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열두제곱근 2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2제곱근 2는 약 1.0594630943592952645의 값을 가지며, 평균율 음악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평균율은 옥타브를 12개의 동일한 반음으로 나누어 음정을 계산하며, 각 음의 음높이는 12제곱근 2의 거듭제곱을 곱하여 결정된다. 이 값은 음정의 주파수 비율을 나타내며, 음악의 피치 조절 및 다양한 음계 연구에도 활용된다. 이 개념은 1580년 시몬 스테빈에 의해 처음 제안되었으며, 1584년 주재욱에 의해 소수점 24자리까지 계산되었다.

2. 값

12제곱근 2의 값은 약 1.0594630943592952645이다.[2] 18/17 ≈ 1.0588와 비슷하다.

반올림하여 소수점 아래 50번째 자리까지 나타낸 값은 다음과 같다.

:1.05946 30943 59295 26456 18252 94946 34170 07792 04317 49419

20자리의 유효 숫자로 나타낸 12제곱근 2는 1.0594630943592952646이다.[2][7][8][9] 정확도가 증가하는 순서대로 분수 근사값은 18/17, 89/84, 196/185, 1657/1564, 18904/17843이 있다.[2]

3. 평균율

 진동수
Hz배율
 계수
(6째 자리까지)A440.0020/121.000000A/B466.1621/121.059463B493.8822/121.122462C523.2523/121.189207C/D554.3724/121.259921D587.3325/121.334839D/E622.2526/121.414213E659.2627/121.498307F698.4628/121.587401F/G739.9929/121.681792G783.99210/121.781797G/A830.61211/121.887748A880.00212/122.000000



한 옥타브 높은 가(A)음은 880 Hz로 원래의 가 음 주파수인 440 Hz의 두배가 된다. 음악적 음정은 주파수의 비율이며, 균등하게 조율된 반음계는 옥타브 (2:1의 비율을 가짐)를 12개의 동일한 부분으로 나눈다. 각 음은 그 아래 음의 주파수보다 21/12배 더 높은 주파수를 갖는다.[3]

이 값을 반음계의 음에 순차적으로 적용하면, 가운데 '''C''' 위의 '''A''' (A4) (주파수가 440 Hz)에서 시작하여 다음과 같은 음고 시퀀스가 생성된다.

A 440과 관련된 표준 음정 이름주파수
(Hz)
배수계수
(소수점 여섯 자리까지)
순정 율
비교용 비율
센트 단위의
차이 (균등 음율과 순정 율 사이)
A일치440.0020/121.00000010
A/B단2도/반음/반음466.1621/121.059463≈ 16/15+11.73
B장2도/온음/온음493.8822/121.122462≈ 9/8−3.91
C단3도523.2523/121.189207≈ 6/5+15.64
C/D장3도554.3724/121.259921≈ 5/4−13.69
D완전4도587.3325/121.334839≈ 4/3−1.96
D/E증4도/감5도/트라이톤622.2526/121.414213≈ 7/5+17.49
E완전5도659.2627/121.498307≈ 3/2+1.96
F단6도698.4628/121.587401≈ 8/5+13.69
F/G장6도739.9929/121.681792≈ 5/3−15.64
G단7도783.99210/121.781797≈ 16/9+3.91
G/A장7도830.61211/121.887748≈ 15/8−11.73
A옥타브880.00212/122.00000020



마지막 '''A''' (A5: 880 Hz)는 낮은 '''A''' (A4: 440 Hz)의 정확히 두 배의 주파수를 가지며, 즉, 1옥타브 더 높다.

음정은 주파수의 비이기 때문에, 평균율의 반음계는 옥타브 (2:1의 주파수비)를 12등분한다.

이 값을 다(C) 위의 가(A)음 (440 Hz의 주파수를 가지며, A4라고 불림)에서 시작하는 반음계의 음에 연속적으로 적용하면, 다음의 음높이 열을 얻을 수 있다.

주파수
(Hz)
승수계수
(8자리까지)
근사비
440.00000020/121.000000001
가/내림나466.16376221/121.05946309≈ 16/15
493.88330122/121.12246205≈ 9/8
523.25113123/121.18920712≈ 6/5
다/내림라554.36526224/121.25992105≈ 5/4
587.32953625/121.33483985≈ 4/3
라/내림마622.25396726/121.41421356≈ 7/5
659.25511427/121.49830708≈ 3/2
698.45646328/121.58740105≈ 8/5
바/내림사739.98884529/121.68179283≈ 5/3
783.990872210/121.78179744≈ 9/5
사/내림가830.609395211/121.88774863≈ 15/8
880.000000212/122.000000002



마지막의 '''가''' (A5: 880 Hz)는 낮은 쪽의 '''가''' (A4: 440 Hz)의 정확히 2배의 주파수를 갖는다. 즉 1옥타브 높다.

3. 1. 평균율 음계표

음정은 주파수의 비이다. 평균율의 반음계는 옥타브 (2:1의 주파수비)를 12등분한다.

다(C) 위의 가(A)음 (440 Hz의 주파수를 가지며, A4라고 불림)에서 시작하는 반음계의 음에 이 값을 연속적으로 적용하면, 다음과 같은 음높이 열을 얻을 수 있다.

