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에스토니아의 총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에스토니아의 총리는 에스토니아 정부의 수반이다. 1918년 에스토니아 독립 이후, 총리직은 1920년 헌법 제정으로 국가 원로 직책에 의해 대체되었으나, 1934년 헌법 개정으로 총리직이 부활했다. 이후 소련 점령 기간에는 총리직이 공석이었으며, 1991년 에스토니아 공화국 독립 이후 다시 부활하여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다. 초대 총리는 콘스탄틴 팻츠였으며, 2021년부터 카야 칼라스가 재임 중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에스토니아의 정치 - 유한 파르츠
    에스토니아의 정치인 유한 파르츠는 타르투 대학교 법학과를 졸업하고 감사원장, 총리, 경제통신부 장관, 유럽 감사원 회원 등을 역임하며 에스토니아의 개혁과 발전에 기여했다.
  • 에스토니아의 정치 - 아르놀드 뤼텔
    아르놀드 뤼텔은 2001년부터 2006년까지 에스토니아 공화국 대통령을 역임했으며, 에스토니아 독립 회복에 기여하고 사회적 연대 강화를 목표로 활동하다 2024년에 사망했다.
  • 에스토니아의 총리 - 유한 파르츠
    에스토니아의 정치인 유한 파르츠는 타르투 대학교 법학과를 졸업하고 감사원장, 총리, 경제통신부 장관, 유럽 감사원 회원 등을 역임하며 에스토니아의 개혁과 발전에 기여했다.
  • 에스토니아의 총리 - 아우구스트 레이
    아우구스트 레이는 에스토니아의 사회민주주의 정치인이자 외교관으로, 에스토니아 독립 후 리기코구 의장, 국가 원로, 외무부 장관 등을 역임했고, 소련 점령 후에는 망명 정부를 이끌며 대통령 직무대행 총리를 지냈다.
  • 유럽의 국가원수 - 체코의 대통령
    체코의 대통령은 체코 공화국의 국가 원수이며, 국민 직선제로 선출되어 군 통수권, 법안 거부권 등을 행사하고 임기는 5년이며 1회 연임이 가능하다.
  • 유럽의 국가원수 - 루마니아의 대통령
    루마니아 대통령은 국가원수로서 국민의 직접 선거로 선출되며, 5년 임기의 대통령은 총리 지명, 장관 임명, 법률안 재가 등의 권한을 가지며, 헌법 심각 위반 시 탄핵 절차를 거쳐 국민투표로 결정된다.
에스토니아의 총리
기본 정보
크리스텐 미할 총리 (2024)
직책총리
소속 기관에스토니아 정부
스타일각하
총리님
직책 유형정부수반
소속 위원회유럽 이사회
관저스텐보크 하우스
임명권자대통령
임기임기 제한 없음
월급7303 유로
초대 총리콘스탄틴 패츠
직책 형성일1918년 2월 24일
직책 폐지1940–1991
웹사이트에스토니아 정부 공식 웹사이트
현재 총리
이름크리스텐 미할
취임일2024년 7월 23일

2. 역사

1918년 에스토니아가 독립을 선포한 후, 1920년까지 에스토니아 임시 정부는 총리에 의해 이끌어졌다. 1920년 헌법은 국가 원로(''riigivanem'')라는 직책을 가진 정부 수반을 설립했으며, 별도의 국가 원수는 없었다. 이 체제는 국가 원로가 리이기코구의 단순 과반수로 해임될 수 있었기 때문에 급진적인 의원내각제였다.[2] 국가 원로는 국군 최고 사령관이 아니었으며, 법률 비준이나 리이기코구 해산 권한도 없었다. 의회 해산은 국민투표를 통해서만 가능했다.[2]

1934년 국민투표를 통해 통과된 새 헌법은 총리직을 대통령제적인 정부 수반으로 재창설했다. 새 헌법에서 국가 원수는 1920년부터 1934년까지의 정부 수반과 같은 '국가 원로'(''riigivanem'')라는 명칭을 사용했다. 새로운 국가 원수는 총리와 내각을 임명 및 해임하고, 법률에 대한 거부권을 행사하며, 법령을 발표하고, 리이기코구를 해산할 수 있었다.[3] 콘스탄틴 퍄츠 총리는 바프스 운동의 위협에 맞서 자작 쿠데타를 일으켜 1934년 헌법 시행을 중단하고 의회를 정지시켰다. 퍄츠는 1934년부터 1937년까지 국가 원로 직무 대행 총리로, 1937년부터 1938년까지 국가수호자(''riigihoidja'')로 재임했다. 1938년 헌법에서는 총리직이 유지되었지만, 국가 원수는 대통령으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1940년 소련 점령 이후인 1992년 헌법은 의원내각제하에서 1938년부터 1940년까지의 총리와 대통령 직책을 부활시켰다.

