa[...]
National Oceanic and Atmospheric Administration
2023-11-01
[8]
이미지
https://web.archive.[...]
2024-02-01
[9]
서적
Статистический обзор Ферганской области за 1911 год
[10]
논문
Русские в Узбекистане: языковые практики и самоидентификации (на примере полевых исследований в Фергане)
[11]
논문
The Place of Memory in Understanding Urban Change in Central Asia: The Cities of Bishkek and Ferghana
2014-11-01
[12]
웹사이트
Fergana travel guide
https://caravanistan[...]
2019-09-26
[13]
웹사이트
Uzbekistan: largest cities and towns and statistics of their population
http://world-gazette[...]
2013-04-28
[14]
웹사이트
Postal Code Search - Fergana
http://postcodesdb.c[...]
2012-12-18
[15]
웹사이트
Weather And Climate - Climate Fergana
http://www.pogoda.ru[...]
2013-01-31
[16]
웹사이트
Climate Normals for Fergana
ftp://dossier.ogp.no[...]
National Oceanic and Atmospheric Administration
2013-01-31
[17]
웹사이트
Uzbekistan's Fergana Refinery is upgraded with EBRD finance 1997
http://www.ebrd.com/[...]
[18]
웹인용
ru:КЛИМАТ УЛАН-БАТОРА
http://www.pogodaikl[...]
Pogoda.ru.net
2015-01-04
[19]
웹인용
Climate Normals for Fergana
https://www.nodc.noa[...]
미국 해양대기청
2023-11-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