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수용체 길항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수용체 길항제는 수용체에 결합하여 효능제, 역작용제, 부분 작용제의 기능을 억제하는 물질이다. 길항제는 수용체의 활성 부위 또는 알로스테릭 부위에 결합하여 효능제 유도 반응을 방지하며, 경쟁적, 비경쟁적, 무효 길항제, 부분 작용제, 역작용제 등 다양한 종류가 있다. 길항제는 약물의 활성을 억제하거나, 이미 섭취된 약물의 효과를 역전시키는 데 사용되며, 친화도, 효능, 효력에 따라 효과가 달라진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약물동역학 - 효능
    효능은 작용이나 효과가 발휘되는 능력으로, 약리학에서는 약물의 최대 반응, 의학에서는 치료 효과, 농업에서는 해충 방제 효과, 신학에서는 성경의 속성, 일본 온천에서는 건강상의 효과를 의미한다.
  • 약물동역학 - 역가
    역가는 약리학 및 독성학에서 물질의 활성 정도를 나타내는 지표로 사용되며, 국제기초임상약리학연합은 유효 용량, 반수 치사량, 반수 독성량, 반수 유효 농도, 반수 억제 농도 등 다양한 유형을 제시한다.
  • 약리학 - 미국 식품의약국
    미국 식품의약국(FDA)은 미국 보건복지부 산하 연방 정부 기관으로, 식품, 의약품, 화장품, 의료기기 등의 안전성과 효능을 감독 및 규제하며 국민 건강 보호에 기여한다.
  • 약리학 - 경피 패치
    경피 패치는 약물을 피부에 부착하여 혈류로 전달하는 약물 전달 시스템으로, 니코틴, 오피오이드, 호르몬 패치 등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 최근에는 마이크로니들 패치와 같은 새로운 기술이 개발되어 백신, 진단, 화장품 등 다양한 분야로 응용되고 있다.
수용체 길항제
지도 정보
기본 정보
유형약물
작용 방식수용체에 결합하여 작용제의 효과를 차단 또는 감소
분류
결합 유형에 따른 분류가역적 길항제
비가역적 길항제
작용 방식에 따른 분류경쟁적 길항제
비경쟁적 길항제
부분 길항제
역작용제
상세 설명
작용 원리작용제의 수용체 결합을 방해하여 작용제의 효과를 저해
수용체 자체의 활성을 억제
작용 결과작용제의 효과 감소 또는 완전 차단
생체 내 특정 반응 억제
임상 응용신경전달물질 과활성 질환 치료
호르몬 과활성 질환 치료
알레르기 반응 억제
예시베타 차단제
항히스타민제
아편유사제 길항제 (예: 날록손)
근육 이완제
추가 정보
개발신약 개발의 중요한 목표 중 하나
목표특정 수용체를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길항제 개발
중요성생리학적 과정 및 질병 치료 연구에 필수적
다른 약물과의 관계작용제와 상반되는 작용을 함
부분 작용제와 함께 사용 시 효과 변화 가능

2. 어원

길항제(antagonist영어)라는 영어 단어는 그리스어 ἀνταγωνιστής(antagonistēs|안타고니스테스grc)에서 유래했으며, "적수, 경쟁자, 악당, 적, 라이벌"을 의미한다. 이 단어는 "반대하는"을 의미하는 ''anti-''와 "상을 위해 다투다"를 의미하는 ''agonizesthai''에서 파생되었다.[3] 20세기에 미국의 생물학자 베일리 에드그렌(Bailey Edgren)이 발견하였다.[4]

3. 수용체

생화학적 수용체는 호르몬이나 약물과 같은 리간드의 결합에 의해 활성화될 수 있는 큰 단백질 분자이다.[5] 수용체는 세포 표면 수용체와 같이 세포막에 결합되어 있거나, 미토콘드리아를 포함한 핵 수용체와 같은 세포내 수용체처럼 세포 내부에 존재할 수 있다. 수용체와 리간드 사이의 비공유 결합 결과로 수용체의 결합 부위에서 결합이 일어난다. 수용체는 서로 다른 리간드에 대해 하나 이상의 결합 부위를 포함할 수 있다. 수용체의 활성 부위에 대한 결합은 수용체 활성을 직접 조절하며,[5] 알로스테릭 결합 부위와 같은 수용체의 다른 부위에 리간드가 결합하는 알로스테릭 조절에 의해서도 조절될 수 있다.[6] 길항제는 작용제 유도 반응을 방지함으로써 수용체 상호작용을 통해 그 효과를 매개하는데, 이는 활성 부위 또는 알로스테릭 부위에 결합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7] 또한, 길항제는 수용체 활성의 생물학적 조절에 일반적으로 관여하지 않는 고유한 결합 부위에서 상호 작용하여 그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7][8][9]

