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스모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에스모롤은 상심실성 빈맥, 발작성 심방 세동 또는 조동, 마취 중 부정맥 치료에 사용되는 약물이다. 심장 수술 중 심박수와 혈압 감소, 심근 경색 초기 치료, 후두경 검사 및 기관 삽관 시 혈역학적 반응 둔화에도 사용된다. 베타-1 아드레날린 수용체에 선택적으로 작용하는 베타 차단제이며, 에스테르 결합 가수분해를 통해 빠르게 대사되는 소프트 드럭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베타 차단제 - 프로프라놀롤
프로프라놀롤은 고혈압, 협심증 등 심혈관 질환, 편두통,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치료 등에 사용되는 비선택적 베타 차단제이며, 천식 환자에게는 투여가 금지될 수 있고 부작용으로 당뇨병 악화 등이 나타날 수 있다. - 베타 차단제 - 메토프로롤
메토프로롤은 협심증, 심근 경색 등 다양한 질환에 사용되는 베타 차단제이며, 심박수 감소 및 혈압 강하 효과를 나타내고, 부작용으로 현기증, 졸음 등이 나타날 수 있다. - 메틸 에스터 - 암로디핀
암로디핀은 디히드로피리딘계 칼슘 채널 차단제로, 고혈압과 협심증 치료에 사용되며 혈관을 이완시켜 혈압을 낮추고 심근으로의 산소 공급을 증가시키지만, 말초 부종이나 현기증 등의 부작용이 있을 수 있고 특정 질환에서는 사용이 금지된다. - 메틸 에스터 - 코카인
코카인은 코카 잎에서 추출되는 강력한 중추신경계 자극제이자 국소 마취제로, 의료용으로 사용되기도 했으나 강력한 중독성으로 인해 현재는 사용이 엄격히 규제되며, 쾌감과 각성 효과를 유발하지만 심각한 건강 및 사회적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 카복실산 에스터 - 암로디핀
암로디핀은 디히드로피리딘계 칼슘 채널 차단제로, 고혈압과 협심증 치료에 사용되며 혈관을 이완시켜 혈압을 낮추고 심근으로의 산소 공급을 증가시키지만, 말초 부종이나 현기증 등의 부작용이 있을 수 있고 특정 질환에서는 사용이 금지된다. - 카복실산 에스터 - 로바스타틴
로바스타틴은 이상지질혈증 및 심혈관 질환 치료에 사용되는 HMG-CoA 환원효소 억제제이며, 콜레스테롤 생합성을 방해하고 근육통, 소화불량 등의 부작용과 근병증, 간 손상과 같은 심각한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에스모롤 - [화학 물질]에 관한 문서 | |
---|---|
약물 정보 | |
![]() | |
상품명 | 브레비블록 |
Drugs.com | 에스모롤 염산염 |
임신 범주 (호주) | C |
투여 경로 | 정맥 주사 |
ATC 코드 | C07AB09 |
법적 규제 (호주) | S4 |
생체 이용률 | 해당 없음 |
단백질 결합 | 60% |
대사 | 적혈구 (erythrocytic) |
제거 반감기 | 9분 |
배설 | 신장 |
IUPHAR 리간드 | 7178 |
CAS 등록번호 | 81147-92-4 |
PubChem | 59768 |
DrugBank | DB00187 |
ChemSpider | 53916 |
UNII | MDY902UXSR |
KEGG | D07916 |
ChEBI | 4856 |
ChEMBL | 768 |
IUPAC 명칭 | 메틸 (RS)-3-{4-[2-하이드록시-3-(프로판-2-일아미노)프로폭시]페닐}프로파노에이트 |
분자식 | C16H25NO4 |
SMILES | O=C(OC)CCc1ccc(OCC(O)CNC(C)C)cc1 |
StdInChI | 1S/C16H25NO4/c1-12(2)17-10-14(18)11-21-15-7-4-13(5-8-15)6-9-16(19)20-3/h4-5,7-8,12,14,17-18H,6,9-11H2,1-3H3 |
StdInChIKey | AQNDDEOPVVGCPG-UHFFFAOYSA-N |
2. 의학적 용도
에스모롤은 상심실성 빈맥의 종료, 발작성 심방 세동 또는 조동, 마취 중의 부정맥, 심장 수술 중 및 후에 심박수와 혈압을 감소시키기 위해, 그리고 심근 경색의 초기 치료에 사용된다.[7] 또한 후두경 검사 및 기관 삽관에 대한 혈역학적 반응을 둔화시키는 데에도 사용된다.[7]
2. 1. 부정맥 치료
에스모롤은 상심실성 빈맥의 종료, 발작성 심방 세동 또는 조동, 마취 중의 부정맥, 심장 수술 중 및 후에 심박수와 혈압을 감소시키기 위해, 그리고 심근 경색의 초기 치료에 사용된다.[7] 또한 후두경 검사 및 기관 삽관에 대한 혈역학적 반응을 둔화시키는 데에도 사용된다.[7]2. 2. 수술 및 마취 중 심장 관리
에스모롤은 다음의 경우에 사용된다.- 상심실성 빈맥의 종료
- 발작성 심방 세동 또는 조동
- 마취 중의 부정맥
- 심장 수술 중 및 후에 심박수와 혈압 감소
- 심근 경색의 초기 치료
에스모롤은 또한 후두경 검사 및 기관 삽관에 대한 혈역학적 반응을 둔화시키는 데에도 사용된다.[7]