2. 1. 에스토니아 제1공화국 (1918-1940)

1918년 에스토니아가 당시 전쟁 중이던 러시아독일 제국으로부터 독립을 선포한 후, 1920년까지 에스토니아 임시 정부는 총리에 의해 이끌어졌다. 1920년 헌법은 국가 원로(''riigivanem'')라는 직책을 가진 정부 수반을 설립했으며, 별도의 국가 원수는 없었다. 이 체제는 국가 원로가 리이기코구의 단순 과반수로 해임될 수 있었기 때문에 급진적인 의원내각제였다.[2] 게다가 국가 원로는 국군 최고 사령관이 아니었으며, 법률을 비준하거나 리이기코구를 해산할 수도 없었다. 의회 해산은 국민투표를 통해서만 가능했다.[2]

국민투표를 통해 통과된 1934년 헌법에 따라, 총리직이 더욱 대통령제적인 정부 수반으로 재창설되었다. 이 헌법에 따라 국가 원수는 1920년부터 1934년까지의 정부 수반과 동일한 이름인 국가 원로(''riigivanem'')라는 이름을 사용했다. 새로 설립된 국가 원수는 총리와 내각을 임명하고 해임할 수 있었고, 법률에 대한 거부권을 행사하고, 법령(규정)을 발표하고, 리이기코구를 해산할 수 있었다.[3] 에스토니아 국가 원로 직무 대행이었던 총리 콘스탄틴 퍄츠는 바프스 운동의 위협에 맞서 자작 쿠데타를 일으켜 1934년 헌법의 완전한 시행을 중단하고, 새로운 국가 원수를 위한 선거를 진행하지 않고 의회를 정지시켰다. 퍄츠는 1934년부터 1937년까지 국가 원로 직무 대행 총리로, 그리고 1937년부터 1938년까지 국가수호자(''riigihoidja'')로 남아 있었다. 1938년 헌법에 따르면 총리직은 유지되었지만, 국가 원수는 마침내 대통령제하에서 대통령으로 이름이 바뀌었다.

2. 2. 에스토니아 노동 코뮌 (1918-1919)

1918년 11월부터 1919년까지 에스토니아 공산당 소속의 얀 안벨트(Jaan Anvelt)가 에스토니아 노동 코뮌의 수상직을 역임했다.[29]

번호수상 이름소속 정당취임일퇴임일
1얀 안벨트(Jaan Anvelt)
에스토니아 공산당1918년 11월1919년


2. 3. 소련 점령기 (1940-1991)

순서수상 이름소속 정당취임일사임일
1[30]요하네스 라우리스틴
에스토니아 공산당1940년 8월 25일1941년 8월 28일[30]
2오스카르 세프레
에스토니아 공산당1941년 8월 28일1944년 9월 26일
3[31]아르놀트 베이머
에스토니아 공산당1944년 9월 26일1951년 3월 29일
4[32]알렉세이 뮤리세프
에스토니아 공산당1951년 3월 29일1961년 10월 12일
5[33]발테르 클라우손--에스토니아 공산당1961년 10월 12일1984년 1월 18일
6[34]브루노 사울--에스토니아 공산당1984년1988년 11월 16일
7[35]인드렉 토메
에스토니아 공산당
자유 에스토니아 민주연합
1988년 11월 16일1990년 3월 30일
8에드가르 사비사르
에스토니아 인민전선1990년 4월 3일[36]1991년 8월 20일


2. 4. 에스토니아 공화국 (1991-)