약물 유도 수용체 활성화 및 수용체 이론 메커니즘과 수용체 길항제의 생화학적 정의에 대한 이해는 계속 발전하고 있다. 수용체 활성화의 이중 상태 모델은 중간 형태 상태를 가진 다중 상태 모델로 대체되었다.[13] 기능적 선택성의 발견과 리간드 특이적 수용체 형태가 발생하고 서로 다른 2차 전달자 시스템과의 상호 작용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사실은, 약물이 수용체의 일부 하위 기능은 활성화하지만 다른 기능은 활성화하지 않도록 설계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14] 이는 효능이 실제로 그 수용체가 발현되는 위치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수용체에서의 효능이 약물의 수용체 독립적 특성이라는 견해를 바꿀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14]

4. 약력학

길항제는 자신이 결합하는 수용체를 활성화하는 효능을 나타내지 않는다.[12] 길항제는 수용체를 활성화하는 능력이 없지만, 일단 결합되면 작용제, 역작용제, 부분 작용제의 기능을 억제한다. 기능적 길항제 분석에서, 용량-반응 곡선은 다양한 농도의 길항제가 작용제의 활성을 억제하는 효과를 측정한다.[5]

길항제의 효력은 일반적으로 '반수 최대 억제 농도'( IC50 값)로 정의된다. 이는 작용제의 최대 생물학적 반응을 절반 억제하는 데 필요한 길항제 농도를 결정하여 특정 길항제에 대해 계산할 수 있다. IC50 값을 명확히 하는 것은 효능이 유사한 약물의 효력을 비교하는 데 유용하다.[16] IC50 값이 낮을수록 길항제의 효력이 더 크고, 최대 생물학적 반응을 억제하는 데 필요한 약물 농도가 더 낮다. 더 낮은 약물 농도는 부작용이 더 적은 것과 관련이 있을 수 있다.[17]

길항제가 결합 부위(Ki)에 대한 친화도, 즉 수용체에 결합하는 능력은 작용제 활성의 억제 기간을 결정한다. 길항제의 친화도는 실험적으로 쉴드 회귀 분석이나 Cheng-Prusoff 방정식을 사용하여 결정할 수 있다.[18][19]

쉴드 회귀 분석은 길항 작용이 경쟁적인지 비경쟁적인지 확인하고, Ki 결정을 할때 작용제의 친화도, 효능, 농도와 무관하게 이루어진다. 그러나 평형 도달 여부와 수용체 탈감작의 영향을 고려해야 한다. 경쟁적 신경근 차단제처럼 이온 채널 차단과 작용제 결합 길항의 두 가지 이상의 효과를 나타내는 길항제의 친화도 상수는 쉴드 회귀 분석으로 분석할 수 없다.[18][19]

쉴드 회귀 분석은 용량 비율(작용제 단독 EC50과 경쟁적 길항제 존재 하 EC50 비율) 변화를 비교한다. 길항제 양을 변경하면 용량 비율이 달라진다. 쉴드 회귀 분석에서는 여러 길항제 농도에 대해 log(용량 비율 - 1) 대 log 길항제 농도의 그래프를 작성한다.[20] 친화도(Ki)는 회귀 그래프에서 선이 x축과 교차하는 지점이다. 쉴드 회귀 분석에서는 길항제 농도가, Cheng-Prusoff 방정식에서는 작용제 농도가 변한다.

경쟁적 작용제와 길항제의 친화도는 경쟁적 저해 동안 IC50 변화로부터 Ki(길항제의 친화도 상수)를 계산하는 Cheng-Prusoff 계수와 관련된다.[21] Cheng-Prusoff 계수는 작용제 농도 변화와 수용체에 대한 작용제 친화도가 경쟁적 길항제에 의한 억제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한다.[17]