2. 3. 심근경색
에스모롤은 상심실성 빈맥의 종료, 발작성 심방 세동 또는 조동, 마취 중의 부정맥, 심장 수술 중 및 후에 심박수와 혈압을 감소시키기 위해 사용되며, 심근 경색의 초기 치료에도 사용된다.[7] 또한 후두경 검사 및 기관 삽관에 대한 혈역학적 반응을 둔화시키는 데에도 사용된다.[7]3. 약리학
=== 약력학 ===
에스모롤은 베타 차단제의 일종으로, β-아드레날린 수용체에 선택적으로 작용하여 내인성 교감신경 활성을 차단한다.[9]
=== 약동학 ===
에스모롤은 소프트 드럭으로,[8] 빠르게 비활성 형태로 대사된다. 에스테르 결합의 가수분해를 통해 대사되며, 주로 적혈구 세포질 내 에스테라제에 의해 이루어진다. 혈장 콜린에스테라제나 적혈구 막 아세틸콜린에스테라제는 관여하지 않는다. 사람의 전신 청소율은 약 20L/kg/hr로 심박출량보다 크기 때문에, 간이나 신장 혈류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 에스모롤의 짧은 작용 시간은 에스테르-메틸(ester-methyl) 측쇄에 의한 빠른 가수분해 때문이다. 대사 과정에서 유리산과 메탄올이 생성되지만, 생성되는 메탄올의 양은 인체 내에서 자연적으로 생성되는 양과 유사하다. 에스모롤은 약 2분의 분포 반감기와 약 9분의 제거 반감기를 가진다.
에스모롤은 친유성이 낮아 혈액-뇌 장벽 통과 가능성이 낮다.[9] 따라서 중추신경계 영향이 적고 신경정신과적 부작용 위험이 낮다.[9]
3. 1. 약력학
에스모롤은 베타 차단제 또는 길항제로, β-아드레날린 수용체의 길항제이다.[9] 이는 선택적으로 β1-아드레날린 수용체에 작용하며, 내인성 교감신경 활성은 없다.[9]3. 2. 약동학
에스모롤은 소프트 드럭으로 여겨지며,[8] 이는 비활성 형태로 빠르게 대사되는 약물이다. 에스모롤은 에스테르 결합의 가수 분해에 의해 빠르게 대사되며, 주로 적혈구의 세포질에 있는 에스테라제에 의해 대사되고, 혈장 콜린에스테라제나 적혈구 막 아세틸콜린에스테라제에 의해 대사되지 않는다. 사람의 전신 청소율은 약 20L/kg/hr로 나타났으며, 이는 심박출량보다 크므로 에스모롤의 대사는 간과 같은 대사 조직으로의 혈류 속도에 제한을 받지 않으며, 간 또는 신장 혈류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 에스모롤의 짧은 작용 시간은 빠른 가수 분해를 가능하게 하는 에스테르-메틸 측쇄에 기인한다. 에스모롤의 구조는 이름, 즉 '''es-m'''olol ('''es'''ter-'''m'''ethyl)과 같이 나타난다. 혈장 콜린에스테라제와 적혈구 막 아세틸콜린에스테라제는 작용하지 않는다. 이러한 대사는 유리산과 메탄올의 생성을 초래한다. 생성되는 메탄올의 양은 내인성 메탄올 생성과 유사하다. 에스모롤은 약 2분의 빠른 분포 반감기와 약 9분의 제거 반감기를 갖는다.에스모롤은 낮은 친유성을 가진 베타 차단제로 분류되며, 따라서 혈액-뇌 장벽을 통과할 가능성이 낮다.[9] 이는 결과적으로 중추 신경계에 미치는 영향이 적고 신경정신과적 부작용의 위험이 낮을 수 있다.[9]
참조
[1]
웹사이트
Brevibloc esmolol hydrochloride 2.5 g powder for injection for infusion vial (310943)
https://www.tga.gov.[...]
2022-05-26
[2]
웹사이트
Esmolol Juno (Juno Pharmaceuticals Pty Ltd)
https://www.tga.gov.[...]
2023-01-13
[3]
논문
Esmolol inhibits Na+ current in rat ventricular myocytes
http://journals.prou[...]
2006-12
[4]
논문
Recent antiarrhythmic drugs
1989-12
[5]
서적
Essentials of Medical Pharmacology
[6]
서적
Analogue-based Drug Discovery
https://books.google[...]
John Wiley & Sons
2006
[7]
논문
Comparison of Esmolol and Dexmedetomidine for Suppression of Hemodynamic Response to Laryngoscopy and Endotracheal Intubation in Adult Patients Undergoing Elective General Surgery: A Prospective, Randomized Controlled Double-blinded Study
2018
[8]
논문
Soft drug design: General principles and recent applications
[9]
논문
Neuropsychiatric Consequences of Lipophilic Beta-Blockers
2021-0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