과도 정부 초대 총리1990년 4월 3일1992년 1월 29일668에스토니아 인민전선
에스토니아 인민중앙당사비사르 과도 정부
여러 연립 정당최고 소비에트 (1990)최고 소비에트 의장최고 평의회 의장
아놀드 뤼텔colspan="10"|--티이트 봔히 (1947년생)
과도 정부 제2대 총리1992년 1월 29일1992년 10월 21일266무소속봔히 과도 정부
여러 연립 정당대통령
렌나르트 게오르크 메리
(1992–2001)
마르트 라르 (1960년생)
제9대 총리1992년 10월 21일1994년 11월 8일749프로 파트리아
RKEI라르 I
I–M–ERSP–ELDPVII
(1992)colspan="10"|
안드레스 타란드 (1940년생)
제10대 총리1994년 11월 8일1995년 4월 17일161온건당타란드
M–RKEI–ERSP–ELDP–VKREVIII
(1995)--티이트 봔히 (1947년생)
제11대 총리
(2기)1995년 4월 17일1997년 3월 17일701연합당 및
농촌 인민 연합봔히 I, II
KMÜ–KE, KMÜREF
마르트 시이만 (1946년생)
제12대 총리1997년 3월 17일1999년 3월 25일739연합당 및
농촌 인민 연합시이만
KMÜIX
(1999)--마르트 라르 (1960년생)
제13대 총리
(2기)1999년 3월 25일2002년 1월 28일1,041프로 파트리아 연합라르 II
IL–M–REF대통령
아놀드 뤼텔
(2001–2006)
시임 칼라스 (1948년생)
제14대 총리2002년 1월 28일2003년 4월 10일438개혁당S. 칼라스
REF–KE
유한 파르츠 (1966년생)
제15대 총리2003년 4월 10일2005년 4월 12일735레스 푸블리카당파르츠
RES–REF–RLX
(2003)
안드루스 안십 (1956년생)
제16대 총리2005년 4월 12일2014년 3월 26일3,271개혁당안십 I, II, III
REF–KE–RL, REF–IRL–SDE, REF–IRLXI
(2007)
XII
(2011)대통령
토오마스 헨드리크 일베스
(2006–2016)
타아비 뢰이바스 (1979년생)
제17대 총리2014년 3월 26일2016년 11월 23일개혁당뢰이바스 I, II
REF–SDE, REF–SDE–IRLXIII
(2015)대통령
케르스티 칼유라이드
(2016–2021)
위리 라타스 (1978년생)
제18대 총리2016년 11월 23일2021년 1월 26일중앙당라타스 I, II
KE–SDE–IRL, KE–EKRE–IXIV
(2019)
카야 칼라스 (1977년생)
제19대 총리2021년 1월 26일현직개혁당K. 칼라스 I, II, III
REF–KE, REF–SDE–I, REF–E200–SDEXV
(2023)대통령
알라르 카리스
(2021–)


3. 역대 총리 목록

1918년 에스토니아러시아독일 제국으로부터 독립을 선포한 후, 1920년까지 에스토니아 임시 정부는 총리에 의해 이끌어졌다.[2]

1934년 헌법에 따라 총리직이 다시 설치되었다. 새 헌법에서 국가 원수는 국가 원로(''riigivanem'')라는 직책을 가졌으며, 총리와 내각을 임명 및 해임하고, 법률에 대한 거부권을 행사하고, 법령을 발표하며, 리이기코구를 해산할 수 있었다.[3] 콘스탄틴 퍄츠는 바프스 운동의 위협에 맞서 자작 쿠데타를 일으켜 1934년 헌법의 완전한 시행을 중단하고, 새로운 국가 원수를 위한 선거를 진행하지 않고 의회를 정지시켰다. 퍄츠는 1937년까지 국가 원로 직무 대행 총리로 재임하였다.

1938년 헌법에 따라 총리직은 유지되었지만, 국가 원수는 대통령으로 이름이 바뀌었다. 1992년 헌법은 의원내각제하에서 1938년부터 1940년까지의 총리와 대통령의 직책을 부활시켰다.