4. 1. 효능 및 효력

정의에 따르면, 길항제는 자신이 결합하는 수용체를 활성화하는 효능을 나타내지 않는다.[12] 길항제는 수용체를 활성화하는 능력을 유지하지 못한다. 그러나 일단 결합되면, 길항제는 작용제, 역작용제 및 부분 작용제의 기능을 억제한다. 기능적 길항제 분석에서, 용량-반응 곡선은 다양한 농도의 길항제가 작용제의 활성을 역전시키는 능력의 효과를 측정한다.[5] 길항제의 효력은 일반적으로 '반수 최대 억제 농도'(즉, IC50 값)로 정의된다. 이는 작용제의 최대 생물학적 반응을 절반 억제하는 데 필요한 길항제 농도를 결정하여 특정 길항제에 대해 계산할 수 있다. IC50 값을 명확히 하는 것은 효능이 유사한 약물의 효력을 비교하는 데 유용하지만, 두 약물 길항제 모두에 의해 생성된 용량-반응 곡선은 유사해야 한다.[16] IC50 값이 낮을수록 길항제의 효력이 더 크고, 최대 생물학적 반응을 억제하는 데 필요한 약물 농도가 더 낮다. 더 낮은 약물 농도는 부작용이 더 적은 것과 관련이 있을 수 있다.[17]

4. 2. 친화도

길항제가 결합 부위(Ki)에 대한 친화도, 즉 수용체에 결합하는 능력은 작용제 활성의 억제 기간을 결정한다. 길항제의 친화도는 실험적으로 쉴드 회귀 분석이나 Cheng-Prusoff 방정식을 사용하여 결정할 수 있다.[18][19]

쉴드 회귀 분석은 길항 작용이 경쟁적인지 비경쟁적인지 확인하고, Ki 결정은 작용제의 친화도, 효능, 농도와 무관하게 이루어진다. 그러나 평형 도달 여부와 수용체 탈감작의 영향을 고려해야 한다. 경쟁적 신경근 차단제처럼 이온 채널 차단과 작용제 결합 길항의 두 가지 이상의 효과를 나타내는 길항제의 친화도 상수는 쉴드 회귀 분석으로 분석할 수 없다.[18][19]

쉴드 회귀 분석은 용량 비율(작용제 단독 EC50과 경쟁적 길항제 존재 하 EC50 비율) 변화를 비교한다. 길항제 양을 변경하면 용량 비율이 달라진다. 쉴드 회귀 분석에서는 여러 길항제 농도에 대해 log(용량 비율 - 1) 대 log 길항제 농도의 그래프를 작성한다.[20] 친화도(Ki)는 회귀 그래프에서 선이 x축과 교차하는 지점이다. 쉴드 회귀 분석에서는 길항제 농도가, Cheng-Prusoff 방정식에서는 작용제 농도가 변한다.

경쟁적 작용제와 길항제의 친화도는 경쟁적 저해 동안 IC50 변화로부터 Ki(길항제의 친화도 상수)를 계산하는 Cheng-Prusoff 계수와 관련된다.[21] Cheng-Prusoff 계수는 작용제 농도 변화와 수용체에 대한 작용제 친화도가 경쟁적 길항제에 의한 억제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한다.[17]

5. 종류

수용체 완전 역작용약에서 수용체 초작용약까지의 범위


쿠라레남아메리카 원주민들이 사냥에 사용하던 것으로, 아세틸콜린 길항제로 작용하여 골격근의 신경 전달을 차단한다. 그러나 소화관에서는 흡수되지 않아 쿠라레를 이용해 사냥한 동물을 먹을 수 있다.[17]

사일런트 안타고니스트(완전 차단제)는 수용체를 활성화하는 본질적인 활성을 갖지 않는 경쟁적 수용체 길항제를 말하며, 이른바 진정한 길항제이다. 이는 완전히 불활성인 길항제를 약한 부분적 작용제 또는 역작용제와 구분하기 위해 만들어진 용어이다.

5. 1. 경쟁적 길항제

경쟁적 길항제는 내인성 리간드 또는 효능제와 동일한 결합 부위(활성 부위)의 수용체에 결합하지만, 수용체를 활성화시키지는 않는다. 효능제와 길항제는 수용체의 동일한 결합 부위를 두고 "경쟁"한다.[17] 일단 결합하면 길항제는 효능제의 결합을 차단한다. 충분한 농도의 길항제는 결합 부위에서 효능제를 대체하여 수용체 활성화 빈도가 낮아진다. 수용체의 활성 수준은 각 분자의 부위에 대한 상대적인 친화력과 상대적인 농도에 따라 결정된다. 높은 농도의 경쟁적 효능제는 효능제가 차지하는 수용체의 비율을 높이고, 동일한 정도의 결합 부위 점유율을 얻으려면 더 높은 농도의 길항제가 필요하다.[17] 경쟁적 길항제를 사용하는 기능적 분석에서, 최대 반응의 변화 없이 효능제 용량-반응 곡선의 평행한 오른쪽 이동이 관찰된다.[22]

