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기군 (1948년 선거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연기군 (1948년 선거구)는 1948년 제헌 국회의원 선거를 위해 신설되어 1963년 폐지된 대한민국의 옛 선거구이다. 이 선거구는 연기군 전 지역을 관할했으며, 제헌 국회의원 선거에서 진헌식, 제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이긍종, 1952년 재보궐선거에서 이범승, 제3·4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유지원, 제5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성태경이 국회의원으로 당선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연기군 - 공주시·연기군
 공주시·연기군은 2000년 제16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공주시 선거구와 연기군 선거구가 통합되어 2000년부터 2012년까지 존속했던 대한민국 국회의원 선거구였으나, 2012년 연기군 지역이 세종특별자치시로 편입되면서 폐지되었다.
- 연기군 - 연기군수
 연기군수는 연기군의 행정을 담당하는 수장으로, 지방자치제 실시 전에는 임명직이었고 이후 주민 직선으로 선출되었으며, 세종특별자치시 출범으로 마지막 민선 군수가 세종특별자치시장에 출마하기도 했다.
- 충청남도의 폐지된 선거구 - 공주시·연기군
 공주시·연기군은 2000년 제16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공주시 선거구와 연기군 선거구가 통합되어 2000년부터 2012년까지 존속했던 대한민국 국회의원 선거구였으나, 2012년 연기군 지역이 세종특별자치시로 편입되면서 폐지되었다.
- 충청남도의 폐지된 선거구 - 아산시 (선거구)
 아산시 선거구는 1995년 아산시 출범과 함께 설치되어 제19대 국회의원 선거까지 존재했으며, 제20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아산시 갑, 아산시 을로 분구되면서 폐지되었다.
- 1948년 신설된 대한민국 선거구 - 단양군 (선거구)
 단양군 선거구는 1948년 신설되어 1963년 제천군과 통합 폐지될 때까지 5번의 국회의원 선거를 치렀으며, 조종승, 장영근, 조종호 등이 당선되었다.
- 1948년 신설된 대한민국 선거구 - 고창군 갑
 고창군 갑은 대한민국 제헌 국회의원 선거를 위해 신설되어 고창군 지역을 관할했으며, 1963년 선거구 통합으로 폐지되었고 김영동, 김수학, 정세환, 류진 등이 국회의원으로 활동했다.
| 연기군 (1948년 선거구) - [선거구 정보]에 관한 문서 | |
|---|---|
| 선거구 정보 | |
| 이름 | 연기군 | 
| 의회 | 국회 | 
| 큰 지도 | 충청남도 | 
| 연도 | 1948년 | 
| 폐지 | 1963년 | 
| 유형 | 국회 | 
| 이후 선거구 | 대덕군·연기군 | 
| 의원수 | 1인 | 
2. 역사
대한민국 제헌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연기군 전 지역을 관할하는 선거구로 신설되었다. 1963년 제6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대덕군 선거구와 합쳐져 대덕군·연기군 선거구를 이루게 되면서 폐지되었다. 
 
다음은 연기군 지역구에서 치러진 역대 국회의원 선거 결과이다.
3. 역대 국회의원
4. 역대 선거 결과
4. 1. 제헌 국회의원 선거 (1948년)
대한민국 제헌 국회의원 선거 충청남도 연기군 선거구에서는 대한독립촉성국민회 진헌식 후보가 25.11%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 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 진헌식 | 대한독립촉성국민회 | 7,986 | 25.11 | 
| 윤창석 | 무소속 | 4,796 | 15.08 | 
| 임헌록 | 무소속 | 4,418 | 13.89 | 
| 양정석 | 대동청년단 | 4,373 | 13.75 | 
| 전공우 | 무소속 | 3,633 | 11.42 | 
| 홍윤구 | 무소속 | 2,941 | 9.24 | 
| 조동근 | 한국민주당 | 1,953 | 6.14 | 
| 유일준 | 무소속 | 1,697 | 5.33 | 
| 합계 | 31,797 | 100 | 
4. 2. 제2대 국회의원 선거 (1950년)
대한민국 제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무소속 이긍종 후보가 26.51%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
| 이긍종 | 무소속 | 9,202 | 26.51 | 
| 진헌식 | 대한국민당 | 6,331 | 18.24 | 
| 임지수 | 무소속 | 3,054 | 8.79 | 
| 임붕수 | 대한청년당 | 2,900 | 8.35 | 
| 조동근 | 대한독립촉성국민회 | 2,824 | 8.13 | 
| 유형식 | 무소속 | 2,517 | 7.25 | 
| 임준수 | 무소속 | 2,414 | 6.95 | 
| 홍운섭 | 무소속 | 2,303 | 6.63 | 
| 최용근 | 대한청년당 | 1,636 | 4.71 | 
| 구경묵 | 무소속 | 1,525 | 4.39 | 
| 총 득표수 | 34,706 | ||
4. 3. 1952년 재보궐선거
이긍종 의원의 사망으로 인해 1952년 대한민국 재보궐선거가 치러졌으며, 이 선거에서 무소속 이범승 후보가 당선되었다.4. 4. 제3대 국회의원 선거 (1954년)
1954년 대한민국 제3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자유당 유지원 후보가 29.11%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자세한 득표 결과는 다음과 같다.| 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 유지원 | 자유당 | 9,507 | 29.11 | 
| 이범승 | 무소속 | 7,061 | 21.62 | 
| 성태경 | 무소속 | 6,626 | 20.29 | 
| 임지수 | 무소속 | 4,510 | 13.81 | 
| 조동근 | 민중자결단 | 3,606 | 11.04 | 
| 홍순영 | 민주국민당 | 751 | 2.30 | 
| 황회주 | 무소속 | 588 | 1.80 | 
| 합계 | 32,649 | 100.00 | 
4. 5. 제4대 국회의원 선거 (1958년)
1958년 대한민국 제4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자유당 유지원 후보가 41.95%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 유지원 | 자유당 | 16,249 | 41.95 | 
| 성태경 | 민주당 | 13,537 | 34.94 | 
| 임봉학 | 무소속 | 3,098 | 7.99 | 
| 진헌식 | 무소속 | 2,778 | 7.17 | 
| 김복래 | 무소속 | 2,237 | 5.77 | 
| 이병규 | 통일당 | 835 | 2.15 | 
| 합계 | 38,734 | 100 | 
4. 6. 제5대 국회의원 선거 (1960년)
| 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 성태경 | 민주당 | 23,075표 | 59.63% | 
| 홍순영 | 무소속 | 6,803표 | 17.58% | 
| 박노일 | 무소속 | 5,748표 | 14.85% | 
| 김상근 | 무소속 | 3,065표 | 7.92% | 
| 합계 | 38,691표 | 100%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