3. 1. 에스토니아 제1공화국 (1918-1940)

1920년 헌법은 국가 원로(''riigivanem'')라는 직책을 가진 정부 수반을 설립했으며, 별도의 국가 원수는 없었다. 이 체제는 국가 원로가 리이기코구의 단순 과반수로 해임될 수 있었기 때문에 급진적인 의원내각제였다. 게다가 국가 원로는 국군 최고 사령관이 아니었으며, 법률을 비준하거나 리이기코구를 해산할 수도 없었다. 의회 해산은 국민투표를 통해서만 가능했다.[2]

1934년 국민투표를 통해 통과된 헌법에 따라, 총리직이 다시 설치되었다. 새 헌법에서는 1920년부터 1934년까지의 정부 수반과 동일하게 국가 원로(''riigivanem'')라는 직책을 가진 국가 원수가 총리와 내각을 임명하고 해임할 수 있었고, 법률에 대한 거부권을 행사하고, 법령을 발표하고, 리이기코구를 해산할 수 있었다.[3] 그러나 에스토니아 국가 원로 직무 대행이었던 총리 콘스탄틴 퍄츠는 바프스 운동의 위협에 맞서 쿠데타를 일으켜 1934년 헌법의 완전한 시행을 중단하고, 새로운 국가 원수를 위한 선거를 진행하지 않고 의회를 정지시켰다. 퍄츠는 1937년까지 국가 원로 직무 대행 총리로 남아 있었다.

1938년 헌법에 따르면 총리직은 유지되었지만, 국가 원수는 대통령으로 이름이 바뀌었다.

3. 1. 1. 임시 정부 (1918-1920)

1918년 에스토니아가 당시 전쟁 중이던 러시아독일 제국으로부터 독립을 선포한 후, 1920년까지 에스토니아 임시 정부는 총리에 의해 이끌어졌다.[2]

초상화이름임기정당내각리이기코구
(선거)
별도의
국가 원수
취임퇴임재임 기간(일)
임시 정부와 지방 의회의 원로회의 행정 명령이 국무총리 직을 대체했습니다.
콘스탄틴 팻츠 (1874–1956)
임시 정부 국무총리
1918년 2월 24일1918년 11월 12일440농민 연합 (EMRL)팻츠 1차 임시 내각
EMRL–ETE–EDE–ESDTP
임시
지방
의회
(1917)
없음
임시 정부 총리1918년 11월 12일1918년 11월 27일팻츠 2차 임시 내각
EMRL–ETE–EDE–ESDTP[4]
1918년 11월 27일1919년 5월 9일팻츠 3차 임시 내각
EMRL–ETE–EDE–ESDTP–SEE–VKK[5]
colspan="5"|
1
오토 아우구스트 스트란드만 (1875–1941)
제1대 총리
1919년 5월 9일1919년 11월 18일194노동당 (ETE)스트란드만 1차 내각
ETE–ESDTP–ERE[6]
제헌
의회
(1919)
colspan="5"|
2
퇴니손 (1868–1941?)
제2대 총리
1919년 11월 18일1920년 7월 28일254인민당 (ERE)퇴니손 1차 내각
ERE–ETE–ESDTP[7]
colspan="5"|
3
아도 비르크 (1883–1942)
제3대 총리
1920년 7월 28일1920년 7월 30일3인민당 (ERE)비르크 내각
colspan="5"|
4--퇴니손 (1868–1941?)
제4대 총리
(2기)
1920년 7월 30일1920년 10월 26일89인민당 (ERE)퇴니손 2차 내각
colspan="5"|
5
안츠 피프 (1884–1942)
제5대 총리
1920년 10월 26일1920년 12월 20일55노동당 (ETE)피프 내각
colspan="5"|


3. 1. 2. 국가 원로 재임 시기 (1934-1937)

1934년 헌법에 따라, 총리직은 더욱 대통령제적인 정부 수반으로 재창설되었다. 이 헌법에 따라 국가 원수는 1920년부터 1934년까지의 정부 수반과 동일한 이름인 국가 원로(''riigivanem'')라는 이름을 사용했다. 새로 설립된 국가 원수는 총리와 내각을 임명하고 해임할 수 있었고, 법률에 대한 거부권을 행사하고, 법령(규정)을 발표하고, 리이기코구를 해산할 수 있었다.[3] 에스토니아 국가 원로 직무 대행이었던 총리 콘스탄틴 퍄츠는 바프스 운동의 위협에 맞서 자작 쿠데타를 일으켜 1934년 헌법의 완전한 시행을 중단하고, 새로운 국가 원수를 위한 선거를 진행하지 않고 의회를 정지시켰다. 퍄츠는 1934년부터 1937년까지 국가 원로 직무 대행 총리로 재임하였다.