경쟁적 길항제는 약물의 활성을 억제하고 이미 섭취된 약물의 효과를 역전시키는 데 사용된다. 날록손(Narcan으로도 알려짐)은 헤로인이나 모르핀과 같은 약물에 의한 아편류 과다 복용을 역전시키는 데 사용된다.[23] 마찬가지로, Ro15-4513는 알코올의 해독제이고 플루마제닐은 벤조디아제핀의 해독제이다.

경쟁적 길항제는 수용체 단백질 표적과 상호 작용하는 방식에 따라 가역적(`극복 가능`) 또는 비가역적(`극복 불가능`) 경쟁적 길항제로 분류된다.[23] 비공유 분자간 힘을 통해 결합하는 가역적 길항제는 결국 수용체에서 해리되어 수용체가 다시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24] 비가역적 길항제는 공유 결합을 통해 결합한다. 국소 환경에서 공유 결합을 끊을 만큼 충분한 자유 에너지가 없기 때문에, 결합은 본질적으로 "영구적"이며, 즉 수용체-길항제 복합체는 결코 해리되지 않는다. 따라서 수용체는 유비퀴틴화되어 파괴될 때까지 영구적으로 길항 작용을 받는다.

남아메리카 원주민들이 사냥에 사용하는 쿠라레는 길항제로 유명한 예이다. 쿠라레는 아세틸콜린 길항제로 작용하여 골격근의 신경 전달을 차단하지만, 소화관에서는 흡수되지 않기 때문에 사냥한 동물을 먹을 수 있다.

사일런트 안타고니스트(완전 차단제)는 수용체를 활성화하는 본질적인 활성을 갖지 않는 경쟁적 수용체 길항제를 말한다. 이른바 진정한 길항제이다. 완전히 불활성인 길항제를 약한 부분적 작용제 또는 역작용제와 구분하기 위해 만들어진 용어이다.

5. 2. 비경쟁적 길항제

비경쟁적 길항제는 극복할 수 없는 길항제의 한 종류로, 수용체의 알로스테릭 부위에 결합하거나,[25][23] 수용체의 활성 부위에 비가역적으로 결합하여 작용한다.[25] 국제약리학연맹(IUPHAR)은 전자를 '알로스테릭 길항제'라고 정의한다.[23]

비경쟁적 길항제는 작용제의 최대 반응 크기를 감소시킨다. 아무리 많은 작용제가 존재하더라도 그 효과를 무효화할 수 없기 때문에 "비경쟁적"이라는 이름이 붙었다. 비경쟁적 길항제의 기능적 분석에서는 작용제 용량-반응 곡선의 최대 반응이 억제된다.[22]

활성 부위에 결합하는 길항제가 활성 부위와 비가역적(또는 거의 비가역적)으로 결합하는 경우, 이를 "비경쟁적" 길항제라고 한다.[25]

알로스테릭 부위에서 작용하는 비경쟁적 길항제는 작용제와는 별개의 결합 부위에 결합하여 다른 결합 부위를 통해 수용체에 대한 작용을 발휘한다. 이들은 활성 부위에서 작용제와 결합하기 위해 경쟁하지 않는다. 결합된 길항제는 작용제가 결합한 후 수용체 활성화에 필요한 수용체의 구조 변화를 방지할 수 있다.[26]

사이클로티아지드(Cyclothiazide)는 mGluR1 수용체의 가역적 비경쟁적 길항제이다.[27] 페녹시벤자민(phenoxybenzamine)은 알파-아드레날린성 수용체에 비가역적으로(공유결합으로) 결합하는 비경쟁적 길항제이다. 이는 사용 가능한 수용체의 비율을 감소시키고 작용제에 의해 생성될 수 있는 최대 효과를 감소시킨다.[28]


5. 3. 비경쟁적 길항제 (Uncompetitive Antagonist)