주파수
(Hz)
승수계수
(8자리까지)
근사비
440.00000020/121.000000001
가/내림나466.16376221/121.05946309≈ 16/15
493.88330122/121.12246205≈ 9/8
523.25113123/121.18920712≈ 6/5
다/내림라554.36526224/121.25992105≈ 5/4
587.32953625/121.33483985≈ 4/3
라/내림마622.25396726/121.41421356≈ 7/5
659.25511427/121.49830708≈ 3/2
698.45646328/121.58740105≈ 8/5
바/내림사739.98884529/121.68179283≈ 5/3
783.990872210/121.78179744≈ 9/5
사/내림가830.609395211/121.88774863≈ 15/8
880.000000212/122.000000002



마지막의 '''가''' (A5: 880 Hz)는 낮은 쪽의 '''가''' (A4: 440 Hz)의 정확히 2배의 주파수를 갖는다. 즉 1옥타브 높다.

3. 2. 다른 조율 음계

다른 조율 음계는 약간 다른 음정 비율을 사용한다. 순정률 또는 피타고라스 조율 완전 5도는 3/2이며, 평균율 완전 5도와 순정률 완전 5도의 차이는 그래드로, 피타고라스 콤마의 12제곱근({\displaystyle {\sqrt[{12}]{531441/524288}}})이다. 평균율 볼렌-피어스 음계는 3의 13제곱근({\displaystyle {\sqrt[{13}]{3}}}) 음정을 사용한다. 슈톡하우젠의 ''Studie II''(1954)는 5의 25제곱근({\displaystyle {\sqrt[{25}]{5}}})을 사용하여, 5×5 부분으로 나뉜 복합적인 장3도를 사용한다. 델타 음계는 ≈{\displaystyle {\sqrt[{50}]{3/2}}}을 기반으로 한다. 감마 음계는 ≈{\displaystyle {\sqrt[{20}]{3/2}}}을 기반으로 한다. 베타 음계는 ≈{\displaystyle {\sqrt[{11}]{3/2}}}을 기반으로 한다. 알파 음계는 ≈{\displaystyle {\sqrt[{9}]{3/2}}}을 기반으로 한다.

4. 피치 조정

녹음 재생 속도를 조절하여 피치를 변경할 수 있다. 반음의 주파수 비율이 약 106%(100\sqrt[12]{2} \approx 105.946)이므로 녹음 재생 속도를 6% 증가 또는 감소시키면 피치가 약 반음, 즉 "반 단계"만큼 위 또는 아래로 이동한다. 고급 릴 투 릴 오디오 테이프 레코더는 일반적으로 최대 ±6%의 피치 조절 기능을 갖추고 있으며, 이는 약간 다른 튜닝을 가진 다른 음악 소스(또는 정확한 속도로 작동하지 않는 장비에서 녹음된 경우)에 재생 또는 녹음 피치를 맞추는 데 사용된다. 현대 녹음 스튜디오에서는 디지털 피치 시프트를 사용하여 센트 단위부터 여러 반음까지 피치를 조정한다. 릴 투 릴 조정은 녹음된 사운드의 템포에도 영향을 미치지만, 디지털 시프트는 그렇지 않다.

5. 역사

역사적으로 이 숫자는 1580년 시몬 스테빈에 의해 음악 조율과 관련하여 처음 제안되었다(초안 작성, 1610년 재작성).[4] 1581년 이탈리아 음악가 빈첸초 갈릴레이는 12음 평균율을 제안한 최초의 유럽인일 수 있다.[1] 12제곱근 2는 1584년 중국의 수학자이자 음악가인 주재욱이 주판을 사용하여 소수점 24자리까지 정확하게 계산했다.[1] 이후 1605년경 시몬 스테빈,[1] 1636년 마랭 메르센,[1][5] 1691년 안드레아스 베르크마이스터에 의해 계산되었다.[5]

대한민국에서는 조선시대 세종박연과 함께 전통 음악의 기준 음높이를 정립하려는 노력이 있었으며, 이는 평균율과는 다른 독자적인 음계 체계였다. 현대에는 평균율이 널리 쓰이지만, 국악에서는 여전히 전통적인 음계를 기반으로 하는 경우가 많다.

참조

[1] 서적 The Crest of the Peacock Princeton
[2] OEIS Decimal expansion of 12th root of 2
[3] 웹사이트 Equal temperament {{!}} Definition & Facts {{!}} Britannica https://www.britanni[...] 2024-06-03
[4]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Western Music Theory https://archive.org/[...] Cambridge University Press
[5] 서적 A Short History of the Chinese People https://books.google[...] Courier
[6]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Western music theory Cambridge University Press
[7] OEIS
[8] Wolfram Alpha Wolfram Alpha http://www.wolframal[...]
[9] Sage Sage (数式処理システム) http://sagecell.sage[...]
[10] OEIS
[11] Wolfram Alpha Wolfram Alpha http://www.wolframal[...]
[12] Sage Sage (数式処理システム) http://sagecell.sag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