초상화이름임기정당내각리이기코구
(선거)
별도의
국가 원수
취임퇴임일수
1934년 헌법은 국가 원로 직책을 국가 원로와 총리라는 새로운 직책으로 분리했습니다.
--콘스탄틴 퍄츠
(1874–1956)
제6대 총리
(국가 원로 직무 대행)
1934년 1월 24일1937년 9월 3일1319일농민 집회
(PK)[8]
퍄츠 V
무소속 연립 정부[9]
V
(1932년)
국가 원로 직무 대행
총리
콘스탄틴
퍄츠
없음[10]의회
정지[11]


3. 1. 3. 총리 (1938-1940)

(선거)별도의
국가 원수취임퇴임일수7
카렐 에엔팔루
(이전 칼 아우구스트 아인분트)
(1888–1942)
총리 직무대행1938년 4월 24일1938년 5월 9일537없음[10]파츠 V
(계속)
무소속 연립 정부[9]의회
정지[12]대통령
콘스탄틴
파츠
(1938–1940)제7대 총리
(제2기)1938년 5월 9일1939년 10월 12일에엔팔루 II
무소속 연립 정부[13]VI
(1938년)colspan="5" style="text-align:left;"|8
위리 울로츠
(1890–1945)
제8대 총리1939년 10월 12일1940년 6월 21일[14]254없음[10]울로츠
무소속 연립 정부colspan="5" style="text-align:left;"|


3. 2. 에스토니아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1940-1990)

순서수상 이름소속 정당취임일사임일
1[30]요하네스 라우리스틴에스토니아 공산당1940년 8월 25일1941년 8월 28일[30]
2오스카르 세프레에스토니아 공산당1941년 8월 28일1944년 9월 26일
3[31]아르놀트 베이머에스토니아 공산당1944년 9월 26일1951년 3월 29일
4[32]알렉세이 뮤리세프에스토니아 공산당1951년 3월 29일1961년 10월 12일
5[33]발테르 클라우손--에스토니아 공산당1961년 10월 12일1984년 1월 18일
6[34]브루노 사울--에스토니아 공산당1984년1988년 11월 16일
7[35]인드렉 토메에스토니아 공산당
자유 에스토니아 민주연합
1988년 11월 16일1990년 3월 30일
8에드가르 사비사르에스토니아 인민전선1990년 4월 3일[36]1991년 8월 20일


3. 3. 에스토니아 공화국 (1991-)

(선거)별도의
국가 원수취임퇴임재임 기간(일)
에드가르 사비사르
(1950–2022)
과도 정부 초대 총리1990년 4월 3일[18]1992년 1월 29일668에스토니아 인민전선
(인민중앙당)사비사르 과도 정부
(여러 연립 정당)최고 소비에트 (1990)[20]최고 소비에트 의장아놀드 뤼텔[20]--티이트 봔히 (1947년생)
과도 정부 제2대 총리1992년 1월 29일1992년 10월 21일266무소속봔히 과도 정부
(여러 연립 정당)대통령
렌나르트 게오르크 메리
(1992–2001)
[21]마르트 라르 (1960년생)
제9대 총리1992년 10월 21일1994년 11월 8일749프로 파트리아
(프로 파트리아 국가 연합당)라르 I
(I-M-ERSP-ELDP)[23][24]VII (1992)안드레스 타란드 (1940년생)
제10대 총리1994년 11월 8일1995년 4월 17일161온건당[23]타란드
(M-RKEI-ERSP-ELDP-VKRE)[23]--티이트 봔히 (1947년생)
제11대 총리 (2기)1995년 4월 17일1997년 3월 17일701연합당 및
농촌 인민 연합봔히 I (KE)
봔히 II (REF)VIII (1995)마르트 시이만 (1946년생)
제12대 총리1997년 3월 17일1999년 3월 25일739연합당 및
농촌 인민 연합시이만--마르트 라르 (1960년생)
제13대 총리 (2기)1999년 3월 25일2002년 1월 28일1,041프로 파트리아 연합라르 II
(IL-M-REF)IX (1999)대통령
아놀드 뤼텔
(2001–2006)
[21]시임 칼라스 (1948년생)
제14대 총리2002년 1월 28일2003년 4월 10일438개혁당S. 칼라스
(REF-KE)유한 파르츠 (1966년생)
제15대 총리2003년 4월 10일2005년 4월 12일735레스 푸블리카당파르츠
(RES-REF-RL)X (2003)안드루스 안십 (1956년생)
제16대 총리2005년 4월 12일2007년 4월 5일3,271개혁당안십 I
(REF-KE-RL)대통령
토오마스 헨드리크 일베스
(2006–2016)
[21]2007년 4월 5일2011년 4월 6일안십 II
(REF-IRL-SDE)
REF-IRL[26]XI (2007)2011년 4월 6일2014년 3월 26일안십 III
(REF-IRL)XII (2011)타아비 뢰이바스 (1979년생)
제17대 총리2014년 3월 26일2016년 11월 23일개혁당뢰이바스 I
(REF-SDE)
뢰이바스 II
(REF-SDE-IRL)XIII (2015)대통령
케르스티 칼유라이드
(2016–2021)위리 라타스 (1978년생)
제18대 총리2016년 11월 23일2021년 1월 26일중앙당라타스 I
(KE-SDE-IRL)
라타스 II
(KE-EKRE-I)XIV (2019)카야 칼라스 (1977년생)
제19대 총리2021년 1월 26일2022년 7월 14일rowspan=4|개혁당K. 칼라스 I
(REF-KE)[28]대통령
알라르 카리스
(2021–)2022년 7월 18일2023년 4월 17일K. 칼라스 II
(REF-SDE-I)XV (2023)2023년 4월 17일현직K. 칼라스 III
(REF-E200-SDE)