비경쟁적 길항제는 작용제에 의한 수용체 활성화가 필요하며, 다른 작용 부위(알로스테릭 결합 부위)에 결합한다.[29] 이러한 길항 작용은 낮은 농도의 작용제보다 높은 농도의 작용제를 같은 양의 길항제가 더 잘 차단하는 특징을 보인다.[29] 알츠하이머병 치료에 사용되는 메만틴(Memantine)은 NMDA 수용체의 비경쟁적 길항제이다.[30]

5. 4. 무효 길항제 (Silent Antagonist)

무효 길항제(silent antagonists)는 수용체를 활성화하는 고유 활성(intrinsic activity)이 없는 경쟁적 수용체 길항제이다. 완전한 길항제로, 약한 부분 작용제 또는 역작용제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된다.[31]


5. 5. 부분 작용제 (Partial Agonist)

부분 작용제는 주어진 수용체에서 최대 수용체 점유 후 유발하는 기능적 반응의 진폭이 전 작용제와 다른 약물이다. 부분 작용제는 작용제이지만, 전 작용제와 수용체 점유를 위해 경쟁하기 때문에 경쟁적 길항제처럼 작용할 수 있다.[32] 따라서 전 작용제만 사용했을 때보다 수용체 활성이 감소한다.[33]

부분 작용제는 결핍된 시스템을 증강하는 동시에 과도한 활동을 차단할 수 있어 임상적으로 유용하다. 수용체에 고농도의 부분 작용제를 노출시키면, 정상 작용제가 고농도 또는 저농도로 존재하든 상관없이 일정하고 약한 수준의 활성을 유지하게 된다. 또한, 부분 작용제는 강력한 전 작용제 또는 길항제에 반복적으로 노출된 후 자주 발생하는 적응성 조절 기전을 예방하는 것으로 제안되었다.[34][35]

부프레노르핀(Buprenorphine)은 μ-아편 수용체(μ-opioid receptor)의 부분 작용제로, 약한 모르핀 유사 활성을 가지며, 임상적으로 통증 관리에서 진통제로, 그리고 아편 의존증 치료에서 메타돈(methadone)의 대안으로 사용된다.[36]

5. 6. 역작용제 (Inverse Agonist)

역작용제는 길항제와 비슷한 효과를 나타낼 수 있지만, 하류 생물학적 반응은 다르다. 구성적 활성 수용체는 역작용제를 가질 수 있는데, 이는 고전적인 길항제처럼 작용제 결합의 효과를 차단할 뿐만 아니라 수용체의 기저 활성도 억제한다.[37][38] 구성적 활성 수용체의 발견으로 이전에 길항제로 분류되었던 많은 약물이 역작용제로 재분류되기 시작했다. 원래 히스타민 H1 수용체의 길항제로 분류되었던 항히스타민제는 역작용제로 재분류되었다.[39]

6. 가역성

많은 길항제는 대부분의 작용제와 마찬가지로 수용체-리간드 결합속도론에 따라 수용체에 결합하고 해리되는 가역적 길항제이다.

비가역적 길항제는 수용체 표적에 공유 결합으로 결합하며, 일반적으로 제거될 수 없다.[40] 수용체의 불활성화 기간은 수용체 회전율과 새로운 수용체의 합성 속도에 따라 결정된다.[40] 페녹시벤자민은 비가역적 알파 차단제의 예시이다.[40] 이는 α 아드레날린성 수용체에 영구적으로 결합하여 아드레날린과 노르아드레날린의 결합을 방지한다.[40]

7. 긍정적 길항작용

길항작용은 여러 종류의 균이 섞여 있을 때, 어떤 종류의 균은 발육 조건이 적합하여 잘 증식하는 반면, 다른 종류의 균은 그렇지 않아 발육이 억제되는 작용을 가리킨다. 예를 들어 푸른곰팡이와 세균이 함께 있을 때 세균이 죽는 경우나 방선균과 식물 병원성 균류가 함께 있을 때 식물 병원성 균류가 죽는 경우는 생물체 또는 환경에 긍정적으로 작용할 수 있다. 이는 길항작용 유기반응 메커니즘의 또 다른 면을 보여주는 예이다.