참조

[1] 뉴스 Presidendi ja peaministri palk tõuseb 7303 euroni https://majandus.pos[...] 2022-03-15
[2] 서적 A History of Estonia / Viron historia The Finnish Literary Society / Suomalaisen Kirjallisuuden Seura 2007
[3] 서적 2007
[4] 간행물 Estonian Social Democratic Workers' Party joined the coalition 1918-11-16
[5] 간행물 Coalition changes in 1918-1919 1918-11-28
[6] 간행물 Estonian People's Party left the coalition 1919-09-20
[7] 간행물 Estonian Social Democratic Workers' Party left the coalition 1920-07-01
[8] 간행물 All political parties were banned 1935-03-20
[9] 간행물 Konstantin Päts' cabinet remained temporarily in office 1938-05-09
[10] 간행물 Patriotic League
[11] 간행물 Era of Silence began 1934-03-12
[12] 간행물 Era of Silence began 1934-03-12
[13] 간행물 Kaarel Eenpalu's cabinets
[14] 간행물 Soviet occupation of Estonia 1940-06-17
[15] 간행물 Jüri Uluots appointed a new government
[16] 간행물 Soviet occupation of Estonia 1940-06-17
[17] 간행물 Jüri Uluots assumed the role of Prime Minister 1944-09-18
[18] 간행물 Soviet rule declared illegal, transition to independence 1990-03-30
[19] 간행물 Popular Front of Estonia formed Estonian People's Centre Party 1991-10-12
[20] 간행물 Estonian Soviet Socialist Republic renamed 1990-05-08
[21] 간행물 President left the party
[22] 간행물 Pro Patria electoral alliance formed Pro Patria National Coalition Party 1992-11-21
[23] 간행물 Moderates electoral alliance
[24] 간행물 Estonian Liberal Democratic Party joined and left the coalition 1994-01-11
[25] 간행물 Coalition changes in 1996 1996-12-09
[26] 간행물 Social Democratic Party left the coalition 2009-05-21
[27] 간행물 Union of Pro Patria and Res Publica renamed 2018-06-02
[28] 간행물 Centre Party left the coalition 2022-06-03
[29] 백과사전 Анвельт
[30] 웹사이트 Лауристин Йоханнес Ансович (Lauristin Johannes) http://www.knowbysig[...] knowbysight.info 2019-03-04
[31] 웹사이트 Веймер Арнольд Тынувич (Veimer Arnold) http://www.knowbysig[...] knowbysight.info 2019-03-04
[32] 웹사이트 Мюрисеп Алексей Александрович (Müürisepp Aleksei) http://www.knowbysig[...] knowbysight.info 2019-03-04
[33] 웹사이트 Клаусон Вальтер Иванович (Klauson Valter) http://www.knowbysig[...] knowbysight.info 2019-03-04
[34] 서적 2008
[35] 서적 2008
[36] 서적
[37] 서적 エストニアの政治と歴史認識 三元社
[38] 서적
[39] 서적
[40] 서적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