8. 유명한 길항제의 예

쿠라레는 남아메리카 원주민들이 사냥에 사용하는 길항제의 유명한 예이다. 쿠라레는 아세틸콜린 길항제로 작용하여 골격근의 신경 전달을 차단하지만, 소화관에서는 흡수되지 않기 때문에 사냥한 동물을 먹을 수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Pharmacology Guide: In vitro pharmacology: concentration-response curves http://www.pdg.cnb.u[...] 2007-12-06
[2] 논문 The druggable genome 2002-09-01
[3] 웹사이트 Antagonist http://www.etymonlin[...] Online Etymology Dictionary 2010-11-28
[4] OED antagonist
[5] 서적 A Pharmacology Primer: Theory, Applications, and Methods. 2nd Edition Elsevier
[6] 논문 Allosteric modulation of G protein-coupled receptors
[7] 논문 Allosteric binding sites on cell-surface receptors: novel targets for drug discovery 2002-03-01
[8] 논문 Ligand identification for G-protein-coupled receptors: a lead generation perspective 2004-06-01
[9] 논문 GPCR drug discovery through the exploitation of allosteric drug binding sites
[10] 논문 Some implications of receptor theory for in vivo assessment of agonists, antagonists and inverse agonists 2006-06-01
[11] 논문 Affinity and intrinsic activity in the theory of competitive inhibition. I. Problems and theory 1954-09-01
[12] 논문 A modification of receptor theory. 1956 1997-02-01
[13] 논문 G protein-coupled receptors: a count of 1001 conformations 2005-02-01
[14] 논문 Functional selectivity and classical concepts of quantitative pharmacology https://cdr.lib.unc.[...] 2007-01-01
[15] 서적 Rang and Dale's pharmacology Elsevier
[16] 논문 Principles of pharmacodynamics and their applications in veterinary pharmacology 2004-12-01
[17] 논문 Biochemical mechanisms of drug action: what does it take for success? 2004-09-01
[18] 논문 Taking the time to study competitive antagonism 2007-03-01
[19] 논문 Why the Schild method is better than Schild realised 2007-12-01
[20] 논문 An ambiguity in receptor theory 1975-02-01
[21] 논문 Relationship between the inhibition constant (K1) and the concentration of inhibitor which causes 50 per cent inhibition (I50) of an enzymatic reaction 1973-12-01
[22] 논문 New insights in insurmountable antagonism 2002-08-01
[23] 논문 International Union of Pharmacology Committee on Receptor Nomenclature and Drug Classification. XXXVIII. Update on terms and symbols in quantitative pharmacology http://www.guidetoph[...] 2003-12-01
[24] 서적 Medicinal Chemistry: The Modern Drug Discovery Process
[25] 서적 Principles of pharmacology: the pathophysiologic basis of drug therapy https://books.google[...]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2012-02-05
[26] 서적 Principles of Pharmacology: The Pathophysiologic Basis of Drug Therapy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27] 논문 Cyclothiazide selectively inhibits mGluR1 receptors interacting with a common allosteric site for non-competitive antagonists 2007-03-01
[28] 웹사이트 basic_principles_of_pharm [TUSOM {{!}} Pharmwiki] https://tmedweb.tula[...] 2023-07-21
[29] 논문 Failures and successes of NMDA receptor antagonists: molecular basis for the use of open-channel blockers like memantine in the treatment of acute and chronic neurologic insults 2004-01-01
[30] 논문 Memantine: a NMDA receptor antagonist that improves memory by restoration of homeostasis in the glutamatergic system—too little activation is bad, too much is even worse 2007-11-01
[31] 논문 Silent 5-HT1A receptor antagonists: utility as research tools and therapeutic agents 1993-12-01
[32] 서적 Principles and Practice of Pharmacology for Anaesthetists Blackwell Publishing
[33] 논문 Everhardus J. Ariëns (1918–2002): a tribute
[34] 논문 Versatility of GPCR recognition by drugs: from biological implications to therapeutic relevance 2007-08-01
[35] 논문 Being partial to psychostimulant addiction therapy 2002-04-01
[36] 논문 Buprenorphine: a unique opioid with broad clinical applications
[37] 논문 Inverse agonism or neutral antagonism at G-protein coupled receptors: a medicinal chemistry challenge worth pursuing? 2006-12-00
[38] 논문 Efficacy as a vector: the relative prevalence and paucity of inverse agonism 2004-01-00
[39] 논문 H1-antihistamines: inverse agonism, anti-inflammatory actions and cardiac effects 2002-04-00
[40] 논문 Phenoxybenzamine binding reveals the helical orientation of the third transmembrane domain of adrenergic receptors 2001-08-00
[41] 서적 図解 薬理学 https://www.worldcat[...] 南山堂 2015-00-00
[42] 서적 新しい疾患薬理学 https://www.worldcat[...] 南江堂 2018-00-0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